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상(BC37-AD 391)/동명성왕 - 태조왕 (BC27-146) 20

<펌>태조왕 (53-146)-한국민족문화대백과

태조왕(太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이칭국조왕(國祖王), 태조대왕(太祖大王), 궁(宮), 어수(於漱)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47년(민중왕 4)사망일165년(차대왕 20)경력고구려 제6대 국왕(재위: 53∼146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키워드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 모본왕(慕本王) 동옥저(東沃沮) 갈사국(曷思國) 개설 국조왕(國祖王) 또는 태조대왕(太祖大王) 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궁(宮)이며, 아명은 어수(於漱)이다. 유리왕(瑠璃王)의 아들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와 부여(夫餘) 출신 여자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면서부터 능히 볼 줄 알았고 어려서부터 영특하였다고 한다. 53년에 모본왕..

<펌>태조대왕 (53-146?)-나무위키

1. 소개 2. 이력 3. 정복 전쟁과 영역의 확정 4.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서 태조대왕의 나이와 관련된 문제 4.1. 실제 즉위는 77년 4.2. 실제 사망은 121년 5. 삼국사기 기록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 소개 고구려의 제6대 임금. 《삼국사기》에 '태조왕'이 아니라 '태조대왕(太祖大王)'으로 표기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 이렇게 대왕으로 표기된 임금은 제6대 태조대왕(太祖大王), 제7대 차대왕(次大王), 제8대 신대왕(新大王)의 세 명 뿐이다. 그 세 명의 명칭[9] 때문에 이 시기에만 '대왕'이라는 말이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지만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10][11] '태조'를 붙였다는 점에서 묘호와 얼추 비슷해 보이기도 하는데, 삼국사기에서 차대왕에게 양..

<펌>모본왕 (48-53)-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모본왕(慕本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53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5대(재위:48~53) 왕. 개설 재위 48∼53. 일명 ‘막래(莫來)’이며, 이름은 『삼국사기』에는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해(解)’를 성으로 보아 ‘애류(愛留)’ 또는 ‘우(憂)’라 하였다. 제3대 왕인 대무신왕의 원자(元子)로 태어나 서기 32년(대문신왕 15) 12월에 태자로 책립되었으나 왕이 죽자 아직 태자가 어리다 하여 대무신왕의 동생인 민중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뒤 민중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삼국유사』에는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하였다. 모본왕은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펌>모본왕 (48-53)-나무위키

1. 소개2. 내정3. 폭군 3.1. 역사의 피해자? 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왕은 날이 갈수록 난폭해지고 학대하니, 사람을 깔고 앉고 누울땐 사람을 베고 누웠다. 사람이 혹이나 움직이면 바로 죽였다. 신하 중 간언하는 자가 있으면 활을 쏴 죽였다." 王日增暴虐, 居常坐人 臥則枕人. 人或動搖 殺無赦. 臣有諫者 彎弓射之. 삼국사기 고구려의 제5대 군주. 민중왕과 마찬가지로 해씨 고구려설 떡밥에 포함된다. 일단《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대주류왕)의 아들이라 한다[4]. 고구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인 삼국사기는 그를 대무신왕의 아들로 칭하고 있으니 현재까지의 정설은 대무신왕의 아들. 어머니는 호동왕자를 시기하여 음모를 꾸며 죽게 만들었다고 알려진 첫째 왕후. 다만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태자 책봉은 차비 소..

<펌> 민중왕 (44-48)-나무위키

1. 소개2. 성씨 논란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내가 죽으면 반드시 이 곳에 묻어라. 다시 능묘를 만들지 마라." 吾死 必葬於此. 不須更作陵墓. 삼국사기에 기록된 임금의 유언. 고구려의 제4대 군주 대무신왕이 죽자 태자(뒷날의 모본왕)의 나이가 어려 즉위했다. 삼국사기에서는 대무신왕의 동생이자 유리명왕의 아들,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자 모본왕의 동생으로 적었다. 하지만 후자가 맞다면 태자가 어려서 즉위했다는 말이 모순이니 오기로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대무신왕의 동생이라고 알려졌다. 2. 성씨 논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성이 해씨라고 한다. 이름이 해색주(解色朱)라 실제로는 고씨가 아니라 해씨라는 설이 있다. 3. 내정 5년 동안 재위했는데 좋은 일은 하나..

