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상(BC37-AD 391) 56

<펌> 양맥전투-나무위키

양맥 전투 최근 수정 시각: 2020-08-27 07:02:36 분류 고구려 한국사/전투 삼국시대(중국)/전투 전투 목록/한국사 양맥 전투 梁貊戰鬪 1차 전투 시기 244년 8월 2차 전투 시기 259년 12월 장소 고구려, 양맥[1] 원인 공손연 멸망 이후, 고구려와 위(魏)의 관계 악화. 교전국 고구려 위 1차 전투 지휘관 동천왕 관구검 2차 전투 지휘관 중천왕 울지해 1차 전투 병력 20,000 명 10,000 명 2차 전투 병력 5,000 명 병력 규모 불명 1차 전투 피해 피해 규모 불명 3,000여 명 사상 2차 전투 피해 피해 규모 불명 8,000여 명 전사 결과 고구려군 승리 1차 전투 영향 동천왕과 관구검, 비류수에서 재결전. 2차 전투 영향 13년전 비류수 전투 설욕. 1. 개요2. 1..

<펌> 양맥(梁貊)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양맥(梁貊) 고대사개념용어 고구려 건국기 만주지역에 거주한 예맥족의 한 집단을 가리키는 역사용어.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 트위터페이스북 의견제시 양맥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파일선택 항목명이메일의견첨부파일 분야고대사유형개념용어시대고대-초기국가 정의 고구려 건국기 만주지역에 거주한 예맥족의 한 집단을 가리키는 역사용어. 내용 『삼국지』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에 보이는 소수맥(小水貊)으로, 한(漢)의 현도군(玄菟郡)의 한 속현이었던 서개마현(西蓋馬縣)에 근거하였으리라고 추정된다. 이 곳은 동가강(佟佳江)과 그 지류인 부이강(富爾江)과의 합류지점인 지금의 부이강 하구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대량수(大梁水)가에 있었던 맥족(貊族)에 대한 ..

<펌> 소수림왕 (r 371-384, 337 born, 355 태자)-나무위키

1.소개2. 태자 시절3. 왕위에 오르다 3.1. 당시 국제 정세3.2. 내정 안정화3.3. 백제에 대한 반격 4. 평가5. 삼국사기 기록6.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1. 소개 고구려의 제17대 군주.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2] 백제의 고이왕, 신라의 법흥왕, 통일신라의 신문왕과 함께 나라의 기반을 단단히 마련한 개혁 군주 중 한 명이다. 그리고 이런저런 굵직한 업적 덕분에 국사 교육 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며 그 때문에 한국사를 공부하는 수능 응시생이나 공시생들에게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군주이기도 하다. 과장을 좀 보태면 이 임금을 빼놓고는 고구려의 정치사를 논할 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고국원왕 대에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로 멸망 테크를 밟던 고구려를 단..

<펌>산상왕(197-22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산상왕(山上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0대(재위: 197~229) 왕. 이칭연우(延優), 이이모(伊夷模)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227년경력고구려 제10대 국왕(재위: 197∼227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0대(재위: 197~229) 왕. 키워드 신대왕(新大王) 우씨(于氏) 고국천왕(故國川王) 제나부(堤那部) 취수혼(娶嫂婚) 개설 이름은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위궁(位宮)이라고도 한다고 했으나 이는 산상왕(山上王)의 아들인 동천왕(東川王)의 일명이므로 잘못된 것으로 여겨진다. 신대왕(新大王)의 아들이며, 고국천왕(故國川王)의 동생이다. 고국천왕이 후사 없이 죽자 고국천왕의 왕비 우씨(于氏)를 비롯한 귀족 세력의 추..

<펌> 산상왕 (197-227)-나무위키

1. 개요2. 왕위 계승전 승리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고구려의 제10대 군주. 휘는 연우 혹은 이이모. 신대왕의 넷째 아들이다. 하지만 후술할 발기의 반란 사건 기록의 연대적 모순 때문에 실제로는 신대왕의 셋째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삼국사기 즉위 기록에는 산상왕은 태어날 때부터 눈 뜬 게 증조부 궁(태조왕)과 같아서 그 이름을 따 위궁이라 이름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진수의 정사 삼국지에는 이와 완전히 똑같은 기록이 동천왕과 관련된 내용에 기록되어있는데, 김부식이 정사 삼국지를 참고하다가 고국천왕이 누락되어 있는 것을 보고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고유기록에 끼워맞추다가 실수했다는 것이 정설. 2. 왕위 계승전 승리 등극한 신대왕의 아들 9대 10대 고국천왕(故國川王) 산상왕(山..

