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광개토대왕-나무위키

분류 광개토대왕 상위 문서: 광개토대왕 1. 개요2. 즉위 이전 : 주위 정세와 성장3. 원년 ~ 6년: 남정 백제 북벌 거란 3.1. 즉위2년차의 맹활약3.2. 근성의 아신왕3.3. 거란 - 비려 원정3.4. 백제의 항복 4. 6년 ~ 9년: 주변 정리 4.1. 요동 확보4.2. 숙신족 복속 5. 9년 ~ 17년: 서방의 연, 남방의 왜 5.1. 신라 구원과 임나가라 원정5.2. 고구려의 왜 원정?5.3. 후연과의 8년 전쟁과 후연의 멸망 6. 17년 ~ 22년: 말년 6.1. 남연과의 교섭6.2. 태자 책봉 등6.3. 동부여 정벌 7. 내치 7.1. 고구려 중심 천하관 성립7.2. 독자적인 연호 제정7.3. 관직 정비7.4. 불교 진흥7.5. 평양 천도 추진7.6. 수묘인 제도 정비7.7. 요동성 육..

드네프로강은 태봉(후고구려) 궁예의 한탄강인가?

드네프로강은 태봉 (후고구려) 궁예의 한탄강인가? 한탄강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수도 철원을 한탄강 옆에 두었다 했다. 그런데 한탄강은 대탄강이라고도 하는데, 큰 여울이 많다는 뜻이라 한다. (아래 나무 위키 참조) “한탄강(漢灘江) 이름의 유래는 궁예가 왕건의 쿠데타 당시 도망가던 도중 이 강을 건너면서 한탄을 했다는 민간전승에서 유래했다고 잘못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크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한, 여울 탄(灘)의 '큰 여울이 있는 강'이라는 뜻을 지녔으며, 김정호의 대동지지를 보면 대탄강(大灘江)으로 적혀 있다. 한국지리에서 주요 강을 표시할 때는 이름을 찾아볼 수 없지만 철원군 - 평강군 용암대지를 흐르며 그 지역의 벼농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강이기에 비중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다. 후삼국시대 태..

<펌> 유라시아를 넘나드는 고구려

‘유라시아’를 넘나드는 고구려(高句驪)|문무의 조선사 해설 문 무|조회 2528|추천 2|2012.09.13. 19:27http://cafe.daum.net/munmoo-chosunsa/386H/386 ‘유라시아’를 넘나드는 고구려(高句驪) / 우제(牛蹄)돌궐(突闕)과 고려(高驪) 영토(領土) ○ 엊그제 『게시판(揭示板) NO. 383 “대진(大秦)이 중국(中國)이 될 수 있을까?”』를 위해 ”통전(通典)서융(西戎)편을 보다가, 수년(數年) 동안 찾지 못해 그 위치(位置)를 알 수 없었던 『우제돌궐(牛蹄突闕)과 흑 거 자(黑車子)』 두 곳의 대략적(大略的) 위치(位置)를 알아냈습니다. 환호(歡呼)하니, 내자(內子)가 이르기를, “그렇게 경제적(經濟的) 이득(利得)에 진작 눈이 떴다면, 가족(家族)들은 좀..

로마제국은 백제이다

로마제국은 백제이다.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고대사에서 안지역은 어디인가?’에서 훈족의 로마 정벌이 광개토대왕의 그것이 아닌가 추정한 바 있다. 신라의 구원요청에 응답하여 5만의 군사로 백잔을 친 것이 광개토대왕비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을 훈족의 로마 정벌에 비교한 것이다. 실제 난 본 볼로그에 올린 글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다’에서 신라가 사산왕조 페르시아임을 증명했다. 그러면 그 옆에 있는 비잔틴제국은 백제로 비정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가정하에 백제의 큰 사건을 위주로 로마제국이 벡제인가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단 초기의 로마에 대해서는 그 검토를 추후로 미룬다. 1.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관미성 (백제) 함락 - 훈족의 로마 소속 크리미아 정복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백제의 관미..

'아메리카 대조선'이라는 책을 읽고...

