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6

<펌> 유례이사금 (284-298)-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2.1. 출생 설화 - 가공의 왕? 2.2. 이서고국과의 전쟁 2.3. 왜국 원정 시도 3. 삼국사기의 기록 "왜인이 자주 우리의 성읍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가 없다. 나는 백제와 함께 도모해서 일시에 바다를 건너 그 나라에 들어가 공격하고자 하는데, 어떠한가?" (倭人屢犯我城邑 百姓不得安居. 吾欲與百濟謀 一時浮海 入擊其國 如何?) 295년, 왜의 침략이 늘어나자 한 말. 하지만 물을 건너 멀리 가야 한다는 점과 백제가 배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결국 포기한다. 단, 왜국측의 사서인 《연대기(年代記)》에서는 유례왕 시절 신라가 일본의 오사카까지 침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 개요 신라의 제14대 왕. 칭호는 이사금. 제11대 조분 이사금의 아들로, 어머니는 나음 갈..

<펌> 미추이사금 (261-284)-나무위키

1. 개요 2. 미추 이사금의 치세 3. 전(傳) 미추왕릉 4. 설화 5. 가공의 왕인가? 6. 삼국사기 기록 7. 같이 보기 1. 개요 신라의 13대 이사금이자 기록상 최초로 등장한 김씨 왕.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의 6세손(=6대손)[2]이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한 김구도(仇道)의 아들. 미추 외에도 다른 한자 표기로 미조(未照) 혹은 미소(未召)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이칠 갈문왕(伊柒 葛文王)의 딸인 술례부인 박씨이다. 왕비는 전전대 왕인 조분 이사금의 둘째딸인 광명부인(光明夫人)인데, 아무래도 박씨 시대에 석씨인 탈해 이사금이 남해 차차웅의 사위로서 왕위에 오른 것처럼, 그 역시 석씨 왕실의 사위로서 왕위에 오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신라 초기는 전왕의 사위가 왕위에 오르는 사례가 많았..

<펌> 첨해이사금 (247-261)-나무위키

1. 개요 2. 왕위 계승 3. 석연찮은 석우로의 죽음 4. 이후 5. 의문의 최후 6.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2대 임금으로 칭호는 이사금. 성씨는 석씨로 아버지는 벌휴 이사금의 장남 골정,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의 딸인 김씨 옥모부인이다. 전왕 조분 이사금의 친동생. 2. 왕위 계승 첨해 이사금(沾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조분왕(助賁王)의 친동생이다. 沾解尼師今立 助賁王同母弟也 원년(서기 247) 가을 7월, 시조묘에 참배하고,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봉하였다. 元年 秋七月 謁始祖廟 封父骨正爲世神葛文王 즉위하고 두 달 만인 247년 7월에 아버지 골정을 세신 갈문왕에 봉했다. 그런데 신라에 시호 개념은 진흥왕 때나 들어오는지라 이전까지 모든 갈문왕명은 물론 왕명..

<펌> 조분 이사금 (r 230-247)-나무위키

1. 개요 2. 업적 3.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2. 업적 여러모로 대외 전쟁이 활발했는데, 조분 이사금 본인의 업적보다는 이 전쟁을 주도했던 석우로의 일이 많다. 훗날의 이사부나 김유신처럼 일 날 때마다 불려가는 정도.[5] 석우로는 서불한(이벌찬의 별칭)까지 오르고 병마사도 해봤고, 조분 이사금의 큰사위이기 때문에 다음 왕위 계승자로 유력했으나, 결국 조분의 친동생인 첨해(첨해 이사금)가 다음 왕이 되었다. 231년에 석우로를 대장군으로 삼아 감문국[6]을 정벌하고, 236년에 골벌국[7]을 병합해 마침내 경상북도 일대를 거의 장악하고 내륙 일대까지 신라가 깊숙히 진출하게 된다. 또 232년과 233년에 두 차례 왜의 침입을 막고, 즉위 16년(245년) 10월에 고구려..

