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Danes족 조상문화 지역의 유전자 지역은 고조선의 영역인가?
필자의 지난 글, "Danes족의 유전자 분포지역은 고조선 영역인가?(I)"(아래 글 참조) 에 이어 이들의 조상문화지역에서는 고조선의 영역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고자 한다.
https://paulcgpark.tistory.com/101
VI. Corded Ware Culture (BC 3000 - BC 2350)
Odin의 이동 지역 중 북유럽에 도착하기 전에 지나친 지역인 서러시아지역, 핀란드, 발틱 3국, 중부유럽 등의 지역은 Corded Ware Culture 지역이다. BC 3000-BC 2350 기간의 문화로 신석기 말기에서 구리시기를 거쳐 초기 청동기에 이르는 문화이다. 그리고 흑해 위의 Yamnaya culture의 영향을 받았다 한다. 그리고 인도유럽어 전파의 주요 축이 되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The Corded Ware culture comprises a broad archaeological horizon of Europe between c. 3000 BC – 2350 BC, thus from the late Neolithic, through the Copper Age, and ending in the early Bronze Age.[2] Corded Ware culture encompassed a vast area, from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Yamnaya culture and the Corded Ware culture in south Central Europe, to the Rhine on the west and the Volga in the east, occupying parts of Northern Europe, Central Europe and Eastern Europe.[2][3] Early autosomal genetic studies suggested that the Corded Ware culture originated from the westward migration of Yamnaya-related people from the steppe-forest zone into the territory of late Neolithic European cultures;[4][5][6] however, paternal DNA evidence fails to support this hypothesis, and it is now proposed that the Corded Ware culture evolved in parallel with (although under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Yamnaya, with no evidence of direct male-line descent between them.[7]
The Corded Ware culture is considered to be a likely vector for the spread of man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and Asia.[1][8][9][10]
(source : Corded Ware Cultu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Influences of Yamnaya culture to Corded Ware Culture (source : Wikipedia)
Corded Ware groups (CW, ) and distribution of archaeological cultures in Europe and Caucasus before and after 3000 BC.[12]
Corded Ware encompassed most of continental northern Europe from the Rhine on the west to the Volga in the east, including most of modern-day Germany, the Netherlands, Denmark, Poland, Lithuania, Latvia, Estonia, Belarus, Czech Republic, Austria, Hungary, Slovakia, Switzerland, northwestern Romania, northern Ukraine, and the European part of Russia, as well as coast al Norway and the southern portions of Sweden and Finland.[2] In the Late Eneolithic/Early Bronze Age, it encompassed the territory of nearly the entire Balkan Peninsula, where Corded Ware mixed with other steppe elements.[13]
(source : Corded Ware Cultu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라인강에서 볼가강에 이르는 대부분의 중부유럽, 동부유럽, 북부유럽과, 서부러시아, 우크라이나까지 포함한 이 문화권은, 초기 청동기시대에는 전지역의 발칸반도까지 포함했다 한다. (상기 자료 참조)
VII. Comb Ceramic Culture (=CCC)(BC 4200 - BC 2000)
Corded Ware Culture의 이전 문명은 Comb Ceramic Culture (빗살무늬토기문명)으로서 BC 4200-BC 2000기간인데, 주로 핀란드, 에스토니아, 서부러시아지역에 해당한다. EHG(동부수렵인그룹)에 해당하는데, 농업의 흔적도 있다.
The Comb Ceramic culture or Pit-Comb Ware culture, often abbreviated as CCC or PCW, was a northeast European culture characterised by its Pit–Comb Ware. It existed from around 4200 BCE to around 2000 BCE.[1] The bearers of the Comb Ceramic culture are thought to have still mostly followed the Mesolithic hunter-gatherer (Eastern Hunter-Gatherer) lifestyle, with traces of early agriculture.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of the artifacts found includes Finnmark (Norway) in the north, the Kalix River (Sweden) and the Gulf of Bothnia (Finland) in the west and the Vistula River (Poland) in the south. It would include the Narva culture of Estonia and the Sperrings culture in Finland, among others. They are thought to have been essentially hunter-gatherers, though e.g. the Narva culture in Estonia shows some evidence of agriculture. Some of this region was absorbed by the later Corded Ware horizon..............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는 곳은, 북으로는 노르웨이의 Finnmark, 서쪽으로는 스웨덴의 Kalix강과 핀란드의 Bothnia만, 그리고 남으로는 폴란드의 비스툴라강이다. 에스토니아의 Narva culture와 핀란드의 Sperrings culture도 포함된다. 이곳들은 모두 수렵그룹지역이나, 에스토니아의 Narva culture는 농업의 증거를 보여 준다. 이러한 지역의 일부는 후에 Corded Ware 지역에 흡수된다. (상기 자료 참조)
The Pit–Comb Ware culture is one of the few exceptions to the rule that pottery and farming coexist in Europe. In the Near East farming appeared before pottery, then when farming spread into Europe from the Near East, pottery-making came with it. However, in Asia, where the oldest pottery has been found, pottery was made long before farming. It appears that the Comb Ceramic Culture reflects influences from Siberia and distant China.[2] ...............
