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62

<펌> 중천왕 (248-270 재위) - 위키백과

중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중천왕 高句麗 中川王지위고구려의 12대 국왕재위248년~270년전임자동천왕후임자서천왕부왕동천왕이름휘고연불(高然弗)신상정보부친동천왕배우자연씨(椽氏)중천왕(中川王, 224년~270년, 재위 248년~270년)은 고구려의 제12대 군주이다. 이름이 연불(然弗)이고 동천왕의 아들이다. 중양왕(中壤王)이라고도 한다.목차1생애2가족 관계3중천왕을 섬긴 사람들4참고생애243년에 태자가 되었고, 248년에 왕위에 올랐다. 같은 해 음..

<펌> 동천왕 (227-248 재위) - 위키백과

동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동천왕 高句麗 東川王지위고구려의 11대 대왕재위227년 - 248년전임자산상왕후임자중천왕부왕산상왕이름휘고우위거(高憂位居)신상정보부친산상왕모친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소비(小妃)동천왕(東川王, 209년 ~ 248년, 재위: 227년 ~ 248년)은 고구려의 제11대 군주이다. 일명 동양왕(東襄王)이다. 산상왕(山上王)의 아들로 휘는 우위거(憂位居)다. 일설에는 위궁(位宮)도 그의 이름이라 한다. 아명은 교체(郊彘)이며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소후(小后)이다.목차1생애2가족 관계3동천왕을 섬긴 사람들4각주5참고6함께 보기생애산상왕과 소후의 사이에서 태어나 아명은 ‘교체’라고 하였다. 교제(郊祭)에 쓸 돼지..

<펌>산상왕 (197-227 재위) - 위키백과

산상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고구려 산상왕 高句麗 山上王지위고구려의 10대 국왕재위197년 - 227년전임자고국천왕후임자동천왕부왕신대왕이름휘고연우(高延優)능호산상릉(山上陵)신상정보부친신대왕배우자제나부(提那部) 우소(于素)의 딸3세기 초 고구려의 판도산상왕(山上王, ?~227년, 재위 197년~227년)은 고구려의 제10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아들이자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휘는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 (三國..

<펌> 고국천왕 (179-197 재위) - 위키백과

고국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고국천왕 高句麗 故國川王지위고구려의 9대 국왕재위179년 - 197년전임자신대왕후임자산상왕부왕신대왕이름휘고남무(高南武)신상정보부친신대왕배우자제나부(提那部) 우소(于素)의 딸고국천왕(故國川王, ?~197년, 재위: 179년~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다. 신대왕의 둘째아들로 휘는 남무(南武)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다른 이름으로 이이모(伊夷模)가 기록되었다. 제8대 신대왕(新大王)의 둘째 아들이며, 신대왕이 죽은 뒤 형인 발기(拔奇)를 제치고 대신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목차1생애2가계3고국천왕을 섬긴 사람들4각주5참고생애17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179년에 즉위하였다. 신대왕..

<펌> 신대왕 (165-179 재위) - 위키백과

신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신대왕 高句麗 新大王지위고구려 제8대 군주재위165년~179년전임자차대왕후임자고국천왕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백고(高伯固)신상정보부친고재사(高再思)신대왕(新大王, 89년~179년, 재위 165년~179년)은 고구려의 제8대 군주이다. 첩치가(妾置家)를 하였던 고추가 고재사의 서자(庶子)이며 태조왕(太祖王)과 차대왕(次大王)의 이복 동생이지만 태조왕과는 터울이 42살까지 나므로 이복 동생이 아니라 태조왕의 아들[1] 또는 차대왕의 아들[2]이라는 설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태조왕의 이복 동생으로, 〈후한서 後漢書〉에는 차대왕의 아들로 나온다.신채호에 의하면 차대왕, 신대왕, 인고(仁固) 3형제는 태조왕의 이복 동생이 아니라 서자라고 ..

<펌> 차대왕 (146-165 재위) - 위키백과

차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차대왕 高句麗 次大王지위고구려의 제7대 국왕재위146년 - 165년전임자태조대왕후임자신대왕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수성(高遂成)신상정보부친고재사(高再思)차대왕(次大王, 71년~165년, 재위 146년~165년)은 고구려의 제7대 군주이다. 휘는 수성(遂成)이다. 첩치가(妾置家)를 하였던 고추가 고재사(高再思)의 서자(庶子)인 그는 《삼국사기》에선 태조왕(太祖王)의 이복 동생으로, 《후한서》에서는 태조왕의 장자로 기록되어 있다. 태조왕 때에는 장군으로 활약하고 또한 대리청정으로써 국정을 대신 살폈다.146년 선양을 받아 76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폭정으로 인해 명림답부(明臨荅夫)에게 살해되었다. 신채호에 의하면 차대왕, 신대왕, ..