<펌>대무신왕 (18-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무신왕(大武神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이칭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무휼(無恤)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후 4년(유리왕 23)사망일기원후 44년(대무신왕 27)경력고구려 태자(기원후 14년), 고구려 제3대 국왕(재위: 18∼44년)관련사건대무신왕 32년에 낙랑군 동부도위 영동7현 공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3대(재위: 18~44) 왕. 키워드 무휼(無恤)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다물국왕(多勿國王) 대소(帶素) 개마국(蓋馬國) 개설 일명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이라고도 한다. 재위 기간은 서기 18∼44년이다. 이름은 무휼(無恤)이며, 어머니는 다물국왕(多勿國王) 송양(松讓)의 딸이다. 14년(유리왕 33) 11세 때 태자로 책봉되었다..

<펌>대무신왕 (18-44)-나무위키

1. 소개2. 이름3. 생애 3.1. 왕자 시절3.2. 왕위에 오르다3.3. 정복 전쟁 3.3.1. 부여 정벌3.3.2. 개마국 & 구다국 정벌3.3.3. 낙랑 정벌3.3.4. 신라 침공? 3.4. 중국 세력과의 관계 4. 후계5. 창작물에서의 대무신왕6. 삼국사기 기록7. 참고 항목 1. 소개 고구려 제3대 군주. 고구려 초기의 팽창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왕으로 유명하다. 2. 이름 시호 뜻이 참 거창한데, 풀이하면 '큰 전쟁의 신', 혹은 '큰 무예의 신'이라는 의미다. 최씨낙랑국의 왕 최리는 아예 북국신왕(北國神王)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왠지 시호가 멋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 편. 휘인 무휼도 상당히 멋진 이름이라 평가받는다. 호와 휘는 여러 가지가 전해져 오는데 유래는 다음..

<펌> 유리왕 (BC 19-AD18)-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리왕(琉璃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 19~18) 왕. 이칭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8년경력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19~18) 왕. 키워드 주몽(朱蒙) 예씨(禮氏) 송양(松讓) 치희(雉姬) 황조가(黃鳥歌) 개설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 동명왕(東明王)주몽(朱蒙)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펌> 유리왕 ( BC 19-AD 18)-나무위키

1. 소개 2. 이름 3. 부여 시절과 태자 즉위 4. 치세 4.1. 외치 4.2. 내정 5. 최후 6. 기타 7. 삼국사기 기록 8. 창작물에서의 유리왕 9. 관련 인물 1. 소개 고구려 제2대 군주. 평소 사냥을 좋아했고, 재위 중 줄기차게 한나라, 선비, 부여와 대립했다. 또한 거의 없는 고구려의 시조 황조가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2. 이름 전해지는 이름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출처는 다음과 같다. 표기 현대 한국어 발음 등장 사료 비고 儒留 유류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 공식 표기. 孺留 유류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구려 표기에 가장 근접, 삼국사기 고구려 지리 잡지 기록. 累利 누리 삼국유사 類利 유리 삼국사기, 제왕운기 閭諧 여해 위서 字始閭諧를 '자는 처음에 여해였다.'로 해석 閭達 ..