CCC는 유럽에서 도자기와 농업이 동시에 존재하는 원칙의 몇몇 예외중의 하나이다. 근동지방에서는 농업이 도자기에 앞서 나타났다. 그러나 근동지방에서 유럽으로 농업이 전파될 때, 도자기 제조도 같이 들어 왔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도자기가 발견된 아시아에서는 도자기가 농업 훨씬 이전에 만들어졌다. 아시아에는 보다 오래 전에 이러한 토기가 발견되었으므로, 시베리아, 지나아시아에서 영향을 받은 (이동해 온) 문명이 아닌가 한다. (상기 자료 참조)
Language
In earlier times, it was often suggested that the spread of the Comb Ware people was correlated with the diffusion of the Uralic languages, and thus an early Uralic language would have been spoken throughout this culture.[6] It was also suggested that bearers of this culture likely spoke Finno-Ugric languages.[7]
Another view is that the Comb Ware people may have spoken Palaeo-European languages, as some toponyms and hydronyms also indicate a non-Uralic, non-Indo-European language at work in some areas. In addition, modern scholars have located the Proto-Uralic homeland east of the Volga, if not even beyond the Urals. The great westward dispersal of the Uralic languages is suggested to have happened long after the demise of the Comb Ceramic culture, perhaps in the 1st millennium BC.[6]
초기 우랄어와 피노-위그르언어의 사용지역이고, 범우랄어의 원천지역은 볼가강 우측으로 여겨지며, 서쪽으로의 우랄어의 전파는 이보다 훨씬 후인 BC first millennium에 이루어진 것으로 말해진다. (상기 자료 참조)
Genetics
Saag et al. (2017) analyzed three CCC individuals buried at Kudruküla as belonging to Y-hg R1a5-YP1272 (R1a1b~ after ISOGG 2020), along with three mtDNA samples of mt-hg U5b1d1, U4a and U2e1.[1]
Mittnik (2018) analyzed two CCC individuals. The male carried R1 (2021: R1b-M343) and U4d2, while the female carried U5a1d2b. Generally, the CCC individuals were mostly of Eastern Hunter-Gatherer (EHG) descent, with even more EHG than people of the Narva culture.[8]
2017-2018년 연구에 의하면, 남자 유전자는 R1a, R1b가 모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CCC사람들은 대부분 동부수렵인그룹(EHG)후손인데, Narva culture 부족보다 더 EHG인자가 많다. (상기 자료 참조)
Lamnidis et al. (2018) found 15% Western Hunter-Gatherer (WHG) ancestry, 65% Eastern Hunter-Gatherer (EHG) - higher than among earlier cultures of the eastern Baltic, and 20% Western Steppe Herder (WSH).[9]
Lamnidis(2018)연구에서는 15%의 WHG 혈통, 65%의 EHG혈통 (동부 발틱의 다른 이전 문화보다 높음), 그리고 20%의 서부초원유목민 혈통(WSH)이 나타난다. (상기 자료 참조)
(source : Comb Ceramic Cultu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VIII. Comb Ceramic Culture(CCC) 유전자 지역
아시아에서 이동해 온 문명일 수 있는 Comb Ceramic Culture는 유전자 R1a(male)와 유전자 U(female)가 주도적인 문화이다.
1) Haplogroup R1a (Male) 분포지역
유전자 R1a 또는 유전자 R-M420은 Y 염색체 유전자로 스칸디나비아, 중부유럽에서 중앙아시아, 남부 시베리아, 그리고 남아시아에 퍼져 있다. 유전자 연구에 의하면, R1a유전자는 25,000년전에 시작했고, 5,800년전에 하부그룹인 M417로 다변화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Haplogroup R1a, or haplogroup R-M420, is a human Y-chromosome DNA haplogroup which is distributed in a large region in Eurasia, extending from Scandinavia and Central Europe to Central Asia, southern Siberia and South Asia.[3][2]
While one genetic study indicates that R1a originated 25,000[2] years ago, its subclade M417 (R1a1a1) diversified c. 5,800 years ago.[4] The place of origin of the subclade plays a role in the debate about the origins of Proto-Indo-Europeans...
