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한나라(전한)를 멸망시킨 왕망의 신나라는 박혁거세의 신라이다

한무제의 한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지역을 이어간 박혁거세의 신라라고 하면 정신이 제정신이냐고 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연구한 바에 의하면 사실로 판단된다. 역사를 연구하는 모든 분들의 반성을 요하는 것이다. 보다 부드러운 제목으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사기를 쓴 사마천, 삼국사기를 쓴 김부식, 조선상고사를 쓴 신채호를 포함한 모두의 자성을 바라는 의미에서 이렇게 제목을 썼다. 그럼 이제부터 하나 하나씩 이런 주장의 논거를 밝히고자 한다. 필자는 본 블로그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첬다. 1) 한무제의 한나라는 페르시아 지역의 파르티마 제국이다. 우선 한나라 (전한, 후한 포함)와 파르티마 제국은 그 존재 기간이 유사하다. 그리고 Mithridates II의 내용이 한무제와 유사한 면을 보였다. 그리고 진나라..

<펌> 벌휴이사금 (재위 : AD 184-196)-나무위키

1. 개요 2. 즉위 과정의 의혹3. 업적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9대 왕. 칭호는 이사금. 약 200여년간 지속된 본격적인 신라 초기 석씨 왕조의 첫 번째 국왕이기도 하다. 일단 삼국사기 기록대로라면 석탈해의 손자이며, 탈해의 아들 각간 구추(仇鄒)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 지진내례부인(只珍內禮夫人)이다. 박씨 마지막 왕인 아달라 이사금에게 아들이 없어 그가 왕이 되었다고 한다.[1] 탈해 이사금(석탈해)의 손자라고 하는데, 삼국사기 기록을 적힌대로 믿는다면 석탈해가 서기 80년에 사망했고, 벌휴 이사금은 184년에 즉위하였으니 무려 104년 차이가 난다. 석탈해와 구추가 각각 꼬부랑 할아버지 때 아들을 생산했다고 해도 너무 시간차가 크다. 그러므로 이것은 탈해 이사금 이후 신라에서 석..

<펌>일성이사금 (재위 : AD 134-154)-나무위키

1. 개요 2. 아버지는 누구? 3. 생애 3.1. 재위 기간 및 업적 4. 일성왕릉 5. 삼국사기 기록 6. 관련 문서 1. 개요 신라의 제7대 왕. 칭호는 이사금. 왕비는 일지 갈문왕의 딸 지소례부인이다. 박씨 족보에서는 44년생이라고는 하는데 불분명하다. 2. 아버지는 누구? 삼국사기에선 유리 이사금의 장남 또는 일지(日知)[1] 갈문왕의 아들, 삼국유사에선 유리 이사금의 형 또는 지마 이사금의 아들이라고 한다. 일단 유리 이사금의 아들일 경우, 일성 이사금이 일본서기에 나오는 신라 왕자 천일창일 가능성이 있다. 천일창은 신라 왕자로서 동생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일본에 넘어갔다고 하는데 이게 두 나라의 역사서를 대조해 보면 일성 이사금의 행적과 그나마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 기록에서 일성이사..

<펌> 지마이사금 (재위: AD 112-134)-나무위키

개요2. 즉위 이전3. 재위4. 그 외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6대 왕. 칭호는 이사금. 파사 이사금의 아들이다. 왕비는 마제(摩帝) 갈문왕의 딸 애례부인(愛禮夫人) 김씨이다. 2. 즉위 이전 신라 초기는 아직 장자 계승이 확정되지도 않아 왕위 순서가 복잡한데, 박지마는 아버지 박파사의 태자로서 비교적 순조롭게 성정할 수 있었다. 지마가 애례부인을 얻은 일화가 고대의 왕치고는 비교적 자세하게 남아 있다. 그가 아직 태자이던 시절, 아버지 파사 이사금과 호숫가에서 사냥을 즐기고 돌아오는 길에 한기부에 들렀는데 허루(許婁)라는 사람이 잔치를 열어 대접했다. 술기운이 오르자 허루는 어린 딸에게 나와서 춤을 추게 했다. 이사금과 태자에게 잘 보이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이다. 김씨 성을 가진 마제(摩..

