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유성현에 대한 자료

[re] 당나라 영주가 있던 수나라 유성군과 수나라 요서군 유성현은 다릅니다. 受心子 (2006-08-14 16:44) 공감1 조회3334 세줄 요약: 1. 수나라 요서군 유성현은 조양시다. 2. 수나라 유성군은 북위 영주자사 고보녕이 조양을 점거한 동안(576~583)에 수문제가 581년에 만리장성 부근 남영주의 건덕군에 설치한 것이다. 3. 당나라 영주는 조양시가 아니라, 수나라 유성군 위치에 세웠으니, 남영주 건덕군 위치로서 만리장성 부근이다. 이는 후한 때 후퇴된 요서군과 같은 곳이다. geos...// 님이 제시한 조양시 유적 대로 조양시가 유성현이었던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조양시가 [수나라 요서군 유성현]이었던 것은 맞는데, 당나라 영주가 설치되었던 [수나라 유성군]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분..

[스크랩] 압록강은 천하에 3대물중의 하나로 중국의 동쪽이 아니라 북쪽에 있었다/혼돈강이라 한다

http://db.itkc.or.kr/m/dir/view?gubun=book&itemId=BT&dataId=ITKC_BT_1370A_018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0%EB%9D%BC%EC%82%B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BD$solr_toalCount%E2%80%A03$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BT_1370A_0180_010_0020출처 : 대조선사 연구회글쓴이 : 러브선 원글보기메모 :

[스크랩] 약수는 대서양(서해)이다.

일성록 > 정조 > 정조 18년 갑인 > 10월 11일(을축)정언(正言) 최시순(崔時淳)이 상소하여 환곡의 폐단을 진달하고 실질적인 혜택을 시행하기를 청한 데 대해, 비답을 내렸다. 그러나 멀리 떨어져 있는 백성은 약수(弱水)처럼 멀 정도만이 아니기에 전전긍긍하며 내 마음 걷잡을 수가 없다. 우선 더욱 유념하겠다. 그대는 사직하지 말고 직임을 살피라.” 하였다. [주-D001] 약수(弱水) : 서해(西海)의 이칭(異稱)으로, 삼신산의 하나인 봉래산(蓬萊山)과는 3만 리나 떨어져 있어 지극히 먼 거리를 표현할 때 봉래약수(蓬萊弱水)라 하며, 서로의 거리가 매우 멀어서 만날 수 없는 경우를 약수지격(弱水之隔)이라 한다. 《書言故事 地理類》 약수는 비록 봉래산에서 30만리떨어져 있다고 했다지만, 한편으로는 봉..

[스크랩] 대서양 아조레스 제도는 포르투갈보다 조선이 먼저 발견했다.

대서양 아조레스 제도는 포르투갈보다 조선이 먼저 발견했다. 참 신기롭다. 북대서양에 포르투갈에 가까운 섬. 아조레스는 나중에 최초로 포르투갈이 발견했다고 하지만, 이미 포르투갈이 발견하기전 조선의 강리도에 기록되었다. 이것은 조선인이 포르투갈인보다 이미 아조레스 제도를 발견하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아조레스 제도 전경 멘지스가 지은 1421에서 351p에 보면, " 포르투갈인들이 그 섬을 발견하기 전에 제작된 조선의 강리도에 아조레스 제도가 나타난다는 사실은, 코르보 섬의 기사가 중국인의 조각상, 심지어 '기마 황제 영락제'의 조각상일 수도 있슴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확증이 되었다. 그 군도는 저명한 역사가인 알 이드리시(Al Idrisi, 1099~1166)와 이븐 할둔(Ibn Khaldun, 1332~1..

조선 (1392-1910) 2018.12.12

[스크랩] 조선 평안도의 장성은 속칭 만리장성(萬里長城)이었다.

조선 평안도의 장성(長城) 은 속칭 만리장성(萬里長城)이었다. 고전번역총서 > 신증동국여지승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3권 > 평안도(平安道) > 의주목(義州牧) 【고적】 장성(長城) 고려 덕종 2년에 평장사(平章事) 유소에게 명하여 북쪽 변경의 관방(關防)을 창설하였는데, 주의 서쪽 바닷가에 있는 옛 국내성의 경계로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 위원(威遠)ㆍ흥화(興化)ㆍ정주(靜州)ㆍ영해(寧海)ㆍ영덕(寧德)ㆍ영삭(寧朔)ㆍ운주(雲州)ㆍ안수(安水)ㆍ청색(淸塞)ㆍ평로(平虜)ㆍ영원(寧遠)ㆍ정융(定戎)ㆍ맹주(孟州)ㆍ삭주(朔州) 등 14성에 걸치고, 요덕(耀德)ㆍ정변(靜邊)ㆍ화주(和州) 등 3성에 다달아 동쪽으로 바다에 가까이 붙었다. 연무(延袤 연은 동서, 무는 남북, 즉 넓이, 넓음, ..

