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고조선

편두의 지역인 이집트는 고조선의 영역인가? (2)

Chung Park 2024. 12. 11. 05:19

 

아래 지난 글에 이어 이집트의 지역에 대한 고찰을 계속하고자 한다. 지난 연구시기는 이집트의 중왕국시기에 관해 살펴 보았는데, 이번에는 신왕국, 그중에서도 제 18왕국 위주로 살펴 보고자 한다. 

 

https://lostcorea.tistory.com/1918

 

편두의 지역인 이집트는 고조선의 영역인가? (1)

아래 지난 글에서 편두의 지역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 보았다. 이번 글에서부터는 각 지역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며, 편두지역과 고조선의 연결 가능성을 추정해 보고자 한다. ​​​​

lostcorea.tistory.com

 

 

4) Thutmose III (Thutmose the Great)(BC 1479-BC1425)

 

제 18왕국의 6번째 파라오인 Thutmose III왕은 BC 1479년부터 BC 1425년까지 재위했는데, 많은 군사원정으로 이집트의 최대 번성기를 이룬 왕으로 Thutmose the Great라고도 불리운다. 어릴 때 초기 재위시 Aunt인 Hatshepsut가 파라오 역할을 하기도 했다. (아래 자료 참조)

 

"Thutmose III (variously also spelt Tuthmosis or Thothmes), sometimes called Thutmose the Great,[3] was the sixth pharaoh of the 18th Dynasty. Officially he ruled Egypt from 28 April 1479 BC until 11 March 1425 BC, commencing with his coronation at the age of two and concluding with his death, aged fifty-six; however, during the first 22 years of his reign, he was coregent with his stepmother and aunt, Hatshepsut, who was named the pharaoh."

(source : Thutmose II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

Thutmose III statue in Luxor Museum (Tuthmosis III, "Manahpi(r)ya" in the Amarna letters) (source : Wikipedia)

 

 

Thutmose III는 고모인 Hatshepsut파라오가 죽은 후 17-20차에 걸친 원정을 통해 이집트의 영역을 가장 넓게 확장하였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최초로 해군을 창설했다. 역사가 Richard Gabril은 Thutmose III를 '이집트의 나폴레옹'이라 칭한다. (아래 자료 참조)

 

"Thutmose III is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warriors, military commanders, and military strategists of all time,[5] as Egypt's preeminent warrior pharaoh and conqueror,[6][7] and as a dominant figure in the New Kingdom period, itself considered the height of Egyptian power.[8] He became sole ruler after Hatshepsut's death, and conducted between 17 and 20 campaigns, all victorious, while expanding Egypt's empire to its largest extent.[9] He also created the ancient Egyptian navy, the first combat navy in the ancient world.[10] Historian Richard A. Gabriel referred to Thutmose III as the "Napoleon of Egypt".[11]

(source : Thutmose II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아래에서 그의 군사 원정을 간략하게 살펴 보자.

 

첫째는 그의 Levant지역 원정으로 유명한 Megiddo(메기도)전투가 있다. 이 원정으로 이집트는 북 가나안지방을 취함으로 시리아 왕자가 공물을 보내고 아들을 인질로 보내게 했다. 또한 유프라테스강 건너의 앗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 왕들이 선물(공물)을 보냈다. Mitanni는 여기서 제외되었는데, 후에 Thutmose III의 원정으로 공격을 받는다. (아래 자료 참조)

 

Campaign 1: Battle of Megiddo

 

"This campaign drastically chang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ancient Near East. By taking Megiddo, Thutmose gained control of all of northern Canaan, forcing the Syrian princes to send tribute and their own sons as hostages to Egypt.[36] Beyond the Euphrates, the Assyrian, Babylonian and Hittite kings all gave Thutmose gifts, which he claimed as "tribute" on the walls of Karnak.[37] The only noticeable absence is Mitanni, which would bear the brunt of the following Egyptian campaigns into Western Asia."

(source : Thutmose II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Megiddo 지역은 이스라엘의 사해(死海, Dead sea) 근처로 Shasu(사수(死水)?) 지역에 있다. Megiddo는 사수에 있는 섬이 아닐까 상상해 본다. 우리말의 흔적이 보인다. 위키피디아 자료에서는 Shasu를 이 지역에 사는 유목민으로 설명한다. (아래 자료 참조)

 

 

 

Location of Dead Sea (source : Wikipedia)

 

 

"The Shasu (Ancient Egyptian: šꜣsw, possibly pronounced šaswə[1]) were Semitic-speaking pastoral nomads in the Southern Levant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or the Third Intermediate Period of Egypt. They were tent dwellers, organized in clans ruled by a tribal chieftain and were described as brigands active from the Jezreel Valley to Ashkelon, in the Transjordan and in the Sinai.[2] Some of them also worked as mercenaries for Asiatic and Egyptian armies.[3] "

(source : Shasu,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Levant지역)

 

같은 지역을 'Irsu'(이르수?)라 하는 것을 보면 강을 나타내는 지명이 그 지역에 있던 사람들로 변질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자료 참조)

 

"Irsu (Ancient Egyptian: jr-sw, "he who made himself"; alternatively Su) is the name used in Papyrus Harris I to designate a Shasu who became overlord of a group of local rulers nominally under Egyptian control, at a time of unrest betwee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Dynasties."

(source : Irsu,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Levant지역)

 

Megiddo는 아카디언어로 앗시리아에서 Magiddu, Magaddu로 알려졌으며, Amarna letters에서는 Magidda, Makida로 알려졌다. Tel Magiddo가 중요 전략적지역으로 간주되는 만큼, '막히다'(Makida)로 해석될 수도 있다. (아래 자료 참조)

 

"Megiddo was known in the Akkadian language used in Assyria as Magiddu, Magaddu. In Egyptian, it was Maketi, Makitu, and Makedo. In the Canaanite-influenced Akkadian used in the Amarna letters, it was known as Magidda and Makida. It was Koinē Greek: Μαγεδών/Μαγεδδώ, Magedón/Mageddó in the Septuagint;[a] Latin: Mageddo in the Vulgate.[3]

 

The Book of Revelation describes an apocalyptic battle at Armageddon in Revelation 16:16: Koinē Greek: Ἁρμαγεδών, romanized: Harmagedōn, a transliteration of the Hebrew Har Megiddo "Mount Megiddo".[4] From this surreal appearance in a well-known eschatological text, the term "Armageddon" has come to signify any world-ending catastrophe.[b] "

...............

