고구려 상(BC37-AD 391) 56

<펌> 동천왕 (227-247)-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천왕(東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1대(재위:227~247) 왕. 이칭동양왕(東襄王), 우위거(憂位居), 위궁(位宮), 교체(郊彘)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209년(산상왕 13)사망일248년(동천왕 22)경력고구려 제11대 국왕(재위: 227∼248년)관련사건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毌丘儉)의 고구려 침공: 244∼245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1대(재위:227~247) 왕. 키워드 산상왕(山上王)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소비(小妃) 공손씨(公孫氏) 개설 동천왕은 ‘동양왕(東襄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이며 아명은 교체(郊彘)이다. 위궁이라는 이름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능히 사물을 본 것이 할아버지뻘인 태..

<펌> 동천왕 (227-248)-나무위키

1. 개요 2. 성격 3. 내정 4. 외교 4.1. 위나라와 충돌하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 삼국사기 기록 7. 기타 1. 개요 고구려의 제11대 군주. 휘는 우위거 혹은 위궁. 위궁은 진수의 삼국지를 따른 것인데 이름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본 것이 증조부인 태조대왕과 닮았기 때문에, 그의 휘인 궁(宮)에서 따온 이름이라 한다.[3] 아명은 교체(郊彘). 교제(郊祭, 제사)에 쓸 돼지와 관련된 사건으로 태어났다는 뜻이다.[4] 삼국사기에선 동양왕(東襄王)이라는 다른 존호도 전한다. 산상왕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소왕후(小王后)이며, 성씨는 전하지 않는다. 213년에 태자로 책봉된 후, 227년 5월, 1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21년간 재위하였..

<펌> 고국원왕 (331-371)-나무위키

1. 소개 2. 시호 3. 굴욕으로 점철된 재위 기간 3.1. 전연의 침입 3.2. 반역 모의 3.3. 평양성에서 맞은 비극적인 최후 4. 북한이 보는 고국원왕 5. 삼국사기에서의 기록 6. 창작물에서 6.1. KBS 대하드라마 근초고왕 6.2. 김진명의 고구려 1. 소개 고구려 왕조 제 16대 임금. 아버지 미천왕이 크게 확장한 영토와 강화한 왕권을 대부분 상실한, 여러모로 아쉬운 군주이다. 그러한 아쉬운 업적만큼 본인 역시 재위 기간 내내 수난과 역경으로 보내다 끝내 전장에서 전사하는 안타깝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비운의 군주이기도 하다. 2. 시호 시호가 여러가지가 전해지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강상왕(岡上王) : 삼국유사 국원왕(國原王) : 삼국유사 고국원왕(故國原王) : 삼국사기 국강상왕(..

<펌> 고국양왕 (384-391)-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3. 삼국사기 기록 4.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고구려 제18대 군주 2. 생애 등극한 고국원왕의 아들 17대 18대 소수림왕(少獸林王) 고국양왕(故國壤王) 故國壤王 諱伊連 【或云於只支】 小獸林王之弟也 小獸林王在位十四年薨 無嗣 弟伊連卽位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이름은 이련(伊連)【혹은 어지지(於只支)라고도 하였다.】이고 소수림왕의 아우이다. 소수림왕이 재위 14년만에 죽었는데 아들이 없었으므로 아우 이련이 즉위하였다. ㅡ《삼국사기》고국양왕 본기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 광개토대왕의 부왕이다. 할아버지랑 형님과 아들과 손자가 워낙 거물급이라 묻히는 감이 있지만 소수림왕에 이어 광개토대왕의 정복 사업을 위한 기반을 단단히 쌓았다. 전왕 소수림왕 시절에는 중국이 부견의 전진이..

