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백제의 백강, 주류성은 터어키 남부 지중해 연안에 있었다

백제 최후의 항전지 백강 (백촌강), 기벌포, 그리고 주류성 등에 대해 기존 사학계는 아직도 한반도내에서 그 위치 비정에 대해 여러 의견을 내고 있지만, 그 지리적 특성에 맞는 위치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이에 필자는 비잔틴제국이 백제라는 관점에서 백제의 최후 항전지 백강, 기벌포, 그리고 주류성, 피성, 덕물도 등의 위치를 비정해 보고자 한다. 필자가 백제의 최후 항전지를 비잔틴제국에서 찾는 것은 필자가 본 블로그 글, ‘로마는 백제이다’,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다’, ‘광개토태왕이 점령한 관미성은 흑해의 크리미아 반도에 있다’, ‘장보고의 청해진은 지중해 시칠리아섬과 샤르데냐섬에 있었다’, ‘김수로의 금관가야는 코카서스산맥 아래 아르메니아에 있었다’, ‘ 우마이야 왕조는 신라이다’,그리고..

<펌> 발해 고왕 (대조영) (698-719 재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왕(高王)고대사인물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재위:699~719) 왕.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남북국-발해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719년 3월경력발해 제1대 국왕(재위: 698∼719년)관련사건이진충(李盡忠)·손만영(孫萬榮) 등 거란족의 반란(696년)정의남북국시대 발해의 제1대(재위:699~719) 왕.키워드대조영(大祚榮)영주(營州)이진충(李盡忠)손만영(孫萬榮)걸사비우(乞四比羽)생애 / 활동사항본명은 대조영(大祚榮)이다. 고구려 유민으로서 고구려 멸망 후 당나라의 영주(營州) 지방에 그 일족과 함께 옮겨 와 거주하였다.『구당서(舊唐書)』에 의하면 696년이진충(李盡忠)·손만영(孫萬榮) 등이 이끄는 거란족의 반란으로 영주 지방이 혼란에 빠지자, 대조영은 ..

발해 (698-926) 2019.09.14

고구려 신라 백제가 다투던 한강은 코카서스 산맥 아래 Kura River이다.

필자는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다’라는 글에서 신라 진흥왕과 백제 성왕 사이에 다툰 지역인 한수지역이 코카서스산맥 아래 있는 Kura River라고 추정했다. 그러나 그때는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신라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 한수(한강)에 대해 깊게 다루질 못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보다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우선 독자분들은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신라이고, 비잔틴제국이 백제이고, Gorkturks(돌궐)이 고구려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글을 접하기를 바란다. (백제는 본블로그 글, ‘로마는 백제이다’ 참조, 돌궐이 고구려라는 점에 대해서는 추후 논할 예정임) 방법론은 먼저 우리 역사에서 나오는 기록과 위키피디아 등에서 기록된 글을 비교하며 주장하고자 한다. 1. 진흥왕과 성왕의 한강 유..

과거의 생각 2019.09.13

<펌> 양현감의 난 (613) - 나무위키

분류 수당시대/인물 楊玄感 (? ~ 613) 수나라의 반란자. 양소의 아들. 589년에 의동삼사가 되었고 606년에 양소가 죽자 작위를 계승해 초공이 되었으며, 610년에 장형이 설도형이 억울하게 죽었다는 이야기를 하자 이 말을 수양제에게 상주했다. 양현감은 날썌고 용감하면서 말 타기와 활 쏘기를 잘하고 책 읽기를 좋아했으며, 해내에서 이름이 알려진 인사는 대부분이 그와 사귀었고 이밀과 잘 지냈다. 양현감은 아버지 양소가 수양제의 시기를 받고 죽은 것을 알았으므로 항상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예부상서를 지내다가 613년에 수양제가 고구려 원정을 계획하자 여양에서 운반하는 일을 감독하게 되자 동도(뤄양) 근처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양현감은 동도를 포위했지만 번자개의 방비로 인해 함락하지 못했으며, 양현..

<펌> 돌궐 - 위키

돌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돌궐 제1제국의 강역 서돌궐의 강역 돌궐(突厥) 또는 곡투르크(고대 튀르크어: ??? ???? [Kök Türük], 터키어: Göktürk)는 중세에 중앙아시아에서 존재했던 민족이다. 돌궐에서는 왕을 카간(Kagan, 중국어: 可汗, 한자음: 가한)이라고 불렀다. 중앙아시아의 아무다리야강 또는 카스피해의 북서 초원 지대에서 발흥한 돌궐은 초대 카간인 부민 카간(중국어: 伊利可汗)과 후대 카간들의 휘하에서 중앙아시아에서부터 동쪽으로 진출하여 동북아시아 초원(현재 몽골지역)의 유연을 멸망시켜 동북아 북방 지역을 제패하고 제1카간국을 세운다. 예니세이강 상류에 있던 몽골로이드 인종인 철륵(카자흐인, 키르기스인)도 돌궐에 합병시킨다. 돌궐의 ..

<펌> Babylon Fortress

Babylon Fortres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Babylon ⲡⲁⲃⲓⲗⲱⲛ Babylon Fortress Shown within Egypt Alternative name ⲡⲁⲃⲓⲗⲱⲛ Location Cairo Governorate, Egypt Region Lower Egypt Coordinates 30°0′22″N 31°13′47″E Coordinates: 30°0′22″N 31°13′47″E Babylon Fortress (Arabic: حصن بابليون‎; Coptic: ⲡⲁⲃⲓⲗⲱⲛ or Ⲃⲁⲃⲩⲗⲱⲛ)[1] was an ancient fortress in the Nile Del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