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모본왕 (48-53)-나무위키

1. 소개2. 내정3. 폭군 3.1. 역사의 피해자? 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왕은 날이 갈수록 난폭해지고 학대하니,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땐 사람을 베고 누웠다. 사람이 혹이나 움직이면 바로 죽였다. 신하 중 간언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쏴 죽였다." 王日增暴虐, 居常坐人 臥則枕人. 人或動搖 殺無赦. 臣有諫者 彎弓射之. 삼국사기 고구려의 제5대 군주. 민중왕과 마찬가지로 해씨 고구려설 떡밥에 포함된다. 일단《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대주류왕)의 아들이라 한다[4]. 고구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인 삼국사기는 그를 대무신왕의 아들로 칭하고 있으니 현재까지의 정설은 대무신왕의 아들. 어머니는 호동왕자를 시기하여 음모를 꾸며 죽게 만들었다고 알려진 첫째 왕후. 다만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태자 책봉은 차비 소..

<펌> 민중왕 (44-48)-나무위키

1. 소개2. 성씨 논란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내가 죽으면 반드시 이 곳에 묻어라. 다시 능묘를 만들지 마라." 吾死 必葬於此. 不須更作陵墓. 삼국사기에 기록된 임금의 유언. 고구려의 제4대 군주 대무신왕이 죽자 태자(뒷날의 모본왕)의 나이가 어려 즉위했다. 삼국사기에서는 대무신왕의 동생이자 유리명왕의 아들,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자 모본왕의 동생으로 적었다. 하지만 후자가 맞다면 태자가 어려서 즉위했다는 말이 모순이니 오기로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대무신왕의 동생이라고 알려졌다. 2. 성씨 논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성이 해씨라고 한다. 이름이 해색주(解色朱)라 실제로는 고씨가 아니라 해씨라는 설이 있다. 3. 내정 5년 동안 재위했는데 좋은 일은 하나..

<펌>대무신왕 (18-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무신왕(大武神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이칭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무휼(無恤)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후 4년(유리왕 23)사망일기원후 44년(대무신왕 27)경력고구려 태자(기원후 14년), 고구려 제3대 국왕(재위: 18∼44년)관련사건대무신왕 32년에 낙랑군 동부도위 영동7현 공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키워드 무휼(無恤)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다물국왕(多勿國王) 대소(帶素) 개마국(蓋馬國) 개설 일명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도 한다. 재위 기간은 서기 18∼44년이다. 이름은 무휼(無恤)이며, 어머니는 다물국왕(多勿國王) 송양(松讓)의 딸이다. 14년(유리왕 33) 11세 때 태자로 책봉되었다..

<펌>대무신왕 (18-44)-나무위키

1. 소개2. 이름3. 생애 3.1. 왕자 시절3.2. 왕위에 오르다3.3. 정복 전쟁 3.3.1. 부여 정벌3.3.2. 개마국 & 구다국 정벌3.3.3. 낙랑 정벌3.3.4. 신라 침공? 3.4. 중국 세력과의 관계 4. 후계5. 창작물에서의 대무신왕6. 삼국사기 기록7. 참고 항목 1. 소개 고구려 제3대 군주. 고구려 초기의 팽창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왕으로 유명하다. 2. 이름 시호 뜻이 참 거창한데, 풀이하면 '큰 전쟁의 신', 혹은 '큰 무예의 신'이라는 의미다. 최씨낙랑국의 왕 최리는 아예 북국신왕(北國神王)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왠지 시호가 멋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 편. 휘인 무휼도 상당히 멋진 이름이라 평가받는다. 호와 휘는 여러 가지가 전해져 오는데 유래는 다음..

<펌> 유리왕 (BC 19-AD18)-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리왕(琉璃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 19~18) 왕. 이칭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8년경력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19~18) 왕. 키워드 주몽(朱蒙) 예씨(禮氏) 송양(松讓) 치희(雉姬) 황조가(黃鳥歌) 개설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 동명왕(東明王)주몽(朱蒙)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펌> 유리왕 ( BC 19-AD 18)-나무위키

1. 소개 2. 이름 3. 부여 시절과 태자 즉위 4. 치세 4.1. 외치 4.2. 내정 5. 최후 6. 기타 7. 삼국사기 기록 8. 창작물에서의 유리왕 9. 관련 인물 1. 소개 고구려 제2대 군주. 평소 사냥을 좋아했고, 재위 중 줄기차게 한나라, 선비, 부여와 대립했다. 또한 거의 없는 고구려의 시조 황조가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2. 이름 전해지는 이름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출처는 다음과 같다. 표기 현대 한국어 발음 등장 사료 비고 儒留 유류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 공식 표기. 孺留 유류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구려 표기에 가장 근접, 삼국사기 고구려 지리 잡지 기록. 累利 누리 삼국유사 類利 유리 삼국사기, 제왕운기 閭諧 여해 위서 字始閭諧를 '자는 처음에 여해였다.'로 해석 閭達 ..