<펌> 고국천왕 (179-197)-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국천왕(故國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9대(재위:179~197) 왕. 이칭국양왕(國襄王), 국양왕(國壤王), 남무(男武)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97년경력고구려 제9대 국왕(재위: 179∼197년)관련사건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반란(190∼191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9대(재위:179~197) 왕. 키워드 제나부(提那部) 진대법(賑貸法) 을파소(乙巴素) 좌가려(左可慮) 어비류(於卑留) 개설 이름은 남무(男武)이며 국양왕(國襄王) 또는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신대왕(新大王)의 둘째아들이다. 176년(신대왕 12)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신대왕이 승하한 뒤 국인(國人)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내용 184년후한(後漢) 요동태수(遼東太守..

<펌> 고국천왕 (179-197)-나무위키

1. 소개2. 왕위 다툼3. 업적 3.1. 국방3.2. 진대법3.3. 부자 세습제 확립3.4. 정치 체제의 정교화 (부족 5부 체제의 5방위 개편) 4. 왕후 우씨5.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고구려의 제9대 군주. 휘는 남무. 태조대왕, 차대왕과의 관계가 미스테리한 신대왕의 차남이다. 장수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를 물려받아 18년간 재위했다. 천왕으로 끝나서 오해할 수 있는데, 천왕(天王)이 아니라 고국천원(故國川原) 근교에 묻어서 고국川왕이다.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기록에 따르면 판단력이 좋고 힘이 아주 세서 큰 솥도 들었다고 하는데, 고구려에서는 이 큰 솥을 드는 사람을 장사로 여겼다. 체격도 커서 키가 무려 9척이었다고 하는데, 한나라 기준을 따라 1척을 23cm로 가정하면 신장이 2..

<펌>신대왕 (165-17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신대왕(新大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8대(재위: 165~179)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88년사망일179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8대(재위: 165~179) 왕. 개설 재위 165∼179. 이름은 백고(伯固) 또는 백구(伯句). 태조왕의 동생이라고도 하고, 태조왕의 아들 또는 차대왕의 아들이라는 이설도 있다. 영특하며 성품이 인자했다고 한다. 형인 차대왕이 신하와 백성들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자 장차 변란이 발생해 화가 자신에게까지 미칠까 두려워 산 속에 은둔해 있다가, 차대왕이 명림답부(明臨答夫)에게 살해된 뒤 좌보(左輔) 어지류(箊支留) 등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신대왕이 태조왕과 차대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것처럼 서술되어 있..

<펌> 신대왕 (165-179)-나무위키

1. 소개2. 쿠데타, 그리고 재위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크도다! 신대왕의 덕택이!" 大哉! 新大王之德澤也! 신대왕이 선정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사면령을 내리자 사람들이 외친 말. 고구려의 제8대 군주. 휘는 백고 혹은 백구.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관계에 대해선 기록마다 차이가 있는데, 그 탓인지 신대왕 역시 아버지에 대한 언급이 기록마다 다르게 등장한다. 《삼국사기》에는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동생으로, 범엽의 《후한서》에는 차대왕의 아들로, 진수의 《정사 삼국지》에는 태조대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정설은 없는 듯. 일단 한국의 백과사전 등에선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동생라는 설을 먼저 기술하고서 나머지 2개의 설도 같이 언급하는 편이다. 기록된 시기를 생각해보..

