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지난 두 글에서 구석기 시대의 인류이동 역사와 유전학적으로 살펴 본 신석기시대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살펴 보았다. (아래 글 참조).
https://lostcorea.tistory.com/1891
https://paulcgpark.tistory.com/97
이번 글에서는 한국 재야 사학계에서 많이 언급하는 홍산문화와 이들과 교류가 있었다는 황하의 앙소문화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는 동아시아에서의 역사가 한국의 역사와 어떻게 관련 있는지 가늠해 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물론 12환국이 동북아시아 지역에 있었는가에 대한 검토의 일환이 될 것이다.
II. 홍산문화 (4700-2900 BC)
홍산문화는 요하 서쪽에 위치한 신석기 문화로, 내몽골지역에서 요녕까지 지역인데, BC 4700-2900 BC 기간의 문화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Hongshan culture (simplified Chinese: 红山文化; traditional Chinese: 紅山文化; pinyin: Hóngshān wénhuà) was a Neolithic culture in the West Liao river basin in northeast China. Hongshan sites have been found in an area stretching from Inner Mongolia to Liaoning, and dated from about 4700 to 2900 BC.[1] "
(번역) 홍산문화는 중공 북동쪽의 요하 서쪽유역에 위치한 신석기문화이다. 홍산사이트는 내몽골지방에서 요녕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시기적으로는 BC 4700- BC 2900년기간이다.
This is a map of the Liao River drainage basin. (source : Wikipedia)
홍산문화는 홍산이란 지역이름을 따라 지어졌는데, 1908년 일본 고고학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35년 일본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발굴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The culture is named after Hongshanhou (simplified Chinese: 红山后; traditional Chinese: 紅山後; pinyin: Hóngshān hòu), a site in Hongshan District, Chifeng. The Hongshanhou site was discovered by the Japanese archaeologist Torii Ryūzō in 1908 and extensively excavated in 1935 by Kōsaku Hamada and Mizuno Seiichi.[2] "
(번역) 이 문화는 Chifeng, 홍산구역의 사이트이름을 따서 홍산이라 지어졌다. 홍산사이트는 일본 고고학자 Torii Ryuzo에 의해 1908년 발견되었으며, 1935년 Kosaku Hamada 와 Mizuno Seiichi에 의해 집중적으로 발굴되었다.
Historical context
Map of the middle Neolithic cultures in China. Hongshan culture is #1 on the map.
홍산문화는 그 전에 Xinglongwa culture (6200-5400 BC), Xinle culture (5300-4800 BC), 그리고 Zhaobaogou culture가 있었는데, Zhaobaogou culture는 Xinle와 동시대이거나 약간 이후의 것이다. (아래 자료 참조)
"In northeast China, Hongshan culture was preceded by Xinglongwa culture (6200–5400 BC), Xinle culture (5300–4800 BC), and Zhaobaogou culture, which may be contemporary with Xinle and a little later."
(번역) 북동 중공에서 홍산문화는 그 전에 Xinglongwa culture (6200-5400 BC), Xinle culture (5300-4800 BC), 그리고 Zhaobaogou culture가 있었는데, Zhaobaogou culture는 Xinle와 동시대이거나 약간 이후의 것이다.
황하의 앙소문화는 홍산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위 지도 참조), 이 두 문화는 서로 교류했다.
"The Yangshao culture of the Yellow River existed contemporaneously with the Hongshan culture (see map). These two cultures interacted with each other."
(번역) 황하의 앙소문화는 홍산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지도 참조), 이 두 문화는 서로 교류했다.
홍산문화는 Lower Xiajiadian culture(BC 2200-1600 BC)에 의해 이어지며, Upper Xiajiadian culture(1000-600 BC)가 그뒤를 잇는다. 아마도 기후변화에 의해, 농업에서 목축업으로 변동한다. 역사시기에서 서요하유역은 주로 유목민지역이었다. (아래 자료 참조)
"Hongshan culture was succeeded by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2200–1600 BC), which was replaced by a different Upper Xiajiadian culture (1000-600 BC) with a shift from farming to pastoral nomadism, likely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historical period, the West Liao basin was mainly populated by nomads.[3] "
(번역) 홍산문화는 Lower Xiajiadian culture(BC 2200-1600 BC)에 의해 이어지는데, Lower Xiajiadian culture는 Upper Xiajiadian culture(1000-600 BC)에 의해 대체되는데, 아마도 기후변화에 의해, 농업에서 목축업으로 변동하는 것과 함께 한다. 역사시기에서 서요하유역은 주로 유목민지역이었다.
Genetics and linguistic identity (유전적 언어적 정체)
Jade humanoid, Hongshan Culture.[4][5]
..................
Hongshan human figurine (jade)
2020년 넬슨은 홍산문화를 트랜스유라시언 언어권(알타이언어)과 연계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2021년 유전자 연구에 의하면, 몽고와 아무르강유역의 수렵인그룹의 조상인자는 몽골어와 퉁구스어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요하서쪽의 농부들 인자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홍산문화가 트랜스유라시언 언어권의 출발이라는 가정, 즉 서요하농부들이 이러한 범언어권을 퍼트렸다는 가정을 부정하는 것이다. (아래 자료 참조)
"Nelson et al. 2020 attempts to link the Hongshan culture to a "Transeurasian" (Altaic) linguistic context.[6] According to a study on genetic distance measurements from a large scale genetic study from 2021 titled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hunter-gatherers of Mongolia and the Amur River Basin have ancestry shared by Mongolic and Tungusic language speakers, but they did not carry West Liao River farmer ancestry, contradicting the Transeurasian hypothesis proposed by Martine Robbeets et al. that the expansion of West Liao River farmers spread these proto-languages.[7] "
(번역) 2020년 넬슨과 그외 저자는 홍산문화를 트랜스유라시언(알타이) 언어와 연계하려 시도 했다. 2021년 매우 큰 규모의 유전자연구, '동아시아에서 인류형성에 대한 유전적 조명'에서 유전적 거리 측정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몽고와 아무르강유역의 수렵인그룹의 조상인자는 몽골어와 퉁구스어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요하서쪽의 농부들 인자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Martine Robbeets와 그외 사람들이 가정하는 트랜스유라시언 가정, 즉 서요하농부들이 이러한 범언어권을 퍼트렸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2020년 연구에 의하면, 서요하지역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실질적인 유전적 변동이 있었다. 즉 중기 및 후기 신석기시대 사이에 수수 경작의 증가를 보여, 황하유역의 문명(앙소문화)과의 교류를 보여 준다. 반면에 청동기시기 초기에 (Xiajiadian문화(BC 2200-600 BC)에서) 일부 유목경제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 준다. (아래 자료 참조) 이는 기후변화에 의해 초래될 수도 있지만, 필자는 유목민세력이 농경문화세력을 대체한 결과일 수도 있다고 본다.