Megiddo's strategic location at the northern end of the defile of the Wadi Ara, which acts as a pass through the Carmel Ridge, and its position overlooking the rich Jezreel Valley from the west gave it much of its importance..

(source : Tel Megiddo,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Levant지역)

 

 
.

Tel Megiddo location map in Israel

(source : Tel Megiddo,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Levant지역)

 

이 지역 주위에 Dan city, Dan river, Dan Tribe가 실존하는 것은 또한 필자의 관심을 끈다. 이 시기가 청동기 시기 BC 4500경이므로, 단군조선 이전의 시기이므로 신시 배달국 시대인데, 역시 고조선의 역사가 있는 지역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 지역을 지배한 이집트도 고조선의 일부일 수 있다는 추정이다.

 

 

Dan city location (source : wikipedia)

 

Dan River location in Northern Israel (source : Wikipedia)

 

 

일부 학자는 덴마크의 Danes족과 이스라엘의 Tribe of Dan을 연계시킨다. (아래 자료 참조) 일부 British Israelite author는 Dan 부족이 덴마크와 아일랜드 Ulster를 식민지로 하였다 주장한다. (아래 자료 참조). 일부 Ethiopian Jews는 Dan 부족의 후손이 지금의 에티오피아, 수단지역의 Kush 왕국으로 이동했다 주장한다. (아래 자료 참조)

 

 

"A 15th-century Latin chronicle, "Chronicon Holsatiae vetus", found in Gottfried Leibniz's Accessiones historicae (1698), states the Danes were of the Tribe of Dan. The antiquarian Henry Spelman in 1620 had made a similar claim that the Danes were the Israelite Tribe of Dan, based on the apparent similarity in name.[15] Additionally, proponents of Nordic and British Israelism have made similar claims about descent from the tribe of Dan. British Israelite authors such as John Cox Gawler and J. H. Allen identified the Tribe of Dan with Denmark.[16] While another prominent British Israelite author, Edward Hine, took the view that the tribe of Dan had colonized Denmark and Ulster in Ireland.[17][18]

 

Some of the Ethiopian Jews, also known as Beta Israel, claim descent from the Tribe of Dan, whose members migrated south along with members of the tribes of Gad, Asher, and Naphtali, into the Kingdom of Kush, now Ethiopia and Sudan,[19] during the destruction of the First Temple. This position is supported by former Sephardic Chief Rabbi Ovadia Yosef.[20] They are said to have fought with the natives.[21]

(source : Tribe of Dan,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Levant지역)

 

덴마크의 Danes족은 BC 12세기의 역사이므로, 청동기 시기의 이스라엘의 Tribe of Dan이 먼저이다. 그런데 Dan 부족에 대한 이러한 위의 주장은, 고조선의 역사가 이 모든 지역에 있었다는 필자의 추정과 궤를 같이 한다.

 

 

Depiction of Tuthmose III at Karnak holding a Hedj Club and a Sekhem Scepter standing before two obelisks he had erected there (source : Wikipedia)

 

상기 Thutmose III의 모습을 보면 White crown을 쓰고 있으며, 편두를 한 모습으로 추정된다. 이집트에서는 White Crown, Red Crown, 이 둘을 합한 Double Crown(Pschent), 그외에 Blue Crown이 있는데, 편두를 하였기 때문에 White Crown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 판단된다. (아래 그림 참조)

 

Pschent, the double crown of Egypt (source : Wikipedia)

 

 

이후 Thutmose III왕은 여러 차례 원정을 통해 시리아, 가나안 지방을 정복한 후, 이들 지역의 사신들의 선물 행렬이 아래 벽화에 나타난다.

 

Campaigns 2-4: Tours of Canaan and Syria

Campaigns 5-7: Conquest of Syria

 

Depiction of Syrians bringing presents to Tuthmosis III, in the tomb of Rekhmire, c. 1400 BC (actual painting and interpretational drawing). They are labeled "Chiefs of Retjenu".[50][51]

 

서아시아의 Mitanni 공격은 수군으로 시작하여, Levant지역 해안가 Byblos에 도착한 후, 이후 육지는 배를 나르며,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준비 안된 미타니를 공격하여 유린하였다. (아래 자료 참조) 가나안지방과 시리아를 이미 정복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가능한 경로로 판단된다.

 

"Campaign 8: Attack on Mitanni

 

After Thutmose III had taken control of the Syrian cities, the obvious target for his eighth campaign was the state of Mitanni, a Hurrian country with an Indo-Aryan ruling class. However, to reach Mitanni, he had to cross the Euphrates River. He sailed directly to Byblos[52] and made boats which he took with him over land on what appeared to otherwise be just another tour of Syria,[48] and he proceeded with the usual raiding and pillaging as he moved north through the lands he had already taken.[53] He continued north through the territory belonging to the still unconquered cities of Aleppo and Carchemish and quickly crossed the Euphrates in his boats, taking the Mitannian king entirely by surprise.[53] It appears that Mitanni was not expecting an invasion, so they had no army of any kind ready to defend against Thutmose, although their ships on the Euphrates did try to defend against the Egyptian crossing.[52] Thutmose III then went freely from city to city and pillaged them while the nobles hid in caves, or at least this is the typically propagandistic way Egyptian records chose to record it. During this period of no opposition, Thutmose put up a second stele commemorating his crossing of the Euphrates next to the stele his grandfather, Thutmose I, had put up several decades earlier. A militia was raised to fight the invaders, but it fared very poorly.[53] Thutmose III then returned to Syria by way of Niy, where he records that he engaged in an elephant hunt.[54] He collected tribute from foreign powers and returned to

Egypt in victory.[52] "

(source : Thutmose II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

Byblos location map (source : Wikipedia)

 

 

이후 시리아 지역을 자주 순회한 것은 이 지역의 확보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서아시아까지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Campaigns 9-16: Tours of Syria

 

Painted relief depicting Thutmose III, Luxor Museum (source : Wikipedia)

 

Crown of Thutmose III's Asiatic Princesses Menhet, Menwi and Mert (source : Wikipedia)

 

상기 Thutmose III의 부인이 된 아시아지역 공주들의 금관을 보면 Thutmose III의 위세를 알 수 있다. 또한 이집트 남부의 Nubia지역을 원정함으로 더욱 그 영역을 넓혔다.

