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베르
최근 수정 시각: 2021-01-12 15:12:39
분류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에 대한 내용은 베르나르 베르베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2. 역사3. 아랍인과는 다르다4. 문화5. 종교6. 해외의 베르베르인7. 분파8. 인물
1. 개요
명칭 |
|
ⴰⵎⴰⵣⵉⵖ[1] |
|
ⵉⵎⴰⵣⵉⵖⵏ[2] |
|
Berbers[3] |
지금의 알제리와 튀니지, 모로코 등 주로 마그레브에 사는 유목민이며 이집트 서부 일부 지역에도 거주한다. 사용 언어는 베르베르어인데 소속 어족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나[4] 유전적으로는 이탈리아인을 비롯한 라틴계 백인들과 매우 가깝다고 한다.[5] 사막 유목민이라서 말, 낙타 등 동물을 잘 키우며, 전체적으로 사납고 용맹하다고 한다. 흔히 용감한 사막의 유목민이라면 아예 생활권 및 근거강역 자체가 다르지만 베두인과 함께 많이 떠오르는 게 이들이다. 원래 명칭은 "아마지흐" 또는 "이마지헨"이다.(베르베르는 "야만적인", "야만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6]
2. 역사
고대에 북아프리카 지역이 고대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던데다가 남이탈리아와 스페인 일대, 북아프리카 전역을 하나로 통합하여 아랍인들이 지배한 적도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수차례 이민과 혼혈이 성행했으며, 이들의 외양은 남유럽인들과 얼추 비슷하게 되었다.
고대 서구 세계에서 뛰어난 경기병대로 명성을 떨쳤던 누미디아, 고대 이집트 제국과 접했던 고대 리비아 및 사하라 사막 일대에 관개 수로를 건설한 가라만테스족, 오늘날 모로코에 해당하는 마우레타니아[7] 등이 베르베르인의 선조에 해당한다.
카르타고의 로마의 지배를 거치면서 이 지역은 관개 농업이 발전하였고 문화적으로는 헬레니즘화 되었고 이후 기독교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4세기 이후 도나투스파 기독교를 믿는 소작농 계급과 아타나시우스파를 믿는 지주 계급이 반목하고 반달족이 침입하였다.[8] 서로마 멸망으로 인한 혼란기 와중에 북아프리카 농민 중 많은 수가 유목민과 동화되었다. 서기 6세기까지는 유럽보다는 부유한 농업 지역이었으나 이후 계속된 사막화로 다른 지역에 비해 발전이 뒤쳐질 수 밖에 없었다. 로마 제국 남부에 위치한 가라만테스 왕국 역시 사막화와 이에 따른 지하수 고갈로 서기 7세기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기 7세기 말부터 8세기 중엽까지 70년 동안 약 35번에 걸쳐 아랍인들과 치열하게 맞서 베르베르 대항거를 벌였다. 그 후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의 교체기에 동방 칼리파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이베리아의 후우마이야 왕조가 완전히 무너진 11세기 이후, 쉬아 이스마일파 파티마 왕조 및 모로코 일대의 베르베르계 세력이 세운 무라비트 왕조, 무와히드 왕조, 마린 왕조가 북서아프리카의 패권을 잡았다. 이후 파티마 왕조 치하의 베두인 유목민들이 북아프리카 상당수 지역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이슬람교를 믿는 베르베르인들의 주도 하에 아랍인과 아랍 문화에 조금씩 동화되어 현재 북서아프리카 인구로 이어진다.
이베리아 반도가 이슬람 왕조의 지배를 받던 시절, 북서아프리카 지역의 이들과 아랍인들, 그리고 흑인들을 무어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지금도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800년간 받은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에는 이들의 후손이 많다고 한다. 기독교 세력에게 알안달루스가 멸망한 요인중에 하나가 이슬람의 내분인데, 이 내분의 성격이란 게 대체적으로 아랍계 타이파[9]들과 베르베르계 타이파들간의 대립이었다.[10] 기독교 국가인 카스티야 출신의 엘 시드가 무슬림 타이파였던 사라고사 타이파와 손 잡고 같은 무슬림인 무라비트 왕조에 대항해 싸운 것도 이런 이유가 있었다. 무라비트 왕조는 베르베르인들이 주도하여 창설했던 반면 사라고사는 아랍 타이파였기 때문.[11]
근세 오스만 제국은 모로코를 제외한 북아프리카 전역을 장악하는데 이 와중에 모로코와 나머지 북아프리카 지역은 언어와 문화가 많이 달라졌다. 오스만 제국에서 파견한 관리들은 베르베르인들을 무시하고 방치하는 정책을 폈다.
