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후백제 - 위키백과

후백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百濟 915년의 한반도. 연두색이 후백제. 무진주(892-909) 완산주(909-936) 군주제 견훤 견신검 중세 한국어 대한민국 백제수도정치정부 형태국왕892년 ~ 935년935년 ~ 936년인문공용어기타현재 국가 시대사[보이기] 남북의 역사[보이기] v t e 한국의 역사韓國史 후백제(後百濟, 892년~936년)는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에 백제 부흥운동을 시작으로 900년 견훤이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를 도읍으로 삼아 세운 나라이다. 공식 국호는 백제이나 이전에 존재하였던 백제와 구분하기 위해 후백제(後百濟)로 통용되며 신라, 고려와 더불어 후삼국 중 하나였다. 천수(天授) 19년(서기 936년) 고려 군주 왕건의 대규모..

후삼국 2020.12.04

<펌>후백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후백제(後百濟) 고대사지명 후삼국시대의 왕조국가. 후백제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파일선택 항목명이메일의견첨부파일 논산 전 견훤 묘 정면 분야고대사유형지명성격국가, 고대국가시대고대-남북국성격국가, 고대국가 정의 후삼국시대의 왕조국가. 내용 892년(견훤 1) 견훤(甄萱)에 의해 건국되어 936년(신검 1) 9월 고려태조 왕건(王建)에게 멸망당할 때까지 2대 45년간 존속하면서 신라·태봉·고려 등과 정립하였다. 신라는 하대에 이르러 귀족들의 사치와 부패 그리고 왕위계승전 등으로 혼란에 빠졌다. 더욱이 진성여왕의 실정과 계속되는 흉년 등으로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라의 중앙정부에서 조세를 독촉하자, 이에 대항해 전국적으로 반란이..

후삼국 2020.12.04

<펌> 궁예 - 나무위키

궁예 최근 수정 시각: 2020-11-30 23:08:26 분류 궁예 후삼국시대/인물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이 인물을 모티브한 드라마 태조 왕건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궁예(태조 왕건) 문서를, 인터넷 신조어에 대한 내용은 궁예질 문서를참조하십시오. 궁예 弓裔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의 궁예 벽화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존호 미륵불(彌勒佛)[1] 연호 무태(武泰: 904년 ~ 905년) 성책(聖冊: 905년 ~ 911년)[2] 수덕만세(水德萬歲: 911년 ~ 914년)[3] 정개(政開: 914년 ~ 918년)[4] 국적 신라 → 후고구려 성 김(金)[5] → 궁(弓)[6] / 고(高)[7] 휘 궁예(弓裔, 躬乂) / 예(裔) 법명 선종(善宗) 왕후 부인 강씨[8] 왕자 청광보살(靑光菩薩) 신광..

후삼국 2020.12.04

<펌> 궁예 - 위키백과

궁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성 칠장사 벽화에 그려진 궁예 지위 태봉의 초대 국왕 901년 ~ 918년 없음 없음 구진(905년~906년) 왕건(912년~913년) 헌안왕 혹은 경문왕 이름 선종(善宗) 미륵(彌勒) 무태(武泰), 성책(聖冊), 수덕만세(水德萬歲), 정개(政開) 신상정보 918년 7월 24일 헌안왕 혹은 경문왕 강비(康妃) 불교 궁예 弓裔재위 전임 후임 섭정 부왕 이칭 별호 연호 사망일 부친 배우자 종교 궁예(한국 한자: 弓裔, 869년? ~ 918년 7월 24일, 재위: 901년 7월 ~ 918년 7월 24일(음력 6월 14일))는 신라 시대 왕가 서족(王家 庶族) 출신의 승려이자, 태봉의 군주이다. 그는 신라 헌안왕 또는 경문왕과 후궁 사이에 ..