 

 

Campaign 17: Nubian campaign

 

"In Year 50, Thutmose III waged his last military campaign. He attacked Nubia, but only went so far as the fourth cataract of the Nile. Although no king of Egypt had ever penetrated so far with an army, previous kings' campaigns had spread Egyptian culture that far already, and the earliest Egyptian document found at Gebel Barkal dates from three years before Thutmose's campaign.[48]

(source : Thutmose II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Thutmose III의 이집트 전성기의 모습은 이집트가 Levant지역, 시리아지역을 넘어 서아시아 지역까지 진출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군으로 Cyprus까지 진출한 기록을 보면, 동 지중해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자료 참조)

 

"Around 1500 BC, Thutmose III claimed Cyprus and imposed a tax on the island."

(source : Prehistoric Cypru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Pharaoh Thutmose III of Egypt subdued Cyprus in 1500 BC and forced its inhabitants to pay tribute, which continued until Egyptian rule was replaced by the Hittites (who called Cyprus Alashiya in their language) in the 13th century BC."

(source : Ancient history of Cypru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또한 도자기와 그외 유물의 발견으로 그리스 지역과 중근동, 이집트지역의 교류가 있었다는 것을 아래 자료에서 말하고 있다.

 

"Because of a lack of written records, estimates of the Minoan chronology are based on well-established Minoan pottery styles, which can at points be tied to Egyptian and Ancient Near Eastern chronologies by finds away from Crete and clear influences."

(source : History of Cret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For example, Minoan artifacts from the LM IB (1625-1470 BC) ceramic period have been found in 18th Dynasty contexts in Egypt, for which Egyptian chronology provides generally accepted calendar dates."

(source : Minoan chronology,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5) Akhenaten 파라오(BC 1353-1334)와 Nefertiti 여왕

 

BC 1353-1334 시기의 Akhenaten 파라오는 아래 사진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두를 한 모습이다. Akhenaten 파라오는 Nefertiti여왕의 남편이다. Nefertiti여왕도 편두를 했다는 것은 이미 처음부터 언급해왔다.

 

 
 

King Akhenaten (BC1353-1334 BC)

Statue of Akhenaten in the collection of the Egyptian Museum, Cairo

(source : Wikipedia)

 
 

Pharaoh Akhenaten (center) and his family worshiping the Aten, with characteristic rays seen emanating from the solar disk. Later such imagery was prohibited. (source : Wikipedia)

 

 
Profile view of the skull (thought to be Akhenaten) recovered from KV55

(source : Wikipedia)

 
 

Small statue of Akhenaten wearing the Blue Crown (source : Wikipedia)

 

 

Akhenaten왕은 기존의 Thebes 수도를 떠나 새로운 도시 Amarna(Horizon of Aten이란 뜻)를 수도로 한다. 그리고 기존의 Amun신이 아닌 Aten 신을 모신다. 그러나 이러한 Atenism은 20년이 지나 다시 Amun신 고유신앙으로 바뀐다. Tutankhamun왕에 이르러서이다. 이러한 정황은 Akhenaten왕이 외부의 세력으로 이집트를 정복하지 않았나 하는 추정을 하게 한다. 그러면 어디서 왔을까 한번 추정해 보자.

 

 

"Around the same time he changed his royal titulary,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growing season's fourth month, Akhenaten decreed that a new capital city be built: Akhetaten (Ancient Egyptian: ꜣḫt-jtn, meaning "Horizon of the Aten"), better known today as Amarna.....

 

Historians do not know for certain why Akhenaten established a new capital and left Thebes, the old capital. The boundary stelae detailing Akhetaten's founding is damaged where it likely explained the pharaoh's motives for the move. Surviving parts claim what happened to Akhenaten was "worse than those that I heard" previously in his reign and worse than those "heard by any kings who assumed the White Crown", and alludes to "offensive" speech against the Aten. Egyptologists believe that Akhenaten could be referring to conflict with the priesthood and followers of Amun, the patron god of Thebes. The great temples of Amun, such as Karnak, were all located in Thebes and the priests there achieved significant power earlier in the Eighteenth Dynasty, especially under Hatshepsut and Thutmose III, thanks to pharaohs offering large amounts of Egypt's growing wealth to the cult of Amun; historians, such as Donald B. Redford, therefore posited that by moving to a new capital, Akhenaten may have been trying to break with Amun's priests and the god.[86][87][88]"

(source : Akhenaten,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This limestone relief of a royal couple in the Amarna style has variously been attributed as Akhenaten and Nefertiti, Smenkhkare and Meritaten, or Tutankhamun and Ankhesenamun. (source : Wikipedia)

 

 

 

 

아케나텐 파라오가 내세우기 시작한 신, Aten, 그리고 이를 믿는 종교 Atenism은 태양의 빛(Ra)을 받는 것이 축복이란 개념으로 보인다. 그래서 Atenism Temple도 지붕이 없이 탁트인 신전의 형태이다. (아래 사진 및 자료 참조)

 

 

Aten temple of Panehsy's tomb (source : Wikipedia)

 

"One of the most distinctive aspects of the Temple was that there was no cult image of the god. Instead, the Temple was open-aired and had no roof, so that people worshipped the actual sun directly overhead as it traveled from east to west.[5] In fact this was a common theme amongst all of the Aten temples; they were all arranged to direct worship towards the sky (such as in the Ḥwt Aten (Mansion of Aten), the smaller temple of Aten located 500m south of the Great Temple in Akhetaten).[1] "

(source : Great Temple of the Aten,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필자는 이 모습을 보고 아테네 신전을 살펴 보았다. (아래 그림 참조) 이 신전도 지붕이 없었던 것이 아닌가 상상해 본다. 그러나 파르테논의 역사를 보면 지붕이 있었던 것으로 기술된다. 필자는 오히려 이집트의 Aten 신전이 지붕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한다. 아래 아케나텐과 네페르티티 벽화를 보면 천장을 통해 햇빛이 들어 오는 모습이다. (아래 벽화 참조). 즉 지붕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니면 해(sun)로부터 직접 받는 햇빛을 그린 거라면, 지붕이 없는 신전일 수도 있다.