<펌> 소수림왕 (371-384) - 나무위키

1. 소개 2. 태자 시절 3. 왕위에 오르다 3.1. 당시 국제 정세 3.2. 내정 안정화 3.3. 백제에 대한 반격 4. 평가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1. 소개 고구려의 제17대 군주.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2] 백제의 고이왕, 신라의 법흥왕, 통일신라의 신문왕과 함께 나라의 기반을 단단히 마련한 개혁 군주 중 한 명이다. 그리고 이런저런 굵직한 업적 덕분에 국사 교육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며 그 때문에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능 응시생이나 공시생들에게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군주이기도 하다. 과장을 좀 보태면 이 임금을 빼놓고는 고구려의 정치사를 논할 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고국원왕 대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로 멸망 테크를 밟던..

<펌>고국양왕 (384-391 재위) - 위키백과

고국양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고국양왕 (高句麗 故國壤王) 지위 고구려의 제18대 왕 재위 384년~391년 대관식 고국양왕(故國壤王) 전임자 소수림왕(小獸林王) 후임자 광개토왕(廣開土王) 부왕 고국원왕(故國原王) 이름 휘 고이련(高伊連) 별호 어지지(於只支) 묘호 고국양왕(故國壤王) 시호 국양왕(國壤王)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391년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고국원왕(故國原王) 모친 ? 배우자 ? 종교 불교(佛敎) 고국양왕(故國壤王, ? ~ 391년, 재위 : 384년 ~ 391년 5월)[1] 은 고구려의 제18대 태왕이다. 이름은 이련(伊連) 또는 어지지(於只支)로 고국원왕의 둘째 아들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2] ..

<펌>소수림왕 (371-384 재위) - 위키백과

소수림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소수림왕 高句麗 小獸林王 지위 고구려의 제17대 태왕 재위 371년~384년 대관식 소수림왕(小獸林王) 전임자 고국원왕(故國原王) 후임자 고국양왕(故國壤王) 부왕 고국원왕(故國原王 이름 휘 고구부(高丘夫) 묘호 소수림왕(小獸林王) 시호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 소수림(小獸林) 소수림왕(小獸林王)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384년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고국원왕(故國原王 모친 ? 배우자 ? 종교 불교(佛敎)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맏아들로[1]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름은..

<펌>고국원왕 (331-371 재위) - 위키백과

고국원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2월) 고구려 고국원왕 高句麗 故國原王 지위 고구려의 제16대 태왕 재위 331년~371년 대관식 고국원왕(故國原王) 전임자 미천왕(美川王) 후임자 소수림왕(小獸林王) 부왕 미천왕(美川王) 이름 휘 고사유(高斯由) 별호 쇠(釗) 묘호 고국원왕(故國原王) 시호 국강상왕(國罡上王)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371년 사망지 평양성(平壤城)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미천왕(美川王) 모친 주씨(周氏) ..

<펌> 미천왕 (300-331 재위) - 위키백과

미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미천왕 高句麗 美川王지위고구려의 제15대 태왕재위300년~331년대관식미천왕(美川王)전임자봉상왕(烽上王)후임자고국원왕(故國原王)부왕고돌고(高咄固)이름휘고을불(高乙弗)묘호미천왕(美川王)시호호양왕(好壤王)신상정보사망일331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고돌고(高咄固)모친?배우자?종교불교(佛敎)미천왕(美川王, ? ~ 331년, 재위 : 300년 ~ 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군주이다. 이름은 을불(乙弗) 또는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 등이 전해진다. 서천왕의 손자이자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1][2]목차1생애2사후3설화4가계5미천왕이 등장한 작품6기년,연호7참고8관련9..

<펌> 봉상왕 (292-300 재위) - 위키백과

봉상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봉상왕 高句麗 烽上王지위고구려의 14대 국왕재위292년~300년전임자서천왕후임자미천왕부왕서천왕이름휘고상부(高相夫)신상정보부친서천왕모친우씨(于氏)봉상왕(烽上王, ? ~300년, 재위 292년~300년)은 고구려의 제14대 왕이다. 이름은 상부(相夫) 또는 삽시루(歃矢婁)이고 서천왕의 아들이다.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한다.생애292년, 서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어려서부터 교만하고 방탕하며 의심과 시기심이 많았다고 한다. 왕위에 오른 봉상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숙부인 안국군(安國君) 달가(達賈)를 음모로 살해하였다. 또한 293년에는 동생 돌고(咄固)에게 역모죄를 씌워 자살하게 하였으며 도망친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을 추격하..