<펌> 동명성왕 (BC 37-BC 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명성왕(東明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 37~BCE. 19) 왕. 이칭동명(東明), 고주몽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전 58년사망일기원전 19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37~BCE. 19) 왕. 내용 재위 기원전 37∼기원전 19.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라고도 한다. 『국사 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릉비와 모두루묘지에서는 ‘추모왕’이라 하였다. 또한,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

<펌> 동명성왕 (추모왕, 주몽) (BC 37-BC 19)-나무위키

1. 개요2. 칭호 2.1. 성씨2.2. 이름2.3. 묘호, 시호2.4. 기록 원문 3. 생애 3.1. 탄생 설화3.2. 건국3.3. 비류국 병합3.4. 소국 토벌3.5. 태자 책봉3.6. 죽음? 승천? 4. 숭배5. 광개토대왕과의 관계6. 정체에 대한 논란 6.1. 부여 시조 동명왕과의 관계6.2. 해씨? 고씨?6.3. 백제의 태조? 7. 삼국사기 기록8. 구삼국사 기록9. 기타10. 훗날 매체에서의 동명성왕11. 관련인물12. 같이보기 1. 개요 "나는 황천(皇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딸이신 추모 임금이다. 나를 위해 갈대를 엮고 자라를 띄워라!"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郎,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임금의 언령. 광개토대왕릉비 중 발췌. 고구려의 초대 임금으로 전해지..

<펌> 광개토왕 (391-41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광개토왕(廣開土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9대(재위: 391~413) 왕. 중국 지린성 광개토대왕비 동면 이칭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호태왕(好太王), 영락대왕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374년사망일412년(광개토왕릉비)|413년(삼국사기)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9대(재위: 391~413) 왕. 개설 재위 391∼412. 이 재위연대는 「광개토왕릉비」에 근거한 것이며, 『삼국사기』에는 재위기간이 22년임은 같지만 재위연대는 392∼413년으로 실려 있다. 재위기간 동안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므로 재위시에는 영락대왕이라 일컬어졌다. 사후의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본명은 담덕(談德)인데, 중국측 기록에는 ..

<펌> 미천왕 (300-330)-한국민족문화대백과

미천왕(美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5대(재위:300~330) 왕. 이칭호양왕(好壤王), 을불(乙弗),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331년관련사건봉상왕폐위, 낙랑군 복속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5대(재위:300~330) 왕. 키워드 봉상왕 창조리 서안평 현도군 낙랑군 개설 재위 300∼331.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을불(乙弗)·을불리(乙弗利) 또는 우불(憂弗). 서천왕의 손자이며, 고추가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293년(봉상왕 2) 아버지가 봉상왕에 의해 반역 혐의로 죽임을 당하자 피신해 머슴살이·소금장수 등으로 전전하다가, 300년봉상왕이 폐위당하자 국상 창조리(倉助利)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다. 생애 및 ..

<펌> 미천왕 (300-331)-나무위키

1. 개요2. 생애 2.1. 비운의 유소년기2.2. 왕위 등극2.3. 영토 확장2.4. 왕권 강화2.5. 최후 3. 사후4. 미천왕의 무덤? 4.1. 안악 3호분?4.2. 서대총 5. 삼국사기 기록6. 창작물 1. 개요 “나는 야인이지 왕의 후손이 아닙니다. 부디 다시 살펴보십시오.” "予野人 非王孫也. 請更審之." - 창조리 등 신하가 을불을 찾아내자 의심하며 한 말. 삼국사기에 기록된 미천왕의 유일한 말이다. 고구려의 제15대 군주. 몰락한 왕족으로 초년 시절 큰 고생을 겪어야 했지만 복벽에 성공하여 기어이 군주가 되었고, 영토 확장 및 왕권 안정화로 고구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입지전적의 인물이다. 2. 생애 2.1. 비운의 유소년기 서천왕의 차남 돌고의 아들로서 고위 왕족의 신분이었다. 하지만 백..