<펌> 탈해이사금 (재위: AD 57-80)-나무위키

신라 제4대 국왕 脫解 尼師今 탈해 이사금 시호 탈해 이사금(脫解 尼師今) 별호 토해이사금(吐解尼師今) / 탈해치질금(脫解齒叱今) / 탈해이질금(脫解尼叱今) 출생 (음력) 기원전 19년 다파나국(多婆那國) 혹은 용성국(龍城國)[1] 사망 (음력) 기원후 80년 4월(97-98세) 사로국 서라벌 능묘 소천구(川丘) / 미소소정구(未召疏井丘) > 동악(東岳) / 양정구(壤井丘)[2] 재위 (음력) 기원후 57년 10월 ~ 80년 4월 (24년) 직위 대보(大輔) 칭호 동악신(東岳神) / 동악대왕(東岳大王) 성씨 석(昔) 휘 탈해(脫解) / 토해(吐解) 부모 부왕 함달파왕(含達婆王) 모후 적녀국 왕녀(積女國 王女)[3] 양부모 양부 호공 / 양모 아진의선(阿珍義先) 왕후 아효부인 박씨 자녀 왕자 석구추(昔仇鄒..

<펌>유리이사금 (재위 : AD24-57)-나무위키

신라 제3대 국왕 儒理 尼師今 유리 이사금 시호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별호 노례 이사금(弩禮 尼師今) 세리지 이사금(世里智 尼師今) 출생 (음력) 기원전 20년(?)[1] 사망 (음력) 기원후 57년 10월 능묘 사릉원(蛇陵園) 재위 (음력) 기원후 24년 9월 ~ 57년 10월 (33년 1개월) 성씨 박(朴) 휘 유리(儒理) / 치리(治理) / 치리(齒理) 부모 부왕 남해 차차웅, 모후 운제부인 형제 여동생 아효부인 자녀 왕자 박일성(朴逸聖), 박파사(朴婆娑) 왕녀 2명 1. 개요2. 일생과 업적3. 삼국사기 기록4. 관련 기록 "내가 모자란 몸으로 군림하매 백성을 먹여살리지 못하여 노약자들을 이런 극한의 상황까지 몰아넣었으니, 이는 내 죄이다." 予以眇身居上, 不能養民使老幼至於此極, 是予之罪也...

<펌> 아달라 이사금 (재위 : AD 154-184) - 나무위키

분류 이사금 184년 사망 신라 제8대 국왕 阿達羅 尼師今 아달라 이사금 출생 (음력) 70년(?) 사망 (음력) 184년 3월 능묘 배동 삼릉 재위 (음력) 154년 ~ 184년 3월 (30년) 성씨 박(朴) 휘 아달라(阿達羅) 부모 일성 이사금, 모후 왕후 박씨 왕후 내례부인(內禮夫人) 박씨 1. 개요2. 재위3. 그 외4. 아달라 이사금 대의 인물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8대 왕. 칭호는 이사금. 일성 이사금의 아들이며, 왕비는 지마 이사금의 딸 내례부인(內禮夫人) 박씨다. 8촌 사이의 족내 근친혼인데, 이 시기 슬슬 석탈해의 후손 석씨 일족의 힘이 강해지자 박씨 왕족의 힘을 규합하기 위해[1] 세력 연합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전기 신라의 마지막 박씨 왕이라는 안습한 ..

<펌> 적미군-나무위키

분류 한나라 赤眉[1] 1. 개요 신나라 때 18년에 산동 지방의 낭야에서 번숭(樊崇), 역자도(力子都) 등을 중심으로 일어난 도적으로, 왕망의 군사와 자신의 편을 구별하기 위해 눈썹을 붉게 칠하였으며 신나라의 여러 군현들을 공격하여 노략질하기도 하였다. 2. 역사 이들은 왕망을 죽인 경시제가 있는 수도 장안을 쳐서 들어간 다음 방화와 약탈, 살육을 한 탓에 백성들은 왕망과 경시제의 정권을 그리워 하게 되었다. 이에 진작에 적미군은 산동에 있을 때 한나라 황족 중에서도 그 동네에서 신으로 숭배되어 온 유장의 자손 중 양치기였던 유분자를 황제로 옹립하고 이후에는 태산을 근거지로 옮기며 각처의 도적들이 가담하였고, 이들은 경시제의 정권을 무너뜨리고 장안에 웅거했다. 하지만 오랜 전란과 이들의 약탈로 옛 수도..