<펌>서천왕 (270-292 재위) - 위키백과

서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서천왕 高句麗 西川王지위고구려의 13대 국왕재위270년 - 292년전임자중천왕후임자봉상왕부왕중천왕이름휘고약로(高藥盧)신상정보부친중천왕모친연씨(椽氏)배우자서부대사자(西部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서천왕(西川王, ?~292년, 재위 : 270년~292년)은 고구려의 제13대 군주이다. 이름은 약로(藥盧) 또는 약우(若友)이고 중천왕의 둘째 아들이다.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한다.생애255년에 태자가 되었고, 270년에 중천왕..

<펌> 중천왕 (248-270 재위) - 위키백과

중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중천왕 高句麗 中川王지위고구려의 12대 국왕재위248년~270년전임자동천왕후임자서천왕부왕동천왕이름휘고연불(高然弗)신상정보부친동천왕배우자연씨(椽氏)중천왕(中川王, 224년~270년, 재위 248년~270년)은 고구려의 제12대 군주이다. 이름이 연불(然弗)이고 동천왕의 아들이다. 중양왕(中壤王)이라고도 한다.목차1생애2가족 관계3중천왕을 섬긴 사람들4참고생애243년에 태자가 되었고, 248년에 왕위에 올랐다. 같은 해 음..

<펌> 동천왕 (227-248 재위) - 위키백과

동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동천왕 高句麗 東川王지위고구려의 11대 대왕재위227년 - 248년전임자산상왕후임자중천왕부왕산상왕이름휘고우위거(高憂位居)신상정보부친산상왕모친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소비(小妃)동천왕(東川王, 209년 ~ 248년, 재위: 227년 ~ 248년)은 고구려의 제11대 군주이다. 일명 동양왕(東襄王)이다. 산상왕(山上王)의 아들로 휘는 우위거(憂位居)다. 일설에는 위궁(位宮)도 그의 이름이라 한다. 아명은 교체(郊彘)이며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소후(小后)이다.목차1생애2가족 관계3동천왕을 섬긴 사람들4각주5참고6함께 보기생애산상왕과 소후의 사이에서 태어나 아명은 ‘교체’라고 하였다. 교제(郊祭)에 쓸 돼지..

<펌>산상왕 (197-227 재위) - 위키백과

산상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산상왕 高句麗 山上王지위고구려의 10대 국왕재위197년 - 227년전임자고국천왕후임자동천왕부왕신대왕이름휘고연우(高延優)능호산상릉(山上陵)신상정보부친신대왕배우자제나부(提那部) 우소(于素)의 딸3세기 초 고구려의 판도산상왕(山上王, ?~227년, 재위 197년~227년)은 고구려의 제10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아들이자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휘는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 (三國..

<펌> 고국천왕 (179-197 재위) - 위키백과

고국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고국천왕 高句麗 故國川王지위고구려의 9대 국왕재위179년 - 197년전임자신대왕후임자산상왕부왕신대왕이름휘고남무(高南武)신상정보부친신대왕배우자제나부(提那部) 우소(于素)의 딸고국천왕(故國川王, ?~197년, 재위: 179년~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둘째아들로 휘는 남무(南武)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다른 이름으로 이이모(伊夷模)가 기록되었다. 제8대 신대왕(新大王)의 둘째 아들이며, 신대왕이 죽은 뒤 형인 발기(拔奇)를 제치고 대신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목차1생애2가계3고국천왕을 섬긴 사람들4각주5참고생애17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179년에 즉위하였다. 신대왕..

