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위키백과

오호 십육국 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五胡十六國 국가 (참조)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국가 수도 (참조) 오호 십육국 시대 각국의 도읍 군주 (참조) 오호 십육국 시대의 역대 군주 성립 304년 전조와 성한의 건국. 종결 439년 북위가 북량을 멸하고 화북 통일. 서진 시기, 북방에 있던 각 민족 분포도. 중국의 역사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선사 시대 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 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춘추 시대 기원전 771~453 ..

<펌>아케메네스 왕조 (BC 675 - ?, BC 550 - BC330) - 나무위키

아케메네스 왕조 최근 수정 시각: 2019-05-21 14:22:53 분류 아케메네스 왕조 현대 이란을 지칭하는 명칭 'Persia'에 대한 내용은 페르시아 문서를, 사산조의 페르시아 제국에 대한 내용은 사산 왕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페르시아 제국 ???? (Pārsa) ??? (Xšassa)[1] 키루스 2세의 기 다리우스 1세 시대의 강역 존속기간 (BC 675년 이전~)[2] BC 550년[3] ~ BC 330년 위치 서아시아, 이집트, 중앙아시아 남부 수도 바빌론, 수사. 페르세폴리스, 엑바타나 국가원수 황제 (왕중왕) 주요 황제 키루스 2세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다리우스 3세 언어 고대 페르시아어, 아람어 종교 조로아스터교, 바빌로니아 고대 종교 종족 페르시아인, 아람인, 유대인, ..

<펌>사산왕조(AD 226-AD651) -나무위키

사산 왕조 최근 수정 시각: 2019-05-21 15:19:59 분류 사산 왕조 이란국 ????????? Ērānshahr 왕기(王旗)[1] 사산 왕조의 영역[2] 존속기간 서기 224 ~ 651년 위치 서아시아 수도 크테시폰 정치체제 봉건 군주제 국가원수 황제 (왕중왕) 주요 황제 아르다시르 1세 샤푸르 1세 샤푸르 2세 호스로 1세 호스로 2세 언어 중세 페르시아어 그 외 다수[3] 종교 조로아스터교 그 외 다수[4] 성립 이전 아르사케스 왕조 멸망 이후 정통 칼리파 시대 1. 개요 2. 역사 2.1. 건국과 첫 번째 전성기 (CE. 224 - 272) 2.2. 첫 번째 침체기 (272 - 309) 2.3. 두 번째 전성기 (309 - 379) 2.4. 두 번째 침체기 (379 - 498) 2.5. ..

<펌> 인도역사 - 위키백과

인도의 역사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인도아대륙의 역사에 관한 것입니다. 인도 공화국의 역사에 대해서는 인도 공화국의 역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남아시아의 역사 초고대인[보이기]석기시대(기원전 50,000–3000년)[보이기]청동기 시대(기원전 3000–1300년)[보이기]철기 시대(기원전 1200–230년)[보이기]고전시대(기원전 230년 ~ 기원후 1279년)[보이기]중세 시대(1206년–1596년)[보이기]근세 시대(1526년–1858년)[보이기]식민 시대(1510년–1961년)[보이기]그 외 국가(1102년–1947년)[보이기]스리랑카[보이기]v • d • e • h인도의 역사는 호모 에렉투스가 생활하던 시기인 50만년 전까지 소급될 수 있다. 호모 사피..

근대 인도 2019.05.24

<펌> 인도/역사-나무위키

인도/역사최근 수정 시각: 2019-05-15 05:43:35분류 인도의 역사상위 문서: 인도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의 역사 भारत का इतिहास열기 · 닫기1. 개요2. 문명의 발생3. 국가의 발전과 신 사상의 발흥(BC 700 ~ BC 300)4. 마우리아 제국(BC 321 ~ BC 184)과 해상 교역5. 분열의 시대 - 고전 시대의 개막(쿠샨 왕조, 굽타 왕조)6. 지방 왕조들의 성립과 힌두교의 성장(550년 ~ 1206)7. 인도 이슬람 제국시대(1206 ~ 1526)8. 무굴 제국(1526 ~ 1858)의 인도 통합과 문화9. 영국령 인도(1858~1947)와 독립운동10. 독립과 인도 공화국11.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아잔타 석굴의 프리스코화 땅이 넓은 탓에 소국들이 많았..

근대 인도 2019.05.24

<펌> 예맥 - 나무위키

예맥 최근 수정 시각: 2019-05-19 07:18:20 분류 동아시아의 민족 한국사 1. 개요2. 예(濊)3. 맥(貊)4. 예맥5. 표기 문제6. 왕사 1. 개요 濊貊. 고대 한반도 북중부와 만주에 거주하던 반농반목의 수렵민족이자, 한반도 중남부에 주로 거주했던 한(韓)족과 함께 현 한민족의 주류 조상이 되는 민족. 2. 예(濊) 고대에 쑹화강 일대부터 함경도, 강원도 북부에 이르는 동만주 일대와 한반도 북부에 존재했던 공동체. 문헌상으로 맥보다 후에 나타난다. 본래는 맥과는 구분되는 세력이었으며, 맥보다 동방에 위치하여 은주시대 이전까지 중국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다.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서야 문헌에 등장하며 국가를 이루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여의 패퇴, 고구려의 확장 등으로 서서히 세력이 미..

