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대한민국의 국보 | |
삼국사기 | |
종목 | 국보 제322-1호 (2018년 2월 22일 지정) |
---|---|
수량 | 9책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옥산서원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옥산리 7 옥산서원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대한민국의 국보 | |
종목 | 국보 제322-2호 (2018년 2월 22일 지정) |
---|---|
수량 | 50권 9책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조동기, 조성은, 조영기, 조왕기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대한민국의 보물 | |
종목 | 보물 제722호 (1981년 7월 15일 지정) |
---|---|
수량 | 7권 1책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 | 조동기, 조성은, 조영기, 조왕기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79호 (2017년 1월 31일 지정) |
---|---|
소유 | 계명대학교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신당동, 계명대학교)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서,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정치적 흥망 변천을 주로 기술한 정사체(正史體)의 역사서이다.
1970년 옥산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판본이 대한민국의 보물 525호로 지정되었다가 대한민국의 국보 322-1호로 승격되었다. 그밖에 1981년 조병순 소장 영본(零本)과 경주부간본(慶州府刊本)이 각각 보물 722호, 723호[1]로 지정되었다가 경주부간본이 국보 322-2호로 승격되었다. 국보 322-1호, 322-2호가 유일한 완본으로 현전하며, 722호는 7권 1책이 전해진다.
편찬 과정
편찬 시기
고려 왕조가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등 귀족 사회의 동요를 수습하고 난 뒤, 앞 시대의 역사를 공식으로 정리한 정사(正史)로서 기전체로 편찬했다. 고기(古記)·유적(遺蹟) 혹은 중국의 여러 사서에서 뽑아 편찬, 간행하였다.
《삼국사기》를 편찬하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김부식이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난 후에 임명된 벼슬에 감수국사(監脩國史)가 있어 이 무렵부터 편찬되기 시작했다고 보는 설이 있고, 김부식이 정계에서 은퇴한 1142년에 시작했다고 보는 설이 있다.[2] 《삼국사기》가 완성된 시기는 1145년(인종 23년)이다. 1174년에 송나라에 진상되기도 했다.
편수관
《삼국사기》편찬에 참여한 편수관(編修官)은 총 11명으로 감수국사 김부식을 필두로 참고(參考) 8명(최산보, 이온문, 허홍재, 서안정, 박동계, 이황중, 최우보, 김영온)과 관구(管句) 2명(김충효, 정습명)이다. 김부식이 편찬의 주역으로 머리말, 논찬, 사료의 선택, 인물의 평가 등을 직접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 외의 실질적인 편찬 작업은 10명의 편수관이 수행했다. 10명의 편수관들 가운데 상당수는 대간(臺諫) 출신들이 많고, 김부식도 대간 계통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는 《삼국사기》가 비판적 성격을 가질 수 있었던 토대로 여겨진다.[2]
구성 및 내용
구성
기전체로 작성되었다. 〈본기(本紀)〉, 〈연표(年表)〉, 〈지(志)〉, 〈열전(列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는 신라, 고구려, 백제, 이 세 나라의 역사를 각각의 본기로 나누어 편년체로 서술하였으며, 총 28권이다. 신라본기 12권(1~12권), 고구려본기 10권(13~22권), 백제본기 6권(23~28권)으로 구성되었다. 〈연표〉는 중국 역대 왕조의 연호를 기준으로 삼국의 왕계를 표로 작성하였으며, 총 3권(29~31권)으로 구성되었다. 〈지(志)〉는 〈잡지〉로서 삼국의 제도, 문화, 지리 등을 분야별로 서술한 것으로 총 9권(32~40권)이다. 1권은 제사(祭祀), 악(樂), 2권은 색복(色服), 거기(車騎), 기용(器用), 옥사(屋舍), 3~6권은 지리(地理), 7~9권은 직관(職官)으로 구성되었다. 대부분 신라를 중심으로 통일기의 상태에 관해서 서술하고 있다. 〈열전〉은 인물의 전기로 총 69명이 수록되어 있다. 1~3권이 김유신 열전으로 가장 분량이 많으며, 나머지 7권에는 삼국의 충효·화랑·문인(文人)·반역인(叛逆人)과 관련 인물 등의 전기를 수록하였다.
내용
삼국의 역사를 모두 〈본기〉로 구성하였다. 기전체에서 〈본기〉는 정통성을 가진 중심 국가의 역사를 기록하는 부분이며, 이와 상반되는 부분으로 〈세가(世家)〉와 〈열전〉이 있다. 〈세가〉는 제후국의 역사를 다루는 부분으로, 중국에 대해서 제후국으로 자처했던 조선 때 편찬된 《고려사》는 각 왕대의 역사를 〈세가〉로 구성하였던 것과 비교된다. 이는 《삼국사기》가 사대주의적인 역사서로 비판받는 것과 매우 다른 모습이다.