<펌> 신대왕 (165-179 재위) - 위키백과

신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신대왕 高句麗 新大王지위고구려 제8대 군주재위165년~179년전임자차대왕후임자고국천왕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백고(高伯固)신상정보부친고재사(高再思)신대왕(新大王, 89년~179년, 재위 165년~179년)은 고구려의 제8대 군주이다. 첩치가(妾置家)를 하였던 고추가 고재사의 서자(庶子)이며 태조왕(太祖王)과 차대왕(次大王)의 이복 동생이지만 태조왕과는 터울이 42살까지 나므로 이복 동생이 아니라 태조왕의 아들[1] 또는 차대왕의 아들[2]이라는 설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태조왕의 이복 동생으로, 〈후한서 後漢書〉에는 차대왕의 아들로 나온다.신채호에 의하면 차대왕, 신대왕, 인고(仁固) 3형제는 태조왕의 이복 동생이 아니라 서자라고 ..

<펌> 차대왕 (146-165 재위) - 위키백과

차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차대왕 高句麗 次大王지위고구려의 제7대 국왕재위146년 - 165년전임자태조대왕후임자신대왕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수성(高遂成)신상정보부친고재사(高再思)차대왕(次大王, 71년~165년, 재위 146년~165년)은 고구려의 제7대 군주이다. 휘는 수성(遂成)이다. 첩치가(妾置家)를 하였던 고추가 고재사(高再思)의 서자(庶子)인 그는 《삼국사기》에선 태조왕(太祖王)의 이복 동생으로, 《후한서》에서는 태조왕의 장자로 기록되어 있다. 태조왕 때에는 장군으로 활약하고 또한 대리청정으로써 국정을 대신 살폈다.146년 선양을 받아 7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폭정으로 인해 명림답부(明臨荅夫)에게 살해되었다. 신채호에 의하면 차대왕, 신대왕, ..

<펌> 태조대왕 (53-146 재위) - 위키백과

태조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고구려의 국왕에 관한 것입니다. 고려나 조선의 제 1대 국왕에 대해서는 조선 태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태조대왕 高句麗 太祖大王지위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53년~146년대관식태조대왕(太祖大王)전임자모본왕(慕本王)후임자차대왕(次大王)섭정고재사(53년~54년) 부여태후(54년~68년) 고수성(121년~146년)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궁(高宮)별호고어수(高於漱)묘호태조대왕(太祖大王)신상정보출생일47년출생지?사망일146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고재사(高再思)모친부여태후(扶餘太后)배우자?자녀아들 고막근(高莫勤 아들 고막덕(高莫德)기타 친인척증조부 유리명왕(瑠璃明王) 종조부 대무신왕(大武神王) 이복 동생 차대왕..

<펌> 모본왕 (48-53 재위) -위키백과

모본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모본왕 高句麗 慕本王지위고구려의 제5대 태왕재위48년~53년대관식모본왕(慕本王)전임자민중왕(閔中王)후임자태조대왕(太祖大王)섭정고재사(48년~53년)부왕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우(高解憂)별호해우(解憂) 해애루(解愛婁) 모본원(慕本原)묘호모본왕(慕本王)시호모본왕(慕本王)신상정보출생일?사망일53년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배우자?자녀고익(高翊)종교불교(佛敎)모본왕(慕本王, ? ~ 53년, 재위 : 48년 ~ 53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5대 태왕이다.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이다. 제3대 왕 대무신왕과 그 원비(元妃)의 자식이다. 이복형제 호동과의 태자 다툼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부..

<펌>민중왕 (44-48 재위) - 위키백과

민중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민중왕 高句麗 閔中王지위고구려의 제4대 국왕재위44년 음력 10월 ~ 48년대관식민중왕(閔中王)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후임자모본왕(慕本王)부왕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색주(高解色朱) 고해읍주(高解邑朱)별호해색주(解色朱) 해읍주(解邑朱)묘호민중왕(閔中王)시호?신상정보출생일?출생지?사망일48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왕후 송씨(王后 松氏) ?배우자?자녀?종교불교(佛敎)민중왕(閔中王, ? ~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 ~ 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휘는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나, 여기서 '해'가 성씨일 가능성..

