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김수로의 금관가야는 코카서스 산맥 아래 아르메니아지역에 있었다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다’, ‘ 로마는 백제이다’ 등의 글에서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고 비잔틴제국은 백제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그동안 가야에 대해서 고민을 해왔다. 미국 사학계에서는 가야가 인도에 있었다고 주장한다고 하고, 실제 ‘보드가야’라 하는 지명이 인도 동북부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라사나 백제사를 보면 가야는 신라와 백제 양국과 전쟁이 있었고 결국 가야는 백제와 신라에 병합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인도 동북부에 있다면 신라와의 전쟁은 이해가 가나, 백제와의 전쟁은 거리상으로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래서 왜와 가야가 지중해에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어 왔다.  난 최근에 본 블로그에 올린 글, ‘신라 하대의 김헌창의 난은 지중해 크레타..

과거의 생각 2019.07.24

<펌> 왕오천축국전-위키백과

왕오천축국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왕 때,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다. 혜초는 723년부터 727년까지 4년간 인도와 중앙아시아, 아랍을 여행하였다. 목차 1개설 2여행 경로 3평가 4관련항목 5참고 자료 6외부 링크 개설 8세기 초에 씌여진 이 《왕오천축국전》은 세계 4대 여행기로도 손꼽히며 또한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이기도 하다. 세계 4대 여행기는 혜초의 《왕오천축국전》과 13세기 후반에 쓰여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14세기 초반의 오도록의 《동유기》 그리고 14세기 중반의 《이븐 바투타 여행기》를 손꼽는데, 혜초의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190..

<펌> 파사산성

파사산성(婆娑山城) 주요 정보 대표표제 파사산성 한글표제 파사산성 한자표제 婆娑山城 동의어 파사성(婆娑城) 관련어 남한강(南漢江), 남한산성(南漢山城) 분야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유형 건축 지역 대한민국 시대 삼국시대~조선 왕대 삼국시대~조선 집필자 송양섭 장소 경기도 여주군 규모(정면/측면/칸수) 둘레: 1,800m, 높이: 6.25m 양식 산정식(山頂式) 산성 관련 인물 류성룡(柳成龍), 의엄(義嚴)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파사산성(婆娑山城)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선조실록』 28년 3월 1일, 『선조실록』 28년 8월 22일, 『선조실록』 36년 10월 23일, 『선조실록』 29년 11월 26일, 『선조실록』 38년 7월 11일, 『광해군일기』 2년 1월 11일 경기도 여주남한강 변의 파사산에 ..

현일본은 임진왜란의 '왜'가 아니다

요즈음 일본 아베정부가 메모리 반도체에 쓰이는 불화수소를 수출규제한다고 하여 한일간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적인 목적으로 경제를 악용하는 사례의 하나이다. 문제의 발단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일제시 강제 노동문제의 보상과 관련하여 한국에 있는 일본 기업의 자산 압류 가능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또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경제관계를 악화시킨 사례이다. 근래에 들어 정치적인 목적으로 경제를 교란시키는 행동은 민주국가에서는 미국 트럼트정부가 특별하다. 국가 안보를 이유로 무차별적인 무역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비즈니맨 출신 대통령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행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소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그만큼 미국의 군사적인 위상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미국의 고립주의 ..

2019.07.16

<펌>샤먼제국 - 박용숙 저

박용숙 저 머릿글 한반도에는 적어도 4세기 이전에 국가가 존재했던 것을 보여주는 유적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해마다 개천절이면 어김없이 반만년의 역사를 기념하지요. 이는 정말 희극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도 우리 가운데 누구도 여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지금도 한반도 여기저기를 파면서 반만년 역사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있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찾는 물건들은 나타나지 않고 엉뚱한 물건들만 쏟아져 나옵니다. 이집트, 크레타, 소아시아(켈트양식)의 물건들이 우리 땅속에 묻혀 있으니 이를 어찌 생각해야 할까요? 그뿐 아닙니다. 인도, 중앙아시아의 물건도 있고 동남아시아나 중국의 남북조 시대 물건도 있습니다. 발굴상황을 보면 이 물건들은 대략 5세기경에 이 땅에 묻혔습니다. 5세기 ..

