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진평왕 (579-632)-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632년 사망 신라 국왕 성골 불교도 군주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진평왕(眞平王) 연호 건복(建福) 성씨 김(金) 휘 백정(白淨)[1] 왕후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 왕녀 김덕만, 김천명, 김선화(?)[2] 아버지 김동륜 어머니 김만호 동생 김백반, 김국반 신장 11척(2m 53cm)[3] 묘지 한지(漢只) 생몰년도 음력 ?년 ~ 632년 정월(?)[4] 재위기간 음력 579년 ~ 632년 정월 (54년) 1. 개요 2. 치세 2.1. 즉위 2.2. 내치 2.3. 위기와 극복 2.4. 일본과의 전쟁 기록 3. 이야깃거리 3.1. 초인 3.2. 긴 재위 기간 3.3. 유니크 아이템 3.4. 딸부잣집 3.5. 골품제 3.6. 일화들 3.6.1. 비형..

<펌>진지왕 (576-579)-나무위키

분류 신라 국왕 폐위된 군주 불교도 군주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진지왕(眞智王) 연호 홍제(鴻濟)[1] 성씨 김(金) 휘 사륜(舍輪) / 금륜(金輪) 왕후 지도부인(知刀夫人, 知道夫人) 박씨, 도화랑(桃花娘)(?)[2] 왕자 김용춘(金龍春), 비형랑(鼻荊郞)(?)[3] 부왕 진흥왕 모후 사도부인(思道夫人) 박씨 묘지 영경사(永敬寺) 북쪽 생몰년도 음력 ? ~ 579년 7월 17일 재위기간 음력 576년 ~ 579년 7월 17일 (4년) 1. 개요 2. 이름에 대한 이모저모 3. 생애 3.1. 왕위에 오르다 3.2. 재위 기간 3.3. 폐위와 의문 4. 가족 관계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1. 드라마 선덕여왕 6.2. 드라마 대왕의 꿈 7. 같이보기 1. 개요 신라..

<펌>진흥왕 (540-576)-나무위키

분류 534년 출생 576년 사망 신라 국왕 불교도 군주 신라 국왕 시호 진흥왕(眞興王) 존호 진흥태왕(眞興太王)[1] 법명 법운(法雲)[2] 연호 건원(建元: 540년 ~ 551년)[3] 개국(開國 : 551년 ~ 568년)[4] 대창(大昌 : 568년 ~ 572년) 홍제(鴻濟 : 572년 ~ 576년)[5] 성씨 김(金) 휘 삼맥종(彡麥宗) / 심맥부(深麥夫) 왕후 사도부인(思道夫人) 박씨 소비 부여씨[6] 왕태자 김동륜(金銅輪, 東輪) 왕자 김사륜(金舍輪), 김구륜(金仇輪) 부왕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모후 지소부인(只召夫人) 김씨 동생 숙흘종, 만호부인 묘지 애공사 북봉(哀公寺 北峯) 생몰년도 음력 534년 ~ 576년 8월 (42세) 재위기간 음력 540년 ~ 576년 8월 (36년) 1. ..

<펌>법흥왕 (514-540)-나무위키

분류 신라 국왕 마립간 487년 출생 540년 사망 불교도 군주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법흥왕(法興王) 존호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1] 무즉지태왕(另卽智太王)[2] 성법흥대왕(聖法興大王)[3] 대성법왕(大聖法王)[4] 모태왕(募泰王)[5] 연호 건원(建元) 성씨 김(金) 모(牟), 무(另), 모(募)[6] 휘 모태(募泰), 모진(募秦), 모즉(牟卽), 무즉(另卽)[6] 좌리지(佐利遲)[8] 원종(原宗) 왕후 보도부인(保刀夫人) 김씨 왕녀 지소부인(只召夫人) 부왕 지증왕 모후 연제부인(延帝夫人) 박씨 묘지 애공사 북봉(哀公寺 北峯) 생몰연도 음력 487년 ~ 540년 7월(52-53세) 재위기간 음력 514년 ~ 540년 7월 (26년) 1. 개요 2. 호칭 3. 업적 3.1. 중앙 ..

