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산상왕(197-22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산상왕(山上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0대(재위: 197~229) 왕. 이칭연우(延優), 이이모(伊夷模)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227년경력고구려 제10대 국왕(재위: 197∼227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0대(재위: 197~229) 왕. 키워드 신대왕(新大王) 우씨(于氏) 고국천왕(故國川王) 제나부(堤那部) 취수혼(娶嫂婚) 개설 이름은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위궁(位宮)이라고도 한다고 했으나 이는 산상왕(山上王)의 아들인 동천왕(東川王)의 일명이므로 잘못된 것으로 여겨진다. 신대왕(新大王)의 아들이며, 고국천왕(故國川王)의 동생이다. 고국천왕이 후사 없이 죽자 고국천왕의 왕비 우씨(于氏)를 비롯한 귀족 세력의 추..

<펌> 산상왕 (197-227)-나무위키

1. 개요2. 왕위 계승전 승리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고구려의 제10대 군주. 휘는 연우 혹은 이이모. 신대왕의 넷째 아들이다. 하지만 후술할 발기의 반란 사건 기록의 연대적 모순 때문에 실제로는 신대왕의 셋째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삼국사기 즉위 기록에는 산상왕은 태어날 때부터 눈 뜬 게 증조부 궁(태조왕)과 같아서 그 이름을 따 위궁이라 이름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진수의 정사 삼국지에는 이와 완전히 똑같은 기록이 동천왕과 관련된 내용에 기록되어있는데, 김부식이 정사 삼국지를 참고하다가 고국천왕이 누락되어 있는 것을 보고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고유기록에 끼워맞추다가 실수했다는 것이 정설. 2. 왕위 계승전 승리 등극한 신대왕의 아들 9대 10대 고국천왕(故國川王) 산상왕(山..

<펌> 고국천왕 (179-197)-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국천왕(故國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9대(재위:179~197) 왕. 이칭국양왕(國襄王), 국양왕(國壤王), 남무(男武)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97년경력고구려 제9대 국왕(재위: 179∼197년)관련사건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반란(190∼191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9대(재위:179~197) 왕. 키워드 제나부(提那部) 진대법(賑貸法) 을파소(乙巴素) 좌가려(左可慮) 어비류(於卑留) 개설 이름은 남무(男武)이며 국양왕(國襄王) 또는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신대왕(新大王)의 둘째아들이다. 176년(신대왕 12)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신대왕이 승하한 뒤 국인(國人)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내용 184년후한(後漢) 요동태수(遼東太守..

<펌> 고국천왕 (179-197)-나무위키

1. 소개2. 왕위 다툼3. 업적 3.1. 국방3.2. 진대법3.3. 부자 세습제 확립3.4. 정치 체제의 정교화 (부족 5부 체제의 5방위 개편) 4. 왕후 우씨5.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고구려의 제9대 군주. 휘는 남무. 태조대왕, 차대왕과의 관계가 미스테리한 신대왕의 차남이다. 장수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를 물려받아 18년간 재위했다. 천왕으로 끝나서 오해할 수 있는데, 천왕(天王)이 아니라 고국천원(故國川原) 근교에 묻어서 고국川왕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기록에 따르면 판단력이 좋고 힘이 아주 세서 큰 솥도 들었다고 하는데, 고구려에서는 이 큰 솥을 드는 사람을 장사로 여겼다. 체격도 커서 키가 무려 9척이었다고 하는데, 한나라 기준을 따라 1척을 23cm로 가정하면 신장이 2..

<펌>신대왕 (165-17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신대왕(新大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8대(재위: 165~179)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88년사망일179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8대(재위: 165~179) 왕. 개설 재위 165∼179. 이름은 백고(伯固) 또는 백구(伯句). 태조왕의 동생이라고도 하고, 태조왕의 아들 또는 차대왕의 아들이라는 이설도 있다. 영특하며 성품이 인자했다고 한다. 형인 차대왕이 신하와 백성들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자 장차 변란이 발생해 화가 자신에게까지 미칠까 두려워 산 속에 은둔해 있다가, 차대왕이 명림답부(明臨答夫)에게 살해된 뒤 좌보(左輔) 어지류(箊支留) 등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신대왕이 태조왕과 차대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것처럼 서술되어 있..