(source : Haplogroup R1a,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R1a origins (Underhill 2009;[3] R1a1a origins (Pamjav et al. 2012); possible migration R1a to Baltic coast; and R1a1a oldest expansion and highest frequency (Underhill et al. 2014)
Map showing frequency of R1a haplogroup in Europe (source: Wikipedia)
R1b가 서유럽에 높은 빈도를 보이는 반면, R1a는 북유럽과 중유럽, 동유럽, 서부러시아, 인도 등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앙 시베리아(고대북유라시아, ANE지역), 천산산맥 서쪽에 50%이상의 밀집지역이 있다. (위와 아래 지도 참조)
Map of Haplogroup R1a (source : Wikipedia)
Distribution of R1a (purple) and R1b (red) (source : Wikipedia)
2) CCC 유전자 Haplogroup U (Female, mtDNA) 분포지역
Comb Ceramic Culture의 주도적인 미토콘드리아 mtDNA유전자 U로 보면, 북아프리카지역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상기 남성의 R1a유전자와 다른 면이다. 하부 유전자는 북유럽, 동유럽, 중부유럽, 서아시아, 남아시아, 그리고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카나리제도 등에 널리 퍼져 있다. (아래 자료 참조) 이러한 면은 Corded Ware Culture의 남성 유전자 R1b와 유사하다.
Haplogroup U is a human mitochondrial DNA haplogroup (mtDNA). The clade arose from haplogroup R, likely during the early Upper Paleolithic. Its various subclades (labelled U1–U9, diverging over the course of the Upper Paleolithic) are found widely distributed across Northern and Eastern Europe, Central, Western and South Asia, as well as North Africa, the Horn of Africa, and the Canary Islands.............
In a 2013 study, all but one of the ancient modern human sequences from Europe belonged to maternal haplogroup U, thus confirming previous findings that haplogroup U was the dominant type of Mitochondrial DNA (mtDNA) in Europe before the spread of agriculture into Europe from the Near East.[14]
Haplogroup U는 U1에서 U9까지의 하부유전자가 있다. 유전자 K는 유전자 U8의 하부유전자이다. 서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남아시아에 걸쳐 하부 유전자의 후손들이 분포되어 있다. (아래 자료 참조)
Haplogroup U has various subclades numbered U1 to U9. Haplogroup K is a subclade of U8.[15] The old age has led to a wide distribution of the descendant subgroups across Western Eurasia, North Africa, and South Asia. Some subclades of haplogroup U have a more specific geographic range........
유전자 U2는 중남부 유럽 러시아의 Kostyonki에서 37,000-30,000년된 수렵인 유골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Kromsdorf 독일의 신석기말기 Beaker culture지역에서 4800-4000년된 유골, 그리고 덴마크남부 Bogebjerggard의 2천년된 유골에서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유전자 U2는 현대의 스칸디나비안에서는 매우 드물다. 2천년된 서유라시아 남자 유골(유전자 U2e1)이 몽고 북동지방의 흉노 묘지에서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Haplogroup U2 has been found in the remains of a 37,000[78] and 30,000-year-old hunter-gatherer from the Kostyonki, Voronezh Oblast in Central-South European Russia.,[79] in 4800 to 4000-year-old human remains from a Beaker culture site of the Late Neolithic in Kromsdorf Germany,[80] and in 2,000-year-old human remains from Bøgebjerggård in Southern Denmark. However, haplogroup U2 is rare in present-day Scandinavians.[81] The remains of a 2,000-year-old West Eurasian male of haplogroup U2e1 was found in the Xiongnu Cemetery of Northeast Mongolia.[82]
...........
유전자 U3는 유럽, 근동, 코카서스지역과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거의 전 유럽에 퍼져있는 U3a1은 4천년내지 7천년전의 것으로, 비교적 최근(말기 홀로센 시기 또는 그 이후)에 유럽에 퍼진 유전자이다. (아래 자료 참조)
Haplogroup U3 falls into two subclades:: U3a[83] and U3b.[83]
Coalescence age for U3a is estimated as 18,000 to 26,000-years-ago while the coalescence age for U3b is estimated as 18,000 to 24,000-years-ago. U3a is found in Europe, the Near East, the Caucasus and North Africa. The almost-entirely European distributed subclade, U3a1, dated at 4000 to 7000-years-ago, suggests a relatively recent (late Holocene or later) expansion of these lineages in Europe....
(source : Haplogroup U,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3) 유전자 U8의 Subclade Haplogroup K 분포지역
유전자 K (전의 유전자 UK)는 여성 유전자인데, 유전자 U8의 하부 유전자이다.