<펌> 지증왕 (500-514)-나무위키

분류 신라 국왕 마립간 갈문왕 437년 출생 514년 사망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신라 추존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지증왕(智證王) 존호 지도로 갈문왕(智度路 葛文王)[1][2] 별호 지정 마립간(智訂 麻立干) 성씨 김(金) 휘 지대로(智大路) / 지도로(智度路) / 지철로(智哲老) 왕후 연제부인(延帝夫人) 박씨 왕자 김원종(金原宗), 김입종(金立宗) 부왕 습보 갈문왕(習寶 葛文王) 모후 조생부인(鳥生夫人) 김씨 생몰년도 음력 437년 ~ 514년 7월 (76-77세) 재위기간 음력 500년 ~ 514년 7월 (14년) 1. 개요 2. 크나큰 업적 2.1. 순장 폐지(502년) 2.2. 우경법 실시(502년) 2.3. '왕' 칭호를 사용(503년) 2.4. '신라' 국호 확정(503..

<펌>소지마립간 (479-500)-나무위키

분류 마립간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비처 마립간(毗處 麻立干) 성씨 김(金) 휘 소지(炤知) / 비처(毗處) 왕후 선혜부인(善兮夫人) 부왕 자비 마립간 생몰년도 음력 ?[1] ~ 500년 11월 재위기간 음력 479년 ~ 500년 11월 (21년) 1. 개요 2. 재위 3. 오기일(정월 대보름) 4. 소지 마립간과 처녀 벽화 5. 삼국사기 기록 6. 창작물 1. 개요 신라 제21대 임금. 칭호는 마립간. 자비 마립간의 아들[2]로, 다른 한자 표기로 비처(毗處) 마립간으로도 불린다. 炤가 '밝다'라는 뜻이므로 '비처'라는 이름은 고유어 '빛'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물론 炤 자체가 음차로 많이 쓰이던 한자이고 知가 고유어 존칭어미의 음차이기 때문에 "빛"과 ..

<펌>자비마립간 (458-479)-나무위키

분류 마립간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자비 마립간(慈悲 麻立干) 성씨 김(金) 휘 자비(慈悲) 왕후 왕후 김씨 왕자 김소지(金炤知) 부왕 눌지 마립간 모후 아로부인(阿老夫人) 김씨 생몰년도 음력 425년(?) ~ 479년 2월 3일 재위기간 음력 458년 ~ 479년 2월 3일 (21년) 1. 개요 2. 생 3. 기타 4. 삼국사기 기록 5. 대중 매체 1. 개요 신라의 제20대 왕. 칭호는 마립간. 2. 생애 눌지 마립간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실성 마립간의 딸 아로부인이다. 이름은 김자비. 자비(사랑하고 불쌍히 여김)와 한자까지 같아서 부왕인 눌지 마립간이 노렸거나, 아니면 고구려의 유리명왕과 같이 실제 이름은 한자가 달랐는데 발음이 비슷하고 뜻이 좋은 글자를 택했을 가능성도 있다. 본래..

<펌> 눌지 마립간 (417-458)-나무위키

분류 마립간 불교도 군주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눌지 마립간(訥祇 麻立干) 별호 내지왕(內只王) / 내지왕(乃智王) 성씨 김(金) 휘 눌지(訥祇) / 내지(內只) / 내(乃) 왕후 아로부인(阿老夫人) 김씨 왕자 김자비(金慈悲) 왕녀 조생부인(鳥生夫人), 성국공주(成國公主)(?)[1] 부왕 내물 마립간 생몰년도 음력 396년(?) ~ 458년 8월 재위기간 음력 417년 ~ 458년 8월 (41년) 1. 개요 2. 생애 2.1. 즉위 이전 2.2. 재위 2.2.1. 내정 2.2.2. 외정 2.2.2.1. 백제와 손을 잡고 고구려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다 2.2.2.2. 왜국과의 관계 3. 죽음과 왕릉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9대 왕. 칭호는 마립간, 이름은 김눌지다. 포항 냉..