역사 자료 2019.07.11

<펌> 광개토왕릉비-위키

광개토왕릉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광개토태왕릉비 광개토태왕릉비 광개토태왕릉비의 탁본 광개토태왕릉비 복제품 광개토태왕릉비(廣開土太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중국어 간체자: 太王镇)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태왕의 능비이다. 중국, 일본에서는 호태왕비(好太王碑)라 부른다. 목차 1개설 2내용 2.1건국 역사와 광개토태왕의 생애 2.2정복전쟁 부분 2.3묘지기에 관한 규정 3신묘년조 논란 4관련 작품 5같이 읽기 6각주 개설 414년 광개토태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웠으며, 응회암(凝灰岩) 재질로 높이가 약 6.39m, 면의 너비는 1.38~2.00m이고, 측면은 1.35~1.46m지만 고르지 않다. 대석은 3.35×2.7..

<펌> 고려 (918-1392) - 위키백과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2월) 다른 뜻에 대해서는 고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려 高麗 ↓ 918년 – 1392년 → 의장기 '봉기' 국장(1370~92) 수도 개경-강화도-개경 북위 37° 58′ 동경 126° 33′ 정치 공용어 중세 한국어 정부 형태 군주제 주요 국왕 918년 ~ 943년 949년 ~ 975년 981년 ~ 997년 1046년 ~ 1083년 1351년 ~ 1374년 1389년 ~ 1392년 태조 광종 성종 문종 공민왕 ..

고려 (918-1392) 2019.07.10

<펌> 에트루리아 -위키백과

에트루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에트루리아의 영역 에트루리아(Etruria)는 이탈리아 중부에 있던 옛 나라로 그 영토는 지금의 토스카나주, 라치오주, 움브리아주에 해당한다. 로마 공화정 이전에 이탈리아에 존재했던 주요 문명이다. 라틴어 문헌에는 티레니아(Tyrrhenia)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목차 1고대 에트루리아 2생활 3도시 4근대 에트루리아 왕국 5각주 고대 에트루리아 고대 에트루리아인이 어디서 기원했는지는 고대부터 논쟁의 대상이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최초의 에트루리아인들이 기근을 피해 서쪽으로 항해해 온 소아시아의 서해안에서 온 리디아인이었다고 한다.(역사 제1권 94) 반면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에트루리아인들이 이탈리아 본..

<펌> 고이왕 (234-286 재위) - 나무위키

분류 백제의 왕 286년 사망 백제 국왕 [ 펼치기 · 접기 ] 古爾王 고이왕 별호 구이왕(久爾王) · 고모왕(古慕王) 성씨 부여(扶餘) · 우(優)? 휘 고이(古爾) · 구이(久爾) · 구이(仇爾) · 고모(古慕) · 구태(仇台)(?) 부왕 개루왕(蓋婁王) 생몰연도 음력 ? ~ 286년 11월 재위기간 음력 234년 ~ 286년 11월 (53년) 1. 개요2. 생애3. 업적 3.1. 군사3.2. 내정3.3. 대외 팽창3.4. 기리영 전투 4. 기타5. 삼국사기 기록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백제의 제8대 국왕 / 건길지. 2. 생애 백제 초기 왕들이 그렇듯 삼국사기상에 기록된 생몰년은 정확성을 의심받는데, 아버지라는 개루왕이 죽는 해인 166년에 태어났다고 쳐도 고이왕이 사망할 때는 120세가..

신라 하대 김헌창의 난은 지중해의 크레타섬과 터어키의 아나톨리아에서 있었다

신라 하대 (통일신라)의 강역을 살펴보는 방법의 하나로 장보고의 청해진을 살펴 보았다. (본 블로그의 글 " 장보고의 청해진은 지중해의 시실리섬, 사르데냐섬에 있었다" 참조) 이번에는 신라 하대의 김헌창의 난을 살펴 봄으로써 신라 하대의 강역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우선 김헌창의 난 (822-825)에 대해 다음 자료를 살펴보자. 김헌창은 무열왕, 문무왕의 후예로서 백제의 땅이었던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장안국이라 하고 칭제하였다 한다. "신라 헌덕왕 14년(822년), 웅천주의 지방관으로 부임 중이던 신라 진골 귀족 김헌창이 나라 이름을 장안으로 하고 연호를 경운으로 정해 일으킨 반란이다. 나당전쟁 이후로 큰 전란이 별로 없었던 통일신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내전이었다. - 혼돈 속의 신라 왕위쟁탈..

<펌> 당나라 - 위키

당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당 唐 ← 618년 – 907년 → → → 국기 당나라의 영토와 그 역사의 변화 수도 장안 (618년 ~ 904년), 낙양 (904년 ~ 907년) 정치 공용어 중세 중국어 정부 형태 전제 군주제 황제 618년 ~ 626년 626년 ~ 649년 712년 ~ 756년 904년 ~ 907년 고조 신요제 태종 성황제 현종 명황제 애종 역사 • 성립 618년 6월 18일 • 안사의 난 755년 12월 16일 ~ 763년 2월 17일 • 멸망 907년 6월 1일 현재 국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라오스 러시아 베트남 이란 몽골 중국의 역사 신화 ~ 진의 통일 ..