Haplogroup K, formerly Haplogroup UK, is a human mitochondrial DNA (mtDNA) haplogroup. It is defined by the HVR1 mutations 16224C and 16311C. It is now known that K is a subclade of U8.[3]
Origin
Haplogroup K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in the mid-Upper Paleolithic, between about 30,000 and 22,000 years ago. It is the most common subclade of haplogroup U8b.[4]
유전자 K는 초중기 구석기시대, 30,000 - 22,000년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자 U8b의 가장 흔한 하부 유전자이다. (상기 자료 참조)
Frequency distribution map for mtDNA K (source : Wikipedia)
유전자 U8의 하부유전자 K의 분포도를 보면, 중부유럽, 북유럽, 남유럽,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서아시아에 나타난다. 유럽과 근동지방의 6%만 발견되는데, 프랑스의 Morbihan(17.5%), Perigord-리무진지역은 15.3%, 노르웨이와 불가리아에서는 13.3%, 벨지움 12.5%, 조지아 11%, 오스트리아와 영국은 10% 비중으로 높게 나타난다. (아래 자료 참조)
Haplogroup K appears in Central Europe, Southern Europe, Northern Europe, North Africa, the Horn of Africa, South Asia and West Asia and in populations with such an ancestry. Overall the mtDNA haplogroup K is found in about 6% of the population of Europe and the Near East, but it is more common in certain populations.
In Europe, K appears to be most common in the Morbihan (17.5%) and Périgord-Limousin (15.3%) regions of France, and in Norway and Bulgaria (13.3%).[5] The level is 12.5% in Belgium, 11% in Georgia and 10% in Austria and Great Britain.[6]
유럽인사이에 특별한 유전자 K의 하부유전자는 핀란드의 K1a1b2b, 사르디니아의 K1a3a1, 항가리의 K1a19, 그리스의 K1b1ba,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폴란드의 k1b1c, 아일란드, 독일, 항가리의 K1c2, 사르디니아의 K2a9a이다. 2013년 연구에 의하면, K1a1b1a, K1a9, K2a2a1는 서유럽에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아래 자료 참조)
Some specific subclades of K among Europeans are K1a1b2b in Finland,[7] K1a3a1 in Sardinia,[8] K1a19 in Hungary,[9] K1b1b1a in Greeks,[10] K1b1c in Serbia,[11] Slovakia,[12] and Poland,[13] K1c2 in Irish[14] and Germans[15] and in Hungary,[16] and K2a9a in Sardinia.[17] A 2013 study had suggested that K1a1b1a, K1a9, and K2a2a1 could have originated from Western Europe.[18]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요르단 등에서는 16%가 K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팔레스타인의 8%에서 나타나고, 쿠르디스탄의 17%가 K 유전자이다. (아래 자료 참조)
Approximately 16% of the Druze of Syria, Lebanon, Israel, and Jordan, belong to haplogroup K.[19] Examples of Druze branches of K are K1a5a[20] and K1a17a.[21] It is also found among 8% of Palestinians.[22] Additionally, K reaches a level of 17% in Kurdistan.[6]
Approximately 32% of people with Ashkenazi Jewish ancestry are in haplogroup K, with about 21% in K1a1b1a alone. This high percentage points to a genetic bottleneck occurring around the years 800-1000[23] under which K1a1b1a was particularly affected since K1a1b1a carriers' proportions of founder alleles and pathogenic variants were higher than in carriers of other haplogroups, and the K1a1b1a carriers had longer total lengths for runs of homozygosity compared to carriers of other haplogroups.[24] Ashkenazi mtDNA K clusters into six subclades: K1a1b1*, K1a1b1a, K1a4a, K1a9, K2a*, and K2a2a1.[25]
Haplogroup K is also found among Gurage (10%),[22] Syrians (9.1%),[22] Afar (6.3%),[22] Zenata Berbers (4.11%),[26] Reguibate Sahrawi (3.70%),[26] Oromo (3.3%),[22] Iraqis (2.4%),[22] Saudis (0%-10.5%),[22] Yemenis (0%-9.8%),[22] and Algerians (0%-4.3%).[26]
Derenko et al. (2007) found haplogroup K in many samples of Iranic, Turkic, Mongolic, and Tungusic peoples of central Eurasia, including 6.8% (3/44) of a sample of Tajiks, 6.7% (6/90) of a sample of Altai Kizhi, 3.7% (3/82) of a sample of Persians, 2.7% (2/73) of a sample of West Evenks from the Krasnoyarsk region, 2.7% (3/110) of a sample of Kalmyks, 2.1% (1/47) of a sample of Mongolians, 2.0% (2/99) of a sample of Khamnigans, 1.9% (1/53) of a sample of Teleuts, 1.4% (4/295) of a sample of Buryats, and 1.2% (1/82) of a sample of Shors.[27] Min-Sheng Peng et al. found haplogroup K1 in 10.3% (7/68) of a sample of Kyrgyz from Taxkorgan, 7.6% (5/66) of a sample of Wakhi from Taxkorgan, 5.8% (5/86) of a sample of Sarikoli from Taxkorgan, 3.7% (1/27) of a sample of Uyghur from Artux, and 2.0% (1/50) of a sample of Pamiri from Gorno-Badakhshan. In eastern China, mtDNA haplogroup K has been found in 1.3% (1/149 K1a13, 1/149 K2a5) of a sample of Barga Mongols in Hulunbuir[28] and in 0.9% of a sample of Beijing Han.[29]