<펌> 동명성왕 (BC 37-BC 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명성왕(東明聖王) 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 37~BCE. 19) 왕. 이칭동명(東明), 고주몽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기원전 58년사망일기원전 19년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제1대(재위:BCE.37~BCE. 19) 왕. 내용 재위 기원전 37∼기원전 19.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라고도 한다. 『국사 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릉비와 모두루묘지에서는 ‘추모왕’이라 하였다. 또한,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

<펌> 동명성왕 (추모왕, 주몽) (BC 37-BC 19)-나무위키

1. 개요2. 칭호 2.1. 성씨2.2. 이름2.3. 묘호, 시호2.4. 기록 원문 3. 생애 3.1. 탄생 설화3.2. 건국3.3. 비류국 병합3.4. 소국 토벌3.5. 태자 책봉3.6. 죽음? 승천? 4. 숭배5. 광개토대왕과의 관계6. 정체에 대한 논란 6.1. 부여 시조 동명왕과의 관계6.2. 해씨? 고씨?6.3. 백제의 태조? 7. 삼국사기 기록8. 구삼국사 기록9. 기타10. 훗날 매체에서의 동명성왕11. 관련인물12. 같이보기 1. 개요 "나는 황천(皇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백(河伯)의 딸이신 추모 임금이다. 나를 위해 갈대를 엮고 자라를 띄워라!"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郎,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임금의 언령. 광개토대왕릉비 중 발췌. 고구려의 초대 임금으로 전해지..

<펌> 태조대왕 (53-146 재위) - 위키백과

태조대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고구려의 국왕에 관한 것입니다. 고려나 조선의 제 1대 국왕에 대해서는 조선 태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태조대왕 高句麗 太祖大王지위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53년~146년대관식태조대왕(太祖大王)전임자모본왕(慕本王)후임자차대왕(次大王)섭정고재사(53년~54년) 부여태후(54년~68년) 고수성(121년~146년)부왕고재사(高再思)이름휘고궁(高宮)별호고어수(高於漱)묘호태조대왕(太祖大王)신상정보출생일47년출생지?사망일146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고재사(高再思)모친부여태후(扶餘太后)배우자?자녀아들 고막근(高莫勤 아들 고막덕(高莫德)기타 친인척증조부 유리명왕(瑠璃明王) 종조부 대무신왕(大武神王) 이복 동생 차대왕..

<펌> 모본왕 (48-53 재위) -위키백과

모본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모본왕 高句麗 慕本王지위고구려의 제5대 태왕재위48년~53년대관식모본왕(慕本王)전임자민중왕(閔中王)후임자태조대왕(太祖大王)섭정고재사(48년~53년)부왕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우(高解憂)별호해우(解憂) 해애루(解愛婁) 모본원(慕本原)묘호모본왕(慕本王)시호모본왕(慕本王)신상정보출생일?사망일53년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배우자?자녀고익(高翊)종교불교(佛敎)모본왕(慕本王, ? ~ 53년, 재위 : 48년 ~ 53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5대 태왕이다. 이름은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이다. 제3대 왕 대무신왕과 그 원비(元妃)의 자식이다. 이복형제 호동과의 태자 다툼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부..

<펌>민중왕 (44-48 재위) - 위키백과

민중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고구려 민중왕 高句麗 閔中王지위고구려의 제4대 국왕재위44년 음력 10월 ~ 48년대관식민중왕(閔中王)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후임자모본왕(慕本王)부왕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이름휘고해색주(高解色朱) 고해읍주(高解邑朱)별호해색주(解色朱) 해읍주(解邑朱)묘호민중왕(閔中王)시호?신상정보출생일?출생지?사망일48년사망지?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모친왕후 송씨(王后 松氏) ?배우자?자녀?종교불교(佛敎)민중왕(閔中王, ? ~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 ~ 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휘는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나, 여기서 '해'가 성씨일 가능성..

<펌> 대무신왕 (18-44 재위) - 위키백과

대무신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구려 대무신왕 高句麗 大武神王 지위 고구려의 제3대 태왕 재위 18년~44년 음력 10월 대관식 대무신왕(大武神王) 전임자 유리명왕(瑠璃明王) 후임자 민중왕(閔中王) 섭정 고재사(44년 음력 9월 ~ 44년 음력 10월) 부왕 유리명왕(瑠璃明王) 이름 휘 고무휼(高無恤) 별호 미류(味留) 묘호 대무신왕(大武神王) 시호 대해주류왕(大解朱留王) 대호신왕(大虎神王) 신상정보 출생일 4년 사망일 44년 (향년 41세) 왕조 고구려(高句麗) 가문 횡성(橫城) 부친 유리명왕(瑠璃明王) 모친 후궁 송씨(後宮 松氏) 배우자 해씨 부인 자녀 호동(好童) 모본왕(慕本王) 종교 불교(佛敎) 대무신왕(大武神王, 4년~44년)은 고구려의 제3대 태왕(재위..