<펌> 봉상왕 (292-300)-나무위키

1. 개요 2. 치세 3. 폭군이란 평가 4. 삼국사기 기록 5. 각종 매체에서 1. 개요 “국상은 백성을 위해 죽을 것인가? 다시 말하지 않길 바란다.” "國相欲爲百姓死耶? 冀無復言." - 폭정을 그만두라는 창조리의 간언에 웃으며 답한 말. 삼국사기 中 고구려 제14대 군주. 2. 치세 초기 국상 상루가 사망하자 창조리를 국상으로 삼았다. 명장 고노자도 등용하면서 국상 창조리의 건의를 수용하여 그를 신성 태수로 삼았고, 연(燕)의 모용외의 침략을 격퇴하기도 했다. 이 때 서진은 291년 팔왕의 난으로 본격적인 국가 막장 테크를 타고 있었다. 그러나 293년 연나라가 쳐들어왔다. 293년의 1차 침공에서 연의 모용외는 수도로 바로 진격하는 작전을 감행했고, 이에 당황하여 신성(新城)으로 몽진을 떠난 봉상..

<펌> 서천왕 (270-292) - 삼국사기

서천왕 코렐솔라 서천왕[혹은 서양왕이라고도 한다.]의 이름은 약로[약우라고도 한다.]이며, 중천왕의 둘째 아들이다. 성격이 총명하고 어질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그를 아끼고 존경하였다. 중천왕 8년에 태자가 되었고, 23년 겨울 10월에 왕이 별세하였다. 태자가 즉위하였다. 2년 봄 정월, 서부 대사자 우수의 딸을 왕후로 삼았다. 가을 7월, 국상 음우가 죽었다. 9월, 상루를 국상으로 삼았다. 상루는 음우의 아들이었다. 겨울 12월, 지진이 있었다. 3년 여름 4월, 서리가 내려 보리가 피해를 입었다. 6월, 큰 가뭄이 들었다. 4년 가을 7월 초하루 정유일에 일식이 있었다. 백성들이 굶주리므로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 7년 여름 4월, 왕이 신성[어떤 사람은 ‘신성은 동북 지방에 있는 큰 진(鎭)’이라고..

<펌> 서천왕 (270-29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천왕(西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3대(재위: 270~292)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292년관련사건숙신 침입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3대(재위: 270~292) 왕. 개설 재위 270∼292. 또는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약로(藥盧) 혹은 약우(若友)라고 하였다. 중천왕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255년(중천왕 8)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인자하여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왕비는 서부대사자(西部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이다. 271년(서천왕 2) 국상 음우(陰友)가 죽자 그의 아들 상루(尙婁)를 국상으로 삼았고, 273년에는 기근이 들자 창고를 열어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펌> 중천왕 (247-2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중천왕(中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2대(재위:247~270) 왕. 이칭중양왕(中壤王), 연불(然弗)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224년(산상왕 28)사망일270년(중천왕 23)경력왕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2대(재위:247~270) 왕. 키워드 명림어수(明臨於漱) 비류패자(沸流沛者) 음우(陰友) 내용 248년부터 270년까지 재위하였다. 중양왕(中壤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연불(然弗)이다. 동천왕의 아들이다. 243년(동천왕 17)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외모가 준수하고 지략이 있었다. 왕비는 연나부(椽那部) 출신으로 짐작되는 연씨(椽氏)이다. 즉위와 더불어 동생 예물(預勿) 등이 모반하자 이들을 처형하고 왕위를 지켰다. 250년(중천왕 3) 국..

<펌> 중천왕 (248-270)-나무위키

1. 소개 2. 평가 3.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고구려의 제12대 군주. 243년에 태자에 임명되었고, 248년에 동천왕이 승하하자 즉위했다. 248년 음력 11월 동생들인 예물(預物)과 사구(奢句) 등이 모반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모두 처형당했다. 이는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일어난 왕족간의 다툼이 그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고구려는 형제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났지만, 왕권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서서히 부자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쪽으로 대세가 기울었다. 중천왕의 동생들은 이에 반발하여 모반을 일으켰다가 목숨을 잃은 것. 250년 국상(國相)의 권한을 확대하여 수도와 지방의 군권까지 겸하게 하였다. 당시 국상은 명림어수. 251년에 측실 관나부인이 왕후 연씨(王后 椽氏)를 ..

<펌> 동천왕 (227-247)-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천왕(東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1대(재위:227~247) 왕. 이칭동양왕(東襄王), 우위거(憂位居), 위궁(位宮), 교체(郊彘)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209년(산상왕 13)사망일248년(동천왕 22)경력고구려 제11대 국왕(재위: 227∼248년)관련사건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毌丘儉)의 고구려 침공: 244∼245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1대(재위:227~247) 왕. 키워드 산상왕(山上王)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소비(小妃) 공손씨(公孫氏) 개설 동천왕은 ‘동양왕(東襄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이며 아명은 교체(郊彘)이다. 위궁이라는 이름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능히 사물을 본 것이 할아버지뻘인 태..

