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상(BC37-AD 391)/동명성왕 - 태조왕 (BC27-146)

<펌> 민중왕 (44-48)-나무위키

Chung Park 2020. 9. 6. 03:56

1. 소개2. 성씨 논란3. 내정4. 삼국사기 기록

1. 소개

"내가 죽으면 반드시 이 곳에 묻어라. 다시 능묘를 만들지 마라."
吾死 必葬於此. 不須更作陵墓.


삼국사기에 기록된 임금의 유언.

고구려의 제4대 군주

대무신왕이 죽자 태자(뒷날의 모본왕)의 나이가 어려 즉위했다. 삼국사기에서는 대무신왕의 동생이자 유리명왕의 아들,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자 모본왕의 동생으로 적었다. 하지만 후자가 맞다면 태자가 어려서 즉위했다는 말이 모순이니 오기로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대무신왕의 동생이라고 알려졌다.

2. 성씨 논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성이 해씨라고 한다. 이름이 해색주(解色朱)라 실제로는 고씨가 아니라 해씨라는 설이 있다.

3. 내정

5년 동안 재위했는데 좋은 일은 하나도 없었다. 자연 재해 때문에 민심도 흉흉했고 잠우부락(蠶友部落)의 1만 가가 한나라낙랑에 귀부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석굴에 매장된 것이다. 민중원에서 사냥하다가 스스로 석굴에 장지를 정했다고 한다. 민중원에 능을 썼다고 왕호도 '민중왕'이 되었다.[3] 그런데 보면 재위 4년차에 왕이 사냥을 나갔다가 그해 7월 자기가 죽으면 동굴에 묻어달라하더니 바로 다음해에 죽는다. 지병이나 노환이 있어 이미 오늘 내일 하고 있었다면 사냥을 나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더 크니, 아마 사냥을 나갔다가 부상을 입어 얼마 안 돼 죽은 것이 아닌가 싶다.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민중왕 본기
一年冬十月 민중왕이 즉위하다. (44)
一年冬十一月 민중왕이 대사면을 실시하다.
二年春三月 민중왕이 잔치를 베풀다. (45)
二年夏五月 홍수로 백성이 굶주려 창고를 열어 구제하다. (45)
三年秋七月 왕이 노루를 잡다. (46)
三年冬十一月 남쪽 하늘에 혜성이 나타나다. (46)
三年冬十二月 겨울의 국내성에 눈이 오지 않다. (46)
四年夏四月 민중원에서 사냥을 하다. (47)
四年秋七月 왕이 석굴에 장사지내달라고 하다. (47)
四年秋九月 동해사람이 고래 눈을 바치다. (47)
四年冬十月 만여가가 낙랑으로 가서 후한에 투항하다. (48)
五年 민중왕이 붕어하다. (49)

[1] 삼국사기 민중왕 본기에 '왕후와 여러 신하들이 임금의 유언을 어기기 어려워 석굴에 장사 지내고'라는 기록이 있어서 왕후가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지만 더 이상 기록이 없다. 한편 고구려형사취수제 관습을 생각하면 그녀가 대무신왕의 왕비들과 동일인이 아닐까 추정되기도 한다.[2]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3] 민중왕뿐만 아니라 고구려 왕들 중에는 장지의 이름을 따서 왕호가 기록된 이들이 많다. 예를 들어 모본왕ㆍ고국천왕ㆍ중천왕ㆍ서천왕ㆍ미천왕ㆍ고국원왕ㆍ소수림왕ㆍ고국양왕 등이 모두 장지가 왕 이름이 된 경우이다. 또한 유리왕과 보장왕은 이름을 그대로 써붙인 경우이고, 차대왕ㆍ신대왕은 그냥 '다음 왕', '새로운 왕'이라는 뜻이다. 다른 경우로는 장수왕(長壽王)이 있는데 실제로 오래 살아서 장수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