한나라 2020.08.06

<펌> 알영부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알영부인(閼英夫人)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신라 제1대 혁거세거서간의 왕비. 이칭: 아리영(娥利英), 아이영(娥伊英), 아영(娥英) 분야 고대사 유형 인물 시대 고대-삼국 성격 왕비 성별 여 출생일 서기전 53년(혁거세 5) 사망일 미상 정의 삼국시대 신라 제1대 혁거세거서간의 왕비. 키워드 알영정 알지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내용 아리영(娥利英)·아이영(娥伊英)·아영(娥英) 등이라고도 한다. 알영정(閼英井)가에 용(또는 鷄龍)이 나타나 옆구리에서 여아를 탄생시켰다. 이때 여아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는데, 월성북천(北川)에 데리고 가서 목욕시키니 그 부리가 빠졌다. 태어난 우물의 이름을 따서 여아의 이름을 알영이라고 하였다. 설화는 알지(閼智)와 연결되어 닭토템을 가진 토착세력인 김씨부족을 나타낸 것..

<펌> 알영부인 - 위키

알영부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영부인(閼英夫人, 기원전 53년 ~ 4년)은 신라의 시조 혁거세 거서간의 부인이자 남해 차차웅의 모후이다. 닭토템의 김씨족[1] 출신으로 보는 설도 있다. 기록에 따르면 하늘에서 내려온 용이 낳은 알에서 출생하였으며 그가 태어난 자리를 알영정이라 부른다. 생애 알영부인은 기원전 53년 경주의 알영정(閼英井)에서 태어났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용이 알영 우물에 나타나 오른쪽 갈빗대에서 알영을 낳았다고 한다. 이를 발견한 노파가 데려다 양육하였으며 우물의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 이름지었다. 성장한 뒤에 덕이 많다는 말을 들은 혁거세가 부인으로 맞아들였다고 한다.[2] 한편 《삼국유사》에 따르면 사량리 알영정에 계룡(鷄龍)이 나..

<펌> 왕망-나무위키

분류 한나라/인물 전한의 외척 기원전 45년 출생 23년 사망 참수된 인물 망국의 군주 비정통 황제 전한 ~ 후한 과도기 황제 신 초대 황제 假皇帝 가황제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출생 기원전 45년 전한(前漢) 위군(魏郡) 원성현(元城縣) 사망 기원후 23년 현한(玄漢) 장안(長安) (향년 68세) 연호 시건국(始建國, 9~13) 천봉(天鳳, 14~19) 지황(地皇, 20~23) 재위 섭정 6년 ~ 9년 1월 8일[G] (2년) 신의 황제 9년 1월 8일[G] ~ 23년 10월 4일[3] (14년 8개월 26일 / 5,382일) 1. 개요 2. 생애 2.1. 한나라 시절 2.1.1. 집안 내력 및 초기 2.1.2. 유한의 기둥 2.1.3. 태평성대 2.2. 신나라 건국과 폭정 2.3. 이민족 하대 정책 2..

한나라 2020.08.04

<펌> 현장

분류 수당시대/인물 중국의 승려 탐험가 602년 출생 664년 사망 중국의 승려 중국의 승려 구당서(舊唐書) 1권 「고조기(高祖紀)」 2·3권 「태종기(太宗紀)」 4·5권 「고종기(高宗紀)」 이연(李淵) 이세민 이치 6권 「측천황후기(則天皇后紀)」 7권 중종·예종기(中宗睿宗紀)」 8·9권 「현종기(玄宗紀)」 무조 이현(李顯) · 이단 이융기 10권 「숙종기(肅宗紀)」 11권 대종기(代宗紀)」 12·13권 「덕종기(德宗紀)」 이형(李亨) 이예(李豫) 이괄 14·15권 「순종·헌종기(順宗憲宗紀)」 16권 「목종기(穆宗紀)」 17권 「경종·문종기(敬宗文宗紀)」 이송 · 이순(李純) 이항 이심(李湛) · 이앙 18권 「무종·선종기(武宗宣宗紀)」 19권 「의종·희종기(懿宗僖宗紀)」 20권 「소종·애종기(昭宗哀宗紀..