<펌> 동천왕 (227-248)-나무위키

1. 개요 2. 성격 3. 내정 4. 외교 4.1. 위나라와 충돌하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 삼국사기 기록 7. 기타 1. 개요 고구려의 제11대 군주. 휘는 우위거 혹은 위궁. 위궁은 진수의 삼국지를 따른 것인데 이름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본 것이 증조부인 태조대왕과 닮았기 때문에, 그의 휘인 궁(宮)에서 따온 이름이라 한다.[3] 아명은 교체(郊彘). 교제(郊祭, 제사)에 쓸 돼지와 관련된 사건으로 태어났다는 뜻이다.[4] 삼국사기에선 동양왕(東襄王)이라는 다른 존호도 전한다. 산상왕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소왕후(小王后)이며, 성씨는 전하지 않는다. 213년에 태자로 책봉된 후, 227년 5월, 1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21년간 재위하였..

<펌> 고국원왕 (331-371)-나무위키

1. 소개 2. 시호 3. 굴욕으로 점철된 재위 기간 3.1. 전연의 침입 3.2. 반역 모의 3.3. 평양성에서 맞은 비극적인 최후 4. 북한이 보는 고국원왕 5. 삼국사기에서의 기록 6. 창작물에서 6.1. KBS 대하드라마 근초고왕 6.2. 김진명의 고구려 1. 소개 고구려 왕조 제 16대 임금. 아버지 미천왕이 크게 확장한 영토와 강화한 왕권을 대부분 상실한, 여러모로 아쉬운 군주이다. 그러한 아쉬운 업적만큼 본인 역시 재위 기간 내내 수난과 역경으로 보내다 끝내 전장에서 전사하는 안타깝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비운의 군주이기도 하다. 2. 시호 시호가 여러가지가 전해지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강상왕(岡上王) : 삼국유사 국원왕(國原王) : 삼국유사 고국원왕(故國原王) : 삼국사기 국강상왕(..

<펌> 고국양왕 (384-391)-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3. 삼국사기 기록 4.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고구려 제18대 군주 2. 생애 등극한 고국원왕의 아들 17대 18대 소수림왕(少獸林王) 고국양왕(故國壤王) 故國壤王 諱伊連 【或云於只支】 小獸林王之弟也 小獸林王在位十四年薨 無嗣 弟伊連卽位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이름은 이련(伊連)【혹은 어지지(於只支)라고도 하였다.】이고 소수림왕의 아우이다. 소수림왕이 재위 14년만에 죽었는데 아들이 없었으므로 아우 이련이 즉위하였다. ㅡ《삼국사기》고국양왕 본기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 광개토대왕의 부왕이다. 할아버지랑 형님과 아들과 손자가 워낙 거물급이라 묻히는 감이 있지만 소수림왕에 이어 광개토대왕의 정복 사업을 위한 기반을 단단히 쌓았다. 전왕 소수림왕 시절에는 중국이 부견의 전진이..

<펌> 소수림왕 (371-384) - 나무위키

1. 소개 2. 태자 시절 3. 왕위에 오르다 3.1. 당시 국제 정세 3.2. 내정 안정화 3.3. 백제에 대한 반격 4. 평가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1. 소개 고구려의 제17대 군주.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2] 백제의 고이왕, 신라의 법흥왕, 통일신라의 신문왕과 함께 나라의 기반을 단단히 마련한 개혁 군주 중 한 명이다. 그리고 이런저런 굵직한 업적 덕분에 국사 교육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며 그 때문에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능 응시생이나 공시생들에게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군주이기도 하다. 과장을 좀 보태면 이 임금을 빼놓고는 고구려의 정치사를 논할 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고국원왕 대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로 멸망 테크를 밟던..

<펌> 온조 (r BC 18-AD 28)- 나무위키

1. 개요 2. 출생 2.1. 삼국사기&삼국유사 2.2. 제왕운기 2.3. 해동고승전 2.4. 중국 사서에 등장하는 구태와의 관계 3. 백제 건국 4. 치정 4.1. 외정 4.2. 내정 5. 가계도 6. 삼국사기 기록 7. 기타 8.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마한이 점점 약해지니 상하의 마음이 떠나간다. 그 세력이 오래가지 못할 것인데 만일 타인이 취하면 순망치한의 격이라 후회해도 늦는다. 차라리 먼저 취하여 후환을 없애는 것이 낫다. 馬韓漸弱 上下離心. 其勢不能久 儻爲他所幷 則脣亡齒寒 悔不可及. 不如先人而取之 以免後艱. 마한을 합병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며. 삼국사기 온조왕 본기에서 발췌 680년 백제 왕조의 건국 군주이자 초대/2대[6] 임금·건길지. 고대 삼국의 시조 중 유일하게 탄생 설화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