<펌> 실성 마립간 (402-417)-나무위키

분류 마립간 살해된 인물 폐위된 군주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실성 마립간(實聖 麻立干) 별호 실주왕(實主王) / 파사매금(波沙寐錦)[1] 성씨 김(金) 휘 실성(實聖) / ○보금(○寶金) 왕후 아류부인(阿留夫人) 왕녀 아로부인(阿老夫人) 아버지 김대서지(金大西知) 어머니 이리생부인(伊利生夫人) 석씨[2] 생몰연도 음력 ? ~ 417년 5월 재위기간 음력 402년 ~ 417년 5월 (16년) 1. 개요 2. 생애 2.1. 즉위 전 2.2. 재위 2.3. 일본서기 신공기 관련 기록 3. 평가 4. 삼국사기 기록 5. 창작물 1. 개요 신라의 제18대 왕. 김알지의 후손(예손)으로, 아버지는 최초의 김씨 왕인 미추 이사금의 동생 이찬 대서지(大西知)[3], 어머니는 아찬 석등보(昔登保)의 딸인..

<펌>내물 마립간 (356-402)-나무위키

분류 마립간 이사금 경주 김씨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내물 마립간(奈勿 麻立干) / 나밀 마립간(那密 麻立干) 성씨 김(金) 휘 내물(奈勿) / 나밀(那密) 왕후 보반부인(保反夫人) 왕태자 김눌지(金訥祇)[1] 왕자 김복호(金卜好), 김미사흔(金未斯欣) 아버지 김말구(金末仇) 어머니 휴례부인(休禮夫人) 생몰년도 음력 ? ~ 402년 2월 재위기간 음력 356년 ~ 402년 2월 (47년) 1. 개요 2. 생애 2.1. 계보 2.2. 재위 3. 내물왕릉 4. 호칭 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위두(衛頭)를 부(苻)씨 진(秦: 전진)나라에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부견(苻堅)이 위두에게 물었다. “경(卿)이 말하는 해동(海東)의 일이 옛날과 같지 않으니 어찌된 것인가?” 위두가 대답하였다. ..

<펌> 계왕 (344-346)-나무위키

분류 백제 국왕 346년 사망 기타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계왕(동음이의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契王 계왕 성씨 부여(扶餘) / 우(優)(?) 휘 계(契) 부왕 분서왕(汾西王) 생몰년도 음력 ? ~ 346년 9월 (미상) 재위 기간 음력 344년 10월 ~ 346년 9월 (2년) 1. 개요 2. 생애 3. 현왕과의 동일인물설 4. 삼국사기 기록 5. 대중 매체에서 5.1. 근초고왕(드라마) 1. 개요 백제의 제12대 국왕이자, 건길지. 분서왕의 장남. 2. 생애 낙랑에 강경책을 고수하던 분서왕이 304년 낙랑에서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당했는데, 당시에는 분서왕의 아들들이 아직 너무 어려 차기 왕위는 민간인 신분이었던 비류왕에게 돌아간다. 이 비류왕은 한동안 끊어..

<펌> 개로왕 (455-475)-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475년 사망 백제 국왕 불교도 군주 전쟁 사망자 사형된 군주 참수된 인물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蓋鹵王 개로왕 별호 근개루왕(近蓋婁王) 성씨 부여(扶餘) 휘 경사(慶司) · 경(慶)[1] / 개로(蓋鹵)[2] · 개로(盖盧)[3] / 개루(蓋婁) / 가수리(加須利)[4] 왕후 대후(大后)[5], 부인 우씨(?)[6] 자녀 왕자[7], 공주[8], 부여문주(扶餘文周)[9], 부여곤지(扶餘昆支)[10], 부여사마(扶餘斯麻)[11] 부왕 비유왕(毗有王) 사망지 아차성(阿且城) 생몰연도 음력 ? ~ 475년 9월 재위기간 음력 455년 9월 ~ 475년 9월 (21년) 1. 개요 2. 재위 초기 3. 비참했던 최후 3.1. 북위에 고구려 침공을 요청하다 3.2. 고구려의 분노 ..