신라-중,하 2020.08.01

<펌> 왕오천축국전 - 나무위키

분류 여행기 신라의 도서 해외 소재 문화재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품 1. 개요2. 역사3. 여행국 목록과 여정4. 혜초의 시5. 평가6. 이모저모 1. 개요 往五天竺國傳 723년부터 727년까지 신라의 승려 혜초가 다섯 천축국을 답사하고 그들 나라의 종교, 정치, 문화 등을 기록한 여행기다. 인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지역, 그리고 보통 중동으로 분류되는 페르시아(이란)까지 여행하였다. 2. 역사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폴 펠리오가 중국 간쑤성의 둔황 막고굴 장경동에서 당시 장경동을 지키고 있던 왕원록에게서 희귀한 고서를 사들였는데 그중에 왕오천축국전이 끼어 있었다. 본래 3권으로 편찬되었으나 현존본은 그 약본이며, 앞뒤 부분은 유실됐다. 그래서 그 내용 중에 인도까지 항해해 가는 과정이 빠져있다..

<펌> 혜초 - 나무위키

분류 704년 출생 787년 사망 신라의 승려 신라/인물 1. 개요 2. 생애 3. 왕오천축국전 3.1. 혜초의 시 1. 개요 慧超 (704~787) 신라(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천축(인도)을 갔다와 여행기를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2. 생애 그의 생애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미궁 속에 빠져 있었는데 오늘날에 와서야 비로소 그 대략적인 면모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신라 성덕왕 22년인 723년 당나라 광저우에 가서 인도[1]의 승려 금강지의 제자가 되었다. 그 뒤, 그의 권유로 인도 순례를 결심, 당나라 남쪽 바닷길을 통해 나신국(裸身國)을 경유하여 인도 동해안에 도착했다. 이후 인도에서 육로로 불교 성지를 순례하였는데 이 때 중앙아시아 지역을 비롯해 보통 중동지역으로 보는 페르시아 일부 지역까지 여행했다...

<펌> 혜초 - 위키백과

혜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역사[보이기] 사상[보이기] 인물[보이기] 종파 · 목록[보이기] 대장경 · 소의경전[보이기] 논서 · 주석서[보이기] 사찰[보이기] v t e 한국의 불교 혜초(慧超 또는 惠超, 704년~787년)는 신라 성덕왕(또는 경덕왕) 때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의 오대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서 입적하였다.[1] 그의 인도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1908년 발견되어 동서교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1] 목차 1 생애 2 왕오천축국전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생애 혜초의 생애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미궁 속에 빠져 있다가 근세에 와서야 비로소 그 대략적인 면모가 밝혀지기 시..

<펌> 홍라녀 전설 - 나무위키

분류 발해 한국 신화 이 문서는 한국 신화의 관련 문서입니다. 1. 개요2. 개략적 내용 2.1. 어녀거흔형2.2. 공주정독형2.3. 어매음탕형2.4. 여왕좌강산형2.5. 홍라녀거란형 2.5.1. 무영검의 모티브가 된 이야기 2.6. 홀라와 녹라형2.7. 홍라녀 비무형2.8. 홍라녀와 은도바특리형2.9. 홍라와 지포형2.10. 홍라와 징포 소용왕형2.11. 홍라녀 사후성신형2.12. 용녀거빙형2.13. 삼인동홍라녀형 3. 전문 3.1. 여왕좌강산형(홍라녀 4번째 전설.)3.2. 홍라녀비무형(홍라녀 7번째 전설.)3.3. 홍라와 녹라형3.4. 홍라와 지포형3.5. 어녀거혼형 전설3.6. 공주정독형 전설3.7. 어매음탕형 전설3.8. 홍라녀사후성신형 전설3.9. 홍라녀거란형3.10. 홍라녀와 은도바특리형3...

발해 (698-926) 2020.07.31

<펌> 혜초 1200년전 서역행 끝은 어디? -한겨레신문

혜초 1200년전 ‘서역행’ 끝은 어디? 등록 :2006-04-17 21:12수정 :2006-04-18 11:12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 프린트 크게 작게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이란으로 넘어가는 코베트 산맥 줄기. 저 산맥들 넘어 남서쪽에 있는 니샤부르는 신라의 고승 혜초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으로 우리에게 또한 각별한 곳이다. 정수일의 실크로드 재발견〈27〉혜초가 발자취 남긴 땅, 페르시아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에서 투르크메니스탄 아슈하바트까지 중앙아시아를 가로지르는 데 꼬박 열이틀이 걸렸다. 숱한 볼거리에 비하면 너무 짧은 ‘시간여행’이었지만, 얻은 것이 적지 않아 그나마 위안이었다. 2005년 8월5일 아침, 중앙아시아 서쪽 가장자리의 아슈하바트를 떠나 다음 목적지 이란을 향했다. 두 나라는 코페트 ..

