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상나라의 군주 목록-위키

상나라의 군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나라의 역대 국왕에서 넘어옴) 다음은 중국 고대 국가인 상나라의 역대 군주 목록이다. 상나라 왕의 선조 - 설(契) 자설(子契) - 소명(昭明) - 상토(相土) 자상토(子相土) - 창약(昌若) - 조(曹) - 명(冥) 자명(子冥) 고조(高祖) 왕해(王亥) 자해(子亥) - 왕항(王恒) 자항(子恒) - 상갑미(上甲微) 자미(子微) - 보을(報乙) - 보병(報丙) - 보정(報丁) - 시임(示壬) 기종(夔宗) 시계(示癸) 상나라 왕의 선조묘호 칭호 성명 상나라 역대 왕 1대 태조 (太祖) 태무왕 (太武王) 자리 (子履) 탕 (湯) 당, 대을 (唐, 大乙)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589년 2대 애왕 (哀王) 자승 (子勝) 외병 (外丙) 복병 (卜丙)..

<펌> 단군조선, 하멸망, 상건국에 깊이 간여

단군세기 : 13세 흘달단군이 하나라,은나라 교체기에 관여 是歲冬에 殷人이 伐夏한대 其主桀이 請援이어늘 帝以邑借末良으로 率九桓之師하사 以助戰事하신대 湯이 遣使謝罪어늘 乃命引還이러시니 桀이 違之하고 遣兵遮路하야 欲敗禁盟일새 遂與殷人으로 伐桀하시고 密遣臣智于亮하사 率畎軍하시고 合與樂浪하사 進據關中邠岐之地而居之하시고 設官制하시니라. [단군세기]. 13세 흘달단군 갑오 16년(B.C1767) 이 해 겨울에 은(殷)나라가 하(夏)나라를 정벌하니 하나라 걸왕(桀王)이 구원을 청하였다. 이에 단제께서 읍차인 말량으로 하여금 구환(九桓)의 군대를 이끌고 가서 싸움을 돕게 하니, 은나라 탕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였다. 이에 말량에게 어명을 내려 군사를 되돌리게 하였는데, 하나라 걸왕이 조약을 위반하고 병사를 보내 길을 ..

<펌>하나라 -나무위키

분류 국가(기원전) 중국 신화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오호십육국시대의 왕조: 북하(北夏) 수말당초의 왕조 두하(竇夏): 두건덕 서하(西夏) 동진(東眞)의 초기 국가명: 동하(東夏) 원말명초의 왕조 명하(明夏) 夏 1. 개요2. 실존한 나라였는가?3. 역대 국왕4. 그 외 1. 개요 중국의 문헌에 중국 최초의 왕조 국가로 기록된 나라. 황하 문명의 한 갈래이다. 전통적으로 중국 한족을 화하(華夏)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바로 이곳의 국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다만 문헌적・고고학적 근거가 미약해 실존한 나라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얼리터우 문화로 대표되는, 문헌 속 하나라 연대에 해당하는 청동기 문화를 하 문화로 부르기도 하나, 이를 지지하는 학자들 중에서도 하 문..

<펌>하나라 (BC 2146-BC1600)-위키

하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夏 하나라의 영역 양성 군주제 우, 계 걸 기원전 2070년경 기원전 2146년경 기원전 1600년경 고대 중국어 하수도정치정부 형태왕초대말대역사 • 성립 • 계 왕위에 오름 • 멸망인문공용어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선사 시대 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 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춘추 시대 기원전 771~기원전 453 전국 시대 기원전 453~기원전 221 고대 ~ 근대의 중국 진 기원전 221~기원전 2..

<펌> 상나라 (BC 1600? - BC 1046?) - 위키

상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商 은허 군주제 탕(초대) 제신(말대) 기원전 1600년(?) 기원전 1046년(?) 상고한어 갑골문 무속 신앙 중화인민공화국 상수도정치정부 형태왕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589년기원전 1075년 ~ 기원전 1046년역사 • 성립 • 멸망인문공용어공용문자종교주요 종교기타현재 국가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선사 시대 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 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춘추 시대 기원전 771~기원전 4..