IX. Dnieper - Donets Culture Complex (=DDCC)(BC 5000- BC 4200)
드네프로-도네츠문화집단은 흑해위의 지역으로 기원전 5000-4200 기간의 문화이다. 비스툴라강 상류에서부터 드네프로강 하류 그리고 볼가강 중하류까지 퍼진 문화이다. 이 문화와 Sredny Stog culture가 Funnelbeaker culture에 영향을 주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The Dnieper–Donets culture complex (DDCC) (ca. 5th—4th millennium BC) was a Mesolithic and later Neolithic culture which flourished north of the Black Sea ca. 5000-4200 BC. It has many parallels with the Samara culture, and was succeeded by the Sredny Stog culture.[2] ,,,,,,,,,,,
There are parallels with the contemporaneous Samara culture to the north.[7][8] Striking similarities with the Khvalynsk culture and the Sredny Stog culture have also been detected.[7] A much larger horizon from the upper Vistula to the lower half of Dnieper to the mid-to-lower Volga has therefore been drawn.[9]
Influences from the DDCC and the Sredny Stog culture on the Funnelbeaker culture have been suggested.[10] An origin of the Funnelbeaker culture from the Dnieper–Donets culture has been suggested, but this is very controversial.[10]
이 문화와 유사한 시기의 신석기 시기(BC 4500-4000 BC)에 유럽에서 여러 문화가 존재했다 (아래 지도 참조)
European Neolithic cultures in c. 4500–4000 BC, showing the Dnieper-Donets culture in orange. (source : Wikipedia)
Economy
이들은 수렵문화라서 사냥과 어업이 주요 수단이다. 이 문화 사람들이 사냥하여 먹은 음식물에는 aurochs(야생 소), elk(엘크), red deer(사슴), roe(노루), wild boar, fox(여우), wildcat, hare(토끼), bear (곰) and onager (야생 당나귀) 등이 있다. 고기, 생선, 너트 등의 고단백질 식성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Dnieper–Donets culture was originally a hunter-gatherer culture. The economic evidence from the earliest stages is almost exclusively from hunting and fishing.[6] Among the sources of food hunted and foraged by the Dnieper-Donets people were aurochs, elk, red deer, roe, wild boar, fox, wildcat, hare, bear and onager.[6] Their diet was primarily high protein, with meat, fish and nuts being consumed.[9]
약 기원전 5200년부터, 소, 양, 염소 등의 가축을 길렀다. 돼지, 말, 개 등의 가축도 있었다. 기원전 4700-4600 기간에는 볼가 우랄지역으로 동진했다. 기원전 4200년부터는 농업을 경작했다. 수수, 밀, 완두콩 등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수수는 청동기에 이르러서 서유라시아에 나타난다. 채소(plants)도 섭취된 것으로 나타난다. 코카서스지역과의 교역이 있음이 나타난다. (아래 자료 참조)
From around 5200 BC, the Dnieper-Donets people began keeping cattle, sheep and goats.[3] Other domestic animals kept included pigs, horses and dogs.[6] During the following centuries, domestic animals from the Dnieper further and further east towards the Volga-Ural steppes, where they appeared ca. 4700-4600 BC. Some scholars suggest that from about 4200 BC, the Dnieper–Donets culture adopted agriculture.[3] Domestic plants that have been recovered include millet,[14] wheat and pea.[9] At the same time,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millet did not arrive in west Eurasia until the Bronze Age.[15] Evidence from skeletal remains suggest that plants were consumed.[9] At the same time, systematic evidence of producing economy in DDCC is currently lacking.
The presence of exotic goods in Dnieper-Donets graves indicates exchange relationships with the Caucasus.[6] .............
Pottery
드네프르-도네츠 문화의 도자기는 원래 아래가 뾰족하였으나, 후에는 평평해졌다. 이들의 도자기는 이웃의 Cucuteni-Trypillia문화의 도자기와 전혀 다르다. 도자기의 중요성은 이들이 정착생활을 한 것을 의미한다. (아래 자료 참조)
Dnieper-Donets pottery was initially pointed based, but in later phases flat-based wares emerge.[6] Their pottery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made by the nearby Cucuteni–Trypillia culture. The importance of pottery appears to have increased throughout the existence of the Dnieper–Donets culture, which implies a more sedentary lifestyle.[3]
Linguistics
Kurgan 가정에 의해, Mallory(1997)는, 이 문화 사람들이 인도유럽어가 들어오기 전의 말을 사용했으나, 동쪽에서 서진한 범인도유럽인에 흡수된 것으로 추정한다.