<펌> 비유왕 (427-455)-나무위키

분류 백제 국왕 455년 사망 의문사한 인물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毗有王 비유왕 성씨 부여(扶餘) 휘 비유(毗有) / 비(毗)[1] 왕자 부여경사(扶餘慶司), 부여문주(扶餘文周)[2], 부여곤지(扶餘昆支)[3] 부왕 구이신왕(久爾辛王) / 전지왕(腆支王)[4] 생몰연도 음력 420년(?) ~ 455년 9월 재위기간 음력 427년 12월 ~ 455년 9월(29년) 1. 개요 2. 생애 3.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20대 왕이자, 건길지. 백제 제11대 국왕 비류왕과는 다른 인물이다. 살았던 시대도 다르고 각각 한자 표기도 다르다. 발음 자체가 만요가나 기준으로 비류왕이 ヒル, 비유왕이 ヒウ로 음가가 비슷해서 잘 혼동되는 듯. 2. 생애 그의 출생에 대해 《삼국사기》에 따르면 '..

<펌> 구이신왕 (420-427)-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427년 사망 백제 국왕 의문사한 인물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久爾辛王 구이신왕 성씨 부여(扶餘) 휘 구이신(久爾辛) / 기(奇)(?)[1] 왕자 부여비유(扶餘毗有)(?)[2] 부왕 전지왕(腆支王) 모후 팔수부인(八須夫人) 생몰연도 음력 ? ~ 427년 12월 재위기간 음력 420년 3월 ~ 427년 12월 (8년) 1. 개요 2. 생애 3. 치세 4. 목만치의 전횡? 5. 생몰년도에 대한 의문점 6.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19대 국왕(건길지). 2. 생애 전왕 전지왕의 맏아들로 약 8년간 재위했으나 즉위했다, 죽었다 외에 별다른 기록이 없다. 427년 12월에 사망했는데, 정치적 입지가 굉장히 불안했던 구이신왕이 차기 왕인 비유왕에게 암살됐다는 설도 있다. ..

<펌> 전지왕 (405-420)-나무위키

분류 백제 국왕 420년 사망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腆支王 전지왕 성씨 부여(扶餘) 휘 전지(腆支) · 직지(直支)[1] · 영(映)[2] / 진지(眞攴)[3] 왕후 팔수부인 목씨(八須夫人)[4] 왕자 부여구이신(扶餘久尒辛), 부여비유(扶餘毗有)[5] 부왕 아신왕(阿莘王) 생몰연도 음력 ? ~ 420년 3월 재위기간 음력 405년 9월 ~ 420년 3월 (15년) 1. 개요2. 생애3.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18대 국왕이자, 건길지. 아신왕의 아들. 치세 기간 동안 이렇다 할 전쟁이나 사건이 없다. 임성태자(아좌태자)의 가문인 토요타씨 족보에는 백제 제2•4대 국왕으로 나와있다. 참고로 1대는 동명성왕이고 3대는 아신왕. 중국 측 사서에 백제열전이 따로 생기기 시작하는 시점..

<펌> 아신왕 (392-405)-나무위키

분류 백제 국왕 405년 사망 불교도 군주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阿莘王 아신왕 성씨 부여(扶餘) 휘 아신(阿莘) · 아방(阿芳) / 아화(阿花)[1] · 아미(阿美)[2] / 휘(暉)(?)[3] 왕자 부여전지(扶餘腆支), 부여신(扶餘信)[4], 신제도원(新齊都媛)[5] 부왕 침류왕(枕流王) 모후 왕후 진씨(王后 眞氏) 왕후 왕후 해씨(王后 解氏) 출생지 한성 별궁(漢城 別宮) 생몰연도 음력 370년(?)[6] ~ 405년 9월 (36세(?)) 재위기간 음력 392년 11월 ~ 405년 9월 (13년) "관미성은 우리 북방 끝의 요새이다. 오늘은 고구려의 가지고 있는 바가 되었다. 이는 과인의 슬픔이 아플 정도인 바이니, 경의,, 마땅히 마음을 쓰는 바로 부끄러움을 씻도록 하라" "關彌城..