"A 2020 study discovered substantial genetic changes in the West Liao River region over time. An increase in the reliance on millet farming between the Middle-to-Late Neolithic is associated with higher genetic affinity to the Yellow River basin (generally associated with speakers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while a partial switch to pastoralism in the Bronze Age Upper Xiajiadian culture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is genetic affinity. After the Late Neolithic, there was a sharp transition from Yellow River to Amur River-related genetic profiles (associated with speakers of Tungusic languages) around the West Liao River. This increase in Amur River affinity corresponds with the transition to a pastoral economy during the Bronze Age.[8][9] "
(번역) 2020년 연구에 의하면, 서 요하지역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실질적인 유전적 변동이 있음이 밝혀졌다. 중기 및 후기 신석기시대 사이에 수수 경작의 증가는 황하유역(일반적으로 지나-티베트언어 사용자와 관련 있음)의 유전자와 더 유사한 것과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청동기시기 초기 Xiajiadian문화에서 일부 유목생활로 변하는 것은 이 유전적 유사성의 감소와 관련있다. 후기 신석기시기 이후, 황하에서 서요하주위의 아무르강관련 유전자 프로필(퉁구스어 사용자와 관련 있는)로 갑작스러운 변동이 있었다. 이러한 아무르강 유사성의 증가는 청동기 시기 유목경제로 변하는 것과 일치한다.
2021년 연구에 의하면, 현대의 Henan, 산동지역의 황하 기장(수수)농부들은 홍산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내륙이나 해변으로 북쪽으로 이동한 그 후손들의 형성에도 중요역할을 했다. (아래 자료 참조)
"A 2021 study found that Yellow River millet farmers from the modern-day provinces of Henan and Shandong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Hongshan people or their descendants via both inland and coastal northward migration routes.[10] "
(번역) 2021년 연구에 의하면, 현대의 Henan, 산동지역의 황하 기장(수수)농부들은 홍산지역 사람들의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내륙이나 해변으로 북쪽으로 이동한그 후손들의 형성에도 중요역할을 했다.
앙소문화와 유사하게, 홍산문화는 기장(=수수)을 경작했다. 기장(수수)은 초기 홍산문화 사람들 식량의 70%를 차지했고, 후기 홍산문화에서는 80%에 달했다. (아래 자료 참조)
"Agriculture
Similarly to the Yangshao culture, the Hongshan culture cultivated millet. Isotope analyses revealed that millet contributed up to 70% of the human diet in the Early Hongshan and up to 80% in the Late Hongshan.[9] "
(번역) 농업 : 앙소문화와 유사하게, 홍산문화는 기장(=수수)을 경작했다. 동위원소분석에 의하면, 기장(수수)은 초기 홍산 사람들의 식량의 70%를 차지했고, 후기홍산에는 80%에 달했다.
홍산문화는 옥가공의 문화로, 옥가공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홍산문화는 옥으로 용들을 만들었다. 임신한 여인의 모습을 한 점토 모형들이 홍산 전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작은 구리반지들도 출토되었다. (아래 자료 및 그림 참조)
"Artifacts (유물)
The Hongshan culture is known for its carved jade.[11] Hongshan burial artifacts include some of the earliest known examples of jade working. The Hongshan culture is known for its jade pig dragons and embryo dragons. Clay figurines, including figurines of pregnant women, are also found throughout Hongshan sites. Small copper rings were also excavated.[citation needed][12] "
(번역) 유물 : 홍산문화는 옥가공의 그것으로 알려졌다.홍산유물들은 옥가공의 가장 오래된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홍산문화는 옥으로 만든 돼지용들과 배아용들로 알려졌다. 임신한 여인의 모습을 포함하여 점토 모형들이 홍산 전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작은 구리반지들도 출토되었다.
- The C-shaped jade dragon of Hongshan Culture
- Jade Ornament
- Jade Beast
- Pottery pregnant woman, Hongshan Culture, Liaoning
Religion (종교)
Painted Cylindrical Pottery Vessel, Hongshan Culture (c. 4700–2900 BC), Liaoning, 1988. National Museum of China, Beijing
Niuheliang의 유적지는 홍산문화에서 유일한 종교 의식 유물이 발견된 곳이다. 제단을 포함한 지하 종교의식 장소, 돌무덤이 발견되었다. 이 신전은 석대로 건설되었고 벽은 색갈이 칠해졌다. 고고학자들은 이 신전을 여신전 (Goddess Temple)이라 이름지었다. 왜냐하면 옥으로 무늬를 새긴 눈을 가진 점토 여인 머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1m 깊이의 지하구조였다. 벽에는 색칠이 되어 있었다. 여신전안에는 실제 인간 크기의 3배가 되는 점토 모습이 안치되었다. 아마도 신들일텐데, 다른 어떤 중국문화도 반영하지 않은 종교의 모습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archaeological site at Niuheliang is a unique ritual complex associated with the Hongshan culture.
Excavators have discovered an underground temple complex—which included an altar—and also cairns in Niuheliang. The temple was constructed of stone platforms, with painted walls. Archaeologists have given it the name "Goddess Temple" (Chinese: 女神庙; pinyin: nüshenmiao) due to the discovery of a clay female head with jade inlaid eyes.[13] It was an underground structure, 1m deep.[14] Included on its walls are mural paintings. Housed inside the Goddess Temple are clay figurines as large as three times the size of real-life humans.[13] The exceedingly large figurines are possibly deities, but for a religion not reflective in any other Chinese culture.[15] "
(번역) Niuheliang의 유적지는 홍산문화와 관련된 유일한 종교 의식하는 복합단지이다.
제단을 포함한 지하 종교의식 장소가 발견되었다. 돌무덤도 발견되었다. 이 신전은 석대로 건설되었고 벽은 색갈이 칠해졌다. 고고학자들은 이 신전을 여신전 (Goddess Temple)이라 이름지었다. 왜냐하면 옥으로 무늬를 새긴 눈을 가진 점토 여인 머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1m 깊이의 지하구조였다. 벽에는 색칠이 있었다. 여신전안에는 실제 인간 크기의 3배가 되는 점토 모습이 안치되었다. 이 지나치게 거대한 모습은 아마도 신들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중국문화도 반영하지 않은 종교를 위한 것이었다.