<펌> 파사이사금 - 삼국사기

파사 이사금 재원 파사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유리왕의 둘째 아들이다.[혹은 유리의 아우 나로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왕비는 김씨 사성부인이다. 그녀는 갈문왕 허루의 딸이다. 애초에 탈해가 죽었을 때 신하들은 유리의 태자 일성을 왕위에 오르게 하려 하였다. 그러나 누군가가 말하기를 “일성이 적자이기는 하지만 사람됨과 총명함이 파사만 못하다”고 하여, 마침내 파사를 왕위에 오르도록 한 것이다. 파사는 절도있고 검소하며 물자를 아끼는 생활을 하였고, 또한 백성을 사랑하였으므로 백성들이 그를 칭송하였다. 2년 봄 2월, 왕이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3월, 왕이 주와 군을 순행하여 창고를 풀어 백성들을 구제하고, 옥에 갇힌 죄수를 조사하여 두 가지의 사형죄에 해당하는 자가 아니면 모두 석방토록 하..

<펌> 파사이사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신라의 제5대(재위:80~112) 왕.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 트위터페이스북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12년(파사이사금 33)경력왕관련사건마두성전투, 음즙벌국정벌, 초팔국병합, 다벌국병합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제5대(재위:80~112) 왕. 키워드 유리이사금 한기부 음즙벌국 실직곡국 다벌국 개설 재위 80∼112. 성은 박씨. 유리이사금의 둘째 아들로 태자 일성(逸聖)보다 인물이 뛰어나 즉위하였다고도 하고, 유리이사금의 아우인 내로(奈老)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사요왕(辭要王)의 딸이고 왕비는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인 사성부인(史省夫人 또는 史肖夫人)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비계(妃系)가 김씨 한기부(漢岐部)의..

<펌> 파사 이사금 (재위 AD 80-112)-나무위키

분류 이사금 112년 사망 신라 국왕 신라 제5대 국왕 婆娑 尼師今 파사 이사금 출생 (음력) 45년 이후(?) 사망 (음력) 112년 10월 (60~70대)[1] 능묘 사릉원(蛇陵園) 재위 (음력) 80년 ~ 112년 10월 (33년) 성씨 박(朴) 휘 파사(婆娑) / 지고(知古)(?)[2] 부모 유리 이사금 형제 형 일성 이사금 왕후 사성부인(史省夫人) 김씨 자녀 왕태자 박지마(朴祗摩) 1. 개요2. 역사3. 파사이사금대의 인물4. 삼국사기 기록5. 참고 항목 1. 개요 신라의 제5대 왕. 칭호는 이사금. 아직 진한의 일개 소국에 불과했던 초기 신라를 진한의 맹주 급으로 끌어올린 정복군주이다. 기록상 파사 이사금 시대에 신라가 본격적으로 경주 바깥 '영토'를 얻어가기 시작하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실질적..

보유세는 더 올려야 하지 않을까?

재산세에 해당하는 보유세를 더 올려야 한다고 본다. 1억까지는 현재의 세율(0.8%?)을 적용하고 1억-3억 사이의 부동산은 1%, 3억-5억은 1.2%, 5억이상은 1.5%가 적당하다고 본다. 넓은 땅을 가진 미국에서도 재산세는 1.2%이다. 따라서 좁은 국토를 가진 우리 나라에서는 보다 강화된 수준이 바람직하다. 종합부동산세의 부과는 10억이상일 때 대상일 수 있다. 대신 부동산 거래세를 없애거나 줄이는 방법과 연관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대신 실제 구입가격을 재산세 과세 기준으로 해야 할 것이다. 매년 조정되는 것은 물가 상승율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양도세는 실제 거주 기간이 3년 정도 이상일 때 main home에 대해 부부합산 세금신고시 3억 정도(개인 1.5억원)까지는 면제해주는 방법이 ..

죽엽평론 2020.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