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위진남북조시대 - 나무위키

1. 중국의 역사 시대 구분 1.1. 개요1.2. 약사1.3. 특징1.4. 한국사와의 관계1.5. 중국 남북조 시대의 역대 국가 1. 중국의 역사 시대 구분 (386년[1])420년~589년 중국 역사시대 중 하나로, 크게는 위진남북조시대에 속한다. 동진이 끝난 뒤의 시대로 남조는 유유의 송이 동진 황제에게 선양받은 420년부터 시작되고, 북조는 북위(北魏)가 건국된 386년부터 시작된다. 1.2. 약사 북위는 화북을 통일하고 남조를 정벌하려고 했으나, 양(육조)(梁)의 명장 위예(韋叡)[2]에게 종리(鐘離)에서 대패도 했고, 또 그 뒤에 6진의 난(六鎭之亂), 진경지(陳慶之)의 북벌 등이 벌어지며 헬게이트가 열렸다.[3] 이후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한 뒤에 다시 왕조가 바뀌면서 동위는 북제로, 서위..

위진 남북조 2019.08.30

<펌> 옥저 (BC 3c - 244 AD) - 위키

옥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옥저 沃沮 ← 기원전 3세기 – 244년 → 고구려의 속국(56년 ~ 244년) 정치 정부 형태 군장국가 기타 국교 무속신앙 한국의 역사 韓國史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 시대 단군조선 (기원전 23세기~기원전 3세기) 부여 (기원전 3세기~494년) 진(辰)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 시대 부 여 옥 저 변 한 삼국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 668년) 백제 (기원전 18년~660년) 신라 (기원전 57년~ ) 가야 (42~ 562년) 남북국 시대 발해 (698~926년) 통일신라 (676년~ ) 후삼국 시대 태봉 (901~918년) 후백제 (892~..

옥저 2019.08.29

<펌> 옥저 - 나무위키

분류 동아시아의 민족 원삼국시대 3세기 멸망 관련 문서: 원삼국시대 옥저 (沃沮) (매구루, 치구루) ▲옥저와 주변국 지도 존속기간 기원전 3세기 ~ 244년(기원후 3세기) (기원전 8세기)[1] 위치 함경도일대 간도 연해주 군주 군장 (읍군, 삼로) 종족 예맥[2] 언어 고대 한국어 사건 남옥저 위만에 의해 복속 한사군 편입 북옥저 주몽에 의해 복속 동옥저 태조왕에 의해 복속[3] 성립 이전 부족사회 멸망 이후 ?[4] 1. 개요2. 역사3. 주변국과의 관계4. 풍속5. 기타 1. 개요 기원전 3세기부터 1세기까지 함경도에서 연변조선족자치주 남쪽, 연해주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 퍼져 있던 부족 국가 집단이다. 남옥저, 동옥저, 북옥저 등이 존재했으나 남옥저는 기원전 2세기 말 위만조선에 의하여 멸망..

옥저 2019.08.29

<펌> 북옥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북옥저(北沃沮) 고대사지명 한국 고대의 부족국가.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 트위터페이스북 분야 고대사 유형 지명 시대 고대-초기국가-옥저 성격 국가, 초기국가 정의 한국 고대의 부족국가. 내용 《삼국지》에 의하면 읍루의 남쪽, 남옥저의 북쪽 800리 되는 곳에 있었다고 하는 바, 그 위치는 대략 지금의 함경북도 북부와 간도(間島)지역으로 추측된다. 또, 《삼국지》에서는 일명이 ‘치구루(置溝婁)’라고 했으나, 이는 북옥저의 다른 이름이 아니고 중심지의 명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경성설(鏡城說)·혼춘설(琿春說) 등이 있다. 북옥저의 형성시기는 미상이나 최근 전국시대(戰國時代)에서 후한시대(後漢時代)에 걸쳐 두만강·목단강(牧丹江)·수분하(綬芬河) 유역에 분포한 단결문화유형(團..

옥저 2019.08.29

<펌> 부여 - 나무위키

부여 扶餘 존속 기간 기원전 2세기 ~ 494년 위치 쑹화강 일대 송눈평원 수도 북부여: 예성(濊城)[1] ☞ 부여성(扶餘城)[2] 동부여: 여성(餘城)[3] 정치 체제 군주제 국가 원수 왕(王) 주요 군주 동명왕 해모수 해부루 금와왕 대소왕 언어 부여어[4] 참조 종교 무속신앙 국성 해(解) 종족 구성 예맥[5] 성립 이전 성읍국가[6] 멸망 이후 고구려, 두막루 1. 개요2. 국호3. 역사 3.1. 전신3.2. 건국 신화3.3. 건국에서 멸망까지 4. 정치5. 사회 5.1. 언어 6. 경제7. 역대 국왕8. 인물9. 종교와 문화10. 군사11. 부여와 한국사12. 부여에서 유래한 이름13. 기타14. 참고 자료 14.1. 연구 자료 15. 한국사 관련 시험에서의 논란 1. 개요 중국 동북 지방에 존재..