<펌> 신대왕 (165-179)-나무위키

1. 소개2. 쿠데타, 그리고 재위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크도다! 신대왕의 덕택이!" 大哉! 新大王之德澤也! 신대왕이 선정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사면령을 내리자 사람들이 외친 말. 고구려의 제8대 군주. 휘는 백고 혹은 백구.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관계에 대해선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그 탓인지 신대왕 역시 아버지에 대한 언급이 기록마다 다르게 등장한다. 《삼국사기》에는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동생으로, 범엽의 《후한서》에는 차대왕의 아들로, 진수의 《정사 삼국지》에는 태조대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정설은 없는 듯. 일단 한국의 백과사전 등에선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동생라는 설을 먼저 기술하고서 나머지 2개의 설도 같이 언급하는 편이다. 기록된 시기를 생각해보..

<펌>차대왕 (146-165, 121? -165)-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차대왕(次大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7대(재위:146~165) 왕. 이칭수성(遂成)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71년(태조왕 19)사망일165년(차대왕 20)경력왕관련사건후한(後漢)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의 고구려 침공 격퇴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7대(재위:146~165) 왕. 키워드 태조왕 명림답부(明臨答夫) 내용 재위기간은 146년(혹은 121년)부터 165년까지이며 이름은 수성(遂成)이다. 태조왕의 동생(『후한서(後漢書)』에는 아들로 전함이다. 용감하나 인자함이 적은 성품이었다. 121년(태조왕 69)에 후한(後漢)의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 등의 고구려침공을 격파하였고, 그 공으로 군사와 국정 전반에 관한 업무를 장악하였다. 이에 더욱 그 세력이 커져..

<펌> 차대왕 (146-165)-나무위키

1. 소개2. 의문의 가족 관계3. 생애 3.1. 왕자 시절3.2. 왕위를 이어 받다3.3. 폭정과 말로3.4. 의문점 4. 삼국사기 기록5. 대중 문화에서의 차대왕 1. 소개 “나는 너무 늙어 만기(萬機)에 귀찮음을 느낀다. 하늘의 역수가 네 몸에 있다. 게다가 넌 안으로는 국정에 참여하고 밖으로는 군사를 총괄하니 오랫동안 사직에 공을 쌓았다. 신민의 소망을 채웠으니 내가 부탁할 인물을 얻었다고 가히 이를 수 있다. 너로 하여금 즉위하게 하니, 영원히 영광을 누릴 것이다!” "吾旣老倦於萬機 天之曆數在汝躬 況汝內參國政 外摠軍事 久有社稷之功 允塞臣民之望 吾所付託 可謂得人 作汝其卽位 永孚于休!" 《삼국사기》에서 태조대왕이 아우 수성에게 전한 양위의 말. 이를 시작으로 완전히 수성의 시대가 열렸다. 고구려의 ..

<펌>태조왕 (53-146)-한국민족문화대백과

태조왕(太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이칭국조왕(國祖王), 태조대왕(太祖大王), 궁(宮), 어수(於漱)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47년(민중왕 4)사망일165년(차대왕 20)경력고구려 제6대 국왕(재위: 53∼146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키워드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 모본왕(慕本王) 동옥저(東沃沮) 갈사국(曷思國) 개설 국조왕(國祖王) 또는 태조대왕(太祖大王) 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궁(宮)이며, 아명은 어수(於漱)이다. 유리왕(瑠璃王)의 아들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와 부여(夫餘) 출신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면서부터 능히 볼 줄 알았고 어려서부터 영특하였다고 한다. 53년에 모본왕..

<펌>태조대왕 (53-146?)-나무위키

1. 소개 2. 이력 3. 정복 전쟁과 영역의 확정 4.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서 태조대왕의 나이와 관련된 문제 4.1. 실제 즉위는 77년 4.2. 실제 사망은 121년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 소개 고구려의 제6대 임금. 《삼국사기》에 '태조왕'이 아니라 '태조대왕(太祖大王)'으로 표기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 이렇게 대왕으로 표기된 임금은 제6대 태조대왕(太祖大王), 제7대 차대왕(次大王), 제8대 신대왕(新大王)의 세 명 뿐이다. 그 세 명의 명칭[9] 때문에 이 시기에만 '대왕'이라는 말이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지만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10][11] '태조'를 붙였다는 점에서 묘호와 얼추 비슷해 보이기도 하는데, 삼국사기에서 차대왕에게 양..

<펌>모본왕 (48-53)-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모본왕(慕本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53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개설 재위 48∼53. 일명 ‘막래(莫來)’이며, 이름은 『삼국사기』에는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해(解)’를 성으로 보아 ‘애류(愛留)’ 또는 ‘우(憂)’라 하였다. 제3대 왕인 대무신왕의 원자(元子)로 태어나 서기 32년(대문신왕 15) 12월에 태자로 책립되었으나 왕이 죽자 아직 태자가 어리다 하여 대무신왕의 동생인 민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뒤 민중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유사』에는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하였다. 모본왕은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