고려 (918-1392) 2018.12.12

[스크랩] 거란.발해.신라 .하자르 왕국,황룡사9층탑

거란.발해.신라 .하자르 왕국,황룡사9층탑 자료의 출처: 출처 :최신 영화 예고편 & 스타사주 원문보기▶ 글쓴이 : 케도 // Empire of the white Huns (350-550) 화이트 훈족 제국-에프탈족 아틸라 훈제국 (Attila Huns Empire 370~469 ) 0370-00-00 훈족의 대이동(북돌귈) →루마니아 근처 드네프르강(Dnepr River) 0374-00-00 훈족-돈강을 넘어 동고트를 정복하고, 이어 드네스트르강을 건너 서고트를 압박하였다 0375-00-00 훈족-흑해 북안의 동고트족을 무찔러 그 대부분을 지배하에 0375-00-00 훈족-두고, 이어서 다뉴브강 하류의 서(西)고트족에 육박 0375-00-00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작▶갈리아.프랑스.튀니지.이탈리아.크림반..

발해 (698-926) 2018.12.12

[스크랩] `금단의나라,조선` 에 실린 조선의 모습들

금단의나라(Forbidden land 오페르트,1880)에 실린 조선의 모습들입니다 전형적인 코카서스 인종의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미간부터 우뚝선 선이길고 오똑한 코, 쌍꺼풀 진 눈과 움푹 들어간 안중, 이런 모습이 조선시대 갓을 쓰고 있는 조선인의 모습(상인,merchant ) 이라고합니다. 동아시아인의 특징인 미간이 꺼져있고 낮고 뭉툭한 코, 튀어나온 눈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조선에는 코카서스 인종과 몽골족이 뒤섞여 살아던것 같습니다. 관리의 집무실 강화도에 정박한 기선 "엠페로호" 양반계층의 무덤이 독특합니다. 반도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닭벼슬산, 터키의 카파도키아 지방에 있는 기암절벽의 모습과 유사합니다 강화도 출처 : 아시아=조선 글쓴이 : 이호근 원글보기 메모 :

조선 (1392-1910) 2018.12.12

[스크랩] 부여의 기원!

부여는 어디에서 왔는가? 일반적으로 부여는 한나라 고조 유방의 건국을 도운 강성한 나라 그리고 고구려와 백제의 어버이 나라 그리고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나라로만 알고있으나 이글을 통해 상상을 뛰어넘는 부여의 유래와 위치에 대해서 확인하기 바랍니다. 에 에 의하면 고조선 후기 정권 교체는 색불루단군때 이루어졌으며 이 왕조가 부여계츨일 가능성이 매우높다.(운영자) 【부여에 대한 기록 】 ◆{《魏略》曰: 其國殷富, 自先世以來, 未嘗破壞.} 其印文言[之印], 國有故城名, 蓋本之地, 而王其中, 自謂[亡人], 抑有(似)[以]也.{《魏略》曰:舊志又言, 昔北方有之國者, 其王者侍婢有身, 王欲殺之, 婢云:[有氣如?子來下, 我故有身.] 後生子, 王捐之於 中, 以喙噓之, 徙至馬閑, 馬以氣噓之, 不死. 王疑以爲天子也, 乃令其母..

부여 2018.09.11

[스크랩] 놀라운 대조선사의 비밀 1000가지 <38~40>

놀라운 대조선사의 비밀 1000가지 [나전칠기는 대조선고유의 문화] 38. 나전칠기 나전단화금수문경은 대륙신라의 유물이다 국보이름: 나전단화금수문경 [螺鈿團花禽獸文鏡], 국보 140호 1. 지정일: 1971.12.21 2. 분 류: 장신구 3. 소재지: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4. 시 대: 시대미상(8~10세기경)(신라~고려초) 5. 출토지: 가야지역? 6. 크기:지름 18.6㎝, 두께 0.6㎝이다. 7. 특징 : 나전기법으로 만든 거울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으로 가장 오래된 나전 공예품으로 정해졌고, 그것은 일본 정창원에 보 관되어 있다. 거울 뒷면 가장자리에는 둥글게 구슬모양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작은 꽃모양들이 있고, 꽃잎 안에는 호박을 박아 놓았다. 뒷면 전체에 화려한 모란문을 장식하고 좌우에 ..

조선 (1392-1910) 2017.09.02

Lake Tahoe

California 수도인 Sacramento와 가까이 있는 lake Tahoe가 있다. San Francisco에서도 멀지 않다. 왜 이름을 Tahoe ('타호'라고 발음한다)라 했을까? 혹시 큰 호수의 의미인 태호가 아닐까? 클 태 자와 호수 호자인 것이다. 아메리카에 우리 조상들의 발자취가 많다고 한다. 어떤 이는 동국 조선이 이곳이라는 말도 하고, 어떤 이는 조선반도가 아메리카 땅이라고도 한다. 요수가 베링해에 있었다는 주장도 한다. 그러나 나는 조선의 본체가 아메리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단지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많은 지방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Native American 중에 체로키 민족이 있다. 그들은 한국어와 같은 많은 어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과거에는 그들이 Native A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