상대 (BC 57-AD225)의 신라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I)

[2] 상대의 신라(BC57 - AD 225)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I) 3. 기원후 2세기의 신라와 파르티마 제국 1) 지마이사금 (AD 112-13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113 : 백제 (로마)와의 화해 (2) AD 115-116 : 가야와의 전쟁 (3) AD 121-123 : 왜국과 전쟁과 강화 (4) AD 125 : 말갈과 전쟁과 백제의 지원 (5) AD 120-132 : 정변의 상황 2) 일성이사금 (AD 134-15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 제국 (1) AD 137-142 : 말갈과 전쟁 (2) AD 138 : 북쪽의 태백산에서 제사 (3) AD 141, 149, 154 : 정변의 조짐 3) 아달라이사금 (AD 154-184)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

<펌> 당태종 (r 626-649)- 위키

당 태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위 당조 제2대 황제 626년 9월 4일-649년 7월 10일 당 고조 당 고종 상서우복야[보이기] 당조 제2대 태자 626년 7월 5일-626년 9월 4일 이건성 항산민왕 이승건 당 고조 진왕 618년–626년 (봉작) (태자 책봉) 당 고조 조국공 617년–618년 수 공제 둔황공 617년 수 양제 이름 이세민 (李世民) 정관 (貞觀) 태종 (太宗) 문무대성대광효황제 (文武大聖大廣孝皇帝) 소릉 (昭陵) 신상정보 598년 1월 28일 수 무공현 청산궁 649년 7월 10일 당 장안성 취미궁 당조 이씨 (李氏) 고조 이연 태목황후 두씨 문덕황후 장손씨 군사 경력 수말당초 호뢰 전투 현무문의 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요동성 전투 ..

<펌>후량 (남조)-위키

후량 (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梁 분홍색이 후량 강릉 전제군주제 소찰 (555 ~ 562) 소규 (562 ~ 585) 소종 (585 ~ 587) 555년 587년 중국어 양수도정치정부 형태황제역사 • 성립•멸망인문공용어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선사 시대 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 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춘추 시대 기원전 771~기원전 453 전국 시대 기원전 453~기원전 221 고대 ~ 근대의 ..

위진 남북조 2020.08.23

<펌> 후량 (오대) -위키

후량 (오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梁 노란색이 후량. 카이펑 전제군주제 주전충 (907년 ~ 912년) 주우규 (912년 ~ 913년) 주우정 (913 ~ 923) 907년 923년 중국어 량수도정치정부 형태황제역사 • 성립 • 멸망인문공용어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선사 시대 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 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

오대 십국시대 2020.08.23

<펌> 북한산성 전투의 미스터리

[이상훈의 한국유사] 북한산성 전투의 미스터리 2020.01.08. 15:40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부흥운동이 일어나자 신라는 백제 부흥운동 진압에 주력했다. 그 결과 신라는 북쪽 변경에 힘의 공백이 생기고 말았다. 고구려는 호기를 놓치지 않았다. 말갈병을 거느리고 신라의 한강 유역 거점 성인 북한산성(北漢山城) 공략에 나섰다. 이것이 이른바 661년 북한산성 전투다. 고구려 장군 뇌음신(惱音信)이 말갈 장군 생해(生偕)와 함께 북한산성을 공격했다. 포차(抛車)로 성벽과 건물을 부수며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하지만 어이없게도 고구려는 천재지변을 이유로 철수하고 말았다. '삼국사기'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이때 성 안에는 단지 남녀 2800명만 있었는데, 성주 동타천(冬陀川)은 ..

신라-중,하 2020.08.22

상대의 신라(BC 57-AD225)는 파르티마 제국이다 (II)

[2] 상대의 신라(BC57 - AD 225)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 2. 석탈해 등장 이후의 신라와 파르티마 제국 1) 유리이사금 (AD 24-57)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34 : 왕권다툼과 분열된 왕국 (2) AD 36 : 낙랑과의 전쟁 (3) AD 40-42 : 맥국과의 우호관계 (4) AD 54-57 : 정변의 상황, 왕계 : 박씨 -> 석씨 2) 탈해이사금 (AD 57 - 80) 시기의 신라와 파르티마제국 (1) AD 58-76 : 백제(로마)와의 전쟁 (2) AD 73 왜와의 전쟁 (3) AD 77 : 가야와의 전쟁 (4) AD 65-67 : 박씨 가문과 김씨세력의 연합 (5) AD 79-80 : 정변의 혼란 석씨왕에서 박씨왕으로 3) 파사이사금 (AD 8..