 

Panthenon in Athens (source : Wikipedia)

 

 

 

Akhenaten, Nefertiti and their children (source : Wikipedia)

 

 

 

필자는 Atenism 단어를 보면서, 혹시 Athenism이란 단어가 있는지 살펴 보았으나, Cultural Athenism이란 말들은 인터넷에 쓰였으나, 특별히 해석하는 글은 없었다. 의도적인 모른 체일 수도 있다.

 

그런데 Athenism이란 단어와 유사한 Atheism이란 단어가 무신론자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해석한다. 어원상으로 그리스언어와 관련이 있다 한다. 그러면서 무신론은 역사적으로 인도의 Vedic period(BC 1500-BC 500)에서 비롯되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그리스의 플라톤 시대의 여러 학파들은 무신론자들의 대표적인 사람들일 것이다. 즉 무신론의 의미 Atheism과 Atenism, 그리스와 이집트, 인도가 묘하게 연결된다.

 

"Atheism, in the broadest sense, is an absence of belief in the existence of deities. Less broadly, atheism is a rejection of the belief that any deities exist. In an even narrower sense, atheism is specifically the position that there are no deities. Atheism is contrasted with theism, which is the belief that at least one deity exists.

Historically, evidence of atheistic viewpoints can be traced back to classical antiquity and early Indian philosophy. .....

 

 

In early ancient Greek, the adjective átheos (ἄθεος, from the privative ἀ- + θεός "god") meant "godless". It was first used as a term of censure roughly meaning "ungodly" or "impious"....

 

Ideas that would be recognized today as atheistic are documented from the Vedic period[100] and the classical antiquity.[101] Atheistic schools are found in early Indian thought and have existed from the times of the historical Vedic religion.[100]

 

(source : Atheism,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이집트와 그리스의 연관관계는 알렉산더 시기에 확연히 드러난다.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가 이집트를 공격할 때, 이집트는 해방자라 생각하여 싸움을 하지 않고 받아 들였다 한다. 알렉산더는 자신은 이집트의 태양의 신 Amun의 아들이라 천명했다. (아래 자료 참조) 이집트와 그리스의 동일체가 추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Alexander advanced on Egypt in later 332 BC where he was regarded as a liberator.[82] To legitimize taking power and be recognized as the descendant of the long line of pharaohs, Alexander made sacrifices to the gods at Memphis and went to consult the famous oracle of Amun-Ra at the Siwa Oasis in the Libyan desert,[81] at which he was pronounced the son of the deity Amun.[83] Henceforth, Alexander often referred to Zeus-Ammon as his true father, and after his death, currency depicted him adorned with horns, using the Horns of Ammon as a symbol of his divinity.[84] The Greeks interpreted this message – one that the gods addressed to all pharaohs – as a prophecy.[81] "

 

(source : Alexander the Great,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마케도니아)

 

  • 알렉산드로스 대왕: 페르시아 정복 당시 알렉산드로스는 이집트의 태양신인 아몬의 아들을 자칭하여 자신이 태양의 아들이며 살아있는 임을 주장했다. (자료 : 태양신, 위키백과,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한편 알렉산더시기에 인도지역에도 아테네 여신상이 있는 것을 보여 준다. (아래 사진 참조). 알렉산더의 북인도 점령의 영향일 수 있다. 헬레니즘 시기에 그리스, 이집트, 인도가 아테네 여신을 통해 또한 연결된다.

 

 

Mythological scene with Athena (left) and Herakles (right), on a stone palette of the Greco-Buddhist art of Gandhara, India (source : Wikipedia)

 

Athena (2nd century BC) in the art of Gandhara, displayed at the Lahore Museum, Pakistan (source : Wikipedia)

 

플라톤은 이집트에서 Athena로 여겨지는 Neith신을 숭배했다 말하고 있다. (아래 자료 참조)

 

 

"Plato notes that the citizens of Sais in Egypt worshipped a goddess known as Neith,[e] whom he identifies with Athena.[32]

 

(source : Athena,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Neith 이집트신은 BC 3100-3050 BC 기간의 이집트 제1왕국시기에 이미 숭배된 신이라 한다. 헤로도투스, 플라톤, Diodorus Siculus 등은 아테네(Athens)와 연관을 지으며, Neith 신이 Athena신이라 했다. Diodorus는 대홍수(BC 1600년경)가 있기 전에 아테네인들이 이집트의 Sais도시를 건설했다 주장한다. 다른 그리스 도시들은 파괴되었으나, Sais와 다른 이집트 도시들은 살아 남았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즉 아테나신과 이집트의 Neith신이 겸침으로써, 이집트와 그리스는 BC 3100년때부터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심지어 대홍수가 있기 전에는 하나의 정치체계였다고 주장된다.