David Anthony에 의하면, 드네프르-도네츠 사람같은 동유럽의 EHGs 사람들에 의해 원래 인도유럽어가 말해졌다 한다. 그는 2007년 연구에서, 드네프르-도네츠문화 사람들이 Cucuteni-Trypillia culture사람들(우크라이나 서쪽, 북동부 루마니아지역, 몰도바지역)과 완전히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아래 자료 참조)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Kurgan hypothesis, J. Mallory (1997) suggested that the Dnieper-Donets people were Pre–Indo-European-speakers who were absorbed by Proto-Indo-Europeans expanding westwards from steppe-lands further east.[9]
According to David W. Anthony, the Indo-European languages were initially spoken by EHGs living in Eastern Europe, such as the Dnieper-Donets people.[21] He (2007) also argues that the Dnieper-Donets people almost certainly spoke a different language from the people of the Cucuteni–Trypillia culture.[3]
드네프르-도네츠 문화가 위치한 드네이스트강의 상류에서는 발트지역 강의 이름을 가졌다. 이 문화와 북동유럽문화와의 밀접한 연관성은 이들을 후에 발트지역인들로 구분하게 한다. Yamnaya culture등의 Pontic-Caspian culture 를 유도한 면이 있다. (아래 자료 참조)
The areas of the upper Dniester in which the Dnieper–Donets culture was situated have mostly Baltic river names. That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nieper–Donets culture and contemporary cultures of northeast Europe have caused the Dnieper–Donets culture to be identified with the later Balts.[9]
The precise role of the culture and its language to the derivation of the Pontic-Caspian cultures, such as Sredny Stog and Yamnaya culture, is open to debate, but the display of recurrent traits points to longstanding mutual contacts or to underlying genetic relations.[22]
Physical type
신체적으로는 범유럽인으로 구분되며, 신석기의 발칸인이나 지중해인 보다 체격이 큰 크로마뇽인으로 특징된다. 남자 평균키가 172센티로 당시의 신석기인들 보다 많이 컸다. (아래 자료 참조) 신체적 특징은 북유럽의 중석기시대인들과 유사하다.
The physical remains recovered from graves of the Dnieper–Donets culture have been classified as "Proto-Europoid".[9][a] They are predominantly characterized as late Cro-Magnons[24] with large and more massive features than the gracile Mediterranean peoples of the Balkan Neolithic.[6][25] Males averaged 172 cm in height, which is much taller than contemporary Neolithic populations.[6] Its rugged physical traits are thought to have genetically influenced later Indo-European peoples.[9][25]
Physical anthropologists have pointed out similarities in the physical type of the Dnieper-Donets people with the Mesolithic peoples of Northern Europe.[9]
The peoples of the neighboring Sredny Stog culture, which eventually succeeded the Dnieper–Donets culture, were of a more gracile appearance.
Genetics
여성 유전자로는 서유라시언 유전자 H, U3, U5a1a와 동유라시언 유전자 C, C4a 후손으로 나타난다. 동유라시언의 유전자의 출현은 북바이칼호수지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말해진다. 신석기와 청동기 사이 시기의 무덤에서 추출된 32명의 샘플연구에서는, 남성 유전자는 R1b와 I2, 여성유전자는 U(U5, U4, U2)가 나타났다. 이는 동부수렵인그룹(EHG)과 서부수렵인그룹(WHG)이 섞인 것을 말한다. Yamnaya culture와 달리 코카서스수렵인그룹(CHG)이나 초기유럽농부(EEF) 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문화는 Yamnaya culture로 이어진다. (아래 자료 참조)
First archaeogenetic analysis involving DDCC individuals was published by Nikitin et al. in 2012.[27] The authors reported mtDNA haplogroups of two individuals from the Mykilske (Nikols'skoye in Russian) and Yasynuvatka (Yasinovatka) DDCC cemeteries. Haplogroups of west Eurasian (H, U3, U5a1a) and east Eurasian (C, C4a) descent have been identified. The authors linked the appearance of east Eurasian haplogroups with potential influence from northern Lake Baikal area.
Mathieson et al. (2018) analyzed 32 individuals from three Eneolithic cemeteries at Deriivka, Vilnyanka and Vovnigi,[28] which Anthony (2019a) ascribed to the Dnieper–Donets culture.[29] These individuals belonged exclusively to the paternal haplogroups R and I (mostly R1b and I2), and almost exclusively to the maternal haplogroup U (mostly U5, U4 and U2).