<펌>차대왕 (146-165, 121? -165)-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차대왕(次大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7대(재위:146~165) 왕. 이칭수성(遂成)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71년(태조왕 19)사망일165년(차대왕 20)경력왕관련사건후한(後漢)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의 고구려 침공 격퇴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7대(재위:146~165) 왕. 키워드 태조왕 명림답부(明臨答夫) 내용 재위기간은 146년(혹은 121년)부터 165년까지이며 이름은 수성(遂成)이다. 태조왕의 동생(『후한서(後漢書)』에는 아들로 전함이다. 용감하나 인자함이 적은 성품이었다. 121년(태조왕 69)에 후한(後漢)의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 등의 고구려침공을 격파하였고, 그 공으로 군사와 국정 전반에 관한 업무를 장악하였다. 이에 더욱 그 세력이 커져..

<펌> 차대왕 (146-165)-나무위키

1. 소개2. 의문의 가족 관계3. 생애 3.1. 왕자 시절3.2. 왕위를 이어 받다3.3. 폭정과 말로3.4. 의문점 4. 삼국사기 기록5. 대중 문화에서의 차대왕 1. 소개 “나는 너무 늙어 만기(萬機)에 귀찮음을 느낀다. 하늘의 역수가 네 몸에 있다. 게다가 넌 안으로는 국정에 참여하고 밖으로는 군사를 총괄하니 오랫동안 사직에 공을 쌓았다. 신민의 소망을 채웠으니 내가 부탁할 인물을 얻었다고 가히 이를 수 있다. 너로 하여금 즉위하게 하니, 영원히 영광을 누릴 것이다!” "吾旣老倦於萬機 天之曆數在汝躬 況汝內參國政 外摠軍事 久有社稷之功 允塞臣民之望 吾所付託 可謂得人 作汝其卽位 永孚于休!" 《삼국사기》에서 태조대왕이 아우 수성에게 전한 양위의 말. 이를 시작으로 완전히 수성의 시대가 열렸다. 고구려의 ..

<펌>태조왕 (53-146)-한국민족문화대백과

태조왕(太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이칭국조왕(國祖王), 태조대왕(太祖大王), 궁(宮), 어수(於漱)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47년(민중왕 4)사망일165년(차대왕 20)경력고구려 제6대 국왕(재위: 53∼146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키워드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 모본왕(慕本王) 동옥저(東沃沮) 갈사국(曷思國) 개설 국조왕(國祖王) 또는 태조대왕(太祖大王) 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궁(宮)이며, 아명은 어수(於漱)이다. 유리왕(瑠璃王)의 아들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와 부여(夫餘) 출신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면서부터 능히 볼 줄 알았고 어려서부터 영특하였다고 한다. 53년에 모본왕..

<펌>태조대왕 (53-146?)-나무위키

1. 소개 2. 이력 3. 정복 전쟁과 영역의 확정 4.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서 태조대왕의 나이와 관련된 문제 4.1. 실제 즉위는 77년 4.2. 실제 사망은 121년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 소개 고구려의 제6대 임금. 《삼국사기》에 '태조왕'이 아니라 '태조대왕(太祖大王)'으로 표기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 이렇게 대왕으로 표기된 임금은 제6대 태조대왕(太祖大王), 제7대 차대왕(次大王), 제8대 신대왕(新大王)의 세 명 뿐이다. 그 세 명의 명칭[9] 때문에 이 시기에만 '대왕'이라는 말이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지만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10][11] '태조'를 붙였다는 점에서 묘호와 얼추 비슷해 보이기도 하는데, 삼국사기에서 차대왕에게 양..

<펌>모본왕 (48-53)-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모본왕(慕本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53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개설 재위 48∼53. 일명 ‘막래(莫來)’이며, 이름은 『삼국사기』에는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해(解)’를 성으로 보아 ‘애류(愛留)’ 또는 ‘우(憂)’라 하였다. 제3대 왕인 대무신왕의 원자(元子)로 태어나 서기 32년(대문신왕 15) 12월에 태자로 책립되었으나 왕이 죽자 아직 태자가 어리다 하여 대무신왕의 동생인 민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뒤 민중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유사』에는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하였다. 모본왕은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펌>모본왕 (48-53)-나무위키