 

"The city's patron goddess was Neith, whose cult is attested as early as the First Dynasty of Egypt (c. 3100–3050 BC).[3] The Greeks, such as Herodotus, Plato, and Diodorus Siculus, identified her with Athena and hence postulated a primordial link to Athens. Diodorus recounts that Athenians built Sais before the deluge. While all Greek cities were destroyed during that cataclysm, including Athens, Sais and the others Egyptian cities survived.[10]

 

There are today no surviving traces of this town prior to the Late New Kingdom (c. 1100 BC) due to the extensive destruction of the city by the sebakhin (farmers removing mudbrick deposits for use as fertilizer) leaving only a few relief blocks in situ.[3]

(source : Sais, Egypt,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상기 내용은 그리스와 이집트의 밀접한 관계가, 아케나텐 파라오 시기의 2천년전에 이미 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신시배달국 시기에 그리스에서 이집트로 진출한 내용이다. 따라서 이후 500년후 이집트의 Huni 파라오 시기이후(BC 2600년 전후)에 지은 기자의 피라미드를 그리스왕이 건설했다는 주장이 아주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잠시 위에서 언급한 그리스의 대홍수에 대해 자료를 살펴 보자. BC 1630-1600 BC 시기에 있었던 Thera eruption (=Minoan eruption)에 의한 지중해에서의 쓰나미가 에게해, 크레타섬을 덮쳤다. 그러나 그리스 본토에 있는 미케테, 아테네, Thebes(그리스)는 영향을 받지 않아 계속 번창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Thebes는 그리스에도 있고 이집트에도 있는 지명이다. 이집트의 Thebes는 Luxor라고도 불리우는데, 나일강 상류지역에 있다.

 

"Mediterranean Basin[edit]

 

The historian Adrienne Mayor theorizes that global flood stories may have been inspired by ancient observations of seashells and fish fossils in inland and mountain areas. The ancient Greeks, Egyptians, and Romans all documented the discovery of such remains in such locations; the Greeks hypothesized that Earth had been covered by water on several occasions, citing the seashells and fish fossils found on mountain tops as evidence of this idea.[36]

 

Speculation regarding the Deucalion myth has postulated a large tsunami in the Mediterranean Sea, caused by the Thera eruption (with an approximate geological date of 1630–1600 BCE), as the myth's historical basis. Although the tsunami hit the South Aegean Sea and Crete, it did not affect cities in the mainland of Greece, such as Mycenae, Athens, and Thebes, which continued to prosper, indicating that it had a local rather than a region-wide effect.[37]

(source : Flood myth,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카테고리,고대 이집트)

 

Minoan Eruption이 있던 시기는 BC 1600년경으로 중국의 상나라가 시작하는 시기이다. 아래 자료에서는 이 시기의 이집트와 그리스의 연관관계를 추정하고 있다. (비록 1세기의 연대 차이는 있을 수 있다고 했지만).

 

이집트의 이 시기는 BC 16세기 힉소스(Levant지역 세력)의 침입이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집트의 쓰나미 피해상황은, 힉소스의 침입에 의한 혼란이거나, 그리스에 있던 화산폭발,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에 의한 피해일 수 있다고 한다. (아래 자료 참조)

 

또한 상나라의 시작 시기의 자연재해와 혼란의 모습을 말한 중국의 기록을 들어 Minoan eruption을 추정하기도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이는 상나라가 그리스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는 또한 필자가 추정하는 역사이기도 하다. 상나라의 시기 즉 BC 1600-BC1100 시기는이집트의 신왕국 시기(BC 1550-1077 BC)이며 그리스의 미케네 문명(BC 1600-1100 BC)의 시기이다.

 

참고로 하나라의 시기(BC 2100-1600 BC)는 이집트의 중왕국 시기(BC 2055-1650 BC)이며, 그리스의 미노언 문명(BC 3000- 1000 BC),크레타섬(BC 2700-1420 BC)) 중 Middle Minoan (=MM) (BC 2100-BC1600) 시기이다. (아래 글 참조)

 

 

 

 

 

 

"The Minoan eruption was a catastrophic volcanic eruption that devastated the Aegean island of Thera (also called Santorini) circa 1600 BCE.[2][3] It destroyed the Minoan settlement at Akrotiri, as well as communities and agricultural areas on nearby islands and the coast of Crete with subsequent earthquakes and paleotsunamis.[4]

...

The Minoan eruption is an important marker horizon for the Bronze Age chronology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realm. It provides a fixed point for aligning the entire chronology of the second millennium BCE in the Aegean, as evidence of the eruption is found throughout the region. Yet, archaeological dating based on typological sequencing and the Egyptian chronology is significantly younger than the radiocarbon age of the Minoan eruption, by roughly a century. This age discrepancy has resulted in a fierce debate about whether there is an upheaval in the archaeological synchronization between the Aegean and Egypt.

....

 

The eruption was felt at Minoan sites on Crete. In northeastern Crete, earthquakes destroyed sites including Petras, while 9 meter high tsunamis swept over coastal sites such as Palaikastro.[84] Ash and pumice fell across the island, where it was sometimes collected and stored.[84][85][86]

......

 

A volcanic winter from an erup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BCE has been claimed by some researchers to correlate with entries in later Chinese records documenting the collapse of the semi-legendary Xia dynasty in China. According to the Bamboo Annals, the collapse of the dynasty and the rise of the Shang dynasty, approximately dated to 1618 BCE, were accompanied by "yellow fog, a dim sun, then three suns, frost in July, famine, and the withering of all five cereals".[13]

 

..............

Effect on Egyptian history[edit]

Further information: Ahmose I § Dates and length of reign

Apocalyptic rainstorms, which devastated much of Egypt, and were described on the Tempest Stele of Ahmose I, have been attributed to short-term climatic changes caused by the Theran eruption.[94][95][96] The dates and regnal dates of Ahmose I are in some dispute with Egyptologists (leaving aside alternate chronologies). Proposed reigns range from 1570 to 1546 BCE to 1539–1514 BCE. A radiocarbon dating of his mummy produced a mean value of 1557 BCE. In any case this would only provide an overlap with the later estimates of eruption date.[97]

Alternatively, if the eruption occurred in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the absence of Egyptian records of the eruption could be caused by the general disorder in Egypt around that time.