후삼국 2020.12.04

<펌> 궁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궁예(弓裔) 고대사인물 남북국시대 태봉국의 제1대(재위:901∼918) 왕. 궁예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파일선택 항목명이메일의견첨부파일 삼국사기 / 궁예 이칭선종(善宗)분야고대사유형인물성격왕성별남출생일?사망일918년 6월본관경주저작불교 경전 20여권경력장군, 국왕관련사건후고구려 건국시대고대-남북국-태봉성격왕성별남출생일?사망일918년 6월본관경주저작불교 경전 20여권경력장군, 국왕관련사건후고구려 건국 정의 남북국시대 태봉국의 제1대(재위:901∼918) 왕. 키워드 후고구려 마진 태봉 미륵신앙 신정적 전제주의 개설 901년 후삼국 중의 한 나라였던 후고구려(후에 마진(摩震), 태봉(泰封)으로 개명)를 건국하였다. 광평성(廣評省)을 비롯한 여러 관부를 두..

후삼국 2020.12.04

<펌>견훤 - 나무위키

견훤 최근 수정 시각: 2020-11-21 03:55:08 분류 867년 출생 936년 사망 후삼국시대/인물 아시아의 왕 한국의 군주 신라의 공작 폐위된 군주 문경시 출신 인물 전주 견씨 창업군주 피부질환으로 죽은 인물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 甄萱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존호 대왕(大王)[1] 연호 정개(正開)[2] 국적 신라 → 백제(百濟)[3] → 고려 성씨 견(진?)(甄)[4] 휘 훤(萱)[5] 아버지 아자개(阿慈蓋)[6] 출신지 신라(新羅) 상주(尙州) 가은현(加恩縣)[7] 사망지 고려(高麗) 웅천주 황산[8] 생몰연도 음력 867년 ~ 936년 9월 9일(68-69세) 재위기간 음력 892년[9] 또는 900년[10] ~ 935년 음력 3월 (약 35년 또는 약 43년) 1. 개요2. 생애 2..

후삼국 2020.12.04

<펌>견훤 - 위키백과

견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위 후백제의 초대 국왕 892년~935년 아자개 견신검 최승우(910년~912년) 견금강(932년) 견신검(935년) 이름 훤(萱) 진훤(眞萱) 정개 없음 없음 신상정보 867년 신라 사벌주 가은현 936년 9월 27일 음력 9월 9일 (향년 70세) 고려 웅천주 황산 덕은군 후백제 신라(新羅) 사벌주(沙伐州) 아자개 상원부인 왕후 박씨(王后 朴氏) 고비(古比) * 견신검 견양검 견용검 국대부인 견씨(견애복) 견금강 견능예 불교 견훤 甄萱재위 전임 후임 섭정 휘 이칭 연호 묘호 시호 출생일 출생지 사망일 사망지 능묘 왕조 가문 부친 모친 배우자 자녀 종교 견훤(甄萱, 867년 ~ 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 892..

후삼국 2020.12.04

<펌>견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견훤(甄萱) 고대사인물 남북국시대 후백제를 건국한 시조. 견훤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파일선택 항목명이메일의견첨부파일 논산 전 견훤 묘 정면 분야고대사유형인물성격시조성별남출생일867년(경문왕 7)사망일936년(고려 태조 19, 후백제 신검 2)시대고대-남북국성격시조성별남출생일867년(경문왕 7)사망일936년(고려 태조 19, 후백제 신검 2) 정의 남북국시대 후백제를 건국한 시조. 개설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였으나, 뒤에 견씨라 하였다. 아버지 아자개(阿慈介)는 상주 가은현(加恩縣)의 농민 출신으로 뒤에 장군이 되었다. 『이비가기(李碑家記)』에서는 진흥왕의 후손인 원선(元善)이 아자개라 하였는데 확인하기 어렵다. 어머니의 성씨는 확실하지 ..