‘아메리카 대조선’이라는 책을 읽고… 상당한 기대를 갖고 이책을 주문하여 보았는데… 정말 실망스럽다. 만화책은 그래도 일관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것은 일관된 이야기 전개도 없다. 그저 단편적인 만평을 늘어 놓은 느낌이다. 만평을 그리는 사람들은 그 진실성에 책임이 없다. 그저 풍자로 족한다. 어떻게 이런 분이 역사를 연구한다고 하는지 의아스럽다. 그동안 올려 놓았던 유튜브 자료를 모두 지우고 싶은 심정이다. 아메리카에 우리의 역사 흔적이 있을 수 있다. 그 기름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주인 없는 땅일 수가 있는가? 따라서 그 흔적을 찾아야 하는데, 이런 식의 접근은 오히려 혐오감만 불러 올 뿐이다. 혹시나 하며 관심을 가졌던 사람들을 오히려 떠나게 만든다. 이 책에서는 유럽의 역사가 모두 아메리카에 ..

<펌> Publius Quinctilius Varus (바루스) (BC 46 - AD 9)-위키

푸블리우스 큉크틸리우스 바루스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푸블리우스 큉크틸리우스 바루스(라틴어: Publius Quinctilius Varus 푸블리우스 큉크틸리우스 와루스[*], 기원전 46년 ~ 기원후 9년)는 로마 제정 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경력시리아총독아우구스투스의 부관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딸 빕사니아 마르셀라와 결혼하였다. 아그리파와 아우구스투스의 신임을 얻어 기원전 9년 티베리우스와 공동집정관에 취임하고 그 후 아프리카, 시리아 총독을 지냈다. 시리아총독 당시 유대에서 일어난 유대인 반란(유대독립전쟁)을 진압하면서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2000여명의 유대인 반란군을 십자가형에 처했다.게르마니아시리아에서 로마로 돌아와서 몇 년을 보내다가 기원..

상나라는 이집트 18왕국을 포함하고 있었다

나는 상나라의 위치에 대해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는 어디에 있었는가?", 그리고 "상나라의 수도 '박'은 이라크의 바그다드인가?" 에서 상나라가 중앙아시아 또는 그 서쪽 그리고 북아프리카의 이집트를 포함한 지역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Near East in BC 1400 (source : Wikipedia) 그런데 최근에 유튜브에서 이집트의 18왕국 네프리티티 여왕이 편두를 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편두는 동이족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특히 고대사에서는 제사장이나 왕 등 특별 신분의 사람들이 편두를 했다. "중난(中南)민족대 한국학연구소 김인희 연구교수는 “동이계의 신인 복희와 전욱, 치우 등이 모두 두개변형(頭蓋變形)을 했을 가능성이 짙다”고 보았다. 우선 팔괘(八卦)를..

중국사 2019.02.22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였다.

다음 블로그 '세계삼한역사연구'의 한부울님은 사산왕조 페르시아의 두 여왕의 경우를 거론하며,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혹시 신라가 아닌가 하고 하였다. 하여 나도 자료를 보니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신라인 것으로 보인다. Sassanian Empire in 621 AD (source : Wikipedia) 나는 한부울님이 언급한 두 여왕의 이야기, 그리고 비담이라는 이름의 반란자, 진흥왕 시절의 신라, 그리고 당시의 관습과 제도 등을 비교하며 검토해 보고자 한다. 1. 사산왕조의 두 여왕과 신라의 선덕여왕, 진덕여왕 비교 사산왕조에서는 628-632: Civil war 라고 연대기에 나오는데 이 시기에 두 여왕이 있었다. 연대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선덕여왕 진덕여왕과 아주 같은 이야기이다. 아래에 그 내용을 옮겨..

<펌>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오피니언칼럼 [역사산책]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이형모 발행인 | dongponews@hanmail.net 휴애거사 범장이 편찬한 ‘북부여기 하권’은 동명왕 이야기로 시작된다. 졸본 부여 동명왕으로 22년 “계유 원년(BC 108년), 이 해는 북부여 4대 단군 고우루 13년이다. 제(帝)는 사람됨이 호탕하고 용맹하여 군사를 잘 다루었다. 일찍이 북부여가 쇠약해지고 한나라 도둑들이 왕성해짐을 보고 분연히 세상을 구할 뜻을 세워 졸본에서 즉위하고 스스로 동명이라 하였는데 어떤 이들은 고열가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동명왕 재위 22년(BC 87년)에 장수를 보내어 배천의 한나라 도둑들을 쳐부수고 유민과 힘을 합하여 향하는 곳마다 한나라 도둑떼를 연파하더니 그 수비 장수까지 사로잡았으며 방비를 ..