Whil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damage attributed to these storms may have been caused by an earthquake following the Thera eruption, it has also been suggested that it was caused during a war with the Hyksos, and the storm reference is merely a metaphor for chaos upon which the Pharaoh was attempting to impose order.[98] Documents such as Hatshepsut's Speos Artemidos depict storms, but are clearly figurative, not literal.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peos Artemidos stele is a reference to her overcoming the powers of chaos and darkness.[98]

Greek traditions[edit]

See also: Deucalion § Dating by early scholars

The Titanomachy[edit]

The eruption of Thera and volcanic fallout may have inspired the myths of the Titanomachy in Hesiod's Theogony.[99] The Titanomachy could have picked up elements of western Anatolian folk memory, as the tale spread westward. Hesiod's lines have been compared with volcanic activity, citing Zeus's thunderbolts as volcanic lightning, the boiling earth and sea as a breach of the magma chamber, immense flame and heat as evidence of phreatic explosions, among many other descriptions.[100]

 

​(source : Minoan eruption,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상기의 Titanomarchy에 관한 언급은, Hesiod의 Theogony에 나온 그리스 신들의 전쟁 이야기에서, 티탄신족들의 후손의 하나인 Zeus신 일행과 티탄신족들의 싸움에서 올림푸스신 Zeus신 일행이 승리했다는 이야기인데, 이들 싸움이 Minoan eruption과 연관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이다.

 

거신족인 Tians신족들은 메소포타미아 오리진이 아닌가 하는 추정이 일반적이다. (아래 자료 참조)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Greek succession myth was imported from the Near East, and that along with this imported myth came stories of a group of former ruling gods, who had been defeated and displaced, and who became identified, by the Greeks, as the Titans.[103] Features of Hesiod's account of the Titans can be seen in the stories of the Hurrians, the Hittites, the Babylonians, and other Near Eastern cultures.[104]

 

The Hurro-Hittite text Song of Kumarbi (also called Kingship in Heaven), written five hundred years before Hesiod,[105] tells of a succession of kings in heaven: Anu (Sky), Kumarbi, and the storm-god Teshub, with many striking parallels to Hesiod's account of the Greek succession myth. Like Cronus, Kumarbi castrates the sky-god Anu, and takes over his kingship. And like Cronus, Kumarbi swallows gods (and a stone?), one of whom is the storm-god Teshub, who like the storm-god Zeus, is apparently victorious against Kumarbi and others in a war of the gods.[106]

 

Other Hittite texts contain allusions to "former gods" (karuilies siunes), precisely what Hesiod called the Titans, theoi proteroi. Like the Titans, these Hittite karuilies siunes, were twelve (usually) in number and end up confined in the underworld by the storm-god Teshub, imprisoned by gates they cannot open.[107] In Hurrian, the Hittite's karuilies siunes were known as the "gods of down under" (enna durenna) and the Hittites identified these gods with the Anunnaki, the Babylonian gods of the underworld,[108] whose defeat and imprisonment by the storm-god Marduk, in the Babylonian poem Enûma Eliš (late second millennium BC or earlier),[109] parallels the defeat and imprisonment of the Titans.[110] Other collectivities of gods, perhaps associated with the Mesopotamian Anunnaki, include the Dead Gods (Dingiruggû), the Banished Gods (ilāni darsūti), and the Defeated (or Bound) Gods (ilāni kamûti).[111]

 

(source : Titans,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 그리스)

 

 

즉 메소포타미아 세력과 그리스 세력의 전쟁을 신화화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는 그리스지역이 메소포타미아지역으로부터 독립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즉 BC 1600년 시기 이전에는 그리스가 중근동, 메소포타미아지역 세력안에 있었다는 추정을 할 수 있다. 즉 그리스의 미노언 문명시절에는 중근동, 메소포타미아세력의 일부였으나, 미케네문명 시기부터 독립적이 되었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석은 결국 아케나텐 파라오가 그리스쪽의 세력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Atenism의 태양신 숭배에 대해 혹시 그리스의 아테나 신과 연관이 있는지 살펴 보자.

 

일반적으로 그리스의 태양신은 아폴론이다.

 

"아폴론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올림포스 12신 중 한 명으로 태양, 음악, 시, 예언, 의술, 궁술을 관장하는 신이다. 델포이 섬에 있는 아폴론 신전은 앞일을 예언하는 신탁으로 유명하다. 아폴론은 대개 머리에 월계관을 쓰고 손에는 리라를 든 아름다운 용모의 젊은이로 묘사된다. 종종 밝게 빛나는 자라는 뜻을 지닌 ‘포이보스’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빛나는 자 아폴론과 태양의 신 헬리오스

아폴론에게는 대개 ‘포이보스’라는 별칭이 따라다닌다. 포이보스는 밝게 빛나는 자라는 뜻이다. 그런데 포이보스라는 별칭은 티탄 신족의 일원인 태양의 신 헬리오스에게도 사용되기 때문에 아폴론은 태양의 신으로 자주 혼동된다(가령 1세기 경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에서 파에톤의 아버지로 등장하는 포이보스는 헬리오스를 가리킨다). 신화에서 아폴론이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커지면서 고대의 작가들이 아폴론을 태양신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도 혼란을 키웠다. 그러나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을 관장하는 신은 헬리오스이며 태양이 아폴론의 본질적인 속성은 아니다."

(자료 : 아폴론, 네이버지식백과/그리스로마신화 인물백과,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아폴론 신은 포이보스라고도 불리우는데, 포이보스는 티탄신족의 일원인 태양신 헬리오스 신의 이름으로 불리운다 한다. 즉 아폴로 신의 태양신 의미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원천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만으로는 아테네 신이 태양신이라는 것을 유추하기 힘들다. 아테네신은 전쟁의 신으로 도시를 보호하는 신으로서 숭배되어 아테테 신전이 그리스의 여러 도시에, 시실리(시라큐스), 등에 있었다.

 

그런데 아테네 신을 모신 신전이 아테네에 있는 파르테논 신전이다. 로마에 있는 판테온 신전은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을 본 따 건설했다 한다. 그런데 이 로마의 판테온 신전이 태양신을 모신 신전으로 판단된다. (아래 자료 참조) 이를 고려하면 아테네 신이 과거 미케네문명 시절에는 태양신이었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

 

"판테온의 기본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반구는 우주를 상징하며, 거대한 돔의 정상에 뚫린 구멍은 행성의 중심인 태양을 상징한다. 둥근 천장에는 각 격자마다 청동 별들로 장식되어 판테온 내부에서 '우주'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지붕에는 금박을 입혀서 외부에서, 특히 주변의 언덕에서 멀리 봤을 때 태양처럼 보이도록 했으나, 17세기 교황 우르바노 8세가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는 베르니니의 청동 기둥에 사용하기 위해 금박 200톤을 제거해 갔다고 한다...