<펌> 태조대왕 (53-146 재위) - 위키백과

태조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고구려의 국왕에 관한 것입니다. 고려나 조선의 제 1대 국왕에 대해서는 조선 태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태조대왕 高句麗 太祖大王지위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53년~146년대관식태조대왕(太祖大王)전임자모본왕(慕本王)후임자차대왕(次大王)섭정고재사(53년~54년) 부여태후(54년~68년) 고수성(121년~146년)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궁(高宮)별호고어수(高於漱)묘호태조대왕(太祖大王)신상정보출생일47년출생지?사망일146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고재사(高再思)모친부여태후(扶餘太后)배우자?자녀아들 고막근(高莫勤 아들 고막덕(高莫德)기타 친인척증조부 유리명왕(瑠璃明王) 종조부 대무신왕(大武神王) 이복 동생 차대왕..

<펌> 모본왕 (48-53 재위) -위키백과

모본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모본왕 高句麗 慕本王지위고구려의 제5대 태왕재위48년~53년대관식모본왕(慕本王)전임자민중왕(閔中王)후임자태조대왕(太祖大王)섭정고재사(48년~53년)부왕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우(高解憂)별호해우(解憂) 해애루(解愛婁) 모본원(慕本原)묘호모본왕(慕本王)시호모본왕(慕本王)신상정보출생일?사망일53년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배우자?자녀고익(高翊)종교불교(佛敎)모본왕(慕本王, ? ~ 53년, 재위 : 48년 ~ 53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5대 태왕이다.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이다. 제3대 왕 대무신왕과 그 원비(元妃)의 자식이다. 이복형제 호동과의 태자 다툼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부..

<펌>민중왕 (44-48 재위) - 위키백과

민중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민중왕 高句麗 閔中王지위고구려의 제4대 국왕재위44년 음력 10월 ~ 48년대관식민중왕(閔中王)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후임자모본왕(慕本王)부왕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색주(高解色朱) 고해읍주(高解邑朱)별호해색주(解色朱) 해읍주(解邑朱)묘호민중왕(閔中王)시호?신상정보출생일?출생지?사망일48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왕후 송씨(王后 松氏) ?배우자?자녀?종교불교(佛敎)민중왕(閔中王, ? ~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 ~ 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휘는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나, 여기서 '해'가 성씨일 가능성..

<펌> 대무신왕 (18-44 재위) - 위키백과

대무신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대무신왕 高句麗 大武神王 지위 고구려의 제3대 태왕 재위 18년~44년 음력 10월 대관식 대무신왕(大武神王) 전임자 유리명왕(瑠璃明王) 후임자 민중왕(閔中王) 섭정 고재사(44년 음력 9월 ~ 44년 음력 10월) 부왕 유리명왕(瑠璃明王) 이름 휘 고무휼(高無恤) 별호 미류(味留) 묘호 대무신왕(大武神王) 시호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대호신왕(大虎神王) 신상정보 출생일 4년 사망일 44년 (향년 41세)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유리명왕(瑠璃明王) 모친 후궁 송씨(後宮 松氏) 배우자 해씨 부인 자녀 호동(好童) 모본왕(慕本王) 종교 불교(佛敎) 대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태왕(재위..

<펌> 유리명왕 (BC 19-AD18 재위)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6월)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국왕재위기원전 19년 음력 9월 ~ 기원후 18년 양력 10월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여달(閭達) 여해(閭諧) 시여해(始閭諧)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

<펌> 동명성왕 (BC37-BC19 재위) - 위키백과

동명성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주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에 대해서는 주몽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동명성왕 高句麗 東明聖王지위고구려의 제1대 태왕재위기원전 37년~기원전 19년대관식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유리명왕섭정유리태자(기원전 19년 음력 6월 ~기원전 19년 음력 9월)부왕천제(天帝)의 아들이름휘고주몽(高朱蒙)별호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 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묘호동명성왕(東明聖王)시호추모성왕(鄒牟聖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58년출생지?사망일기원전 19년 음력 9월사망지용산(龍山)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천제(天帝)의 아들모친유화(柳花)배우자예씨 부인(禮氏夫人) 소서노(召西奴)자녀유리명왕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동..