후삼국 2020.12.04

당(唐)나라는 현 중공이 아닌 서아시아에 있었다

서론 본론 1. 당요의 당 지역 2. 당나귀의 분포지 3. 홍당무, 당근의 산지 4. 사자가 있던 당나라 5. 아랍과 당나라 6. 낙양과 장안의 위치 7. 황소의 난의 희생자 결론 서론 ​그동안 고구려, 신라, 백제를 연구하면서 '수(隋)', '당(唐)'에 대해 그 위치를 고심하여 왔다. 필자는 신라는 페르시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고, 백제는 비잔틴제국을 포함한 로마로 보고 있다. 고구려는 흑해 북쪽의 훈족세력, 스키타이 세력, 튀르크의 돌궐세력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런데 신라와 때로는 연합하고 때로는 경쟁하고 싸운 또한 어느 때는 동일체의 모습을 보이는 '당(唐)'나라의 위치에 대해 지속적인 의문을 품어 왔다. '당(唐)'의 위치가 알게 되면 '수(隋)'나라는 '당(唐)'과 동일한 위치라 판단할 ..

과거의 생각 2020.12.02

<펌> 당나귀, 그리고 당근과 채찍이야기

'당나귀', 그리고 '당근과 채찍' 이야기 구근류 / 푸른 채소를 먹자 2014. 5. 30. 10:07 https://blog.naver.com/lhy2842/220015085806 번역하기 '당나귀', 그리고 '당근과 채찍' 이야기 '당나귀'에 관한 이야기와 ‘ 당근과 채찍’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당근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한 번 살펴 보기로 하자. 당나귀는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처음 당나라로 부터 들어왔다고 일연의 삼국유사에 나와 있다. 당시는 당나라, 수나라, 한나라 등 중국의 나라들을 당라, 수라, 한라 라고 불렀다. 그래서 당라의 말도 아니고 무슨 귀신 같이 생겼다 하여 당라귀라 불리운 것이 두운법칙에 의해 당나귀가 된 것이다. 삼국유사를 살펴보면 『 당나라 사신이 '오낙'이라고 말과 비..

<펌>당나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당나귀 [ ass음성듣기 , 唐─ ] 이미지 크게보기 말과에 속하는 가축. 야생의 당나귀를 가축화한 동물로 수송 수단으로 이용되며, 속담, 해학담의 소재로 등장하고 성의 상징적 존재의 설화도 전한다. 동식물 동물, 말 Equus asinus 말과 유형성격학명생물학적 분류 목차 정의 내용 정의 말과에 속하는 가축. 내용 나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여(驢)라고 하며, 장이(長耳)·한려(漢驪)·위(衛) 등의 별명이 있다. 학명은 Equus asinus이다. 당나귀는 야생의 당나귀를 가축화한 동물로서, 대형과 중형의 두 종류가 있다. 대형인 경우 키가 140∼150㎝, 몸무게는 350∼450㎏에 이른다. 털빛은 회백색이 많으나 붉은색·갈색도 있다. 등에는 어깨에서 꼬리의 끝까지 짙은 줄이 나..

<펌> 당나귀 - 두산백과

두산백과 당나귀 [ Ass, Donkey ] 요약 기제목(奇蹄目) 말과의 포유류. 이미지 크게보기 암당나귀와 새끼망아지 Equus asinus 동물 척삭동물 포유류 기제목 말과 포아드당나귀 키 140∼150㎝ 포아드당나귀 350∼400㎏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유럽, 러시아, 미국 학명계문강목과크기무게분포지역 당나귀의 기원은 가축화된 것과 야생의 것 두 가지가 있는데, 야생의 것에는 아프리카 야생당나귀와 아시아 야생당나귀가 있다. 아프리카 야생당나귀는 아프리카 북동부에서 남부지방에 걸쳐 살고 있다. 몸의 크기는 큰 개 정도이며 좀더 큰 것도 있다. 힘은 세지만 성질은 소심하다. 아시아 야생당나귀는 시리아 ·아라비아·이란·티베트·몽골 등지에 살고 있다. 몸의 크기는 대체로 말과 당나귀의 중간 정도..