<펌> 진사왕 (385-392)-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392년 사망 백제 국왕 중국 위나라의 진사왕(陳思王)에 대한 내용은 조식(삼국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辰斯王 진사왕 성씨 부여(扶餘) 휘 진사(辰斯) / 휘(暉)(?)[1] 부왕 근구수왕(近仇首王) 모후 아이부인(阿爾夫人) 사망지 구원 행궁(狗原 行宮) 생몰연도 음력 ? ~ 392년 11월 재위기간 음력 385년 11월 ~ 392년 11월 (8년) 1. 개요 2. 생애 3. 삼국사기 기록 4. 가족관계 5. 기타 1. 개요 백제의 제16대 국왕이자 건길지. 전왕 침류왕의 동생이자 근구수왕의 차남. 2. 생애 삼국사기에는 “침류왕이 승하했는데 태자(훗날 아신왕)가 어리므로 숙부인 진사가 왕위에 올랐다(枕流之薨也 太子少 故叔父辰斯卽位)”라고 기록되어..

<펌> 침류왕 (384-385)-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385년 사망 백제 국왕 불교도 군주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枕流王 침류왕 성씨 부여(扶餘) 휘 침류(枕流) 왕후 왕후 진씨(眞氏) 왕자 부여아신(扶餘阿莘), 부여훈해(扶餘訓解)[1], 부여설례(扶餘碟禮)[2], 부여홍(扶餘洪)[3] 부왕 근구수왕(近仇首王) 모후 아이부인(阿爾夫人) 생몰연도 음력 ? ~ 385년 11월 재위기간 음력 384년 4월 ~ 385년 11월 (2년) 1. 개요2. 생애3.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15대 왕이자 건길지. 선왕 근구수왕의 장남이다. 2. 생애 침류왕의 업적으로 거의 유일하면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으로 백제가 드디어 불교를 공인한 기록이다. 동진(東晉)을 거쳐 온 인도 출신 승려 마라난타를 대접하여 불교를 수입했다는 것...

<펌> 근구수왕 (재위 : 375-384)-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384년 사망 백제 국왕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近仇首王 근구수왕 성씨 부여(扶餘) 휘 구수(仇首) · 수(須)[1] / 귀류(貴流) · 구소(久素)[2] / 귀수(貴首) · 귀수(貴須)[3] 왕후 아이부인(阿爾夫人) 왕자 부여침류(扶餘枕流), 부여진사(扶餘辰斯) 부왕 근초고왕(近肖古王) 모후 왕후 진씨(王后 眞氏) 생몰연도 음력 320년대 이전[4] ~ 384년 4월 (60~70대 추정) 재위기간 음력 375년 11월 ~ 384년 4월 (9년) 1. 개요 2. 생애 2.1. 태자시절 2.2. 왕위에 오른 후 3. 삼국사기 기록 4. 대중매체에서 4.1. 근초고왕(드라마)4.2. 천년의 신화 1. 개요 오늘 이후, 누가 어려움을 극복하여 다시 이곳[5]에 오겠는가? 今日之..

<펌> 근초고왕 (346-375)-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375년 사망 백제 국왕 본 문서는 실존 인물 근초고왕을 다루고 있습니다. 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근초고왕(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近肖古王 근초고왕 성씨 부여(扶餘) 휘 초고(肖古) / 구(句)[1] / 속고(速古)·배고(背古)[2] / 조고(照古)[3] 왕후 왕후 진씨(眞氏) 왕자 부여구수(扶餘仇首) 부왕 비류왕(比流王) 생몰 음력 300년대 초[4] ~ 375년 11월 (70 여세) 재위 음력 346년 9월 ~ 375년 11월 (29년 2개월) 1. 개요 2. 생애 2.1. 내치의 안정 2.2. 마한 정복 - 온조왕의 모델? 2.3. 남방의 평정 - 신공황후의 모델? 2.4. 고구려와의 전쟁 2.5. 일본 규슈 진출 2.6. 중국 산..