삼국은 모두 대등하게 다루어졌다. 삼국 모두 각각의 〈본기〉로 구성되어 있고 각국의 〈본기〉에서는 해당 국가를 ‘我’(우리)라고 칭하며 나머지 2개 나라 및 기타 나라는 타국으로 다루었다. 삼국을 제외한 〈부여〉, 〈가야〉, 〈발해〉 등의 역사는 직접 다루고 있지 않다. 이는 《삼국사기》가 정사(正史)를 표방하고 있으며, 단대사(單代史)임을 명백하게 밝힌 점으로 볼 때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3]
〈잡지〉는 삼국의 제도,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전하는 유일한 기록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용이 신라의 기록이며 고구려, 백제의 기록은 매우 소략하다. 지리지와 직관지가 가장 분량이 많다. 특히 지리지는 총 4권으로, 앞의 3권은 신라의 지리로서 통일신라의 9주를 다루고 있다. 각권마다 3개 주씩 총 9주의 연혁을 다루고 있는데, 1권은 신라, 2권은 고구려, 3권은 백제의 영역에 해당하는 주로 구성하였다. 4권은 고구려와 백제의 지리를 기록하였는데, 앞의 세 권의 연혁에 등장하지 않았거나 위치를 알지 못하는 지명도 다루고 있다.
〈열전〉에는 김유신을 비롯한 69명의 전기를 실었다. 특정한 편명으로 구분하지는 않았으나 각 권별로 일정한 기준에 의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1~3권은 김유신 열전, 4~5권은 무장 및 명신들의 열전, 6권은 학자 열전, 7권은 순국열사 열전, 8권은 효자 및 열녀 등 일반인 열전, 9권은 반신(叛臣) 열전, 10권은 역신(逆臣) 열전으로 볼 수 있다. 단, 중국의 정사에서 흔히 보이는 왕실 종친이나 후비 등의 열전은 수록되지 않았다.
《삼국사기》에는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기사들과 별도로 총 31편의 사론(史論), 일부 항목의 서문(序文), 기타 주석이 실려 있다. 특히 사론은 김부식이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평가를 내린 것으로서 이를 통해 김부식의 역사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본기〉에 23편, 〈열전〉에 8편의 사론이 실려 있으며 이 사론은 성격에 따라 포폄적(褒貶的) 사론과 역사학적 사론으로 나눌 수 있다.[2] 포폄적 사론은 역사적 사실의 잘잘못을 비판한 것으로 전체 분량의 2/3 가량을 차지한다. 포폄적 사론을 통해서 역사를 비판적 안목으로 바라보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역사학적 사론은 사실의 규명이나 출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삼국사기》를 저술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원칙, 서술한 이유, 역사적 사건의 원인 및 결과, 사료의 부족, 역사의 해석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징
《삼국사기》는 《고기》, 《해동고기》, 《삼한고기》, 《본국고기》, 《신라고기》 등의 이름으로 한국의 고유 기록을 제1차 사료로 삼았으며, 중국의 사료와 한국의 사료가 충돌하는 경우는 한국의 사료를 우선적으로 사용했다.
고조선, 가야, 동예, 옥저, 삼한, 발해 등의 역사는 빠져 있는데, 이것은 《삼국사기》가 먼저 출간된 《구삼국사》를 보다 간결하게 다듬은 형태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구삼국사》와 《삼국사기》의 관계는 《구당서》와 《신당서》와 유사한 것으로 보이나 《구삼국사》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삼국사기》 표지에는 약칭인 《삼국사》로 적혀 있다.
보존 및 번역
고려 시대의 간행본은 없어지고, 조선 시대에 와서 1393년부터 1394년 사이(태조 2~3년)에 진의귀·김거두가 고쳐 펴냈고, 1512년(중종 7)에 이계복이 다시 고쳤다. 이후 목판 또는 활자로 수차 간행되었다.
평가 및 비판
삼국사기는 한국 고대사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료이며, 이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편찬 등에 영향을 주었다.
《삼국사기》에 대해 신라 위주로 서술되었다는 점, 백제의 기록이 부족하다는 점, 고조선을 비롯한 가야, 동예, 옥저, 삼한, 발해 등의 역사가 빠져 있다는 점, 사대주의적이라는 점 불교 및 전통사상을 기술하지 않았다는 점 등의 비판이 있다. 또한 칭제건원과 서경천도운동을 주도한 신돈 일파들을 반대하여 숙청한 주화파 세력이였으며 송나라의 학자를 존경하였고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중국인이 중국왕조를 찬양하여 쓴 중국 사서들을 아무런 비판없이 그대로 인용하여 삼국사기를 썼다는 비판이 있다.
항목 | 비판 | 반론 |
---|---|---|
신라 위주의 서술 |
|
|
사대주의적 사서 |
|
|
불교 및 전통 사상의 삭제 |
|
- 《삼국사기》는 초기 기록의 신뢰 여부 때문에 학자 사이에서 논란이 많다.