<펌>찬덕 ( - 612) - 나무위키

찬덕 최근 수정 시각: 2020-07-21 13:19:00 분류 생년 미상 612년 사망 신라의 인물 자살한 인물 직위 가잠성(椵岑城) 현령(縣令) 이름 찬덕(讚德) 아들 해론 사망지 가잠성(椵岑城) 생몰연도 ? ~ 612 1. 개요2. 생애3. 가잠성 전투와 죽음 1. 개요[편집] 삼국시대 신라의 정치인, 군인. 신라 상대 사회의 계율 세속오계 중 임전무퇴를 실천한 인물이다. 2. 생애[편집] 서라벌의 모량부 출신으로, 용맹과 절개를 갖추고 있어 당시에 유명했다고 한다. 진평왕에 의해 발탁되어 백제와의 국경에서 가까운 가잠성[1] 현령으로 부임했는데, 바로 다음 해인 611년 겨울 10월에 백제의 무왕이 대군을 일으켜 가점성을 공격했다. 3. 가잠성 전투와 죽음[편집] 진평왕은 상주(上州, 지금의 경상..

<펌> 우(하나라) - 위키

우 (하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 제우(帝禹, 기원전 2,070년경)는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국가인 하나라의 창시자이다. 아버지는 곤이며 곤의 아버지는 오제의 하나인 전욱이다. 따라서 우는 전욱의 손자이다. 또 전욱은 황제의 손자이므로 우는 황제의 고손자가 된다. 도산씨(塗山氏)의 딸에게 장가가 계라는 아들을 두었다. 우는 인덕을 가져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또 탁월한 정치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자랑하지 않았다. 아마도 전설적인 인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성인으로서 그려지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국내 이와 관련된 서적으로는 《中國 夏王朝에 대한 簡略한 理解》[1]등이 있다. 우의 치수사업 요의 시대에 우는 치수 사..

<펌> 제순 - 위키

제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순 유우씨(帝舜有虞氏)는 중국 신화 속 군주의 이름으로,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의 마지막 군주이다. 주로 선대의 요(堯)와 함께 이른바 '요순(堯舜)'이라 하여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진다. 현재까지 순의 역사적 실존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고, 다만 우왕과의 관계에서 하나라 이전에도 국가 비슷한 실체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사용된다. 목차 1 생애 2 관용 표현 3 선양 전설 4 출신 5 같이 보기 생애 순은 전욱 고양의 후손으로 성은 우(虞), 이름은 중화(重華)이고 우순(虞舜) 또는 제순유우(帝舜有虞)로도 부른다. 제왕의 후손이나 여러 대를 거치면서 지위가 낮은 서민이 되어 가난하게 살았다..

<펌> 제요 - 위키

제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요 제요 도당씨(帝堯陶唐氏)는 중국 신화 속 군주이다.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의 하나이다. 다음 대의 군주인 순(舜)과 함께 이른바 '요순'(堯舜)이라 하여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진다. 현재까지 요의 역사적 실존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고, 다만 우왕과의 관계에서 하나라 이전에도 국가 비슷한 실체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사용된다. 목차 1 치세 2 관용 표현 3 같이 보기 4 각주 치세 요는 제곡 고신의 아들로 이름은 방훈(放勳)[1][2]이고 당요(唐堯) 또는 제요도당(帝堯陶唐)으로도 부른다. 이는 요가 당(唐) 지방을 다스렸기 때문에 붙은 칭호이다. 요는 도당씨(陶唐氏)라고도 부르는데, 요..