1. 소개2. 내정3. 폭군 3.1. 역사의 피해자? 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왕은 날이 갈수록 난폭해지고 학대하니,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땐 사람을 베고 누웠다. 사람이 혹이나 움직이면 바로 죽였다. 신하 중 간언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쏴 죽였다." 王日增暴虐, 居常坐人 臥則枕人. 人或動搖 殺無赦. 臣有諫者 彎弓射之. 삼국사기 고구려의 제5대 군주. 민중왕과 마찬가지로 해씨 고구려설 떡밥에 포함된다. 일단《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대주류왕)의 아들이라 한다[4]. 고구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인 삼국사기는 그를 대무신왕의 아들로 칭하고 있으니 현재까지의 정설은 대무신왕의 아들. 어머니는 호동왕자를 시기하여 음모를 꾸며 죽게 만들었다고 알려진 첫째 왕후. 다만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태자 책봉은 차비 소..

<펌> 민중왕 (44-48)-나무위키

1. 소개2. 성씨 논란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내가 죽으면 반드시 이 곳에 묻어라. 다시 능묘를 만들지 마라." 吾死 必葬於此. 不須更作陵墓. 삼국사기에 기록된 임금의 유언. 고구려의 제4대 군주 대무신왕이 죽자 태자(뒷날의 모본왕)의 나이가 어려 즉위했다. 삼국사기에서는 대무신왕의 동생이자 유리명왕의 아들,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자 모본왕의 동생으로 적었다. 하지만 후자가 맞다면 태자가 어려서 즉위했다는 말이 모순이니 오기로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대무신왕의 동생이라고 알려졌다. 2. 성씨 논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성이 해씨라고 한다. 이름이 해색주(解色朱)라 실제로는 고씨가 아니라 해씨라는 설이 있다. 3. 내정 5년 동안 재위했는데 좋은 일은 하나..

<펌>대무신왕 (18-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무신왕(大武神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이칭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무휼(無恤)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후 4년(유리왕 23)사망일기원후 44년(대무신왕 27)경력고구려 태자(기원후 14년), 고구려 제3대 국왕(재위: 18∼44년)관련사건대무신왕 32년에 낙랑군 동부도위 영동7현 공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키워드 무휼(無恤)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다물국왕(多勿國王) 대소(帶素) 개마국(蓋馬國) 개설 일명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도 한다. 재위 기간은 서기 18∼44년이다. 이름은 무휼(無恤)이며, 어머니는 다물국왕(多勿國王) 송양(松讓)의 딸이다. 14년(유리왕 33) 11세 때 태자로 책봉되었다..

<펌>대무신왕 (18-44)-나무위키

1. 소개2. 이름3. 생애 3.1. 왕자 시절3.2. 왕위에 오르다3.3. 정복 전쟁 3.3.1. 부여 정벌3.3.2. 개마국 & 구다국 정벌3.3.3. 낙랑 정벌3.3.4. 신라 침공? 3.4. 중국 세력과의 관계 4. 후계5. 창작물에서의 대무신왕6. 삼국사기 기록7. 참고 항목 1. 소개 고구려 제3대 군주. 고구려 초기의 팽창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왕으로 유명하다. 2. 이름 시호 뜻이 참 거창한데, 풀이하면 '큰 전쟁의 신', 혹은 '큰 무예의 신'이라는 의미다. 최씨낙랑국의 왕 최리는 아예 북국신왕(北國神王)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왠지 시호가 멋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 편. 휘인 무휼도 상당히 멋진 이름이라 평가받는다. 호와 휘는 여러 가지가 전해져 오는데 유래는 다음..

<펌> 유리왕 (BC 19-AD18)-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리왕(琉璃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 19~18) 왕. 이칭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8년경력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19~18) 왕. 키워드 주몽(朱蒙) 예씨(禮氏) 송양(松讓) 치희(雉姬) 황조가(黃鳥歌) 개설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 동명왕(東明王)주몽(朱蒙)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펌> 유리왕 ( BC 19-AD 18)-나무위키

1. 소개 2. 이름 3. 부여 시절과 태자 즉위 4. 치세 4.1. 외치 4.2. 내정 5. 최후 6. 기타 7. 삼국사기 기록 8. 창작물에서의 유리왕 9. 관련 인물 1. 소개 고구려 제2대 군주. 평소 사냥을 좋아했고, 재위 중 줄기차게 한나라, 선비, 부여와 대립했다. 또한 거의 없는 고구려의 시조 황조가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2. 이름 전해지는 이름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출처는 다음과 같다. 표기 현대 한국어 발음 등장 사료 비고 儒留 유류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 공식 표기. 孺留 유류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구려 표기에 가장 근접, 삼국사기 고구려 지리 잡지 기록. 累利 누리 삼국유사 類利 유리 삼국사기, 제왕운기 閭諧 여해 위서 字始閭諧를 '자는 처음에 여해였다.'로 해석 閭達 ..