<펌> 동호 - 나무위키

1. 개요2. 상세3. 한국사에서4. 다른 민족들과의 관계5. 인물 1. 개요 고대 흉노의 동쪽에 살던 몽골계 유목민이자 수렵채집인으로[1] 몽골계와 퉁구스계들이 혼혈된 민족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몽골계에 가까웠고, 소수나 극히 일부는 튀르크계 유목민도 있었다. 언급했듯이 대부분(또는 대다수) 몽골계이다 보니 몽골계로도 보거나 또는 그 일부로 보기도 한다. 다만 그렇다고 몽골과 같은 존재라는 건 아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수많은 유목/수렵민들과 섞였기 때문이다. 2. 상세 東胡(동녘 동, 오랑캐 이름 호)라 쓰며 동쪽 오랑캐란 뜻이다. 돌궐과 흉노가 있던 몽고 초원의 동쪽에 있는 만주 지역에 살고 있었다. 흉노나 투르크와는 달리 몽고 초원의 동쪽에 있는 종족들이라 동호라고 불렸다는 설과 퉁구스의 차음이라는..

동호 2020.08.22

<펌> 동호 - 위키

동호 (민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몽골고원 험윤 훈육 산융 융적 월지 흉노 동호 남흉노 북흉노 정령 선비 고차 유연 철륵 돌궐 동돌궐 설연타 선우도호부 안북도호부 후돌궐 위구르 키르기스 조복 거란 나이만 케레이트 요 몽골 몽골 제국 원나라 북원 (타타르) 오이라트 4부족 연맹 할하 청나라 대몽골국 (외몽골 점령) 몽골 인민공화국 (1990년 몽골 혁명) 몽골국 v • d • e • h 몽골의 역사 동호족(중국어 간체 : 东胡, 정체자 : 東胡, 병음 : DōngHú)은 옛부터(기원전 2천년) 몽골의 동부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이다. 이들은 유목과 수렵생활을 기반으로 살았다. '동호'의 어원이 '퉁구스'라는 설이 있으며 동호가 선비족, 거란족과 현재의 몽골족, 다우..

동호 2020.08.22

<펌> 말갈 - 민족문화대백과

말갈(靺鞨) 고대사개념용어 6∼7세기경 한반도 북부와 만주 동북부 지역에 거주했던 종족. 분야고대사유형개념용어시대고대 정의 6∼7세기경 한반도 북부와 만주 동북부 지역에 거주했던 종족. 키워드 흑수말갈 속말말갈 예계말갈 맥계말갈 영서말갈 개설 대체로 흑수말갈(黑水靺鞨)로 불리는 헤이룽강(黑龍江) 중·하류에 사는 주민들이 그 대표적인 종족이다. 그러나 말갈이란 중국 동북방의 몇 개 이민족에 대한 총칭이자, 고구려의 변방주민들에 대한 낮춤말〔卑稱〕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따라서 말갈 안에는 예맥계(濊貊系) 내지 부여·고구려·옥저계의 속말말갈(粟末靺鞨)과 백산말갈(白山靺鞨) 등도 포함된다. 말갈의 조상으로 알려진 종족은 진(秦) 이전의 숙신(肅愼)과 한대(漢代)의 읍루(挹婁), 그리고 후위대(後魏代)의..

말갈 2020.08.22

<펌> 말갈 - 위키

말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말갈(靺鞨; 중국어: 靺鞨, 병음: Mòhé, 모허)은 6~7세기경 중국의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국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에 살던 퉁구스계 민족으로, 주나라 때에는 주로 숙신, 한나라 때에는 읍루라 불렸다. 본래 쑹화강 (松花江) 유역의 물길(고대 중국어: Miut Kit)이 지배하였으나 6세기 중엽 물길의 세력이 약화되자 각 부족들이 자립하였는데, 이들을 총칭하여 말갈(중세 중국어: Muat ɣat)이라 부른다. 이후 말갈 몇몇 부족은 고구려에 복속되거나 통제를 받았으며, 속말말갈은 발해를 세우는데 큰 기여를 하기도 했다. 말갈의 최초 조상은 진시황의 진나라 이전 기록에 나오는 숙신이다. 숙신은 진시황의 진..