이후 프랑스 제국이 바르바리 해적 토벌을 명목으로 알제리 일대를 식민화하고 튀니지와 모로코를 차례로 식민화하면서 베르베르인들은 프랑스 문화의 영향을 조금씩 받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식민 통치 시절 우민화 교육으로 프랑스 문화의 영향은 생각보다 제한적이었고, 해안 지역 비옥한 농토를 유럽인 이주민에게 먼저 분배하는 정책으로 많은 베르베르인들은 내륙에 건조하고 척박한 농토를 경작하거나 유목을 하며 근근히 연명했다 한다. 프랑스 식민 지배 시절 당시 베르베르인 상당수는 초등 교육에도 소외된 문맹 상태였다.[12]
모로코에선 리프 전쟁을 일으켜 스페인-프랑스에 격렬히 투쟁하기도 했다.
리비아를 쳐들어간 베니토 무솔리니가 경악할 정도로 베르베르인들은 이탈리아군을 엄청나게 두들겨팼다. 리비아 주둔군 사령관이 7명이나 교체될 정도였다.[13] 마지막으로 교체된 루돌포 그라치아니 대장은 엄청난 물량공세로 결국 베르베르인들을 이끌고 20년이 넘게 이탈리아에 맞서던 지도자 무크타르 오마르(1862~1931)를 잡아 처형시켰다.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이 종족 출신(정확히는 아랍계-베르베르인 혼혈)이라 그런지 막대한 자본을 들인 영화 사막의 라이온(1981)를 제작한 바 있는데 이 영화가 바로 무크타르 오마르를 그려낸 영화이다. (안소니 퀸, 올리버 리드, 존 길구드 같은 호화 캐스팅을 보여줬다.)
3. 아랍인과는 다르다
둘 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인데다 종교 또는 종파도 거의 다수가 같다보니 베르베르인을 아랍인, 베두인의 일파 정도로 오해하는 한국 사람들이 많지만,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은 별개의 민족이다. 오히려 이탈리아계를 비롯한 라틴계 백인에 가깝다. 7세기 이슬람의 확장 이전까지 아랍인들은 아라비아 반도에서 거주하던 민족이었고, 베르베르인은 전통적으로 북아프리카에서 거주하던 여러 민족들의 후예이다. 두 지역 사이에는 이집트라는 별개의 문명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두 민족은 멀리 떨어진 남남이었다. 7세기 이후 아랍인의 치열한 공세 끝에 결국 기존의 기독교나 토착 신앙을 버리고 이슬람으로 개종하기는 했지만, 아직도 이들은 자신들이 무슬림이기는 하지만 아랍인은 절대 아니다라고 말할 정도로 자부심이 높다. 다만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사이의 통혼은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서로 사이가 좋지 않기 때문에 리비아처럼 내전이 있었던 곳에서는 아랍-베르베르계의 분쟁 양상도 있었으며, 지금도 내분이 어느 정도 남아있다보니 여전히 이들의 분쟁이 있는 편이다.
베두인이 아라비아 반도에서 기원한 아랍어를 쓰면서 유목 생활을 하는, 민족 집단이라기 보다는 문화적, 사회적 집단에 가까운 반면 같은 사막 유목민이라 해도 같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이나 베르베르인은 언어 자체가 아랍어가 아닌, 독자적인 민족 집단이다. 그것도 이슬람이 8세기 경 마그레브 일대를 평정한 이후 몰려 온 아랍인들과 현지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반목해 오며 끝까지 정체성을 지켜온 자존심 강한 전투민족이니 혹시라도 이들을 접하게 되면 결코 "아랍인 아님?" 같은 식으로 함부로 물어보면 실례가 될 수 있다. 농담이 아니라 지금도 모로코, 알제리 등에서 아랍인 우대 정책을 펴는 중앙 정부와 사이가 안 좋은 베르베르족이 많아 속으로 짜증 내는 수도 있다. 다만 이집트를 제외한 나머지 북아프리카 아랍인의 경우에는 베르베르인들과 유전적 차이는 그다지 크지는 않다.
물론 북서아프리카 일대의 아랍인들(아랍계)들은 이곳의 이마지헨(베르베르인)들과 같이 지내면저 서로 혼혈되었고, 그 과정에서 서로 정서, 문화, 사회 등 부분적으로 동화된 사람들도 적지 않다(베르베르에서 아랍으로, 반대로 아랍에서 베르베르로 서로 동화된 사람들도 있었다). 그래서 이들을 아랍계 베르베르인(arab-berbers)이라고 부르며, 반대로 베르베르계 아랍인들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카다피도 아랍계 베르베르인 출신이다.
4. 문화
베르베르 달력. 율리우스력의 후손으로 달 이름도 라틴어에서 파생된 태양력이다. 주로 농업용으로 쓰이는데 이슬람력은 태음력이라 농업에는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베르베르력 기원은 기원전 950년이라고 1960년대에 정해졌는데 역사상 최초로 유명한 베르베르인으로 추정되는 셰숑크 1세(Shoshenq I) 파라오가 집권한 걸로 추정되는 해다.
