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광개토대왕이 경략한 임나, 가라에 대한 위치비정 II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광개토대왕이 경략한 왜의 임나 가라는 지중해에 있었다’라는 글에서 가라는 사르데냐섬, 임나는 시칠리섬에 있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들 지역은 반달족이 450년이후 스페인의 이베리아 반도를 거쳐 북아프리카를 지나 지중해 각 섬들에 도착한 경로이다. 광개토대왕의 임나 가라 정벌은 광개토대왕 생존시의 일이므로 400년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반달족의 경략은 시기적으로 약 50년이후의 사건이 된다. 그리고 일부 서양 역사가는 훈족의 을딘 (Uldin, 광개토대왕으로 추정됨)이 아나톨리아지역을 유린했지만, 450년이후의 반달족과 같은 경로를 결코 밟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글을 본 적이 있다. 그러던 중, 최근에 본 블로그에 올린 글, ‘김수로왕의 금관가야는 코카서스 산맥아래 아르메..

2019.08.03

금관가야가 아르메니아에 있었다는 보다 직접적인 증거들

지난 번 올린 글, ‘김수로의 금관가야는 코카서스산맥아래 아르메니아지역에 있었다’라는 글에서, 신라의 역사와 사산왕조 페르시아, 그리고 비잔틴제국(660년이후)의 역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금관가야가 아르메니아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주장했다. 오늘은 김수로의 금관가야가 아르메니아지역에 있었다는 보다 직접적인 증거를 파헤쳐 보고자 한다.    1. 고깔모자 관련 이야기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본인의 저서 강역고에서 '가나(駕那)'가 기원이고 이는 가야 사람들이 끝이 뾰족한 고깔을 쓰고 다닌 데서 유래한 말이고 이를 중국인들이 삼국지를 쓸 때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으로 쓴 것은 그 모습을 형용한 것이라고 했다. 이후 한치윤 등 많은 실학자들이 이 견해를 따랐고 일본의 아유가이도 가야가 갈(冠弁)에 기원을..

과거의 생각 2019.08.02

대식국과 우마이야 왕조

중국 역사서에서는 사라센제국을 대식국이라 한다고 한다. 큰 대자, 먹을 식자이다. 즉 많이 먹는 나라라는 것이다. 사라센제국의 사라센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다. 우마이야 왕조 (AD 750) (source : Wikipedia) “사라센인(Saracen)은 대체로 이슬람 제국의 사람들을 말하는 용어이다. 원래 로마 제국 말기에 시나이 반도에 사는 유목민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리스어 Σαρακηνός에서 유래 했는데 이 말은 아랍어의 '동쪽에 사는 사람들'이란 뜻의 사라킨 이라는 단어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아라비아 지역에 기독교가 자리잡은 이후에는 아라비아에 사는 민족을 통칭하는 말로 쓰이다가 7세기 이슬람교가 성립한 뒤부터는 사실상 이슬람교도와 동일한 의미로 쓰였다. 특히 시칠리아와 남..

<펌> 남해 차차웅 (AD 4 - AD 24) - 나무위키

분류 신라의 왕 24년 사망 웹툰 탈의 설정에 대한 내용은 차차웅(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신라 제2대 국왕 南解 次次雄 남해 차차웅 시호 남해 차차웅(南解 次次雄) 별호 남해 자충(南解 慈充)[1] 남해 거서간(南解 居西干) 출생 (음력) 기원전 50년? 사망 (음력) 기원후 24년 9월 능묘 사릉원(蛇陵園) 재위 (음력) 기원후 4년 3월 ~ 24년 9월 (20년 6개월)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호칭3. 일생4. 대중 매체에서 모습5. 삼국사기 기록6. 관련 서적 1. 개요 신라의 2대 왕으로, 혁거세 거서간과 알영부인의 아들. 이름은 남해(南解)이며, 족보에는 유(悠), 민해(愍解)라고 적혀 있으나 사료로서의 가치는 적다. 칭호는 차차웅인데 삼국유사..

<펌> 박 혁거세 거서간 (BC 57 - AD 4) - 나무위키

신라 초대 국왕 始祖 赫居世 居西干 시조 혁거세 거서간 국학원 역사문화 공원내에 있는 박혁거세 상 묘호 시조[1] 시호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별호 알지 거서간(閼智 居西干) 불구내왕(弗矩內王) 거슬한(居瑟邯) 출생 (음력) 기원전 69년(?) 사망 (음력) 기원후 4년 3월(71-72세?) 사로국 서라벌 능묘 사릉(蛇陵) 재위 (음력) 기원전 57년 4월 15일[2] ~ 기원후 4년 3월 (60년 11개월)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탄생건국 설화3. 치세4. 죽음과 그것의 의미5. 그 외6. 삼국사기 기록7. 관련 문서8. 관련서적9. 대중매체 다른 사람의 재앙을 기뻐하는 것은, 인(仁)이 아니로다. 幸人之災, 不仁也. 삼국사기 제 1권 신라본기 제1. 시조 혁거세 거서간 39년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