 

판테온 내부에 들어서면 당시의 탁월한 건축 수준을 알 수 있다. 천장에 뚫린 구멍으로 들어오는 빛은 내부를 고르게 밝혀 주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추는 각도가 변한다. 마치 하늘이 판테온의 내부 공간에 스며들어 오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해 사람들에게 성스러운 신에 대한 경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자료 : 판테온, 네이버지식백과,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그리스)

 

지붕을 통해 태양 빛이 들어 오는 모습은 아케나텐 파라오와 네페르티티 여왕이 빛을 받는 모습의 벽화를 연상하게 한다. 이러한 추정은 이집트 아케나텐 파라오가 태양신 Aten 신을 도입하고 숭상한 것은 결국 미케네문명의 영향을 받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왔거나 하는 추리를 할 수 있다.

 

이집트 신왕국 제 18왕조가 시작되는 BC 1567 년부터 신왕국 마지막 왕조 제20왕조가 끝나는 BC 1070년까지의 기간은, 그리스의 미케네 문명시기이며, 중국사의 상나라 시기이다. 즉 이 시기의 이집트는 그리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추정이다.

 

 

필자의 이러한 Atenism, Atheism, Athena에 대한 탐구는 이집트, 그리스, 인도의 연결고리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까지의 분석은 아케나텐 파라오의 Atenism은 Athenism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Aten 신은 Athen, 즉 Athena신을 의미하지 않을까 한다. Athena신이 태양신이라는 주제는 차후 더 살펴 보고자 한다.

 

또한 Abydos King list에서 힉소스 15왕조의 왕들과 아케나텐왕이 빠져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힉소스왕조의 왕들이 빠진 것은 침략한 외부인왕이라 제외된 것이라면, 아케나텐왕도 그러한 이유이지 않을까 추정된다. 즉 아케나텐의 Aten, Atenism 을 고려할 때, 그리스로부터 온 왕이 아닐까 판단된다.

 

"In The Gallery of Ancestors, also referred to as The Gallery of the List, one can find the Abydos King List. This list is depicted in low relief, carved under the reign of Ramesses II, and it shows Seti and Ramesses making offerings to their royal ancestors.[25] [26] These royal ancestors are the past kings of Egypt. Notably, some rulers, like the 15th Dynasty Hyksos that ruled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1650-1550 BCE and the reign of the 18th Dynasty heretic Akhenaten of the New Kingdom 1550-1069, were omitted from the list, possibly due to being associated with periods of internal weakness and divisions.[27] The Gallery of Ancestors led into the storerooms and the desert behind the temple. "

(source : Abydos, Egypt,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아래 벽화는 Amarna에 있는 벽화인데, 아케나텐이 Sphinx로 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래서 Sphinx에 대해서 좀 살펴 보자.

 

Akhenaten depicted as a sphinx at Amarna (source : Wikipedia)

 

 

스핑크스는 사자 몸에 사람얼굴을 가진 모습이며, 독수리 날개를 가지고 있는 신화속의 창조물이다. 그리스 전통에서는 여성의 얼굴을 가지며, 사자 몸에, 새의 날개를 가지지만, 이집트 신화에서는 남자의 얼굴과 사자의 몸을 가지며, 날개는 없다. 그리스, 레반트지역,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스핑크스가 날개를 가진다. 그리스와 이집트의 스핑크스는 Guardian으로서 생각되어, 주로 신전의 입구에 세워진다. 그러나 스핑크스는 보통 큰 건축물, 왕의 무덤이나 신전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아래 자료 참조)

 

 

 

"A sphinx (/sfɪŋks/ SFINKS; Ancient Greek: σφίγξ, pronounced [spʰíŋks]; Boeotian: φίξ, romanized: phíx, pronounced [pʰíːks]; pl. sphinxes or sphinges) is a mythical creature with the head of a human, the body of a lion, and the wings of an eagle.

In Greek tradition, the sphinx is a treacherous and merciless being with the head of a woman, the haunches of a lion, and the wings of a bird ......

 

In Egyptian mythology, in contrast, the sphinx is typically depicted as a man (an androsphinx (Ancient Greek: ανδρόσφιγξ)), and is seen as a benevolent representation of strength and ferocity, usually of a pharaoh.[citation needed] Unlike Greek or Levantine/Mesopotamian ones, Egyptian sphinxes were not winged.

 

Both the Greek and Egyptian sphinxes were thought of as guardians, and statues of them often flank the entrances to temples.[3]

............

 

However, depictions of the sphinx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grand architectural structures, such as royal tombs or religious temples."

(source : Sphinx,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기자 피라미드의 스핑크스는 동쪽을 향해 있는데, 건축연대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지만, 쿠푸왕 시기, BC 2600-2500 BC 시기로 일반적으로 추정된다. 많은 파라오들은 태양의 신이며, 사자의 화신인 Sekhmet와 긴말한 관계를 과시하기 위해 무덤의 수호자 동상에 자기 얼굴 모습을 새긴다. 기자의 대 스핑크스 외에 다른 유명한 이집트 스핑크스는 Hatshepsut 파라오(여왕) 얼굴을 한 스핑크스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largest and most famous sphinx is the Great Sphinx of Giza, situated on the Giza Plateau adjacent to the Great Pyramids of Giza on the west bank of the Nile River and facing east (29°58′31″N 31°08′15″E). The sphinx is located southeast of the pyramids. While the date of its construction is not known for certain, the general consensus among Egyptologists is that the head of the Great Sphinx bears the likeness of the pharaoh Khafre, dating it to between 2600 and 2500 BC........

 

At the Great Sphinx site, a 1400 BC inscription on a stele belonging to the 18th dynasty pharaoh Thutmose IV lists the names of three aspects of the local sun deity of that period, KheperaAtum. Many pharaohs had their heads carved atop the guardian statues for their tombs to show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werful solar deity Sekhmet, a lioness. Besides the Great Sphinx, other famous Egyptian sphinxes include one bearing the head of the pharaoh Hatshepsut, with her likeness carved in granite...