<펌> 동명성왕 (BC 37-BC 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명성왕(東明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 37~BCE. 19) 왕. 이칭동명(東明), 고주몽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전 58년사망일기원전 19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37~BCE. 19) 왕. 내용 재위 기원전 37∼기원전 19.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라고도 한다. 『국사 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릉비와 모두루묘지에서는 ‘추모왕’이라 하였다. 또한,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

<펌> 동명성왕 (추모왕, 주몽) (BC 37-BC 19)-나무위키

1. 개요2. 칭호 2.1. 성씨2.2. 이름2.3. 묘호, 시호2.4. 기록 원문 3. 생애 3.1. 탄생 설화3.2. 건국3.3. 비류국 병합3.4. 소국 토벌3.5. 태자 책봉3.6. 죽음? 승천? 4. 숭배5. 광개토대왕과의 관계6. 정체에 대한 논란 6.1. 부여 시조 동명왕과의 관계6.2. 해씨? 고씨?6.3. 백제의 태조? 7. 삼국사기 기록8. 구삼국사 기록9. 기타10. 훗날 매체에서의 동명성왕11. 관련인물12. 같이보기 1. 개요 "나는 황천(皇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딸이신 추모 임금이다. 나를 위해 갈대를 엮고 자라를 띄워라!"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郎,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임금의 언령. 광개토대왕릉비 중 발췌. 고구려의 초대 임금으로 전해지..

<펌> 미천왕 (300-330)-한국민족문화대백과

미천왕(美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5대(재위:300~330) 왕. 이칭호양왕(好壤王), 을불(乙弗),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331년관련사건봉상왕폐위, 낙랑군 복속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5대(재위:300~330) 왕. 키워드 봉상왕 창조리 서안평 현도군 낙랑군 개설 재위 300∼331.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을불(乙弗)·을불리(乙弗利) 또는 우불(憂弗). 서천왕의 손자이며, 고추가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293년(봉상왕 2) 아버지가 봉상왕에 의해 반역 혐의로 죽임을 당하자 피신해 머슴살이·소금장수 등으로 전전하다가, 300년봉상왕이 폐위당하자 국상 창조리(倉助利)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다. 생애 및 ..

<펌> 미천왕 (300-331)-나무위키

1. 개요2. 생애 2.1. 비운의 유소년기2.2. 왕위 등극2.3. 영토 확장2.4. 왕권 강화2.5. 최후 3. 사후4. 미천왕의 무덤? 4.1. 안악 3호분?4.2. 서대총 5. 삼국사기 기록6. 창작물 1. 개요 “나는 야인이지 왕의 후손이 아닙니다. 부디 다시 살펴보십시오.” "予野人 非王孫也. 請更審之." - 창조리 등 신하가 을불을 찾아내자 의심하며 한 말. 삼국사기에 기록된 미천왕의 유일한 말이다. 고구려의 제15대 군주. 몰락한 왕족으로 초년 시절 큰 고생을 겪어야 했지만 복벽에 성공하여 기어이 군주가 되었고, 영토 확장 및 왕권 안정화로 고구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입지전적의 인물이다. 2. 생애 2.1. 비운의 유소년기 서천왕의 차남 돌고의 아들로서 고위 왕족의 신분이었다. 하지만 백..