<펌>고국양왕 (384-391 재위) - 위키백과

고국양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고국양왕 (高句麗 故國壤王) 지위 고구려의 제18대 왕 재위 384년~391년 대관식 고국양왕(故國壤王) 전임자 소수림왕(小獸林王) 후임자 광개토왕(廣開土王) 부왕 고국원왕(故國原王) 이름 휘 고이련(高伊連) 별호 어지지(於只支) 묘호 고국양왕(故國壤王) 시호 국양왕(國壤王)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391년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고국원왕(故國原王) 모친 ? 배우자 ? 종교 불교(佛敎) 고국양왕(故國壤王, ? ~ 391년, 재위 : 384년 ~ 391년 5월)[1] 은 고구려의 제18대 태왕이다. 이름은 이련(伊連) 또는 어지지(於只支)로 고국원왕의 둘째 아들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2] ..

<펌>소수림왕 (371-384 재위) - 위키백과

소수림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소수림왕 高句麗 小獸林王 지위 고구려의 제17대 태왕 재위 371년~384년 대관식 소수림왕(小獸林王) 전임자 고국원왕(故國原王) 후임자 고국양왕(故國壤王) 부왕 고국원왕(故國原王 이름 휘 고구부(高丘夫) 묘호 소수림왕(小獸林王) 시호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 소수림(小獸林) 소수림왕(小獸林王)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384년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고국원왕(故國原王 모친 ? 배우자 ? 종교 불교(佛敎)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맏아들로[1]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름은..

<펌>고국원왕 (331-371 재위) - 위키백과

고국원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2월) 고구려 고국원왕 高句麗 故國原王 지위 고구려의 제16대 태왕 재위 331년~371년 대관식 고국원왕(故國原王) 전임자 미천왕(美川王) 후임자 소수림왕(小獸林王) 부왕 미천왕(美川王) 이름 휘 고사유(高斯由) 별호 쇠(釗) 묘호 고국원왕(故國原王) 시호 국강상왕(國罡上王)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 사망일 371년 사망지 평양성(平壤城)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미천왕(美川王) 모친 주씨(周氏) ..

<펌> 미천왕 (300-331 재위) - 위키백과

미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미천왕 高句麗 美川王지위고구려의 제15대 태왕재위300년~331년대관식미천왕(美川王)전임자봉상왕(烽上王)후임자고국원왕(故國原王)부왕고돌고(高咄固)이름휘고을불(高乙弗)묘호미천왕(美川王)시호호양왕(好壤王)신상정보사망일331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고돌고(高咄固)모친?배우자?종교불교(佛敎)미천왕(美川王, ? ~ 331년, 재위 : 300년 ~ 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군주이다. 이름은 을불(乙弗) 또는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 등이 전해진다. 서천왕의 손자이자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1][2]목차1생애2사후3설화4가계5미천왕이 등장한 작품6기년,연호7참고8관련9..

<펌> 봉상왕 (292-300 재위) - 위키백과

봉상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봉상왕 高句麗 烽上王지위고구려의 14대 국왕재위292년~300년전임자서천왕후임자미천왕부왕서천왕이름휘고상부(高相夫)신상정보부친서천왕모친우씨(于氏)봉상왕(烽上王, ? ~300년, 재위 292년~300년)은 고구려의 제14대 왕이다. 이름은 상부(相夫) 또는 삽시루(歃矢婁)이고 서천왕의 아들이다.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한다.생애292년, 서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어려서부터 교만하고 방탕하며 의심과 시기심이 많았다고 한다. 왕위에 오른 봉상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숙부인 안국군(安國君) 달가(達賈)를 음모로 살해하였다. 또한 293년에는 동생 돌고(咄固)에게 역모죄를 씌워 자살하게 하였으며 도망친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을 추격하..

<펌>서천왕 (270-292 재위) - 위키백과

서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서천왕 高句麗 西川王지위고구려의 13대 국왕재위270년 - 292년전임자중천왕후임자봉상왕부왕중천왕이름휘고약로(高藥盧)신상정보부친중천왕모친연씨(椽氏)배우자서부대사자(西部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서천왕(西川王, ?~292년, 재위 : 270년~292년)은 고구려의 제13대 군주이다. 이름은 약로(藥盧) 또는 약우(若友)이고 중천왕의 둘째 아들이다.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한다.생애255년에 태자가 되었고, 270년에 중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