복잡한 무역망과 기념비적 건축물 (예를 들어 피라미드와 여신전)의 존재는 이 선사시대 집단에서 군장이 존재한 것을 의미한다. 색칠한 도자기가 또한 신전안에서 발견되었다. 60개이상의 근처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모두 돌로 건축되었고 돌무더기로 덮혀 있었으며, 자주 옥 유물이 포함되었다. 돌무덤들은 근처 두 언덕 꼭대기에서 발견되었으며, 석회암을 포개놓아 만든 둥글거나 네모난 계단의 무덤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무덤안에는 용과 거북이 형상이 있었다. 홍산문화에서는 종교적 제물 행사가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자료 참조)
"The existence of complex trading networks and monumental architecture (such as pyramids[example needed][citation needed] and the Goddess Temple) point to the existence of a "chiefdom"[16] in these prehistoric communities."
(번역) 복잡한 무역망과 기념비적 건축물 (예를 들어 피라미드와 여신전)의 존재는 이 선사시대 집단에서 군장이 존재한 것을 의미한다.
"Painted pottery was also discovered within the temple.[14] Over 60 nearby tombs have been unearthed, all constructed of stone and covered by stone mounds, frequently including jade artifacts.[17] "
(번역) 색갈을 입힌 도자기 또한 신전안에서 발견되었다. 60개이상의 근처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모두 돌로 건축되었고 돌무더기로 덮혀 있었으며, 자주 옥 유물이 포함되었다.
"Cairns were discovered atop two nearby two hills, with either round or square stepped tombs, made of piled limestone. Entombed inside were sculptures of dragons and tortoises.[14] "
(번역) 돌무덤들은 근처 두 언덕 꼭대기에서 발견되었으며, 석회암을 포개놓아 만든 둥글거나 네모난 계단의 무덤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무덤안에는 용들과 거북이들 형상이 있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religious sacrifice might have been performed within the Hongshan culture.[14] "
(번역) 홍산문화에서는 종교적 제물 행사가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앙소문화처럼, 홍산문화도 역시 풍수사상이 일찍부터 있었다. 홍산문화 의례장소에서의 둥글고 네모난 모습은 개천 우주사상 (둥근 하늘, 네모난 지구)이 일찍부터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 풍수사상은 인간과 우주사이의 상관관계를 찾기 위한 천문학에 의존했다. (어래 자료 참조)
Feng shui(풍수)
"Just as suggested by evidence found at early Yangshao culture sites, Hongshan culture sites also provide the earliest evidence for feng shui. The presence of both round and square shapes at Hongshan culture ceremonial centres suggests an early presence of the gaitian cosmography ("round heaven, square earth").[18]
Early feng shui relied on astronomy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humans and the universe.[19] "
(번역) 앙소문화 사이트에서 발견된 증거가 제시하는 것처럼, 홍산문화 사이트도 역시 풍수사상이 일찍부터 있었다. 홍산문화 기념장소에서의 둥글고 네모난 모습이 나타나는 것은 개천 우주사상 (둥근 하늘, 네모난 지구)이 일찍부터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 풍수사상은 인간과 우주사이의 상관관계를 찾기 위한 천문학에 의존했다.
Development of Chinese civilization (중국문명의 발달)
Hongshan Culture painted pottery. Inner Mongolia Museum
Hongshan culture area.[20]
2015년 연구에 의하면, 홍산문화 지역은 한 때 매우 풍부한 수생자원, 깊은 호수, 숲 등이 12000년전부터 4000년전까지 있었음을 알아냈다. 약 4200년전에 시작된 기후변화에 의해 사막으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의 일부 사람들은 남쪽 황하계곡으로 약 4천년전에 이동하였다. 고고학적 증거가 내몽고, Ulanqab의 Miaozigou 사이트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황하의 앙소문화 (앙소문화는 지나-티베트언어의 출발지로 추정된다) 북쪽 부분이다. 이것은 황하와 요하 문화 사이에 물적 문화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Miaozigou 사이트의 3명의 개인들은 Haplogroup N1(xNia, N1c)에 속하는데, 황하계곡문화의 주요 계열은 O3-M122이다. Miaozigou인류의 N1의 존재는 홍산문화 인류의 일부가 이동한 증거라 할 수 있다. (아래 자료 참조)
Guo Da-shun 같은 일부 중공 고고학자들은 홍산문화가 초기 중국문명의 중요한 단계라 보고 있다. 홍산문화는 초기 중국문명의 발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한국의 일부학자들은 이를 부인하며, 홍산문화는 오직 한국문화와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아래 자료 참조)
"The Hongshan culture region was thought to have been desert for the past 1 million years. However, a 2015 study found that the region once featured rich aquatic resources and deep lakes and forests that existed from 12,000 years ago to 4,000 years ago. It was changed into desert by climate change which began approximately 4,200 years ago.[21] Therefore, some of the people of the Hongshan culture may have emigrated south to the Yellow River valley approximately 4,000 years ago.[22][23] Archaeological evidence discovered at the Miaozigou site in Ulanqab, Inner Mongolia, a northern branch of the Yangshao culture from the Yellow River (the Yangshao culture is speculated to be the origin of the Sino-Tibetan languages[24][25][26][27]) demonstrates similarities in the material cultures between the Yellow River and Liao River cultures.[28] Three individuals from the Miaozigou site belonged to haplogroup N1(xN1a, N1c), while the main lineage of Yellow River valley cultures is O3-M122. The existence of N1(xN1a, N1c) among the Miaozigou individuals could serve as evidence for the migration of some of the Hongshan people.[29] "
(번역) 홍산문화지역은 지난 백만년동안 사막이었을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2015년 연구에 의하면, 이 지역은 한 때 매우 풍부한 수생자원, 깊은 호수, 숲 등이 12000년전부터 4000년전까지 있었음을 알아냈다. 약 4200년전에 시작된 기후변화에 의해 사막으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의 일부 사람들은 남쪽 황하계곡으로 약 4천년전에 이동하였다. 고고학적 증거가 내몽고, Ulanqab의 Miaozigou 사이트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황하의 앙소문화 (앙소문화는 시노-티베트언어의 출발지로 추정된다) 북쪽 부분이다. 이것은 황하와 요하 문화 사이에 물적 문화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Miaozigou 사이트의 3명의 개인들은 Haplogroup N1(xNia, N1c)에 속하는데, 황하계곡문화의 주요 계열은 O3-M122이다. Miaozigou인류의 N1의 존재는 홍산문화의 인류의 일부가 이동한 증거라 할 수 있다.