부여 2019.08.29

<펌> 동부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부여(東夫餘)고대사지명 고대 부여족(夫餘族)이 두만강 유역에 세운 국가.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분야고대사유형지명시대고대-초기국가-부여성격고대국가, 부여족 국가소재지두만강 유역정의고대 부여족(夫餘族)이 두만강 유역에 세운 국가.키워드해부루(解夫婁)금와(金蛙)대소(帶素)아란불(阿蘭弗)동예(東濊)개설동부여(東夫餘)는 해부루(解夫婁)가 건국한 부여족 국가이며『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는 고구려 건국시조인 주몽(朱蒙)의 출자처로 기록되어 있다.「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에는 고구려 시조인 추모왕(鄒牟王)의 속민(屬民)이었으나 도중에 반(叛)했기에 광개토대왕의 정벌을 받는 존재로 등장한다.명칭 유래『삼국사기』 등에 의하면, 동부여는 해부루가 왕조를 창업하였고 금와(金蛙)와 대소(帶素)가..

부여 2019.08.29

<펌> 동부여 - 위키

동부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동부여의 세력권 (3세기경) 한국의 역사 韓國史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 시대 단군조선 (기원전 23세기~기원전 3세기) 부여 (기원전 3세기~494년) 진(辰)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 시대 부 여 옥 저 변 한 삼국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 668년) 백제 (기원전 18년~660년) 신라 (기원전 57년~ ) 가야 (42~ 562년) 남북국 시대 발해 (698~926년) 통일신라 (676년~ ) 후삼국 시대 태봉 (901~918년) 후백제 (892~936년) 신라 (기원전 57년 ~935년) 통일 왕조 시대 고려 (918~1392년) 조선 (..

부여 2019.08.29

<펌>Egypt in the Middle Ages (AD 639 - 1517)

Egypt in the Middle Age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History of Muslim Egypt)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art of a series on the History of Egypt Prehistoric Egypt pre–3150 BC Ancient Egypt Early Dynastic Period 3150–2686 BC Old Kingdom 2686–2181 BC 1st Intermediate Period 2181–2055 BC Middle Kingdom 2055–1650 BC 2nd Intermediate Period 1650–1550 BC New Kingdom 1..

<펌> 수양제 (r 605-616)- 나무위키

분류 수당시대/황제 망국의 군주 569년 출생 618년 사망 존속살해자 수 황제 [ 펼치기 · 접기 ] 묘호 세조(世祖) 시호 수나라 명황제(明皇帝), 당 양황제(煬皇帝) 연호 대업(大業, 605년 ~ 618년 3월) 성 양(楊) 휘 광(廣) 생몰 기간 569년 ~ 618년 4월 11일 재위 기간 604년 8월 21일 ~ 618년 4월 11일 1. 개요2. 즉위 전3. 즉위 후4. 양제의 무리수: 고구려 원정 4.1. 1차 공격4.2. 2차 공격과 반란의 시작4.3. 3차 공격 5. 파멸6. 가족7. 평가8.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 수나라(隋)의 2대 황제. 본명은 양광(楊廣)으로 수나라를 건국하고 중국을 통일한 성군 수문제의 차남이다. 시호는 수 양제로 널리 알려졌지만 이는 당나라 때 붙여진 것이고..

<펌> 수양제 - 위키

수 양제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양광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양광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양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진 시대 무관 장군 양제에 대해서는 양제 (서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수 양제 隋煬帝지위수조 제2대 황제재위604년 4월 21일-618년 4월 11일전임자수 문제후임자수 공제재상상서복야[보이기]이름휘양광 (楊廣)별호양제 (煬帝)연호대업 (大業)묘호세조 (世祖)시호명제 (明帝)신상정보출생일569년사망일618년 4월 11일사망지강도(오늘날의 강소성 양주시)왕조수조가문양씨 (楊氏)부친수 문제 양견모친문헌황후 독고가라배우자양민황후 소씨자녀양민황후 소생: 태자 양소, 제왕 양간 빈 소씨 소생: 조왕 양고수 세조 양황제 양광(隋 世祖 ..