This suggests that the Dnieper-Donets people were "distinct, locally derived population" of mostly of Eastern Hunter-Gatherer (EHG) descent, with Western Hunter-Gatherer (WHG) admixture. The WHG admixture appears to have increased in the transition from the Mesolithic to the Neolithic.[30] Unlike the Yamnaya culture, whose genetic cluster is known as Western Steppe Herder (WSH), in the Dnieper–Donets culture no Caucasian Hunter-Gatherer (CHG) or Early European Farmer (EEF) ancestry has been detected .[29] At the same time, several Eneolithic individuals from the Deriivka I cemetery carried Anatolian Neolithic Farmer (ANF) - derived, as well as WSH ancestry.[18] At the Vilnyanka cemetery, all the males belong to the paternal haplogroup I, which is common among WHGs. David W. Anthony suggests that this influx of WHG ancestry might be the result of EEFs pushing WHGs out of their territories to the east, where WHG males might have mated with EHG females.[30]
Dnieper-Donets males and Yamnaya males carry the same paternal haplogroups (R1b and I2a), suggesting that the CHG and EEF admixture among the Yamnaya came through EHG and WHG males mixing with EEF and CHG females. According to Anthony, this suggests that the Indo-European languages were initially spoken by EHGs living in Eastern Europe[31]
Successors[edit]
The Dnieper–Donets culture was succeeded by the Sredny Stog culture, its eastern neighbor, with whom it co-existed for a time before being finally absorbed.[1][32] The Dnieper–Donets culture and the Sredny Stog culture were in turn succeeded by the Yamnaya culture.[25] The Mikhaylovka culture, the Novodanilovka group and the Kemi Oba culture displays evidence of continuity from the Dnieper–Donets culture.
(source : Dnieper-Donets Culture Complex,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유럽-신석기)
X. DDCC 유전자 Haplogroup H & C (mt DNA) 분포지역
1) Haplogroup H (mt DNA) Area
드네프르-도네츠문화의 여성 유전자 H는 유럽, 서유라시아 지역에 걸쳐 있다. 사헬지역의 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핀란드지역, 발트3국지역 등이 진하게 나타난다.
Frequency distribution for Map ofHaplogroup H (mtDNA) (source : Wikipedia)
2) Haplogroup C(mtDNA) area
드네프르-도네츠문화의 여성 유전자 중, 동유라시아 유전자 C는 몽골, 한국, Bashkirs의 러시아, 인도 등으로 나타나며, 유전자 C4a1a는 한국, 중국, 위그르(남시베리아), 덴마크, 스웨덴, 스코틀랜드, 카나다 등에서 나타난다.
Haplogroup C (mt DNA) : China(Mongol from Chifeng), Korea,
Russia(Bashkorstan), India
Haplogroup C4a1a (mtDNA): Korea, China, Uyghur (South Siberia),
Denmark, Sweden, Scotland, Canada
(source : Haplogroup C, Wikipedia)
즉 흑해위의 드네프르-도네츠문화는 여성 유전자 C의 분포도로 볼 때, 북유럽, 스코틀랜드, 카나다, 한국, 몽골, 인도 등의 지역과 유전자적으로 관련 있음을 나타낸다. 스키타이 지역에서 중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 튀르크지역에서 중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과 유사하다. 즉 인도를 제외하고는 유라시아 북쪽에서 동서로 퍼진 분포도이다.
XI. Haplogroup N (Y-DNA) Distribution in Eurasia including East Asia
그래서 동아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에 걸쳐 있는 유전자 N (남성)의 분포도를 보니 아래 지도와 같이 북유럽, 북유라시아에 높게 나타난다. 즉 북유럽은 북유라시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스칸디나비아의 북쪽지방에 있는 Sami족은 유라시아 북쪽지역에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Map of Haplogroup N (Y-DNA)
Danes족과 관련된 유전자 R1b의 유전자 분포를 보면, 유럽과 유라시아에 걸쳐 있다. 특히 중앙아시아 등도 포함되고, 북아프리카, 사헬지역 일부도 포함된다. 그리고 Corded Ware Culture, Comb Ceramic Culture, Dnieper-Donets Culture 등 Danes족의 조상들이 이동해온 지역의 유전자 분포를 보면, 유라시아, 인도, 동북아시아, 등의 지역도 포함된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VI. Corded Ware Culture (BC 3000 - BC 2350)
1. Danes족의 조상문화인 청동기의 Corded Ware Culture (BC 3000-BC 2350)
2. Yamnaya culture와 동시대의 문화 Corded Ware Culture
3. 인도유럽어 전파의 주요 축이 된 Corded Ware Culture
4. 중부유럽, 동부유럽, 북유럽, 서부 러시아, 발칸반도의 문화권
5. BC 3000년 이후 유전자 R1a와 R1b가 공존하는 Corded Ware Culture
6. R1a유전자가 주를 이루는 Coreded Ware Culture
7. R1a 유전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도적인 유전자가 된다.
8. Corded Ware Culture는 서부유럽, 중부유럽, 북유럽과 유전적 유사성
9. Sintashta culture는 북유럽, 인도 사람들과 문화적 유사성
10. 신석기 중부유럽부족의 초원(Yamnaya culture)으로의 이동
VII. Comb Ceramic Culture (=CCC)(BC 4200 - BC 2000)
1. 핀란드, 에스토니아, 서부 러시아 지역의 Comb Ceramic Culture는 수렵문화이면서
농업의 흔적 있다.