"Some Chinese archaeologists such as Guo Da-shun see the Hongshan culture as an important stage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30][31] Whatever the linguistic affinity of the ancient denizens, Hongshan culture is believed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32] "
(번역) Guo Da-shun 같은 일부 중공 고고학자들은 홍산문화가 초기 중국문명의 중요한 단계라 보고 있다. 고대 특정지역의 언어적 유사성이 어떻게 되든, 홍산문화는 초기 중국문명의 발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믿어진다.
"The culture may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in ancient Korea.[33] However, the Hongshan culture is also commonly employed in Korean pseudohistory by some Korean scholars, who seek to contest any connections between the Hongshan culture with Chinese civilization and assert that the Hongshan culture is only related to Korean civilization.[11] "
(번역) 이 문화는 고대한국의 정착 발달에 이바지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홍산문화는 또한 한국의 일부 유사 역사학자들에 의해 자주 인용되는데, 그들은 홍산문화와 중국문명 사이의 연관성을 부정하며, 홍산문화는 오직 한국문명과 관련있다고 주장한다.
(source : Hongshan cultu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홍산문화)
III. 홍산문화이전의 Xinglongwa culture (흥융와문화)(興隆洼文化) (6200 - 5400 BC)
홍산문화(BC 4700-2900 BC)이전에는 흥융화문화(BC 6200-5400 BC)가 있었는데, 몇가지 특이한 점이 있어 살펴 본다.
어떤 논문에 의하면, Xinglongwa는 트랜스유라시언 언어그룹에 속하는 현대의 동북아시아인의 먼 조상일 수 있다고 말한다. Xinglonggou에서 최근 발견된 지역에서, 기장(수수) 유물이 나옴으로서, 이 문화의 농업의 증거를 보여주는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유물이 Xinglongwa문화에서 발견되었다. 다섯손가락을 이용하는 뿔로 만든 피리가 Xinglongwa 장소에서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According to some papers, the Xinglongwa are perhaps the distant ancestors of the present-day Northeast Asian peoples that belong to the proposed "Transeurasian" (aka Altaic) language family,[1][2] but this view has also been criticized.[3]
(번역) 어떤 논문에 의하면, Xinglongwa는 트랜스유라시언 언어그룹에 속하는 현대의 북동아시아인의 먼 조상일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 견해는 또한 비판받기도 한다.
The recently discovered site at Xinglonggou is the only site of the culture to show evidence of any sort of agriculture, with evidence of millet remains.
(번역) Xinglonggou에서 최근 발견된 지역에서, 기장(수수)의 유물이 나옴으로서, 이 문화의 농업의 증거를 보여주는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Some of the oldest Comb Ceramic artifacts were found in the Xinglongwa culture.[4][5] A bone flute with five finger holes was also found at a Xinglongwa site.[6]
(번역)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유물이 Xinglongwa문화에서 발견되었다. 다섯손가락을 이용하는 뿔로 만든 플룻이 Xinglongwa 장소에서 발견되었다.
IV. 홍산문화와 연관있는 황하지역의 앙소문화 (5000-3000BC)
앙소문화지역 (자료 : 위키피디아)
앙소문화는 약 BC 5000 - BC 3000 사이 황하 중류지점을 따라 집중적으로 존재했던 신석기문화이다. 이 문화는 양소 사이트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는데, 양소사이트는 이 문화는 1921년 스웨덴 지질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문화는 Henan, Shaanxi, 그리고 Shanxi성에서 주로 번창하였다. (아래 자료 참조)
"The Yangshao culture (仰韶文化, pinyin: Yǎngsháo wénhuà) was a Neolithic culture that existed extensively along the middle reaches of the Yellow River in China from around 5000 BC to 3000 BC. The culture is named after the Yangshao site, the first excavated site of this culture, which was discovered in 1921 in Yangshao town, Mianchi County, Sanmenxia, western Henan Province by the Swedish geologist Johan Gunnar Andersson (1874–1960).[1] The culture flourished mainly in the provinces of Henan, Shaanxi and Shanxi. "
(번역) 앙소문화는 약 BC 5000 - BC 3000 사이 중공의 황하 중류지점을 따라 집중적으로 존재했던 신석기문화이다. 이 문화는 양소 사이트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는데, 양소사이트는 이 문화의 첫째 발굴지로서 1921년 스웨덴 지질학자 Johan Gunnar Anderson(1874-1960)에 의해 서부 Henan 성, Sanmenxia, Mianchi county, Yangshao 타운에서 발견되었다. 이 문화는 Henan, Shaanxi, 그리고 Shanxi성에서 주로 번창하였다.
앙소문화 사람들의 주식은 수수(기장)였으며, 어떤 지역은 조, 다른 지역은 기장이었으며, 몇군데는 쌀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앙소 농업의 정확한 양상은 소규모의 화전농이나 또는 한 곳에서 집중농업을 한 것으로 현재 논쟁되고 있다. 일단 토양이 쇠하면, 그들은 짐을 싸고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마을을 이루었다. Jiangzhi 같은 중기 앙소문화 거주지는 상층부 건물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잉여곡식의 저장소로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를 만들기 위한 숫돌이 또한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Economy
Subsistence
The main food of the Yangshao people was millet, with some sites using foxtail millet and others proso millet, though some evidence of rice has been found. The exact nature of Yangshao agriculture, small-scale slash-and-burn cultivation versus intensive agriculture in permanent fields, is currently a matter of debate. Once the soil was exhausted, residents picked up their belongings, moved to new lands, and constructed new villages.[6] Middle Yangshao settlements such as Jiangzhi contain raised-floor buildings that may have been used for the storage of surplus grains. Grinding stones for making flour were also found.[7] "
(번역) 경제/최저생활
앙소사람들의 주식은 수수(기장)였으며, 어떤 지역은 조, 다른 지역은 기장이었으며, 몇군데는 쌀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앙소 농업의 정확한 양상은 소규모의 화전농이나 또는 한 곳에서 집중농업을 한 것으로 현재 논쟁되고 있다. 일단 토양이 쇠하면, 그들은 짐을 싸고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마을을 이루었다. Jiangzhi 같은 중기 앙소문화 거주지는 상층부 건물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잉여곡식의 저장소로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를 만들기 위한 숫돌이 또한 발견되었다.