<펌> 유리명왕 (BC 19-AD18 재위)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6월)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국왕재위기원전 19년 음력 9월 ~ 기원후 18년 양력 10월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여달(閭達) 여해(閭諧) 시여해(始閭諧)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

<펌> 동명성왕 (BC37-BC19 재위) - 위키백과

동명성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주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에 대해서는 주몽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동명성왕 高句麗 東明聖王지위고구려의 제1대 태왕재위기원전 37년~기원전 19년대관식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유리명왕섭정유리태자(기원전 19년 음력 6월 ~기원전 19년 음력 9월)부왕천제(天帝)의 아들이름휘고주몽(高朱蒙)별호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 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묘호동명성왕(東明聖王)시호추모성왕(鄒牟聖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58년출생지?사망일기원전 19년 음력 9월사망지용산(龍山)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천제(天帝)의 아들모친유화(柳花)배우자예씨 부인(禮氏夫人) 소서노(召西奴)자녀유리명왕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동..

<펌>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오피니언칼럼 [역사산책] 동명성왕과 고주몽은 어떤 관계인가? 이형모 발행인 | dongponews@hanmail.net 휴애거사 범장이 편찬한 ‘북부여기 하권’은 동명왕 이야기로 시작된다. 졸본 부여 동명왕으로 22년 “계유 원년(BC 108년), 이 해는 북부여 4대 단군 고우루 13년이다. 제(帝)는 사람됨이 호탕하고 용맹하여 군사를 잘 다루었다. 일찍이 북부여가 쇠약해지고 한나라 도둑들이 왕성해짐을 보고 분연히 세상을 구할 뜻을 세워 졸본에서 즉위하고 스스로 동명이라 하였는데 어떤 이들은 고열가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동명왕 재위 22년(BC 87년)에 장수를 보내어 배천의 한나라 도둑들을 쳐부수고 유민과 힘을 합하여 향하는 곳마다 한나라 도둑떼를 연파하더니 그 수비 장수까지 사로잡았으며 방비를 ..

<펌> 유리명왕 - 위키백과

유리명왕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고유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가에 대해서는 ‎고유리 (만화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고구려 유리명왕 高句麗 瑠璃明王지위고구려의 제2대 태왕재위19년~18년대관식유리명왕(瑠璃明王)전임자동명성왕(東明聖王)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부왕동명성왕(東明聖王)이름휘고유리(高瑠璃)별호유류(孺留)묘호유리명왕(瑠璃明王)시호유리왕(瑠璃王)신상정보출생일기원전 38년 또는 기원전 37년출생지졸본 부여(卒本 扶餘)사망일기원전 18년사망지두곡(豆谷)왕조고구려(高句麗)가문횡성(橫城)부친동명성왕(東明聖王)모친예씨 부인(禮氏 夫人)배우자송씨(松氏) 송씨(松氏) 화희(禾姬) 치희(雉姬)자녀도절(都切) 해명(解明 대무신왕(大武神王) 여진(如津) 해색주(解色朱) 재사(再思..

<펌>유리왕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리왕(琉璃王)고대사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 19~18) 왕.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트위터페이스북이칭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분야고대사유형인물시대고대-삼국-고구려성격왕성별남출생일미상사망일18년경력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정의삼국시대 고구려 제2대(재위:BCE.19~18) 왕.키워드주몽(朱蒙)예씨(禮氏)송양(松讓)치희(雉姬)황조가(黃鳥歌)개설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 동명왕(東明王)주몽(朱蒙)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