 

(source : Sphinx,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아래 그리스의 스핑크스에 관련한 기술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기부터 그리스와 이집트는 무역과 문화적 접촉이 있었고, 알렉산더가 이집트를 점령하기 전부터, 그리스 이름 스핑크스라는 조형물이 있었다 한다. 헤로도투스는 이집트문화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기술했다. (아래 자료 참조) Pliny the Elder는 에티오피아가 많은 스핑크스를 만들었다 한다. 그리스 도시 Thebes를 지키는 스핑크스가 있었다 한다. 스핑크스는 에티오피아 homeland에서 Hera와 Ares신이 그리스 Thebes로 보냈다는 구전설화가 있는 것을 보면(아래 자료 참조), 스핑크스에 대한 그리스와 이집트의 깊은 관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케나텐왕이 스핑크스의 모습으로 벽화에 그려진 것을 보면, 아케나텐왕이 그리스와 관련이 깊은 것을 또한 추정할 수 있다.

 

 

"Greece[edit]

In the Bronze Age, the Hellenes had trade and cultural contacts with Egypt. Before the time that Alexander the Great occupied Egypt, the Greek name, sphinx, was already applied to these statues. [citation needed] The historians and geographers of Greece such as Herodotus wrote extensively about Egyptian culture.

There was a single sphinx in Greek mythology, a unique demon of destruction and bad luck. Apollodorus describes the sphinx as having a woman's face, the body and tail of a lion and the wings of a bird.[20] Pliny the Elder mentions that Ethiopia produces plenty of sphinxes, with brown hair and breasts,[21] corroborated by 20th-century archeologists.[22] Statius describes her as a winged monster, with pallid cheeks, eyes tainted with corruption, plumes clotted with gore and talons on livid hands.[23] Sometimes, the wings are specified to be those of an eagle, and the tail to be serpent-headed. [citation needed] According to Hesiod, the Sphinx was a daughter of Orthrus and an unknown she—either the Chimera, Echidna, or Ceto.[24] According to Apollodorus[20] and Lasus,[25] she was a daughter of Echidna and Typhon.....The Sphinx is said to have guarded the entrance to the Greek city of Thebes....

 

It was said in late lore that Hera or Ares sent the Sphinx from her Aethiopian homeland (the Greeks always remembered the foreign origin of the Sphinx) to Thebes in Greece where she asked all passersby the most famous riddle in history...

 

(source : Sphinx,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그런데 스핑크스는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와 관련되었을 뿐 아니라,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아래 기술된다. 남아시아의 인도 산스크리스트어에서 타밀지역, 스리랑카, 팔리어로서 미얀마, 타일랜드 등에서 사자의 형상을 한 인간의 모습을 말하는 언어 등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그리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스핑크스가 사라진 것과 달리, 아시아 스핑크스는 오늘날에도 살아 있다는 것이다. (아래 자료 참조)

 

 

"Asia[edit]

Buddhist sphinx on a stupa gateway, Bharhut, 1st century BC[36]

 

A composite mythological being with the body of a lion and the head of a human is present in the traditions, mythology and art of South and Southeast Asia.[37] Variously known as puruṣamr̥ga (Sanskrit, "human-animal"), purushamirugam (Tamil, "human-animal"), naravirala (Sanskrit, "human-cat") in India, or as nara-simha (Sanskrit, "human-lion") in Sri Lanka, manussiha or manutthiha (Pali, "human-lion") in Myanmar, and norasingha (from Pali, "human-lion", a variation of the Sanskrit "nara-simha") or thep norasingha ("man-lion deity"), or nora nair in Thailand. Although, just like the "nara-simha", she/he has a head of a lion and the body of a human.

In contrast to the sphinxes in Egypt, Mesopotamia, and Greece, of which the traditions largely have been lost due to the discontinuity of the civilization,[38]the traditions related to the "Asian sphinxes" are very much alive today. The earliest artistic depictions of "sphinxes" from the South Asian subcontinent are to some extent influenced by ​Hellenistic art and writings.[39] These hail from the period when Buddhist art underwent a phase of Hellenistic influence. Numerous sphinxes can be seen on the gateways of Bharhut stupa, dating to the 1st century B.C.[36]

In South India, the "sphinx" is known as puruṣamr̥ga (Sanskrit) or purushamirugam (Tamil), meaning "human-animal". It is found depicted in sculptural art in temples and palaces where it serves an apotropaic purpose, just as the "sphinxes" in other parts of the ancient world.[40]

 

.............

 

In Sri Lanka and India,[citation needed] the sphinx is known as narasimha or human-lion. As a sphinx, it has the body of a lion and the head of a human being, and is not to be confused with Narasimha, the fourth incarnation of the deity Vishnu; this avatara or incarnation of Vishnu has a human body and the head of a lion and Vishnu as Narashima killed Hiranyakashipu. The "sphinx" narasimha is part of the Buddhist tradition and functions as a guardian of the northern direction and also was depicted on banners.

 

Burmese depiction of the Manussiha

 

In Burma (Myanmar), the sphinx-like statue, with a human head and two lion hindquarters, is known as Manussiha (manuthiha). It is depicted on the corners of Buddhist stupas, and its legends tell how it was created by Buddhist monks to protect a new-born royal baby from being devoured by ogresses.

Nora Nair, Norasingha and Thep Norasingha are three of the names under which the "sphinx" is known in Thailand. They are depicted as upright walking beings with the lower body of a lion or deer, and the upper body of a human. Often they are found as female-male pairs. Here, too, the sphinx serves a protective function​​."

(source : Sphinx,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고대이집트)

 

 

이러한 아시아에서의 스핑크스의 존재는 결국 남아시아, 동남아시아가 그리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와 관련된 지역이라는 것이다. 필자가 처음에 소개한 편두의 지역 지도에도 이들 지역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지역 모두 고조선의 영역이 아니었나 하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다음 글에서는 투탕카문 파라오와 람세스 2세 시기의 이집트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