<펌>비류왕 (304-344)-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344년 사망 백제 국왕 百濟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比流王 비류왕 성씨 부여(扶餘) / 우(優)(?)[1] 휘 비류(比流) 왕자 부여초고(扶餘肖古) 부왕 구수왕(仇首王)(?)[2] 생몰년도 음력 ? ~ 344년 10월 (미상) 재위 기간 음력 304년 10월 ~ 344년 10월 (41년) 1. 개요 2. 계보상의 미스터리 2.1. 비류의 모델이 된 인물인가? 3. 업적 4. 자연 재해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1. 드라마 근초고왕 1. 개요 백제의 제11대 국왕이자, 건길지. 백제의 시조 온조의 형인 비류나 제20대 왕 비유왕과는 다른 인물이다. 살았던 시대도 다르고 각각 한자 표기도 다르다. 윌리엄 백스터(William Baxter)와 로랑 사가르(..

<펌> 안장왕 (519-531) - 나무위키

분류 고구려 국왕 531년 사망 시호 안장왕(安臧王) 성씨 고(高) 휘 흥안(興安) 생몰연도 음력 ? ~ 531년 5월[1] 재위기간 음력 519년 ~ 531년 5월[2](12년) 1. 개요 2. 생애 2.1. 최대 강역(?) 3. 최후 4. 안장왕의 연애 전쟁 4.1. 삼국사기에서의 언급 4.2. 조선상고사의 해당 내용 5. 평가 6.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고구려의 제22대 왕. 전성기를 이룩한 선왕들의 치적에 가려 과소평가받는 측면이 있지만, 실제로는 고구려 전성기의 마지막을 장식한 군주이다. 오히려 부왕 때 백제에게 여러 번 패전하며 전세가 미묘해진 것을 그대로 갚아주며 다시 우세를 되찾았다. 그러나 안장왕 사후 왕위에 오르는 동생 안원왕 시기부터 왕위 계승을 두고 내분이 일어나 국력이 떨어지고..

<펌> 문자명왕 (491-519)- 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519년 사망 고구려 국왕 시호 문자명왕(文咨明王) 명치호왕(明治好王) 성씨 고(高) 휘 나운(羅雲) / 개운(个雲) / 운(雲) 왕태자 고흥안(高興安) 왕자 고보연(高寶延) 공주 안학공주(安鶴公主) 생몰연도 음력 ? ~ 519년[1] 재위기간 음력 491년 12월 ~ 519년(28년) 1. 개요 2. 소개 3. 전성기 3.1. 최대 영토의 주인공? 3.2. 불교 정책 4. 실패가 거듭된 대외 정책 4.1. 상실되는 주변국 통제력 4.2. 지지부진한 남진정책 4.3. 외교 5. 평가 6.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고구려 제 21대 군주. 삼국사기 기록상으론 한국사 최초로 태손(太孫)으로서 성장하였다. 2. 소개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명리호(明理好)', '개운(个雲)', '고운(高雲)' ..

<펌> 장수왕 (413-491) - 나무위키

분류 394년 출생 491년 사망 고구려 국왕 지린성 출신 인물 고구려 역대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시호 장수왕(長壽王) 성씨 고(高) 휘 거련(巨連, 巨璉) / 연(璉) 출생지 국내성 왕궁 왕태자 고조다(高助多) / 고공(高共) 태손 (太孫) 고나운(高羅雲) 생몰연도 음력 394년 ~ 491년 12월 (96-97세) 재위기간 음력 413년 10월 ~ 491년 12월 (78년 2개월) 1. 개요 2. 시호와 휘 3. 압도적인 재위기간 4. 치세 4.1. 내치 4.1.1. 평양성 천도 4.1.2. 내부 분쟁의 가능성? 4.1.3. 국호 변경 4.2. 외정 4.2.1. 남진 정책 4.2.1.1. 관련 문서 4.2.2. 왜와 교섭 4.2.3. 남북조시대의 고구려 4.3. 지두우 분할 시도 5. 평가 6...