2. 아시아의 영향을 받은 Corded Ware Culture
3. CCC는 초기 우랄어와 Finno-Ugric 언어의 사용지역
4. CCC 유전자는 R1a, R1b모두 존재하며, EHG그룹의 후손
VIII. Comb Ceramic Culture(CCC) 유전자 지역
1. 유전자 R1a(male)와 유전자 U(female)가 주도적인 문화
2. 스칸디나비아, 중부유럽에서 중앙아시아, 남부 시베리아,
남아시아 지역의 R1a 유전자 분포
3. 코카서스 남쪽 이라크지역이 origin인 R1a 유전자
4. 유라시아에 퍼져 있는 R1a 유전자
5. 북아프리카 지역이 포함된 CCC의 여성 유전자 U
6. 하부 유전자가 많은 U 유전자
7. 서유라시아 유전자가 발견된 몽골지역의 흉노 묘지
8. BC 5000-2000 BC기간에 전 유럽에 퍼진 유전자 U3
9. 유전자 U8의 하부 유전자인 유전자 K
10. 프랑스(17%), 쿠르디스탄(17%), 레반트지역(16%),
노르웨이, 불가리아(13%), 벨지움(12.5%), 조지아(11%),
오스트리아, 영국(10%)에서 높게 나타나는 유전자 K
IX. Dnieper - Donets Culture Complex (=DDCC) (BC 5000- BC 4200)
1. BC 5000-4200 BC 기간(중석기와 말기 신석기)의 흑해위 드네프르-도네츠 문화
2. Vistula강 상류에서 Volga강 중하류지역까지 퍼진 문화
3. 동시기(BC 4500-4000 BC)에 유럽에 존재한 여러 문화
4, 사냥과 어업이 주요 경제활동인 문화
5. BC 4200년부터 수수, 밀, 콩, 채소등의 농업을 경작한 문화
6. 정착생활의 도자기 문화
7. 인도 유럽어 사용 문화
8. 발트지역문화와 밀접한 연관 가진 문화
9. 중석기 북유럽인과 유사한 크로마뇽인 체격의 문화
10. 북바이칼호수지역 영향을 받은 동유라시언 여성 유전자를 가진 문화
11. R1b, I2(남성) 유전자와 U(여성) 유전자 문화이며, EHG와 WHG 유전인자가 섞인 문화
12. Yamnaya culture로 이어지는 문화
X. DDCC 유전자 H & C(mt DNA) 분포지역
13. 유럽, 서유라시아, 사헬지역의 아프리카에 퍼진 여성유전자 H를 가진 문화
14. 한국, 몽골, 지나, 인도, 북유럽, 스코틀랜드, 카나다, Bashkirs에 퍼진 동유라시아 여성 유전자 C를 가진 문화
XI. 유라시아와 동아시아에 분포한 유전자 N (남성)
북유럽, 북유라시아에 높게 나타난다.
북유럽은 북유라시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렇게 광범한 지역에서 활동한 사람들은 서쪽에 스키타인, 동쪽에 사카족이 있다. 또한 스키타인과 사카는 같은 종족으로 취급된다. 이들은 또한 훈족, 흉노 등과 연관성이 있다 하며, 동시에 색족이기도 하다. 또한 유럽을 제외하고는 중앙아시아 동쪽의 튀르크족의 지역과도 유사하다. 그래서 다음 편(아래 글 참조)에서 이들 스키타인, 사카, 튀르크족의 활동지역을 살펴 보며, Danes족의 유전자 분포도와 대비해 보고자 한다.
스키타이지역은 고조선 영역과 관계가 있는가? (tistory.com)
'한국의 역사 > 고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nes족의 유전자 분포 지역은 고조선 영역인가?(IV) (0) | 2024.08.23 |
---|---|
환단고기의 단군시대 삼한(삼조선)의 위치 비정 검토 (I) (1) | 2024.07.05 |
우리말 지명이 있는 스키타인 활동 지역 (0) | 2024.06.29 |
스키타인 역사(3) : Late Scythian (BC 200 - AD 3C 중반) (0) | 2024.06.14 |
스키타인의 역사(2) - Classical Scythian (BC 500 - 300 BC) (0) | 2024.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