앙소문화 사람들은 돼지를 키웠으며, 개, 양, 염소, 소 들은 매우 드믈게 발견되었다. 그들이 고기는 대부분 돌연장을 이용하여 사냥이나 어업으로부터 얻었다. 그들의 돌 연장은 윤이 났으며 고도로 특화되었다. 그들은 또한 초기 형태의 양잠업(잠사업)을 하였을 것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Yangshao people kept pigs and dogs. Sheep, goats, and cattle are found much more rarely.[8] Much of their meat came from hunting and fishing with stone tools.[7] Their stone tools were polished and highly specialized. They may also have practiced an early form of sericulture.[8]"
(번역) 앙소문화 사람들은 돼지를 키웠으며, 개, 양, 염소, 소 들은 매우 드믈게 발견되었다. 그들이 고기는 대부분 돌연장을 이용하여 사냥이나 어업으로부터 얻었다. 그들의 돌 연장은 윤이 났으며 고도로 특화되었다. 그들은 또한 초기 형태의 양잠업(잠사업)을 하였을 것이다.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들었다. 앙소문화 장인들은 세련된 백색, 적색, 흑색으로 칠해진 도자기를 만들고 사람얼굴이나 동물, 기하학적 디자인을 그려 넣었다. 이후의 용산문화와 달리,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드는데, 도자기 물레를 사용하지 않았다. 어린이들은 칠해진 용기에 묻은 것이 발굴되었다. 앙소문화의 도자기스타일은 서쪽으로 Majiayao 문화에 전파되고 좀 더 멀리 신장이나 중앙아시아에 전파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앙소문화는 비단을 소규모로 생산했으며, 삼베를 짰다. 남자들은 엉덩이(사타구니)를 가리는 옷을 입었으며, 그들의 머리를 상투를 맸다. 여자들은 긴 천으로 그들 몸을 감쌌으며 그들은 쪽진 머리를 했다.(아래 자료 참조)
"Crafts (수공예)
The Yangshao culture crafted pottery: Yangshao artisans created fine white, red, and black painted pottery with human facial, animal, and geometric designs. Unlike the later Longshan culture, the Yangshao culture did not use pottery wheels in pottery-making. Excavations found that children were buried in painted pottery jars. Pottery style emerging from the Yangshao culture spread westward to the Majiayao culture, and then further to Xinjiang and Central Asia.[9]
(번역)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들었다. 앙소문화 장인들은 세련된 백색, 적색, 흑색으로 칠해진 도자기를 만들고 사람얼굴이나 동물, 기하학적 디자인을 그려 넣었다. 이후의 용산문화와 달리,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드는데, 도자기 물레를 사용하지 않았다. 어린이들은 칠해진 용기에 묻은 것이 발굴되었다. 앙소문화의 도자기스타일은 서쪽으로 Majiayao 문화에 전파되고 좀 더 멀리 신장이나 중앙아시아에 전파되었다.
The Yangshao culture produced silk to a small degree and wove hemp. Men wore loin clothes and tied their hair in a top knot. Women wrapped a length of cloth around themselves and tied their hair in a bun.
(번역) 앙소문화는 비단을 소규모로 생산했으며, 삼베를 짰다. 남자들은 엉덩이(사타구니)를 가리는 옷을 입었으며, 그들의 머리를 상투를 맸다. 여자들은 긴 천으로 그들 몸을 감쌌으며 그들은 쪽진 머리를 했다.
사회구조에 대해서는 모계사회, 부계사회 등 의견이 분분하다. 기원전 5천년대로 올라가는 용의 조각상의 발견은, 앙소문화가 용의 형상을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문화임을 말한다. (아래 자료 참조)
"Social structure (사회 구조)
Although early reports suggested a matriarchal culture,[13] others argue that it was a society in transition from matriarchy to patriarchy, while still others believe it to have been patriarchal. The debate hinges on differing interpretations of burial practices.[14][15]
(번역) 사회적 구조
초기 보고서는 모계 중심의 문화를 말하였으나, 다른 이는 모계 중심에서 부계 중심의 사회로 이전하는 사회였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어떤 이들은 부계사회였다고 믿는다. 논쟁은 장례 관습의 해석에 따라 달라진다.
The discovery of a dragon statue dating back to the fifth millennium BC in the Yangshao culture makes it the world's oldest known dragon depiction,[16] and the Han Chinese continue to worship dragons to this day.
(번역) 기원전 5천년대로 올라가는 용의 조각상의 발견은 앙소문화가, 용의 형상을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문화임을 말한다. 한족은 오늘날까지도 용을 숭상하고 있다.
[출처] <펌>Yangshao culture(앙소문화)(황하) (5000-3000 BC)|작성자 CG Park
V. Sino-Tibetan languages
앙소문화가 Sino-Tibetan 언어의 발생지라고 하므로 이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이 언어가 남쪽 양자강쪽으로 퍼지지 않고 서쪽의 티베트지역, 버어마지역 등으로 퍼진 것에 유의하고자 한다. 왜 남쪽으로는 앙소문화가 이동하지 않았나 궁금한데, 이것은 유목문화라 그럴 수도 있고, 또는 황하의 앙소문화 지역과 남쪽의 양자강 지역 가운데는 뭔가 장벽이 있거나 다른 적대적 공동체가 존재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유의해서 살펴볼 점이라 생각한다.
동아시아의 언어 지도 (자료 : 위키피디아)
지나-티베트어는 중국어 13억 인구, 33백만의 버마어와 6백만의 티베트어 사용자가 주류를 이룬다. 비록 이 언어집단이 중국어와 티베트-버마그룹으로 나뉘어 있지만, 비 중국어의 공통적인 발생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중국학자들에 의해 Kra-Dai(중국 남단)와 Hmong-Mien 언어(양자강 지역)가 지나-티베트어로 포함되지만, 1940년대부터 국제적인 community에서는 제외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지나-티베트언어는 Cishan 문화(앙소문화 동쪽, BC 6500-5000 BC), 앙소문화, Majiayao 문화(황하 상류, 아래 그림 참조)가 모두 공통적인 발생지라는 것이 밝혀졌다. (아래 자료 참조)
Sino-Tibetan, also cited as Trans-Himalayan in a few sources,[1][2] is a family of more than 400 languages, second only to Indo-European in number of native speakers.[3] Around 1.4 billion people speak a Sino-Tibetan language.[4] The vast majority of these are the 1.3 billion native speakers of Sinitic languages. Other Sino-Tibetan languages with large numbers of speakers include Burmese (33 million) and the Tibetic languages (6 million). Other languages of the family are spoken in the Himalayas, the Southeast Asian Massif, and the eastern edge of the Tibetan Plateau. Most of these have small speech communities in remote mountain areas, and as such are poorly documented.