<펌> 양원왕 (545-559)-위키

양원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8월) 고구려 양원왕 高句麗 陽原王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자녀종교 지위 고구려의 제24대 국왕 재위 545년 음력 3월~559년 대관식 양원왕(陽原王) 전임자 안원왕(安原王) 후임자 평원왕(平原王) 부왕 안원왕(安原王) 이름 휘 고평성(高平成) 이칭 성(成) 별호 ? 묘호 양원왕(陽原王) 시호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양강왕(陽崗王)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

<펌> 안원왕 (531-545)-위키

안원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안원왕 高句麗 安原王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 지위 고구려의 제23대 국왕 531년~545년 안원왕(安原王) 전임자 안장왕(安臧王) 후임자 양원왕(陽原王) 부왕 문자명왕(文咨明王) 이름 휘 고보연(高寶延) 이칭 연(延) 별호 ? 묘호 안원왕(安原王) 시호 곡향강상왕(鵠香岡上王) 향강상왕(香岡上王) 안강상왕(安岡上王) 안악상왕(安岳上王)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545년 사망지 ?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문자명왕(文咨明王) 모친 ? 배우자 정부인(正夫人) 중부인(中夫人) 안원왕(安原王, ~ 545년, 재위 : 531년 ~ 545년)은 고구려의..

<펌> 안장왕 (519-531)-위키

안장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안장왕 高句麗 安臧王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자녀종교 지위 고구려의 제22대 국왕 재위 519년~531년 대관식 안장왕(安臧王) 전임자 문자명왕(文咨明王) 후임자 안원왕(安原王) 부왕 문자명왕(文咨明王) 이름 휘 고흥안(高興安) 이칭 안(安) 별호 ? 묘호 안장왕(安臧王) 시호 안장왕(安臧王)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531년 사망지 ?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문자명왕(文咨明王) 모친 ? 배우자 왕후 한씨(王后 漢(韓)氏 자녀 복귀군(福貴君) 고부려(高夫連) 종교 불교(佛敎) 안장왕(安臧王, ? ~ 531년, 재위 : 519년 ~ 531년)..

<펌> 문자명왕 (491-519)-위키

문자명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문자명왕 高句麗 文咨明王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연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자녀종교 지위 고구려의 제21대 왕 재위 491년~519년 대관식 문자명왕(文咨明王) 전임자 장수왕(長壽王) 후임자 안장왕(安臧王) 부왕 고조다(高助多) 이름 휘 고나운(高羅雲) 이칭 ? 별호 ? 연호 백선(白亙) 곡산군 경(景) 4년 묘호 문자명왕(文咨明王) 시호 문자왕(文咨王) 명치호왕(明治好王)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 사망일 519년 사망지 ?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고조다(高助多) 모친 ? 배우자 ? 자녀 안장왕(安臧王) 안원왕(安原王) 종교 불교(佛敎) 문자명왕(文咨明王, ? ..

<펌> 장수왕 (412-491)-위키

장수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장수왕 高句麗 長壽王 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연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자녀종교 지위 고구려의 제20대 왕 412년 413년~491년 장수왕(長壽王) 광개토왕(廣開土王) 문자명왕(文咨明王) 광개토왕(廣開土王) 이름 휘 고거련(高巨連) 이칭 연(璉)(송서,남제서,양서,위서,주서) 강(康)(시호:북위) ? 연호 연가(延嘉), 연수(延壽), 건흥(建興) 묘호 장수왕(長壽王) 시호 장수왕(長壽王) 강왕(康王) 신상정보 출생일 394년 출생지 ? 사망일 491년 사망지 ?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광개토왕(廣開土王) 모친 ? 배우자 ? 자녀 고조다(高助多)고승우(高升于)횡성 고씨 (橫..

<펌> 광개토태왕 (391-412)-위키

광개토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위 고구려의 제19대 태왕 재 위 391년~412년~413년 대 관 식 광개토왕(廣開土王) 전 임 자 고국양왕(故國壤王) 후 임 자 장수왕(長壽王) 부 왕 고국양왕(故國壤王) 이름 휘고담덕(高談德) 별 호 안(安) 묘 호 광개토왕(廣開土王) 고구려 광개토왕 (高句麗 廣開土王) 시 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성왕(國崗上廣開土地好太聖王) 광개토대 왕(廣開土大王) 호태왕(好太王) 신상정보 출 생 일 374년 사 망 일 412년~413년 왕 조 고구려(高句麗) 가 문 횡성(橫城) 부 친 고국양왕(故國壤王) 모 친 ? 배 우 자 ? 종 교 불교(佛敎) 광개토왕(廣開土王, 374년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