<펌> 수문제 (r 581-604) - 위키

수 문제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수 문제 隋文帝지위수조 제1대 황제재위581년 3월 4일-604년 8월 13일전임자북주 정제후임자수 양제재상상서복야[보이기]수왕재위580년-581년전임자(책봉)후임자(칭제)군주북주 정제수국공재위568년-580년전임자양충후임자(왕작으로 승격)군주북주 무제, 선제이름휘한식: 양견 (楊堅), 선비식: 보육여견 (普六茹堅)별호자: 나라연(那羅延)연호개황 (開皇; 581년-600년) 인수 (仁壽; 601년–604년)묘호고조 (高祖)시호문제 (文帝)능호태릉 (太陵)신상정보출생일541년 7월 21일출생지북주 장안성사망일604년 8월 13일사망지수 보계 인수궁왕조수조가문양씨 (楊氏)부친수국공 양충모친여고도배우자문헌황후 독고가라자녀폐태자 양용, 진왕 양광..

<펌> 수문제 - 나무위키

분류 수당시대/황제 541년 출생 604년 사망 묘호 고조(高祖) 시호 문황제(文皇帝) 연호 개황(開皇, 581년 2월 ~ 600년) 인수(仁壽, 601년 ~ 604년) 성 양(楊) 휘 견(堅) 부황 무원제(武元帝) 모후 원명황후(元明皇后) 생몰 기간 541년 7월 21일 ~ 604년 8월 13일 재위 기간 581년 3월 4일 ~ 604년 8월 13일 1. 개요2. 집권 전3. 중국의 분열기를 종결시키다4. 통치 4.1. 후대 왕조에 길이 영향을 끼친 정치 능력4.2. 관롱집단 문제4.3. 고구려와 전쟁 5. 말년6. 가족 관계 6.1. 문헌황후와 후계자 선정6.2. 그 외의 자식들6.3. 가족 관계 7.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카롤루스 대제가 이뤄낸 통일 유럽은 그의 사후 다시금 분열되었으나, 수 문..

<펌> 수나라 - 위키

수나라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수隋← ← ←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 → 610년. 수나라의 판도수도대흥(581년 ~ 605년) 동도(605년 ~ 619년)정치공용어중국어정부 형태전제군주제황제 581년 ~ 604년 604년 ~ 618년 617년 ~ 618년 618년 ~ 619년 고조 문황제 세조 양황제 공황제 공황제역사 • 성립 • 대륙 재통일 • 고수전쟁 • 멸망 581년 3월 4일 589년 2월 10일 598년 ~ 614년 619년 5월 23일 현재 국가 [보이기]중국의 역사신화 ~ 진의 통일 이전선사 시대황하·장강 문명기원전 4800?~기원전 3500?신화·삼황오제기원전 4000?~기원전 2070?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상 기원전 ..

<펌>안청 (안세고) - 나무위키

분류 서역의 승려 한나라/인물 중국의 승려 安淸 (? ~ 170?) 후한 말의 승려로 중국식 이름은 안청(安淸) 또는 안후(安候)이며, 자는 세고(世高). 본래는 파르티아의 왕과 정후 사이에서 태어난 태자로 어려서부터 효행으로 칭송을 받거나 총명하고 민첩하게 공부해 배우기를 좋아했으며, 외국의 서적이나 칠요(요일), 의술, 이상한 술법 등에 능했다고 한다. 길을 가다가 한 떼의 제비가 지저귀는 것을 보고 먹을 것을 보내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 말대로 먹을 것을 가져왔다고 하며, 사람들이 이를 기이하게 여겨 빼어나 남다르다는 명성이 서역에 퍼졌다. 출가하기 전부터 계율을 받드는 것을 엄격히 했으며,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지만 동생에게 왕위를 양보해 출가했다. 경장[1]에 능해 특히 아비담학[2]에 정..

사라센제국의 우마이야 왕조가 신라라는 구체적 자료

지난 번 본 블로그에 올린 글, “ 대식국과 우마이야 왕조”에서는 우리의 식습관인 대식에 연관하여 우마이야 왕조가 무열왕계의 신라라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의 무슬림이란 단어가 꼭 이슬람교 신앙과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하였다. 초기에는 비기독교인을 무슬림이라 했다고 하며, 또한 바그다드에 가까이 있는 모슬(Mosul) 시의 사람들이라는 뜻(Mosalman)으로 무슬림이란 단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했다. 사라센제국이라 함은 백의 식국인 우마이야왕조와 흑의 식국인 아바스왕조의 두 왕조를 일반적으로 가리키는데, 원래 사라세니란 말은 옛날의 (앗)시리아의 초원에 사는 사람들을 일컬었다고 했다. 우마이야 왕조때에는 수도가 현재 시리아의 ‘다마스커스’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오늘은 이러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