(번역) 어떤 자료에 의하면 트랜스-히말라야어라 불리는 지나-티베트 언어는 native speakers수에 있어서 인도유럽어 다음의 언어로서, 400개 이상의 언어 집단을 말한다. 약 14억명이 Sino-Tibetan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13억의 중국어 사용자이다. 다른 지나-티베트언어에서 많은 수의 사용자 언어는 33백만의 버마어와 6백만의 티베트어이다. 이 집단의 다른 언어로는 히말라야, 동남아시아 산맥 그리고 티베트고원의 동쪽 끝에서 사용된다. 이들 대부분은 먼 산간지역의 소수집단에서 사용되며, 매우 드물게 문서화되어 있다.
Several low-level subgroups have been securely reconstructed, but reconstruction of a proto-language for the family as a whole is still at an early stage, so the higher-level structure of Sino-Tibetan remains unclear. Although the family is traditionally presented as divided into Sinitic (i.e. Chinese languages) and Tibeto-Burman branches, a common origin of the non-Sinitic languages has never been demonstrated. The Kra–Dai and Hmong–Mien languages are generally included within Sino-Tibetan by Chinese linguists, but have been exclu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nce the 1940s. Several links to other language families have been proposed, but none have broad acceptance........................
(번역) 몇몇 낮은 수준의 하위 그룹들이 다시 만들어졌으나, 이 언어집단의 범 언어적 재구성은 아직 초기단계이다. 그러므로 보다 높은 수준의 지나-티베트어 구조는 불확실한 것으로 남아 있다. 비록 이 언어집단이 중국어와 티베트-버마그룹으로 나뉘어 있지만, 비 중국어의 공통적인 발생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중국학자들에 의해 Kra-Dai(중국 남단)와 Hmong-Mien 언어(양자강 지역)가 지나-티베트어로 포함되지만, 1940년대부터 국제적인 community에서는 제외되어 왔다. 다른 언어그룹에 몇몇 연관성이 제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source : Sino-Tibetan language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신석기시대 동아시아)
"Recent research indicates a common origin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with the Cishan, Yangshao and/or the Majiayao cultures.[2][3][4][5] "
(번역)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지나-티베트언어는 Cishan 문화(앙소문화 동쪽, BC 6500-5000 BC), 앙소문화, Majiayao 문화(황하 상류, 아래 그림 참조)가 모두 공통적인 발생지라는 것이 밝혀졌다.
Red oval is the late Cishan and the early Yangshao cultures. After applying the linguistic comparative method to the database of comparative linguistic data developed by Laurent Sagart in 2019 to identify sound correspondences and establish cognates, phylogenetic methods are used to infer relationships among these languages and estimate the age of their origin and homeland.[5]
2019년 컴퓨터 분석 연구에 의하면, 109개 지나-티베트어는 그 발생지가 황하유역에 가까운 북중국이라 제시했다. 이 연구는 더 나아가 중국어와 티베트-버마언어의 초기 주요 분리는 대략적으로 4200년전에서 7000년전 사이(평균 5900년전)에 앙소문화와 Majiayao문화와 관련되어 있었다고 제시한다. Sagart와 그외 (2019)는 다른 자료와 방법으로 분석한 바에 의해서도 발생지와 분리모델에 있어서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하며, 단 초기 생성시기는 7200년전으로 제시했다. 지나-티베트언어의 발생지에 관하여는 Cishan culture와 초기 앙소문화의 수수 농부들과 연관시켰다. (아래 자료 참조)
"Zhang et al. (2019) performed a computational phylogenetic analysis of 109 Sino-Tibetan languages to suggest a Sino-Tibetan homeland in northern China near the Yellow River basin. The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re was an initial major split between the Sinitic and Tibeto-Burman languages approximately 4,200 to 7,800 years ago (with an average of 5,900 years ago), associated with the Yangshao and/or Majiayao cultures.[62] Sagart et al. (2019) performed another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different data and methods to arrive at the same conclusions with respect to the homeland and divergence model but proposed an earlier root age of approximately 7,200 years ago, associating its origin with millet farmers of the late Cishan culture and early Yangshao culture.[69]
(번역) Zhang과 그외의 컴퓨터 분석 연구(2019년)에 의하면, 109개 지나-티베트어는 그 발생지가 황하유역에 가까운 북중국이라 제시했다. 이 연구는 더 나아가 중국어와 티베트-버마언어의 초기 주요 분리는 대략적으로 4200년전에서 7000년전 사이(평균 5900년전)에 앙소문화와 Majiayao문화와 관련되어 있었다고 제시한다. Sagart와 그외 (2019)는 다른 자료와 방법으로 분석한 바에 의해서도 발생지와 분리모델에 있어서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하며, 단 초기 생성시기는 7200년전으로 제시했다. 지나-티베트언어의 발생지에 관하여는 Cishan culture와 초기 앙소문화의 수수 농부들과 연관시켰다.
Majiayao culture의 위치 (자료 : 위키피디아)
..................
중국어, Bai어, Karenic어, Mrunic어를 제외하고는, 지나-티베트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목적어-동사이다. 20세기에 들어서, R Shafer는 유라시언 언어 super-family로 추정하고, 티베트-버마어와 인도유럽어 사이의 수백개의 유사한 단어들을 나열했다. (아래 자료 참조)
Word order (어순)
Except for the Chinese, Bai, Karenic, and Mruic languages, the usual word order in Sino-Tibetan languages is object–verb.[95] However, Chinese and Bai differ from almost all other subject–verb–object languages in the world in placing relative clauses before the nouns they modify.[96] Most scholars believe SOV to be the original order, with Chinese, Karen and Bai having acquired SVO order due to the influence of neighbouring languages in the Mainland Southeast Asia linguistic area.[97][98] This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insufficiently corroborated by Djamouri et al. 2007, who instead reconstruct a VO order for Proto-Sino-Tibetan.[99]
(번역) 어순
중국어, Bai어, Karenic어, Mrunic어를 제외하고는, 지나-티베트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목적어-동사이다. 그러나 중국어와 Bai어는 세상의 다른 모든 주어 동사- 목적어 언어와 달리, 그들이 변조한 명사앞에 관련절을 놓는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중국어, Karen어, Bai어와 관련하여, 원래 어순이 주어 목적어 동사 (SOV)였을 것으로 믿으나, 본토 동남아시아언어지역의 이웃 언어 영향으로 SVO순서를 가졌을 것으로 믿는다. 그러나 이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Djamouri와 그외 (2007) 에 의해 비판받았다. 그대신 이들은 범 지나-티베트어의 어순으로 VO를 재구성했다.