<펌> 일성 이사금 (134-154 재위) - 위키백과

일성 이사금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일성 이사금지위신라의 제7대 국왕재위134년~154년전임자지마 이사금후임자아달라 이사금부왕유리 이사금이름휘박일성(朴逸聖)신상정보부친유리 이사금모친이간생부인(伊刊生夫人)배우자박씨로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일성 이사금(逸聖泥師今, 44년? ~ 154년, 재위 134년~154년)은 신라의 제7대 국왕으로,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이라고도 하며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 또는 유리 이사금의 아들인 아도 갈문왕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왕비는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 박씨부인이다. 즉위 4년 137년과 즉위 6년인 139년에 말갈이 침입해 이듬해인 140년 장령에 목책을 세워 방비를 세웠다. 142년 말갈 공격 계획을 세웠으나 현실적인 문제로 좌절되었..

<펌>지마 이사금 (112-134 재위) - 위키백과

지마 이사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지마 이사금 지위 신라의 제6대 국왕 재위 112년~134년 전임자 파사 이사금 후임자 일성 이사금 부왕 파사 이사금(婆娑 尼師今) 이름 휘 박지마(朴祗摩) 신상정보 부친 파사 이사금(婆娑 尼師今) 모친 사성부인(史省夫人) 배우자 애례부인(愛禮夫人) 지마 이사금(祗摩 泥師今, ?~134년, 재위: 112년~134년)은 신라의 제6대 국왕이다. 성은 박(朴)으로서 파사왕(婆娑王)의 적자이며, 어머니는 사성부인(史省夫人), 왕후는 갈문왕(葛文王) 마제(摩帝)의 딸인 애례부인(愛禮夫人 金氏) 김씨이다. 목차 1치세 2가계 3참고 4관련 항목 5각주 치세 즉위 4년인 115년 음력 2월 가야(伽耶)가 남쪽 변경을 공격하자 음력 7월 가야..

<펌> 파사 이사금 (80-112 재위) - 위키백과

파사 이사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파사 이사금 지위 신라의 제5대 국왕 재위 80년~112년 전임자 탈해 이사금 후임자 지마 이사금 부왕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이름 휘 박파사(朴婆娑), 박검(朴儉) 또는 박검(朴檢) 신상정보 부친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모친 사요왕(辭要王)의 딸 배우자 사성부인(史省夫人) 파사 이사금(婆娑尼師今, ?~112년 10월, 재위: 80년~112년)은 신라의 제5대 국왕이다.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자 일성 이사금의 이복 동생 또는 이복 형이라 한다. 다른 이름은 검(檢) 또는 검(儉)이다. 목차 1생애 1.1생애 초반 1.2치세기간 1.3최후 2가계 3자연재해 4참고 5부록 5.1참고 문헌 5.2각주 생애 생애 초반 성은 박씨이며..

<펌> 탈해 이사금 (57-80 재위) - 위키백과

탈해 이사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탈해 이사금 지위 신라의 제4대 국왕 재위 57년 ~ 80년 전임자 유리 이사금 후임자 파사 이사금 이름 휘 석탈해(昔脫解) 신상정보 배우자 아효부인(阿孝夫人) 탈해 이사금 (脫解尼師今, 기원전 19년?~80년, 재위: 57년~80년)은 신라의 제4대 국왕으로, 성(姓)은 석(昔)이고, 휘는 탈해(脫解)이다. 서기 8년에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며, 10년에 대보(大輔)로 등용되어 정사를 맡았고 57년 유리 이사금의 유언에 따라 왕이 되었다. 토해(吐解)라고도 한다. 목차 1생애 1.1출생설 1.2치세 2사후 3탄생 신화 4가계 5같이 보기 6탈해 이사금 등장한 작품 7각주 8참고 문헌 9외부 링크 생애 출생설 《삼국사기》에 수록..