고대사에서 '안(安)'지역은 흑해지역이다

다음블로그(blog.daum.net/lainfos)에 실린 다음 글 : '고대사에서 안지역은 어디인가?' 및 '한국 고대사에서 '안(安)'지역에 대한 소고(2)'에서 필자는 '안(安)'지역이 중앙아시아 또는 그 서쪽에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제 그 구체적인 지역을 말하고자 한다. 그동안 '안'지역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안국(安國)'과 '강국(康國)'이 중앙아시아의 소국으로 표시되는 지도를 월지국의 이동을 설명하는 중국사료의 자료를 보았었다. 그리고 소그디아와 관련이 있는 안록산에서 안국과 강국이 소그디아와 관련한 지역이라는 것을 중국사료가 주장하는 것을 보아 왔다. 그리고 중국 사료에서는 안세고의 안식국을 파르티마제국이라 했다. 그러나 필자가 추정하기로는 장수왕의 시호에 있는 '강국(康國)'..

과거의 생각 2020.10.31

자신들에게도 엄격한 정치인이 되자

상대방의 허물만 탓하는 미국 대선 후보자들의 TV토론을 보며 참 실망이 크다. 일국의 대표자인 대통령이 되려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국가 미래 설계를 발표하기 보다 상대방 헐뜻기에 몰두하니 무슨 미래가 있겠는가? 미국의 장래가 밝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그동안 코로나 19에 비교적 잘 대응한 한국에서도 정치는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야당의 태클 걸기가 무의식적 반사작용으로 나오는 것 같다. 소수의 야당이 하는 방법이라기에는 너무 막무가내식이다. 거대 여당의 기회이기도 하지만 인내심을 가지는 것인지 박력이 없는 것인지 힘쓰기가 두려운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러한 막무가내식 태클걸기도 자신들에게 엄격한 정치에서는 비난의 대상만 될 뿐이다. 민주투쟁도 아니고 정권욕만 있는 야당이 여당에게는 좋겠지만 국민들에게 희..

죽엽평론 2020.10.29

<펌>장건 - 나무위키

분류 한나라/인물 기원전 114년 사망 탐험가 시호 박망후(博望候) 이름 장건(張騫) 고향 한중(漢中) 생몰년도 기원전 ???년 ~ 기원전 114년 1. 소개2. 장건이 활동하던 시기의 정세3. 장건, 출발4. 고생길의 시작5. 대완(大宛)과 강거에서6. 월지와 대하에서7. 마침내 귀환8. 장건의 보고9. 지휘관으로서10. 사망11. 평가 1. 소개 중국 전한 시기의 군인이자, 여행가. 한무제의 명령에 따라서 그때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서역으로 떠나, 천신만고의 모험 끝에 수많은 국가를 탐방하고 정보를 가져와, 서역에 대한 중국의 이해를 크게 넓혔고,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문명의 접촉에도 크나큰 영향을 끼친 장본인. 이를 통해 비단길을 개척했다. 또한 그의 고난에 찬 여로를 따라가 보면 그가 진정한 근성..

한나라 2020.10.28

<펌>안동도호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고대사제도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가 고구려의 옛 땅에 설치한 최고 군정기관(軍政機關). 당나라는 태종·고종 연간에 국력이 융성해져 그 영역이 사방으로 확대됨에 따라 변경지대에 도호부를 두었다. 안동도호부는 안북(安北)·선우(單于)·안서(安西)·안남(安南)·북정(北庭) 도호부와 함께 6개의 도호부를 구성하였다. 분야고대사유형제도성격군정기관 시행시기668년 폐지시기758년 시행처 당나라시대 고대-삼국성격군정기관 시행시기668년 폐지시기758년 시행처당나라 정의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가 고구려의 옛 땅에 설치한 최고 군정기관(軍政機關).당나라는 태종·고종 연간에 국력이 융성해져 그 영역이 사방으로 확대됨에 따라 변경지대에 도호부를 두었다. 안동도호부는 안북(安北)·선우(單于)·안서(..