<펌> 봉상왕 (292-300)-나무위키

1. 개요 2. 치세 3. 폭군이란 평가 4. 삼국사기 기록 5. 각종 매체에서 1. 개요 “국상은 백성을 위해 죽을 것인가? 다시 말하지 않길 바란다.” "國相欲爲百姓死耶? 冀無復言." - 폭정을 그만두라는 창조리의 간언에 웃으며 답한 말. 삼국사기 中 고구려 제14대 군주. 2. 치세 초기 국상 상루가 사망하자 창조리를 국상으로 삼았다. 명장 고노자도 등용하면서 국상 창조리의 건의를 수용하여 그를 신성 태수로 삼았고, 연(燕)의 모용외의 침략을 격퇴하기도 했다. 이 때 서진은 291년 팔왕의 난으로 본격적인 국가 막장 테크를 타고 있었다. 그러나 293년 연나라가 쳐들어왔다. 293년의 1차 침공에서 연의 모용외는 수도로 바로 진격하는 작전을 감행했고, 이에 당황하여 신성(新城)으로 몽진을 떠난 봉상..

<펌> 서천왕 (270-292) - 삼국사기

서천왕 코렐솔라 서천왕[혹은 서양왕이라고도 한다.]의 이름은 약로[약우라고도 한다.]이며, 중천왕의 둘째 아들이다. 성격이 총명하고 어질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그를 아끼고 존경하였다. 중천왕 8년에 태자가 되었고, 23년 겨울 10월에 왕이 별세하였다. 태자가 즉위하였다. 2년 봄 정월, 서부 대사자 우수의 딸을 왕후로 삼았다. 가을 7월, 국상 음우가 죽었다. 9월, 상루를 국상으로 삼았다. 상루는 음우의 아들이었다. 겨울 12월, 지진이 있었다. 3년 여름 4월, 서리가 내려 보리가 피해를 입었다. 6월, 큰 가뭄이 들었다. 4년 가을 7월 초하루 정유일에 일식이 있었다. 백성들이 굶주리므로 창고를 풀어 구제하였다. 7년 여름 4월, 왕이 신성[어떤 사람은 ‘신성은 동북 지방에 있는 큰 진(鎭)’이라고..

<펌> 서천왕 (270-29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천왕(西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3대(재위: 270~292)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292년관련사건숙신 침입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3대(재위: 270~292) 왕. 개설 재위 270∼292. 또는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약로(藥盧) 혹은 약우(若友)라고 하였다. 중천왕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255년(중천왕 8)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인자하여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왕비는 서부대사자(西部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이다. 271년(서천왕 2) 국상 음우(陰友)가 죽자 그의 아들 상루(尙婁)를 국상으로 삼았고, 273년에는 기근이 들자 창고를 열어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펌> 중천왕 (247-2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중천왕(中川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2대(재위:247~270) 왕. 이칭중양왕(中壤王), 연불(然弗)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성격왕성별남출생일224년(산상왕 28)사망일270년(중천왕 23)경력왕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2대(재위:247~270) 왕. 키워드 명림어수(明臨於漱) 비류패자(沸流沛者) 음우(陰友) 내용 248년부터 270년까지 재위하였다. 중양왕(中壤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연불(然弗)이다. 동천왕의 아들이다. 243년(동천왕 17)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외모가 준수하고 지략이 있었다. 왕비는 연나부(椽那部) 출신으로 짐작되는 연씨(椽氏)이다. 즉위와 더불어 동생 예물(預勿) 등이 모반하자 이들을 처형하고 왕위를 지켰다. 250년(중천왕 3) 국..

<펌> 중천왕 (248-270)-나무위키

1. 소개 2. 평가 3.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고구려의 제12대 군주. 243년에 태자에 임명되었고, 248년에 동천왕이 승하하자 즉위했다. 248년 음력 11월 동생들인 예물(預物)과 사구(奢句) 등이 모반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모두 처형당했다. 이는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일어난 왕족간의 다툼이 그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고구려는 형제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났지만, 왕권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서서히 부자간에 왕위를 계승하는 쪽으로 대세가 기울었다. 중천왕의 동생들은 이에 반발하여 모반을 일으켰다가 목숨을 잃은 것. 250년 국상(國相)의 권한을 확대하여 수도와 지방의 군권까지 겸하게 하였다. 당시 국상은 명림어수. 251년에 측실 관나부인이 왕후 연씨(王后 椽氏)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