예맥 2019.05.23

<펌>예맥-위키백과

예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역사 韓國史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 시대 단군조선 (?~기원전 194년) 위만조선 (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진(辰)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 시대 부 여 옥 저 동 예 마 한 진 한 변 한 삼국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 668년) 백제 (기원전 18년~660년) 신라 (기원전 57년~ ) 가야 (42~ 562년) 남북국 시대 발해 (698~926년) 통일신라 (676년~ ) 후삼국 시대 태봉 (901~918년) 후백제 (892~936년) 신라 ( ~935년) 통일 왕조 시대 고려 (918~1392년) 조선 (1392~1897년)..

예맥 2019.05.23

<펌> 거란 2-한국민족문화대백과

거란(契丹)고려시대사사건 퉁구스와 몽고의 혼혈족으로 알려진 동호계(東胡系)의 한 종족명.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분야고려시대사유형사건시대고려성격종족정의퉁구스와 몽고의 혼혈족으로 알려진 동호계(東胡系)의 한 종족명.개설‘奚丹(해단)’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5세기 중엽부터 요하 상류(遼河上流)인 시라무렌(西刺木倫, Siramuren) 남쪽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던 여러 부족으로 이루어진 민족이다.북위(北魏) 때부터 이름이 알려졌으며, 고구려의 전성기인 장수왕 때에는 출복부(出伏部) 등 그 일부가 고구려에 예속되기도 하였다. 8세기에는 당나라의 위구르(回鶻, Uighur)에 복속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당나라 말의 정치적 혼란을 틈타 강대한 세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내용10세기 초 야율..

탐라국은 어디인가?

지난번 남극은 우리 조상의 땅이었는가? 에서 호주와 뉴질랜드가 남극과 연결된 대륙이었다고 하는 주장을 보았다. 그리고 탐라국이었다는 주장을 보았다. 오늘은 탐라국에 대해 알아 보자. 우선 아래 도올 선생님의 유튜브에서 탐라국은 섬나라이며 신라의 주위 5대국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통일 신라시대 황룡사 9층탑에 인접국으로서 탐라국이 있다는 것이다. 강력한 인접국으로서 일본, 중화, 오월, 탐라 가 있었다는 것이다. 아래 화면에서 탐라국의 역사를 보자 백제, 신라시대에 등장하는 탐라(탁라국), 번국으로 존재하는 국가로서 신라말기에는 정치적 난민을 받아 들이는 국가가 되었다. 상당히 큰 국가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도 있었다. 여몽전쟁에서 고려에 도움이 되었다 한다. 1402년 조선에서 제주도로 명칭이 변경되었..

남극은 우리 조상들의 땅이었나?

아래 화면에서 (2분 41초 지점) 남극에서 2014년 편두를 한 두개골 3개가 발견되었다 한다 편두는 우리 조상들의 풍습이다. 난 어렸을 때 어머님이 이러한 편두의 풍습을 이야기해준 기억이 난다. 그럼 남극에 우리 조상들이 살았을까? 다음 화면에서는 보다 놀라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지금부터 350년전까지 남극대륙이 지금의 3배 크기였으며, 지금의 호주, 뉴질랜드가 여기에 연결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곳이 탐라국이였다는 이야기이다. 편두가 발견된 것을 보면 우리 조상의 발자취가 있던 곳임에 틀림없는데... 과거 아라비아인들은 신라를 묘사할 때 다섯개의 땅덩어리를 그렸다 했다. 호주나 뉴질랜드가 주인 없는 땅이었을 리 만무하다. 17세기에 지도에도 나타난 땅이다. 남미와 아프리카가 남극대륙에 연결된 땅..

반달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 배엔 계수나무 한나무 토끼 한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나라로 동요 반달의 가사이다. 배가 언급되고 서쪽 나라로 간다고 했다. 그리고 제목이 반달이다. 나는 여기서 옛날 훈족의 로마 침입시 반달족의 경로를 떠올린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반달족은 북유럽쪽에서 당시 훈족의 수도였던 헝거리 부다페스트에 합류한후 현재의 체코, 독일, 프랑스, 스페인을 지나 북아프리카를 거쳐 로마, 아테네 등 지중해 각지로 펴져 나간다.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이 경로를 역으로 하여 로마에 침입했다. 지금도 튀니지에는 로마시대의 유물이 많다. ) 육로를 거친 후에도 해로를 통해 진출하는 모습이 대륙에서나 해양에서나 강력한 군대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지금도 몇몇 북아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