<펌>안서도호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고려시대사제도 고려시대의 지방행정기구. 분야고려시대사 유형제도 성격관청 시행시기995년(성종 14) 정의 고려시대의 지방행정기구. 키워드 풍주(豊州) 해주(海州) 내용 시기에 따라 소재지의 변동이 있다. 995년(성종 14)풍주(豊州)에 설치하였다가 이후 해주(海州)로 옮겼다. 『고려사(高麗史)』에서는 풍주에 설치된 도호부를 안서도호부라 하지 않지만 이 때 안동·안남·안북 도호부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풍주도호부가 안서도호부로 추정된다. 해주는 본래 고구려의 내미홀(內米忽)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폭지군(瀑池郡)으로 고쳤다가 고려 태조가 군의 남쪽이 바다에 임하여 있으므로, 해주라 하였다. 983년 12목의 하나였고, 995년 12주 절도사를 둘 때에는 우신책군(右神策軍)이라 하여, ..

고려 (918-1392) 2020.10.27

<펌>안북대도호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고려시대사제도 고려시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기구. 이칭안북부, 영주안북대도호부 분야고려시대사 유형제도성격관청시행시기고려시대시대고려성격관청시행시기고려시대 정의 고려시대에 설치되었던 지방행정기구. 키워드 지방행정기구 군사통치기구 북방이민족통치기구 개설 영주(寧州 : 지금의 평안남도 안주)에 설치하였다. 본래 고구려에서 설치한 팽원군(彭原郡)에서 계승된 것으로, 931년(태조 14) 안북부(安北府)란 명칭으로 설치되었다. 983년(성종 2) 영주안북대도호부(寧州安北大都護府)라 불렀고,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북대도호부라 불렀다. 내용 남방의 도호부가 지방민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된 것에 비해, 북방의 도호부는 새로 정복한 변경의 이민족을 통솔하기 위한 군사적 지방통치기구였다. ..

고려 (918-1392) 2020.10.27

<펌> 안남도호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고려시대사제도 고려시대의 지방행정기구. 분야고려시대사유형제도성격관청시행시기936년(태조 19)시대고려성격관청시행시기936년(태조 19) 정의 고려시대의 지방행정기구. 키워드 전주(全州) 고부(古阜) 영암군 수주(樹州) 내용 시기에 따라 소재지의 변동이 있다. 고려 태조가 936년(태조 19)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전주(全州)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한 것이 처음이다. 4년 뒤인 940년 다시 전주로 고쳤다. 951년(광종 2)에는 고부(古阜)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는데, 1019년(현종 10)에 다시 고부군으로 바꾸었다. 995년(성종 14)에 이와 함께 영암군에 낭주안남도호부(朗州安南都護府)를 두었는데, 이곳은 1018년에 다시 영암군으로 낮추었다. 1018년과 1019년에 고부에 설..

고려 (918-1392) 2020.10.27

<펌>제(齊)(춘추전국시대) (BC 11c - BC 221)-나무위키

분류 춘추전국시대/국가 후국 왕국 기원전 3세기 멸망 제 齊[1] 존속기간 서기전 11세기 ~ 서기전 221년 위치 중국 산둥 수도 임치 국성 강(姜) → 규(嬀)[2] 국가원수 후작 → 왕[3] 주요 군주 환공 강소백, 위왕 전인제 주요 재상 관중, 안영 언어 상고 중국어 문자 금문 → 전서 (대전체) 종교 중국 토속 종교[4] 종족 화하족 통화 도폐 성립 전 주나라 멸망 후 진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소개2. 문화3. 한국사와의 관련4. 춘추시대의 제나라(강제) 4.1. 유력 세경가 5. 전국시대의 제나라(전제)6. 초한쟁패기 시기의 제나라(후제)7. 역대 군주 7.1. 강제7.2. 전씨 종주(강씨 신하)7.3. 전제의 역대 군주7.4. 초한쟁패기 때 전제의 군주 1. 소개 중국의 서주 시대부터 존..