(source : Sino-Tibetan language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신석기시대 동아시아)
In the 20th century, R. Shafer put forward the conjecture of a Eurasial language super-family and listed hundreds of similar words between Tibeto-Burman and Indo-European languages.[139][140]
(번역) 20세기에 들어서, R Shafer는 유라시언 언어 super-family로 추정하고, 티베트-버마어와 인도유럽어 사이의 수백개의 유사한 단어들을 나열했다.
(source : Sino-Tibetan language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신석기시대 동아시아)
Ancient Chinese text on bamboo strips
Old Tibetan text found at Turfan (자료 : 위키피디아)
상기 티베트문자를 보면 버마-티베트어가 인도 산스크리스트어에서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는 다른 학자가 아래 지도와 같이 주장하듯이, 버마-티베트어가 인도동북부에서 온 것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Homeland_and_dispersal_of_the_Sino-Tibetan_languages (source : Wikipedia)
VI. 맺음말
I) 우선 홍산문화에 대해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홍산문화는 요하 서쪽에 약위치한 신석기 문화로, 내몽골지역에서 요녕까지 지역인데, BC 4700-2900 BC 기간의 문화이다.
2. 홍산문화는 홍산이란 지역이름을 따라 지어졌는데, 1908년 일본 고고학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35년 일본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발굴되었다.
3. 홍산문화는 그 전에 Xinglongwa culture(흥륭와문화) (6200-5400 BC), Xinle culture (新樂문화)(5300-4800 BC), 그리고 Zhaobaogou culture가 있었는데, Zhaobaogou culture는 Xinle와 동시대이거나 약간 이후의 것이다.
4. 황하의 앙소문화는 홍산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했다. 이 두 문화는 서로 교류했다.
5. 홍산문화는 Lower Xiajiadian culture(BC 2200-1600 BC)에 의해 이어지며, Upper Xiajiadian culture(1000-600 BC)가 그뒤를 잇는다. 아마도 기후변화에 의해, 농업에서 목축업으로 변동한다. 역사시기에서 서요하유역은 주로 유목민지역이었다.
6. 2021년 유전자 연구에 의하면, 몽고와 아무르강유역의 수렵인그룹의 조상인자는 몽골어와 퉁구스어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요하서쪽의 농부들 인자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홍산문화가 트랜스유라시아언어 (알타이어)의 근원지라는 일부 주장이 부정된다.
7. 2020년 연구에 의하면, 서요하지역에서, 중기 및 후기 신석기시대 사이에 수수 경작의 증가를 보여, 황하유역 문명(앙소문화)과의 교류를 보여 준다. 반면에 청동기시기 초기에 (Xiajiadian문화(BC 2200-600 BC)에서) 일부 유목경제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 준다.
이는 기후변화에 의해 초래될 수도 있지만, 필자는 유목민세력이 농경문화세력을 대체한 결과일 수도 있다고 본다.
8. 2021년 연구에 의하면, 현대의 Henan, 산동지역의 황하 기장(수수)농부들은 홍산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내륙이나 해변으로 북쪽으로 이동한 그 후손들의 형성에도 중요역할을 했다.
9. 앙소문화와 유사하게, 홍산문화는 기장(=수수)을 경작했다. 기장(수수)은 초기 홍산문화 사람들 식량의 70%를 차지했고, 후기 홍산문화에서는 80%에 달했다.
10. 홍산문화는 옥가공의 문화로, 옥가공의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홍산문화는 옥으로 용들을 만들었다. 임신한 여인의 모습을 한 점토 모형들이 홍산 전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1. Niuheliang의 홍산문화에서 제단을 포함한 지하 종교의식 장소, 돌무덤이 발견되었다. 이 신전은 석대로 건설되었고 벽은 채색되었다. 여신전안에는 실제 인간 크기의 3배가 되는 점토 모습이 안치되었다. 다른 어떤 중국문화도 반영하지 않은 종교의 모습이다.
12. 복잡한 무역망과 기념비적 건축물 (예를 들어 피라미드와 여신전)의 존재는 이 선사시대 집단에서 군장이 존재한 것을 의미한다.
13. 색칠한 도자기가 또한 신전안에서 발견되었다.
14. 60개이상의 근처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모두 돌로 건축되었고 돌무더기로 덮혀 있었으며, 자주 옥 유물이 포함되었다.
15. 무덤안에는 용과 거북이 형상이 있었다.
16. 홍산문화에서는 종교적 제물 행사가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17. 2015년 연구에 의하면, 홍산문화 지역은 한 때 매우 풍부한 수생자원, 깊은 호수, 숲 등이 12000년전부터 4000년전까지 있었음을 알아냈다.
18. 약 4200년전에 시작된 기후변화에 의해 사막으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의 일부 사람들은 남쪽 황하계곡으로 약 4천년전에 이동하였다. 고고학적 증거가 내몽고, Ulanqab의 Miaozigou 사이트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황하의 앙소문화 북쪽 부분이다.
19. 이것은 황하와 요하 문화 사이에 물적 문화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Miaozigou 사이트의 3명의 개인들은 Haplogroup N1(xNia, N1c)에 속하는데, 황하계곡문화의 주요 계열은 O3-M122이다. Miaozigou인류의 N1의 존재는 홍산문화의 인류의 일부가 이동한 증거라 할 수 있다.
20. Guo Da-shun 같은 일부 중공 고고학자들은 홍산문화가 초기 중국문명의 중요한 단계라 보고 있다. 홍산문화는 초기 중국문명의 발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한국의 일부학자들은 이를 부인하며, 홍산문화는 오직 한국문화와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홍산문화는 기장을 경작하는 농경문화이며, 옥가공의 문화이다. 피라미드 및 여신전과 같은 종교적 문화가 강했으며, 다른 중국지역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종교문화이다. 채색 도자기문화이며, 용과 거북이 형상이 무덤속에서 발견되었다. 황하의 앙소문화와 교류했으며, 중국으 초기문명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청동기시기 이후에는 기후변화로 농경문화에서 유목경제로 변하였다.
II) 홍산문화이전의 Xinglongwa culture (흥융와문화)(興隆洼文化) (6200 - 5400 BC)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어떤 논문에 의하면, Xinglongwa는 트랜스유라시언 언어그룹에 속하는 현대의 동북아시아인의 먼 조상일 수 있다고 말한다.
2. Xinglonggou에서 최근 발견된 지역에서, 기장(수수)의 유물이 나옴으로서, 이 문화의 농업의 증거를 보여주는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3.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유물이 Xinglongwa문화에서 발견되었다.
