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장수왕 (412-491)-위키

2020. 7. 11. 06:44고구려 중 (391-559)/장수왕(412-491)

장수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장수왕
高句麗 長壽王

재위대관식전임자후임자부왕휘이칭별호연호묘호시호출생일출생지사망일사망지왕조가문부친모친배우자자녀종교

지위
고구려의 제20대 왕
412년 413년~491년
장수왕(長壽王)
광개토왕(廣開土王)
문자명왕(文咨明王)
광개토왕(廣開土王)
이름
휘 고거련(高巨連)
이칭 연(璉)(송서,남제서,양서,위서,주서)
      강(康)(시호:북위)
?
연호 연가(延嘉), 연수(延壽), 건흥(建興)
묘호 장수왕(長壽王)
시호 장수왕(長壽王) 강왕(康王)
신상정보
출생일 394년
출생지 ?
사망일 491년
사망지 ?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광개토왕(廣開土王)
모친 ?
배우자 ?
자녀  고조다(高助多)고승우(高升于)횡성 고씨
(橫城 高氏) 공주(이름 미상))[1]
종교 불교(佛敎)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국왕이다. 광개토왕의 태자로 는 거련(巨連, 巨璉)이며, 《위서(魏書)》에는 이름이 연(璉)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의 신찬성씨록과 일본서기에는 부련왕(夫連王)이라 한다. 394년 출생하여 491년 사망할 때까지 98세까지 장수했기 때문에 장수왕이라는 시호가 붙었다.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어갔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정책을 추진하였고 중국의 남북조와 등거리 외교를 통해 안정을 구가한 국왕이다.

목차

생애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394년에 태어났으며, 모후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409년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412년 음력 10월에 광개토왕이 죽자 19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연가(延嘉), 연수(延壽), 건흥(建興) 등의 연호가 새겨진 유물이 일부 발견되고 있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14년에 광개토 대왕릉비를 건립하여 광개토왕의 업적을 기렸으며, 423년(추정)에는 충주 고구려비를 세워 고구려의 위상을 널리 선포하였다.

장수왕은 내부적으로 왕권의 위상을 높여서 국내성의 귀족세력을 약화시키고, 남진정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427년에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남조(南朝)의 여러 왕조들과 북조(北朝)의 북위에 모두 화친을 맺고 조공을 바치는 등거리 외교를 통해 정세를 안정시켰다. 북위와는 풍홍의 망명이나 후궁을 보내는 문제로 일시 마찰을 빚기도 하였으나 대체로 꾸준히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외교를 통해 고구려 및 장수왕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높았으며, 장수왕은 높은 직위로 책봉을 받았고 고구려의 사신 또한 높은 대우를 받았다. 북위는 고구려의 조공을 특별하게 우대하여 472년에는 타국보다 더 자주, 더 많이 조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435년, 북연 황제 풍홍이 밀사를 보내 망명을 요청하였으며, 장수왕은 이를 받아들여 이듬해 북연이 북위에 의해 멸망당할 때 군대를 보내 풍홍 및 그 일족들을 구출하였다. 고구려로 도망쳐온 풍홍은 스스로의 세력을 믿고 행패를 부렸으며 이에 장수왕은 풍홍의 태자를 인질로 잡고 시중드는 인원도 몰수하였다. 이에 풍홍은 송나라에 망명을 요청하였으며, 이 사실을 알게 된 장수왕은 군대를 보내 풍홍을 살해하였다. 이때 송나라 사신 왕백구가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군을 공격하여 장수 고구가 죽고 손수가 생포되었는데, 장수왕은 다시 왕백구를 붙잡아 송으로 압송하였다. 고구려와 외교 관계를 망칠 수 없었던 송나라에서는 왕백구를 감옥에 가둬 고구려의 눈치를 본 후 석방하였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가 안정된 가운데 장수왕은 백제를 정벌하는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맺어 대항하였기 때문에 454년부터 신라와 적대관계가 되었다. 468년에는 신라의 실직주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였으며, 이듬해에는 백제가 남쪽 변경을 침공하기도 하였다. 472년, 백제 개로왕은 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해 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북위는 이 사실을 고구려에 알려주었다. 이에 고구려는 백제와 전면전을 준비하는 한편 승려 도림(道琳)을 첩자로 보내 백제의 내정을 정탐하였다. 도림은 바둑으로 개로왕의 환심을 사고 개로왕에게 무리한 토목공사를 일으키게 사주하여 백제의 국력을 소모시켰다. 이러한 물밑작업을 마친 장수왕은 475년에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 위례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사로잡아 살해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489년에는 신라를 공격하여 호명성 등 7개 성을 함락시키고 미질부까지 진격하였다. 이러한 정복 전쟁을 통해 고구려는 한반도 중부 일대를 확고하게 장악하였다.

