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주나라 (서주 : BC 1100 - BC 771) -나무위키

1. 개요 2. 周 2.1. 선진시대의 주나라 2.1.1. 개요 2.1.2. 서주: 등장과 통치의 기틀 2.1.3. 동주 2.1.3.1. 춘추시대 2.1.3.2. 전국시대 2.1.4. 주나라의 유산 2.1.5. 역대 군주 2.1.6. 계보 2.2. 소주(小周) 2.2.1. 역대 군주 2.3. 북주(北周) 2.4. 무주(武周) 2.4.1. 역대 황제 2.4.2. 추존 황제 2.5. 후주(後周) 2.6. 장주(張周) 2.7. 오주(吳周) 2.7.1. 역대 황제 2.7.2. 같이보기 3. 邾 3.1. 개요 3.2. 역사 3.3. 역대 군주 4. 州 1. 개요 주를 국가 이름으로 쓴 국가들. 시대 순으로 배열한다. 2. 周 2.1. 선진시대의 주나라 주 周[1] 주(周)의 강역[2]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

서주(1100-771BC) 2020.09.01

<펌> 분서왕 (298-304) - 나무위키

1. 개요 2. 업적 3. 죽음 3.1. 황창랑에게 살해 당했다? 4. 삼국사기 기록 5. 기타 1. 개요 백제의 제10대 국왕 / 건길지. 2. 업적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의표(儀表)가 뛰어나 부왕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한군현(漢郡縣) 세력의 침입을 막다가 부왕인 책계왕이 전사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즉위한 298년 10월에 대규모 사면령을 내려 민심을 다잡았다. 299년 동명묘에 참배했다. 302년 4월 혜성이 대낮에 떨어지는 기상이변이 있었다. 304년 2월에 낙랑군(樂浪郡)의 서쪽 현(西縣)을 공격하여 이를 점령하였다. 사실상 유일한 업적..인데 이 사건이 분서왕의 죽음을 재촉한 것으로 보인다. 3. 죽음 아들인 분서왕도 아버지인 책계왕과 마찬가지로 낙랑 등 한군현 세력에 대하여 강경책을 폈던 ..

<펌> 책계왕 (286-298)-나무위키

1. 개요 2. 군사 3. 내정 4. 그 외 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대방은 우리 장인의 나라이므로 요청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帶方我舅甥之國 不可不副其請." 대방의 구원 요청을 받고 한 말. 삼국사기 책계왕본기에서 발췌 백제의 제9대 국왕 / 건길지 일명 청계(靑稽) 또는 책체(責替)라고도 한다. 고이왕의 맏아들이며 체구가 장대하고 의지가 굳세었다고 한다. 2. 군사 286년(책계왕 1년)에 고구려가 대방을 공격하는데, 책계왕은 대방왕의 딸 보과를 아내로 삼은 상태였기 때문에 대방왕은 사위인 그에게 구원군을 요청한다. 책계왕은 이에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 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맞붙은 첫번째 기록이다. 그리고 책계왕의 대방군 구원때문에 고구려와의 사이가 나빠졌다. 책계왕 이전까지..

<펌>흘해이사금 (310-356)-나무위키

우리 가문을 부흥시킬 자는, 반드시 이 아이일 것이다. 興吾家者, 必此兒也. 용모, 재능 모든 것이 출증한 자식을 본 아버지 우로의 말이다. 1. 개요 2. 석씨 왕실의 몰락 3. 재위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6대 왕. 삼국유사에 따르면 이사금 칭호를 쓴 마지막 왕이다. 또한 신라 역사상 석씨 왕실의 마지막 왕으로, 아버지는 석우로이고 어머니는 조분 이사금의 장녀 명원부인(命元夫人)이라 하고 있다.[1] 삼국사기 기년으로만 보면 의문은 생긴다. 삼국사기 석우로 열전에서는 석우로가 죽을 때 흘해는 어려서 걷지도 못했다고 하는데, 여기서 석우로는 249년 혹은 253년 경에 죽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가 죽은 딱 그 해에 유복자로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흘해 이사금이 죽을 때의 나이는 1..

<펌> 기림이사금 (298-310)-나무위키

1. 개요 2. 업적3.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5대 왕. 칭호는 이사금. 제14대 유례 이사금부터 석씨 왕실의 마지막 왕이었던 제16대 흘해 이사금까지 3명의 왕들의 자세한 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미추 이사금 이후에는 김씨가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고, 이후 석씨 왕실이 무너지고 김씨가 왕실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석씨 왕실의 계보가 실전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기림 이사금은 조분 이사금의 아들, 손자, 증손자라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나이 차이로 보아 아들일 가능성은 적고 일반적으로 삼국유사가 걸숙을 누락한 것으로 본다.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설을 따르면 아버지는 이찬 걸숙인데, 삼국사기에는 걸숙이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는 주장도 함께 싣고 있다. 2. 업적 300년 ..