말갈 2020.08.22

<펌> 흑수말갈-나무위키

1. 개요2. 관련 사료3. 관련 항목 1. 개요 말갈의 한 분파. 8역사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수서(隋書)에서 말갈 7부로써 등장하면서부터이다. 참고로 말갈 7부에 대한 위치 비정은 학자들마다 다 다르다. 근데 그중에서도 흑수말갈이 제일 심하다 헤이룽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유역 부근에서 살고 있던 부족이었다. 추운 곳에서 살았지만, 흔히 생각하는 유목민족 이미지와는 다르게 돼지를 길러 고기를 먹고 가죽으로 옷을 입는 등 농경 생활을 했다. 실제 만주족은 반농반목 생활을 하는 민족이었다. 다른 말갈부족보다 타 민족(가령 고구려인들)과의 혼혈이 적었다고 한다. 한국사에서는 고구려의 지배를 받던 북흑수말갈이 주필산 전투에서 동원되면서 등장하였다. 발해 초기에 발해의 영향력을 이탈하려는 행보를 보이는데 추장 아..

말갈 2020.08.22

<펌> 말갈 - 나무위키

靺鞨 1. 만주 지역의 퉁구스 계통 종족 1.1. 개요1.2. 말갈족의 역사1.3. 말갈에서 여진족으로1.4. 후금, 청나라를 거쳐 만주족으로1.5. 한국과의 관계1.6. 기록에 등장하는 말갈 부족 목록1.7. 말갈족 인물 2. 한반도 말갈(위말갈 혹은 가짜말갈) 1. 만주 지역의 퉁구스 계통 종족 1.1. 개요 과거 만주와 연해주 일부, 한반도 북부 일대에 거주했던, 계통상 현재 만주족으로 계보가 이어지는 퉁구스 계통의 종족. 말갈의 최초 조상은 진시황의 진나라 이전 기록에 나오는 숙신이다. 숙신은 진시황의 진나라 이전의 종족이고 이들이 한나라 시대에는 읍루였으며, 남북조시대 후위 때는 물길, 그리고 수, 당나라 시대에는 말갈이었다. 이 말갈이 발해가 멸망하고 송나라 때부터 여진이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

말갈 2020.08.22

<펌> 구수왕 (r AD 214 - 234) - 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3. 전쟁 일지 4. 그 외 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6대 국왕 / 건길지. 2. 생애 仇首王【或云貴須】肖古王之長子 身長七尺 威儀秀異 肖古在位四十九年薨 卽位 구수왕(仇首王)【혹은 귀수(貴須)라고도 하였다.】은 초고왕(肖古王)의 맏아들이다. 키가 일곱 자(尺)요 위엄과 거동이 빼어났다. 초고가 재위 49년에 죽자 왕위에 올랐다. - 《삼국사기》 백제 본기 초고왕의 맏아들로 키가 7척[4]에 풍채가 빼어나 비범했다고 한다. 오오 장남에 위너 제7대 사반왕은 그의 맏아들이고 제11대 비류왕은 둘째 아들이라고는 하는데... 그대로 믿으면 곤란하다. 온조(溫祚)계 왕족 출신이며 6대 구수왕에 이르러 그동안 정권을 잡던 온조계 왕족에 큰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의..

<펌> 초고왕 (r AD 166-214)-나무위키

1.개요 2. 신라와의 공방전 3. 말갈과의 공방전 4. 고이왕과의 관계 5. 그 외 6. 삼국사기 내용 1. 개요 백제의 제5대 국왕 / 건길지. 개루왕의 맏아들이며 고이왕과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155년[2] 신라의 반역자 아찬(阿飡) 길선(吉宣)의 송환 문제로 양국 사이에 불화가 생겼고 이로 말미암아 초고왕의 즉위 후 신라와의 공방전이 되풀이됐다고 한다. 2. 신라와의 공방전 167년 7월, 신라의 서쪽 변경을 공격. 2개 성을 함락시키고 남녀 1,000명을 사로잡아왔다. 신라는 다음 달인 8월 반격으로 일길찬 흥선이 2만 병력으로 백제 동쪽 여러 성을 공략했고 곧이어 신라 왕이 직접 정예기병 8,000명을 이끌고 한수(한강)까지 침입해 초고왕은 신라군 대군을 보고 점령했던 지역을 돌려주고 마무리지..