<펌>유리 이사금 (24-57 재위) - 위키백과

유리 이사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신라 유리 이사금 新羅 儒理 尼師今 지위 신라의 제3대 국왕 재위 24년 ~ 57년 전임자 남해 차차웅 후임자 탈해 이사금 부왕 남해 차차웅(南解 次次雄) 이름 휘 박유리(朴儒理) 신상정보 부친 남해 차차웅(南解 次次雄) 모친 운제부인(雲帝夫人) 배우자 일지 갈문왕(日知 葛文王)의 딸 유리 이사금(儒理 尼師今, ?~57년, 재위: 24년~57년) 또는 노례 이사금(弩禮 尼師今)은 신라의 제3대 국왕으로 남해 차차웅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운제(雲帝) 부인이다. 박혁거세의 손자이며, 천일창의 동생[1] 이다. 왕후는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의 딸, 혹은 허루왕(許婁王)의 딸 박씨라는 설이 있지만,[2] 일지 갈문왕의 딸일 가능성이 ..

<펌> 예맥족-신화위키

예족,맥족, 예맥족 - 신화위키 한국사/한국사 2013.03.11 03:38 출처 : http://ko.mythology.wikia.com/wiki/%EC%98%88%EC%A1%B1 http://ko.mythology.wikia.com/wiki/%EB%A7%A5%EC%A1%B1 http://ko.mythology.wikia.com/wiki/%EC%98%88%EB%A7%A5 예족 우리 겨레를 가리키는 명칭 중에 예족 이 있다. 주로 부여계 북방족을 일컫는데, 본래 예족과 맥족이 따로 있지만 뭉뚱그려서 예맥족이라고도 한다. 예족은 고대에 인사법이 서로 만나면 땅에 엎드려 절을 하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삼국지 한전에서 (삼한) 백제를 한예(韓穢) 라고 부르고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고구려 왕이 "예족"의 군..

예맥 2019.06.24

<펌> 남해 차차웅 (4-24 재위) - 위키백과

남해 차차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남해 차차웅 지위 신라의 제2대 국왕 재위 4년 ~ 24년 전임자 박혁거세 거서간 후임자 유리 이사금 부왕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이름 휘 박남해(朴南解)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50년 사망일 24년 (향년 75세) 부친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모친 알영부인(閼英夫人) 배우자 운제부인(雲帝夫人) 남해 차차웅(南解次次雄, 남해 이사금, 기원전 50년~24년, 재위 4년~24년)은 신라의 2대 국왕으로, 혁거세왕과 알영부인의 적자이다. 이름은 남해(南解), 다른 이름은 민해(愍海)이다. 그의 칭호에 대하여는 국왕이면서 동시에 제사장 역할을 했다는 설이 있다. 목차 1왕호 2치세 3가계 4남해 차차웅이 등장한 작품 5참고..

<펌> 혁거세 거서간 (BC 69 - AD 4 재위) - 위키백과

혁거세 거서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혁거세 거서간 赫居世 居西干 지위 신라의 1대 국왕 재위 기원전 57년~4년 후임자 남해 차차웅 이름 휘 박혁거세(朴赫居世)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69년 사망일 4년 3월 (향년 73세) 부친 알려지지 않음 모친 사소부인 배우자 알영부인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기원전 69년~기원후 4년, 재위: 기원전 57년~기원후 4년)은 신라의 초대 국왕이다. 삼국유사에는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서간은 진한의 말로 왕 혹은 귀인의 칭호라 한다. 《삼국유사》에서 일연은 혁거세 거서간이 백마가 낳은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였으나 사소부인(娑蘇夫人)이 혁거세 거서간을 낳았다는 전설도 함께 전하고 있다. 혁거세의 역사는..

<펌> 분서왕 (298-304 재위) - 위키백과

분서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백제 분서왕 百濟 汾西王지위백제의 제10대 어라하재위298년~304년대관식분서왕(汾西王)전임자책계왕(責稽王)후임자비류왕(比流王)부왕책계왕(責稽王)이름휘부여분서(扶餘汾西)묘호분서왕(汾西王)신상정보출생일?사망일304년왕조백제(百濟)가문부여씨(扶餘氏)부친책계왕(責稽王)모친보과부인(寶菓夫人)배우자?자녀계왕(契王)분서왕(汾西王, ? ~304년, 재위:298년 ~ 304년)은 백제의 제10대 국왕이다. 책계왕(責稽王)의 장자로 어려서부터 외모가 준수하고 총명하여 부왕의 총애를 받았다.생애책계왕이 한군현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304년에 낙랑군(樂浪郡)의 서쪽 현(西縣)을 공격하여 이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낙랑 태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