<펌> 아우구스투스 - 위키백과

아우구스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우구스투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 Imperator Caesar Divi Filivs Augvstvs 지위 제1대 로마 황제 재위 기원전 27년 1월 16일-기원후 14년 8월 19일 전임자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독재관) 후임자 티베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이름 휘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투르니우스 (Gaius Octavius Thurinus)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63년 9월 23일 출생지 로마 공화정 로마 사망일 서기 14년 8월 19일 (76세) 사망지 로마 제국 놀라 왕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황조 가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부친 가이아스 옥타비..

<펌> 우리의 건국신화와 그리스-로마 신화 (2)

[비교 연구] 우리의 건국 神話와 그리스-로마신화 (2) 알타이어족에게서 기원해 東西로 전파된 白馬 숭배 金貞根 駐휴스턴 총영사 서울大 영어교육과 졸업. 제11회 외무고시 합격. 駐이탈리아 참사관, 駐인도 참사관, 외교통상부 외무협력관실 심의관, 同아중동국 심의관, 駐짐바브웨 대사, 제주도 국제관계자문대사. 現 駐휴스턴총영사. 저서 「아프리카의 영혼: 쇼나조각」. 천마총에서 발견된 말안장에 그려진 天馬圖. 알타이어족의 신앙과 문화는 알타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는 시베리아 평원과 만주벌판을 가로질러 東北아시아에까지, 서쪽으로는 코카서스 산맥을 넘어 그리스와 로마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한국 문화의 뿌리가 그리스 문화를 거쳐 로마 문화와 맞닿아 있음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 신라의 天馬와 그리스의 페가수..

<펌> 우리의 건국신화와 그리스-로마 신화(1)

[비교 연구] 우리의 건국 神話와 그리스-로마신화 (1) 하얀山의 신성한 나무 아래로 내려온 하늘의 神이 곰과 야합하여 아들을 낳으니… 金貞根 駐휴스턴 총영사 서울大 영어교육과 졸업. 제11회 외무고시 합격. 駐이탈리아 참사관, 駐인도 참사관, 외교통상부 외무협력관실 심의관, 同아중동국 심의관, 駐짐바브웨 대사, 제주도 국제관계자문대사. 現 駐휴스턴총영사. 저서 「아프리카의 영혼: 쇼나조각」. 단군신화는 미개한 文化의 미신인가? 檀君. 서구 사람들은 한국의 유구한 역사를 아무리 설명해도 아시아의 변방문화쯤으로 치부해 버린다. 그들은 서양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고대 그리스, 로마의 역사와 신화는 소중하게 생각하면서, 우리의 문화는 미개한 것으로 취급하려 한다. 그리스-로마의 신화는 고급스러운..

<펌>선비족2 - 나무위키

분류 선비족 중국의 민족 5호(胡) 흉노(匈奴) 선비(鮮卑) 갈(羯) 저(氐) 강(羌) 선비족들의 생활상. 1. 개요2. 상세3. 한국과의 관계 3.1. 중기 부여-고구려의 주적3.2. 의외로 부여·고구려와 밀접한 사이? 4. 선비족 주요 집단5. 선비족 관련 집단6. 선비족 소속 인물7. 대중매체 선비족 출연 1. 개요 鮮卑族(중국어: 鮮卑, 병음: xiānbēi, 상고한어: *S[a]r-pe[1]) 선비족은 몽골 고원 먼 동쪽의 남만주 지역에서 살던 민족이다. 동호의 후예로 몽골, 거란족의 친척뻘쯤 된다. 흉노족보다 강성했으나 한동안 흉노족에 복속되어있다 흉노족이 멸망한 후 다시 독립하였다. 선비족의 어원에 대해선 여러 설이 있는데, 사서에 나타나는 어원에 대한 설 중 하나는 선비족이 선비산에 숨어들..

선비족 2019.02.19

<펌> 월지 - 위키백과

월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8월) 이 문서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에 관한 것입니다. 경주에 위치한 연못에 대해서는 경주 동궁과 월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이다. 기원전 3세기 중반 경 ~ 기원전 1세기 중반 경, 북아시아, 중앙 아시아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과 그 국가를 이른다. 월지라는 명칭은 한자로만 전해 내려오며, 그들이 언..

월지 2019.02.19

<펌> 유리명왕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태왕재위19년~18년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년 또는 기원전 37년출생지졸본 부여(卒本 扶餘)사망일기원전 18년사망지두곡(豆谷)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동명성왕(東明聖王)모친예씨 부인(禮氏 夫人)배우자송씨(松氏) 송씨(松氏) 화희(禾姬) 치희(雉姬)자녀도절(都切) 해명(解明 대무신왕(大武神王) 여진(如津) 해색주(解色朱) 재사(再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