<펌> 송 (宋) (BC 11c - BC 286)-나무위키

춘추전국시대 춘추전국시대/국가 공국(공작) 왕국 기원전 3세기 멸망 송 宋[1] 존속기간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286년 위치 중국 허난 수도 상구(商丘) 국성 자(子)[2] 국가원수 공작 → 왕[3] 주요 군주 양공 자자보 언어 상고 중국어 문자 금문 → 전서 (대전체) 종교 중국 토속 종교 종족 상족(商族) 성립 이전 상나라, 주나라 멸망 이후 제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2. 역사 2.1. 춘추시대2.2. 전국시대 3. 지역드립4. 기타5. 역대 군주 1. 개요 중국의 서주시대부터 존재하던 국가. (기원전 1040년? ~ 기원전 286년) 은(殷)의 왕족이자 주왕의 이복형 미자계(微子啓)가 분봉받은 나라다. 수도는 상구(商丘)로, 지금의 하남성 상구현 남쪽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왕족이 쓰..

<펌> 진(晉)(춘추시대) (BC 11c - BC 349)-나무위키

춘추전국시대/국가 기원전 4세기 멸망 진 晉[1] 존속기간 서기전 11세기 ~ 서기전 349년 이칭 당(唐) 위치 중국 산서성 수도 당, 곡옥, 신강 국성 희(姬) 국가원수 후작 주요 군주 문공 희중이 언어 상고 중국어 문자 금문 → 전서 (대전체) 종교 중국 토속 종교[2] 종족 화하족 통화 포폐 성립 전 주나라 멸망 후 위나라 조나라 한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2. 역사3. 역대 군주 3.1. 진3.2. 익3.3. 곡옥3.4. 통일 이후 1. 개요 중국의 주나라 서주 시대부터 존재하던 제후국. 춘추오패의 하나다. 존속 기간은 서기전 11세기 ~ 서기전 349년. 삼진의 분열(서기전 403년) 전까지로 따지면 35대 598년. 현대 중국어 발음은 Jìn.[3] 흔히 말하는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의 ..

<펌> 초(楚) (BC 9c - BC 223) - 나무위키

분류 춘추전국시대/국가 기원전 3세기 멸망c 초 楚[1] ▲ 기원전 260년 초나라의 영토(녹색 지역) 존속기간 기원전 9세기 이전 ~ 기원전 223년[2] 별칭 형초(荊楚) 위치 후베이 성 등 남중국 일대 수도 영(郢)[3], 수춘 등 국성 미(芈)[4] 국가원수 왕[5] → (황제) 주요 군주 장왕 웅려 혜왕 웅장 주요 재상 오기 언어 초어[6], 상고 중국어 문자 금문 → 전서 (대전체) 종교 초나라 토속 종교[7] 종족 초족[8] 통화 영원(郢爰), 의비전(蟻鼻錢) 멸망 후 진(秦)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2. 역사 2.1. 춘추시대2.2. 전국시대2.3. 진승·오광의 난2.4. 초한쟁패기 3. 역사적 평가4. 역대 군주 1. 개요 중국 춘추시대에 남방에 있는 양쯔강 중류와 한수이강 일대 지..

<펌>제 (齊)(BC 11c - BC 221) - 나무위키

분류 춘추전국시대/국가 후국 왕국 기원전 3세기 멸망 제 齊[1] 존속기간 서기전 11세기 ~ 서기전 221년 위치 중국 산둥 수도 임치 국성 강(姜) → 규(嬀)[2] 국가원수 후작 → 왕[3] 주요 군주 환공 강소백, 위왕 전인제 주요 재상 관중, 안영 언어 상고 중국어 문자 금문 → 전서 (대전체) 종교 중국 토속 종교[4] 종족 화하족 통화 도폐 성립 전 주나라 멸망 후 진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소개2. 문화3. 한국사와의 관련4. 춘추시대의 제나라(강제) 4.1. 유력 세경가 5. 전국시대의 제나라(전제)6. 초한쟁패기 시기의 제나라(후제)7. 역대 군주 7.1. 강제7.2. 전씨 종주(강씨 신하)7.3. 전제의 역대 군주7.4. 초한쟁패기 때 전제의 군주 1. 소개 중국의 서주 시대부터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