4. 다섯손가락을 이용하는 뿔로 만든 피리가 Xinglongwa 장소에서 발견되었다.
즉 흥융와문화는 홍산문화이전의 문화로서, 기장 경작 농경문화와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토기를 보여 준다.
III) 황하의 앙소문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앙소문화는 약 BC 5000 - BC 3000 사이 황하 중류지점을 따라 집중적으로 존재했던 신석기문화이다. 이 문화는 양소 사이트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는데, 양소사이트는 이 문화는 1921년 스웨덴 지질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문화는 Henan, Shaanxi, 그리고 Shanxi성에서 주로 번창하였다.
2. 앙소문화 사람들의 주식은 수수(기장)였으며, 어떤 지역은 조, 다른 지역은 기장이었으며, 몇군데는 쌀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3. 앙소 농업의 정확한 양상은 소규모의 화전농이나 또는 한 곳에서 집중농업을 한 것으로 현재 논쟁되고 있다. 일단 토양이 쇠하면, 그들은 짐을 싸고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고 새로운 마을을 이루었다.
4. Jiangzhi 같은 중기 앙소문화 거주지는 상층부 건물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잉여곡식의 저장소로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를 만들기 위한 숫돌이 또한 발견되었다.
5. 앙소문화 사람들은 돼지를 키웠으며, 개, 양, 염소, 소 들은 매우 드믈게 발견되었다. 그들이 고기는 대부분 돌연장을 이용하여 사냥이나 어업으로부터 얻었다.
6. 그들의 돌 연장은 윤이 났으며 고도로 특화되었다.
7. 그들은 또한 초기 형태의 양잠업(잠사업)을 하였을 것이다.
8.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들었다. 앙소문화 장인들은 세련된 백색, 적색, 흑색으로 칠해진 도자기를 만들고 사람얼굴이나 동물, 기하학적 디자인을 그려 넣었다. 어린이들은 채색된 용기에 묻은 것이 발굴되었다.
9. 이후의 용산문화와 달리, 앙소문화는 도자기를 만드는데, 도자기 물레를 사용하지 않았다.
10. 앙소문화의 도자기스타일은 서쪽으로 Majiayao 문화에 전파되고 좀 더 멀리 신장이나 중앙아시아에 전파되었다.
11. 앙소문화는 비단을 소규모로 생산했으며, 삼베를 짰다.
12. 남자들은 엉덩이(사타구니)를 가리는 옷을 입었으며, 그들의 머리를 상투를 맸다.
13. 여자들은 긴 천으로 그들 몸을 감쌌으며 그들은 쪽진 머리를 했다.
14. 사회구조에 대해서는 모계사회, 부계사회 등 의견이 분분하다.
15. 기원전 5천년대로 올라가는 용의 조각상의 발견은, 앙소문화가 용의 형상을 나타내는 가장 오래된 문화임을 말한다.
황하의 앙소문화는 반농 반목의 농경문화로서, 채색 도자기 문화였으며, 기장경작과 양잠업을 했으며, 남자는 상투를, 여자는 쪽진머리를 했다. 용의 조각상을 보이는 가장 오래된 문화이다. 홍산문화와 더불어 한민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IV) 앙소문화가 발생지라는 지나-티베트언어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지나-티베트어는 중국어 13억 인구, 33백만의 버마어와 6백만의 티베트어 사용자가 주류를 이룬다.
2. 비록 이 언어집단이 중국어와 티베트-버마그룹으로 나뉘어 있지만, 비 중국어의 공통적인 발생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 중국학자들에 의해 Kra-Dai(중국 남단)와 Hmong-Mien 언어(양자강 지역)가 지나-티베트어로 포함되지만, 1940년대부터 국제적인 community에서는 제외되어 왔다.
4.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지나-티베트언어는 Cishan 문화(앙소문화 동쪽, BC 6500-5000 BC), 앙소문화, Majiayao 문화가 모두 공통적인 발생지라는 것이 밝혀졌다.
5. 중국어, Bai어, Karenic어, Mrunic어를 제외하고는, 지나-티베트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목적어-동사이다.
6. 20세기에 들어서, R Shafer는 유라시언 언어 super-family로 추정하고, 티베트-버마어와 인도유럽어 사이의 수백개의 유사한 단어들을 나열했다.
즉 지나-티베트어의 일반적인 어순은 목적어-동사이며, 앙소문화, Cishan문화, Majiayao문화가 공통적인 발생지이다. 그러나 버마-티베트어인 비중국어의 발생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인도유럽어와 유사한 단어가 수백개 확인되었다.
티베트문자를 보면 버마-티베트어가 인도 산스크리스트어에서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는 다른 학자가 주장하였듯이, 티베트-버마어가 인도동북부에서 온 것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이상으로 서요하의 홍산문화, 황하의 앙소문화를 살펴 보고, 그에 관련된 지나-티베트어에 대해 살펴 보았다. 홍산문화, 앙소문화는 각가 20세기 전반에 일본, 스웨덴학자에 의해 발견, 발굴되었다.
양자강주변의 문화는 언어와 함께 이들 북방문화와 성격을 달리하는 것으로 말해진다. 동남아시아와 더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말해진다. 한편 이들에 대한 자료를 보면 중공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물사진 등이 매우 빈약하다.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면 몇몇 도자기 사진이 전부이다. 지나-티베트어가 남쪽인 양자강쪽으로 전파되지 않고, 티베트, 버마 등으로 간 것도 필자의 주목을 끈다. 앞으로 연구가 되어야 할 부분이라 본다.
이상으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12환국의 동북 아시아 위치에 대해서는 회의가 간다. 서요하의 홍산문화와 황하의 앙소문화가 재야 사학자가 비정하는 12환국의 위치와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연구에서 구석기 시대 아무르지역의 중요성은 충분히 인식되었으나, 신석기시대인 12환국의 시대에 있어서 이들 지역은 기록이 별로 없다. 그래서 회의적인 판단이 든다. 앞으로 남시베리아의 고대북유라시언(ANE)의 이동과 사카, 스키타이문화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된 후 최종 결론을 내고자 한다.
'한국의 역사 > 고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타인(Scythians)에 대한 연구(1):스키타인 정의 및 위치 (0) | 2024.05.10 |
---|---|
스키타인 역사(1) - Early Scythian (BC 12 c - BC 500) (0) | 2024.05.10 |
12환국 시대 이전 구석기 시대 유라시아 인류 이동 역사 (0) | 2024.03.20 |
사카(Sakas)에 대한 고찰 (0) | 2024.02.19 |
12환국 중 양운국, 일군국의 위치 추정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