 

말년의 장수왕은 정복 전쟁을 그만두고 내치에 힘썼으며, 중국과의 외교 관계도 계속 우호적으로 유지하여 안정을 구가하였다. 그리고 491년 음력 12월, 9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북위 효문제는 특별히 직접 애도를 표했으며 관작을 추증하고 강왕(康王)이라 시호를 내렸다.

 

일설에는 468년 경 장수왕이 유연과 지금의 내몽골 대흥안령 산맥 인근에 위치한 지두우를 분할 점령하려 하였다고도 한다. 지두우는 좋은 말의 산지였으므로, 이후 고구려군이 전쟁을 치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2]

가계

기년

장수왕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력 412년 413년 414년 415년 416년 417년 418년 419년 420년 421년
단기 2745년 2746년 2747년 2748년 2749년 2750년 2751년 2752년 2753년 2754년
간지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장수왕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서력 422년 423년 424년 425년 426년 427년 428년 429년 430년 431년
단기 2755년 2756년 2757년 2758년 2759년 2760년 2761년 2762년 2763년 2764년
간지 임술 계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장수왕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서력 432년 433년 434년 435년 436년 437년 438년 439년 440년 441년
단기 2765년 2766년 2767년 2768년 2769년 2770년 2771년 2772년 2773년 2774년
간지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장수왕 31년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 39년 40년
서력 442년 443년 444년 445년 446년 447년 448년 449년 450년 451년
단기 2775년 2776년 2777년 2778년 2779년 2780년 2781년 2782년 2783년 2784년
간지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장수왕 41년 42년 43년 44년 45년 46년 47년 48년 49년 50년
서력 452년 453년 454년 455년 456년 457년 458년 459년 460년 461년
단기 2785년 2786년 2787년 2788년 2789년 2790년 2791년 2792년 2793년 2794년
간지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장수왕 51년 52년 53년 54년 55년 56년 57년 58년 59년 60년
서력 462년 463년 464년 465년 466년 467년 468년 469년 470년 471년
단기 2795년 2796년 2797년 2798년 2799년 2800년 2801년 2802년 2803년 2804년
간지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장수왕 61년 62년 63년 64년 65년 66년 67년 68년 69년 70년
서력 472년 473년 474년 475년 476년 477년 478년 479년 480년 481년
단기 2805년 2806년 2807년 2808년 2809년 2810년 2811년 2812년 2813년 2814년
간지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장수왕 71년 72년 73년 74년 75년 76년 77년 78년 79년 80년
서력 482년 483년 484년 485년 486년 487년 488년 489년 490년 491년
단기 2815년 2816년 2817년 2818년 2819년 2820년 2821년 2822년 2823년 2824년
간지 임술 계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대중 문화속에 나타난 장수왕

참고

각주

  1.  북위의 풍태후가 그녀를 북위 헌문제의 후궁으로 삼고자 했으나, 장수왕은 공주가 결혼했다고 둘러대고 보내지 않았다.
  2.  김용만,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 281-282쪽.
  3.  북위의 풍태후가 그녀를 북위 헌문제의 후궁으로 삼고자 했으나, 장수왕은 공주가 결혼했다고 둘러대고 보내지 않았다.

외부 링크

전 대
광개토왕
제20대 고구려 국왕
412년 - 491년
후 대
문자명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