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춤으로 살펴 본 조상들의 활동 영역

제목 : 춤으로 살펴 본 조상들의 활동 영역 그동안 필자는 고구려의 역사가 중앙아시아를 넘어 로마까지 진출했다고 주장했다. 훈족의 유럽진출 역사가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그것으로 추론한 것이다. 그리고 신라가 사산왕조 페르시아라 추론했으며, 비잔틴제국은 백제라고 추론했다. 백제를 점령한 신라는 결국 비잔틴제국을 이어 받고, 아랍역사에서 말하는 우마이야 왕조, 즉 대식국도 신라라고 추정했다. (우마이야왕조를 잇는 압바스왕조, 그리고 당과 신라의 구분, 후삼국에 이은 고려, 그리고 조선까지 계속된 연구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결국 서로마도 우리 조상들의 역사로 추정되며, 중앙아시아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역사도 우리 조상들의 역사가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결국 수메르 문..

<펌>진덕여왕 (647-654)-나무위키

분류 생년 미상 신라 여왕 성골 시호 진덕왕(眞德王) 연호 태화(太和)[1] 성씨 김(金) 휘 승만(勝曼)[2] 부왕 국반 갈문왕(國飯 葛文王) 모후 월명부인(月明夫人) 신장 7척 (172cm) 묘지 사량부(沙梁部) 생몰년도 음력 ? ~ 654년 3월 재위기간 음력 647년 ~ 654년 3월 (8년) 1. 개요 2. 외모 3. 재위 4. 평가 5. 진덕여왕릉 6. 삼국사기 기록 7.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7.1. 드라마 삼국기7.2. 드라마 선덕여왕7.3. 대왕의 꿈7.4. 미라쥬 메모리얼 1. 개요 신라의 제 28대 왕이자 신라 3대 여왕[3]들 중 1명. 진평왕의 동모제 국반(國飯)갈문왕의 딸. 어머니는 월명부인 박씨이다. 연호는 태화(太和). 진평왕의 동생인 갈문왕 국반과 월명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으..

<펌> 선덕여왕 (632-647)-나무위키

분류 신라 여왕 성골 생년 미상 647년 사망 불교도 군주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이 인물을 주인공으로 다룬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선덕여왕(드라마) 문서 를 참조하십시오. 대구 부인사 숭모전에 안치된 선덕여왕 어진.[1] 시호 선덕대왕(善德大王) 칭호 성조황고(聖祖皇姑) 연호 인평(仁平) 성씨 김(金) 휘 덕만(德曼) 왕태자 보천태자, 효명태자 부왕 진평왕 모후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 국서 음갈문왕 묘지 낭산(狼山) 생몰년도 음력 ? ~ 647년 1월 8일 양력 ? ~ 647년 2월 17일 재위기간 음력 632년 ~ 647년 1월 8일 양력 632년 ~ 647년 2월 17일(15년) 1. 개요 2. 즉위 과정 3. 즉위 이후 4. 비담의 난과 죽음 5. 평가 5.1. 긍정적 평가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