<펌> 개루왕 (r AD 128-166)-나무위키

1. 소개 2. 생애 3. 개로왕과의 관련 4. 기타 5.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백제의 제4대 국왕ㆍ건길지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개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특히 다루왕, 기루왕과 다르게 이 국왕은 기록도 거의 없고 기루왕이 태자로 책봉하지 않은 채 즉위하는데다가 아들이라고 불리는 고이왕과의 나이차도 심하게 나는 등의 이유로 온조왕 직계, 초고왕계, 고이왕계를 모두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가공의 국왕이 아닌가 추측되기도 한다. 2. 생애 재위 기간은 39년으로 결코 짧지 않지만, 삼국사기를 통해 남..

<펌> 기루왕 (r AD 77-128)-나무위키

1. 개요 2. 업적 3. 기타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백제의 제3대 국왕 / 건길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기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2. 업적 다루왕의 큰 아들로 서기 33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다루왕이 서기 77년에 죽자 즉위하였다. 그러니까 44년 동안[2]이나 태자 생활을 한 셈. 처음에는 아버지 재위 후반부 때처럼 신라의 변방을 때리다가 105년에 화친을 청해 비로소 사이좋게 지냈다. 113년에도 신라에 사신을 보냈다. 이런 화친정책의 결과물이 바로 신라를 침공한 말갈[3]을 저지하기 ..

<펌> 다루왕 (r AD 28-77) - 나무위키

1. 개요 2. 생애 2.1. 신라와의 전쟁 3. 여담 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다루왕은 온조왕의 맏아들이다. 그릇이 크고 넓으니 위망이 있었다. 多婁王 溫祚王之元子 器宇寬厚 有威望. 삼국사기의 다루왕 소개. 백제의 제2대 국왕ㆍ건길지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다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2. 생애 즉위 전 기록으로는 아버지 온조왕의 재위 28년째인 서기 10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서기 28년에 온조왕이 세상을 떠나자 왕으로 즉위했다. 선왕인 온조왕과 마찬가지로 말갈[2]과 미친듯이 싸우면서도 계속..

<펌> 성녕대군 (변한 소경궁) - 나무위키

시호 변한 소경공(卞韓 昭頃公) 군호 성녕대군(誠寧大君) 품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이름 이종(李褈) 부인 경녕옹주(敬寧翁主) 부왕 태종대왕(太宗大王) 모후 원경왕후 생몰년도 1405 ~ 1418 1. 개요 2. 생애 3. 사후 3.1. 태종의 안타까움 3.2. 관련자 처벌 3.3. 후사 4. 유적 5. 기록 6. 여담 1. 개요 본명은 이종(李褈). 생몰년대 1405 ~ 1418. 원래는 조선 태종 이방원의 제7남이지만, 양녕대군 위의 세 아들은 모두 일찍 죽어 실록속 태종의 회상으로나 등장하는지라 실질적으로는 4남이다. 원경왕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생존한 4명의 아들 가운데 막내로서, 양녕대군과 효령대군과 충녕대군의 친동생이다. 쇠고기와 닭고기를 좋아했다 하며 제사 지낼 때 쓰라고 언급했다..

삼한 2020.08.18

<펌> 우전국 - 호탄시-위키

호탄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약자: 호탄 거리 현급시 155km² 280,000 1806/km² 903 848000 UTC+8 웹사이트: www.hts.gov.cn 호탄 시和田市 HétiánHotam행정 단위면적인구 (2007년) 인구밀도지역전화우편번호시차 호탄 시(위구르어: خوتەن شەھىرى 호탄 시, 중국어: 和田市, 병음: Hétián Sh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호탄 지구의 수도이다. 오아시스 도시 허톈은 중국인에게 위톈(于窴)으로 알려져 있었다. 쿤룬 산맥 북쪽의 타림분지에 있는 허톈의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280,000명이었다. 그곳은 산주, 힌두타그와 일키 통로가 지난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교통 4 기후 5 ..

<펌> 호 (胡) 나라 - 호국

胡 3.1. 중국의 옛나라 이름 중국의 옛 나라 이름. 춘추시대에 존재했던 소국으로 작위는 자작이며 지금의 안휘성 부양시에 위치하고 있었다. 초나라(楚)에 의해 쇠퇴하여 속국이 되었으며 주나라(周) 왕실의 유문공이 소집한 회동에 참석함으로서 기원전 495년에 초(楚)에 의해 멸망한다. (자료 : 나무위키) 호국, 안국, 조국, 사국, 석라국, 미국, 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