<펌> 진(秦)(BC 9c - BC 206)(통일왕조)(BC221-BC206)-나무위키

1. 개요2. 상세 2.1. 통일 전2.2. 통일 과정2.3. 통일 후2.4. 분열과 멸망 3. 역대 군주4. 여담 1. 개요 중국의 서주 시대부터 존재하던 제후국. 전국시대의 7웅 중 하나이다. 현대 중국어 발음은 Qin(친).[6] 동주의 낙읍 천도 이후 중원이 여러 개의 제후국으로 갈라져있던 춘추전국시대를 종결시키고 중국을 통일한 나라로 중국 역사상 최초의 황제인 진시황으로 유명하다. 춘추 전국 시대의 전반기라고 할 수 있는 춘추시대에 공존했던 다른 춘추오패인 진나라나 훗날 중국을 재통일하는 진나라(晉)와는 다른 나라다. 중국 서부에 있던 나라로, 척박한 땅과 야만적인 국가란 이유로 무시당했지만[7] 꾸준히 무력으로 주변국을 강하게 압박하였으며, 진 시황에 이르러 중국을 통일하게 된다. 이후 만리장..

진나라 221-206BC 2020.09.18

<펌> 진(秦)(영성) -위키

진 (영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12월) 이 문서는 주로 전국 통일 이전의 진나라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진나라 전체에 대해서는 진나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영성 진씨(嬴姓秦氏)=>진시황제 시기 강성 여씨(姜姓呂氏)로 바뀜 백작(伯爵) 기원전 325년 칭왕(稱王) 기원전 221년 칭제(稱帝) 불명 진읍(秦邑) 견읍(汧邑) 평양(平陽) 옹(雍) 역양(櫟陽) 함양(咸陽) 효왕(孝王) 평왕(平王) 비자(非子)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07년 불명 진왕..

진나라 221-206BC 2020.09.18

<펌> 전한 고제 (BC 202-195, 출생BC 247)-위키

전한 고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위 전한의 초대 황제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 혜제 황태자 유영(기원전 196년 ~ 기원전 195년) 이름 태조(太祖) 고황제(高皇帝) 신상정보 진 사천군 패현 풍읍 중양리 전한 내사 장안현 장락궁 고황후 태조 고황제재위 후임 섭정 묘호 시호 출생지 사망지 배우자 한 태조 고황제 유방(漢 太祖 高皇帝 劉邦,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95년)은 전한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로, 자는 계(季)이다. 패현(沛縣)의 정장(亭長)[1]으로 있다가 진나라에 맞서는 봉기에 가담하고서 진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켰고, 한때는 관중(關中) 땅을 지배 아래 두었다. 항우에 의거해 기원전 206년 ..

한나라 2020.09.18

<펌> 항우 -위키

항우(項羽,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는 중국 진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초한전쟁 때 초나라의 군주로, 우는 자이며, 이름은 적(籍)이다. 초나라의 명장 항연(項燕)의 후손으로, 처음에는 숙부 항량을 따르며 진왕 자영을 폐위시켜 주살한 후로 서초 패왕(西楚 覇王)에 즉위함으로써 왕이 되었고, 초 의제를 섭정으로 도와 통치했으나, 그를 암살했다. 뒷날 유방의 도전으로 초한의 끝없는 싸움을 싸우다 패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의 죽음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 이후 문학의 소재로 활용되기 시작했고, 원나라 이후 희극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하였으며, 고려시대 이후의 문학에도 등장한다. 또한 무속의 신의 한 명으로도 숭배된다. 장기에서 초나라의 왕은 항우를 상징하는 기물이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1..

<펌> 소수림왕 (r 371-384, 337 born, 355 태자)-나무위키

1.소개2. 태자 시절3. 왕위에 오르다 3.1. 당시 국제 정세3.2. 내정 안정화3.3. 백제에 대한 반격 4. 평가5. 삼국사기 기록6.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1. 소개 고구려의 제17대 군주.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2] 백제의 고이왕, 신라의 법흥왕, 통일신라의 신문왕과 함께 나라의 기반을 단단히 마련한 개혁 군주 중 한 명이다. 그리고 이런저런 굵직한 업적 덕분에 국사 교육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며 그 때문에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능 응시생이나 공시생들에게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군주이기도 하다. 과장을 좀 보태면 이 임금을 빼놓고는 고구려의 정치사를 논할 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고국원왕 대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로 멸망 테크를 밟던 고구려를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