<펌> 유례이사금 (284-298)-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2.1. 출생 설화 - 가공의 왕? 2.2. 이서고국과의 전쟁 2.3. 왜국 원정 시도 3. 삼국사기의 기록 "왜인이 자주 우리의 성읍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가 없다. 나는 백제와 함께 도모해서 일시에 바다를 건너 그 나라에 들어가 공격하고자 하는데, 어떠한가?" (倭人屢犯我城邑 百姓不得安居. 吾欲與百濟謀 一時浮海 入擊其國 如何?) 295년, 왜의 침략이 늘어나자 한 말. 하지만 물을 건너 멀리 가야 한다는 점과 백제가 배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결국 포기한다. 단, 왜국측의 사서인 《연대기(年代記)》에서는 유례왕 시절 신라가 일본의 오사카까지 침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 개요 신라의 제14대 왕. 칭호는 이사금. 제11대 조분 이사금의 아들로, 어머니는 나음 갈..

<펌> 미추이사금 (261-284)-나무위키

1. 개요 2. 미추 이사금의 치세 3. 전(傳) 미추왕릉 4. 설화 5. 가공의 왕인가? 6. 삼국사기 기록 7. 같이 보기 1. 개요 신라의 13대 이사금이자 기록상 최초로 등장한 김씨 왕.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의 6세손(=6대손)[2]이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한 김구도(仇道)의 아들. 미추 외에도 다른 한자 표기로 미조(未照) 혹은 미소(未召)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이칠 갈문왕(伊柒 葛文王)의 딸인 술례부인 박씨이다. 왕비는 전전대 왕인 조분 이사금의 둘째딸인 광명부인(光明夫人)인데, 아무래도 박씨 시대에 석씨인 탈해 이사금이 남해 차차웅의 사위로서 왕위에 오른 것처럼, 그 역시 석씨 왕실의 사위로서 왕위에 오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신라 초기는 전왕의 사위가 왕위에 오르는 사례가 많았..

<펌> 첨해이사금 (247-261)-나무위키

1. 개요 2. 왕위 계승 3. 석연찮은 석우로의 죽음 4. 이후 5. 의문의 최후 6.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2대 임금으로 칭호는 이사금. 성씨는 석씨로 아버지는 벌휴 이사금의 장남 골정,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의 딸인 김씨 옥모부인이다. 전왕 조분 이사금의 친동생. 2. 왕위 계승 첨해 이사금(沾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조분왕(助賁王)의 친동생이다. 沾解尼師今立 助賁王同母弟也 원년(서기 247) 가을 7월, 시조묘에 참배하고,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봉하였다. 元年 秋七月 謁始祖廟 封父骨正爲世神葛文王 즉위하고 두 달 만인 247년 7월에 아버지 골정을 세신 갈문왕에 봉했다. 그런데 신라에 시호 개념은 진흥왕 때나 들어오는지라 이전까지 모든 갈문왕명은 물론 왕명..

<펌> 조분 이사금 (r 230-247)-나무위키

1. 개요 2. 업적 3.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2. 업적 여러모로 대외 전쟁이 활발했는데, 조분 이사금 본인의 업적보다는 이 전쟁을 주도했던 석우로의 일이 많다. 훗날의 이사부나 김유신처럼 일 날 때마다 불려가는 정도.[5] 석우로는 서불한(이벌찬의 별칭)까지 오르고 병마사도 해봤고, 조분 이사금의 큰사위이기 때문에 다음 왕위 계승자로 유력했으나, 결국 조분의 친동생인 첨해(첨해 이사금)가 다음 왕이 되었다. 231년에 석우로를 대장군으로 삼아 감문국[6]을 정벌하고, 236년에 골벌국[7]을 병합해 마침내 경상북도 일대를 거의 장악하고 내륙 일대까지 신라가 깊숙히 진출하게 된다. 또 232년과 233년에 두 차례 왜의 침입을 막고, 즉위 16년(245년) 10월에 고구려..

상대 (BC 57-AD225)의 신라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I)

[2] 상대의 신라(BC57 - AD 225)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I) 3. 기원후 2세기의 신라와 파르티마 제국 1) 지마이사금 (AD 112-13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113 : 백제 (로마)와의 화해 (2) AD 115-116 : 가야와의 전쟁 (3) AD 121-123 : 왜국과 전쟁과 강화 (4) AD 125 : 말갈과 전쟁과 백제의 지원 (5) AD 120-132 : 정변의 상황 2) 일성이사금 (AD 134-15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 제국 (1) AD 137-142 : 말갈과 전쟁 (2) AD 138 : 북쪽의 태백산에서 제사 (3) AD 141, 149, 154 : 정변의 조짐 3) 아달라이사금 (AD 154-18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