베르베르 카페트가 특유의 기하학적 모양으로 유명하다. 정교한 모양으로 카페트 짜기가 베르베르 여인들의 몇 안되는 삶의 낙 중 하나였다.
5. 종교
지역마다 각기 다른 토속 신앙# 및 기독교를 믿고 있었으나 이슬람 정복 이후 수니파 무슬림이 대다수이다. 그러나 수니파 무슬림 일색인 것은 아니고 알제리의 Mozabite 베르베르인들은 주로 이바디파[14], 그리고 이전의 분파인 카와리지파 무슬림이며, 유대교[15] 나 기독교(가톨릭, 개신교)[16]를 믿는 경우도 있다.
6. 해외의 베르베르인
해외로 이주한 베르베르인들도 있는 편인데 주로 지중해, 대서양를 건너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남서부 국가들에 많이 이주했다. 마그레브 주변으로는 서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 카나리아 제도에 간 베르베르인들도 있다. 일부는 미국, 캐나다, 뉴칼레도니아으로도 이주했다. 아시아를 건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베르베르인들도 있는데 유대인과 혼혈된 유대계 베르베르인, 베르베르계 유대인들이 주로 많이 갔다. 아랍화된 아랍계 베르베르, 베르베르계 아랍인들은 팔레스타인으로도 갔다.
7. 분파
8. 인물
-
지네딘 지단 - 대표적인 알제리계 프랑스인.
-
킬리앙 음바페 - 어머니가 베르베르인.
-
프랑크 리베리의 부인이 베르베르인이고 그녀를 통해 리베리는 무슬림이 되었다.
-
이자벨 아자니 -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아버지가 베르베르인이다.
-
자히아 드하르 -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이민 1.5세.
[1] Amazigh. 단수.[2] Imazighen. 복수.[3] 그리스어로 야만인을 의미[4] 아랍 문자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고대 리비아 문자에서 파생된 티피나그(Tifinagh)라는 문자가 보편적이었다. 지금도 알제리 등지에 가보면 아랍 문자와 티피나그가 같이 쓰인 표지판을 볼 수 있다.[5]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은 역사가 있다.[6] 그래서인지 베르베르인(아마지흐인)에게 베르베르라는 단어는 좋지 않은 단어라고 한다. 원래대로라면 원래 명칭인 아마지흐를 써야 되며, 베르베르로 알려진 아마지흐인에게는 베르베르인보다는 아마지흐인이라는 표현이 더 옳다.[7] 오늘날 모리타니와는 위치가 다름[8] 반달족 정착의 영향으로 오늘날 일부 베르베르인 중에서는 금발 벽안도 종종 발견되는 편.[9]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계 도시 국가.[10] 근본적인 원인은 아랍 타이파들의 베르베르인 차별이다.[11] 안달루시아 내에서도 후우마이야 왕조의 수도이자 무어인들의 첫 중심지였던 코르도바는 아랍계가 장악한 도시였던 반면 당시 "잇-시비야"라고 불렸던 세비야는 베르베르인 위주 도시여서 서로 알력이 많았고, 비록 아랍-베르베르 무어인들은 모두 축출되었지만 지금도 안달루시아 지방의 문화적 수도 자리를 두고 양 도시 주민 간에는 일종의 상호 디스가 벌여진다. 둘 다 가톨릭 카스티야에게 넘어 갔고 세비야는 스페인에서 4번째로 큰 대도시인 반면 코르도바는 유적을 활용한 관광업으로 연명하는 지방 소도시이다.[12] 프랑스의 식민지 우민화 정책 당시 모로코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아랍인, 베르베르인 합쳐서 6%에 달했다. 출처 : 이슬람의 세계사 / 아이라 라피두스 저[13] 이 당시의 이탈리아군은 군기가 개판이라서 졸전으로 악명이 높았다고 하지만 이탈리아군의 졸전 기록에 나오듯이 상당수가 카더라 뻥도 많음을 알아두자.[14] 오만의 주요 종파[15] 이스라엘에 베르베르계 유대인이 거주하는데, 천명단위이다. 이스라엘 건국 후 마그레브 현지에서 해외로 쫓겨나거나 현지에 동화된 것이다.[16] 소수이지만 콥트 정교회 신자도 있다.[17] 관체족들은 카나리아 제도에 살던 베르베르계 민족이었지만, 스페인의 정복으로 사라졌다.[18] 정확히는 알제리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자란 알제리계 프랑스인 혼혈.
'아프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Chobe river (0) | 2021.01.14 |
---|---|
<펌>Botswana (0) | 2021.01.14 |
세계문화유산 탐험 - 이디오피아, 랄리벨라 와 악슘 ( KBS 걸어서 세계속으로) (0) | 2020.04.09 |
Incredible African Ruins -DTTV (0) | 2020.03.23 |
<펌> Great Zimbabwe & the First Cities of Southern Africa by History Time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