- 초기 기록을 신뢰하는 학자는 서강대를 중심으로 이종욱이 대표적이며, 풍납토성의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 결과가 《삼국사기》와 일치한다는 점과, 초기 기록을 거부하는 것은 식민사학에서 유래되었다는 점을 들어 비판한다.
- 이와는 반대로 신뢰하지 않는 학자는 서울대를 중심으로 《삼국지》의 위서 동이전을 신뢰한다. 이는 무덤의 형태가 일치한다는 점과 《삼국사기》의 기록보다 훨씬 후에야 중앙집권화의 흔적이 보이는 유물이 보인다는 점, 그리고 심지어 한반도 남부에 나타났던 편두 문화까지 상세히 기록된 점을 들어 삼국사기 초기 기록은 신뢰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목록
- 신라본기
- 권1 신라본기 제1: 시조 혁거세거서간 남해차차웅 유리이사금 탈해이사금 파사이사금 지마이사금 일성이사금
- 권2 신라본기 제2: 아달라이사금 벌휴이사금 내해이사금 조분이사금 첨해이사금 미추이사금 유례이사금 기림이사금 흘해이사금
- 권3 신라본기 제3: 내물이사금 실성이사금 눌지마립간 자비마립간 소지마립간
- 권4 신라본기 제4: 지증마립간 법흥왕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 권5 신라본기 제5: 선덕왕(善德王) 진덕왕 태종왕
- 권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상
- 권7 신라본기 제7: 문무왕 하
- 권8 신라본기 제8: 신문왕 효소왕 성덕왕
- 권9 신라본기 제9: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선덕왕(宣德王)
- 권10 신라본기 제10: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신무왕
- 권11 신라본기 제11: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왕
- 권12 신라본기 제12: 효공왕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고구려본기
- 권13 고구려본기 제1: 시조 동명성왕 유리왕
- 권14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 민중왕 모본왕
- 권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차대왕
- 권16 고구려본기 제4: 신대왕 고국천왕 산상왕
- 권17 고구려본기 제5: 동천왕 중천왕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 권18 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 소수림왕 고국양왕 광개토왕 장수왕
- 권19 고구려본기 제7: 문자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평원왕
- 권20 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 건무왕
- 권21 고구려본기 제9: 보장왕 상
- 권22 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 하
- 백제본기
- 권23 백제본기 제1: 시조 온조왕
- 권24 백제본기 제2: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 권25 백제본기 제3: 진사왕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개로왕
- 권26 백제본기 제4: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녕왕 성왕
- 권27 백제본기 제5: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 권28 백제본기 제6: 의자왕
- 연표
- 권29 연표 상
- 권30 연표 중
- 권31 연표 하
- 잡지
- 권32 잡지 제1: 제사 악
- 권33 잡지 제2: 색복 거기 기용 옥사
- 지리 잡지 제3,4,5,6: 지리1~3 신라, 지리4 고구려 백제
- 직관 잡지 제7,8,9 직관
- 열전
- 김유신 열전 제1,2,3:김유신
- 권44 열전 제4: 을지문덕 거칠부 거도 이사부 김인문 김양 흑치상지 장보고 정년 사다함
- 권45 열전 제5: 을파소 김후직 녹진 밀우 유유 명림답부 석우로 박제상 귀산 온달
- 권46 열전 제6: 강수 최치원 설총
- 권47 열전 제7: 해론 소나 취도 눌최 설계두 김영윤 관창 김흠운 열기 비녕자 죽죽 필부 계백
- 권48 열전 제8: 향덕 성각 실혜 물계자 백결 선생 검군 김생 솔거 효녀지은 설씨녀 도미
- 권49 열전 제9: 창조리 개소문
- 권50 열전 제10: 궁예 견훤
같이 보기
각주
- ↑ 문화공보부장관 (1981년 7월 15일). “문화공보부고시제502호”. 관보제8893호. 11-15(中 12)쪽. 201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가나 다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 집문당, 1999.
- ↑ 최영성, 〈삼국사기의 역사의식 : 한국유학사상 삼국사기의 의의와 관련하여〉,《한국사상과 문화》13, 2001년.
- ↑ 김당택, 〈고려 인종조의 서경천도·칭제건원·금국정벌론과 금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역사학보》170, 2001년.
- ↑ 하현강, 〈김부식(1075~1151년)의 역사의식〉, 《자유》61, 1977년.
- ↑ 김철준, 〈고려중기의 문화의식과 사학의 성격〉, 《한국사연구》9, 1973년.
참고 자료
- 보물 제522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보물 제523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보물 제723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역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ck river - wikipedia (0) | 2020.03.15 |
---|---|
Red river - wikipedia (0) | 2020.03.15 |
<펌> 삼국유사 - 위키백과 (0) | 2019.09.02 |
<펌> 삼국유사 - 나무위키 (0) | 2019.09.02 |
<펌> 김부식 - 나무위키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