<펌> 대무신왕 (18-44 재위) - 위키백과

대무신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대무신왕 高句麗 大武神王 지위 고구려의 제3대 태왕 재위 18년~44년 음력 10월 대관식 대무신왕(大武神王) 전임자 유리명왕(瑠璃明王) 후임자 민중왕(閔中王) 섭정 고재사(44년 음력 9월 ~ 44년 음력 10월) 부왕 유리명왕(瑠璃明王) 이름 휘 고무휼(高無恤) 별호 미류(味留) 묘호 대무신왕(大武神王) 시호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대호신왕(大虎神王) 신상정보 출생일 4년 사망일 44년 (향년 41세)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유리명왕(瑠璃明王) 모친 후궁 송씨(後宮 松氏) 배우자 해씨 부인 자녀 호동(好童) 모본왕(慕本王) 종교 불교(佛敎) 대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태왕(재위..

<펌> 유리명왕 (BC 19-AD18 재위)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6월)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국왕재위기원전 19년 음력 9월 ~ 기원후 18년 양력 10월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여달(閭達) 여해(閭諧) 시여해(始閭諧)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

<펌> 동명성왕 (BC37-BC19 재위) - 위키백과

동명성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주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에 대해서는 주몽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동명성왕 高句麗 東明聖王지위고구려의 제1대 태왕재위기원전 37년~기원전 19년대관식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유리명왕섭정유리태자(기원전 19년 음력 6월 ~기원전 19년 음력 9월)부왕천제(天帝)의 아들이름휘고주몽(高朱蒙)별호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 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묘호동명성왕(東明聖王)시호추모성왕(鄒牟聖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58년출생지?사망일기원전 19년 음력 9월사망지용산(龍山)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천제(天帝)의 아들모친유화(柳花)배우자예씨 부인(禮氏夫人) 소서노(召西奴)자녀유리명왕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동..

<펌>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오피니언칼럼 [역사산책]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이형모 발행인 | dongponews@hanmail.net 휴애거사 범장이 편찬한 ‘북부여기 하권’은 동명왕 이야기로 시작된다. 졸본 부여 동명왕으로 22년 “계유 원년(BC 108년), 이 해는 북부여 4대 단군 고우루 13년이다. 제(帝)는 사람됨이 호탕하고 용맹하여 군사를 잘 다루었다. 일찍이 북부여가 쇠약해지고 한나라 도둑들이 왕성해짐을 보고 분연히 세상을 구할 뜻을 세워 졸본에서 즉위하고 스스로 동명이라 하였는데 어떤 이들은 고열가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동명왕 재위 22년(BC 87년)에 장수를 보내어 배천의 한나라 도둑들을 쳐부수고 유민과 힘을 합하여 향하는 곳마다 한나라 도둑떼를 연파하더니 그 수비 장수까지 사로잡았으며 방비를 ..

<펌> 유리명왕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태왕재위19년~18년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년 또는 기원전 37년출생지졸본 부여(卒本 扶餘)사망일기원전 18년사망지두곡(豆谷)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동명성왕(東明聖王)모친예씨 부인(禮氏 夫人)배우자송씨(松氏) 송씨(松氏) 화희(禾姬) 치희(雉姬)자녀도절(都切) 해명(解明 대무신왕(大武神王) 여진(如津) 해색주(解色朱) 재사(再思..

<펌>유리왕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리왕(琉璃王)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 19~18) 왕.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이칭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8년경력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정의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19~18) 왕.키워드주몽(朱蒙)예씨(禮氏)송양(松讓)치희(雉姬)황조가(黃鳥歌)개설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 동명왕(東明王)주몽(朱蒙)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