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 남북조

<펌>회하(淮河) - 나무위키

Chung Park 2023. 7. 9. 01:40

1. 개요 2. 상세 3. 혼동하기 쉬운 용어

1. 개요[편집]

회하(淮河). 회수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황하, 양쯔강(장강) 사이에서 흐르면서 황하, 양쯔강 다음으로 큰 하천이다. 원래 중국에서 河는 황하를, 江은 장강을 뜻하는 고유명사고 그 이외에는 수(水)를 붙였기 때문에 과거엔 회수(淮水)라 불렀다.[1] 이 강이 지나는 주요 도시로는 화이난, 화이안, 신양, 벙부 등이 있다.

2. 상세[편집]

회수는 황하와 장강의 사이를 동서로 흐르고 있다. 그 하류는 평탄한 저지대를 지나고 있어 물길이 복잡하기 때문에 홍수를 일으키기 쉽고 치수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괴하(壊河)’라는 또 다른 이름이 있다.

위치 때문인지 역사적으로 이 지역을 거점으로 한 세력이나 반란이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삼국지 원술 왕릉, 제갈탄, 관구검 등이다. 한참 후대이지만 명 태조 홍무제 주원장도 이 일대 출신이다. 태평천국을 진압하기 위해 거병했던 이홍장의 세력은 아예 깃발에다 '회(淮)'라고 새겨놓았다.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안자가 비유를 들어 인용했던 귤화위지(橘化爲枳)나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말은 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라는 속담과 같은 뜻이다. 회남에서는 귤이 나고 회북에서는 탱자가 나기 때문. 또한 회수 이북으로는 주로 을 재배하고 이남으로는 을 재배한다.[2]

---춘추시대까지는 중원의 남쪽 경계였고, 회하 이남에 많은 땅을 가졌던 초나라가 중원 문화권에 속함에도 동시에 오랑캐 취급도 받았던 이유이기도 하다.[3] 전국시대에 들어서는 회수 이남의 , 월나라 강역까지 중원의 문화권에 포함되지만 여전히 촌뜨기 취급이었다. 진시황이 죽고 항우 유방이 맞붙던 시절쯤 가야 회수 이남도 완연한 한족 문화권에 포함된다. 삼국지의 시대에서는 위나라 오나라 합비를 두고 피터지게 일진일퇴를 거듭했고[4] 이후 남북조시대에 남조-북조, 12~13세기 남송- 시기에는 북방 이민족과 한족의 경계를 이루었다. 원나라 이후에는 크게 정치적으로 국경을 이루는 일은 없었으나 태평천국의 난 당시 태평천국의 북쪽 경계가 회하 유역이다.

이는 지정학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주요 강인 황하와 장강은 각각 화북과 화남의 중심지여서 둘 중 하나를 경계로 삼으면 그 유역 전체를 상실할 수 있다. 하지만 회수는 두 강의 유역을 정확하게 가르기 때문에 각각의 유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강 자체가 지나치게 길고 강 외에는 다른 지형 방벽이 없는 황하와 양쯔강 유역과는 달리, 회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서쪽으로 친링산맥(秦嶺山脈, 진령산맥)이 연결되어서 방어에 상대적으로 더욱 용이했다.[5] 이런 이점 때문에 회수가 자연적인 경계선이 될 수 있었다.

회하를 기준으로 한 남북 중국의 기후적 구분은 21세기에서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현대 중국은 회수 이북에는 석탄 난방을 하고, 회수 이남에는 난방이 있는 건물이 거의 없다. 이는 과거 중국이 옛 소련의 규정을 그대로 가져와 실외 온도 5도 이하일 때를 ‘겨울’로 정의하고, 영상 5도 이하의 날씨가 90일 이상 지속되는 지역에만 지역난방을 설치했는데 그게 회수 이북 지역이기 때문이다. 경향신문 기사 코트라 관련 칼럼 이 규정은 1950년대에 만들어졌는데, 그때보다 기후변화가 잦아진 지금에 와서도 회수 이남 지역에는 난방이 잘 되는 건물을 찾기 어렵다.

난방시스템을 만들 때야 중국의 경제력이 좋지 않았을 때이니 이런 불편함도 감수할 수밖에 없기는 했지만 중국의 경제수준이 올라온 이후로는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고쳐질 기미가 보여지지 않는다. 중국은 중앙난방을 쓰는 곳이 대다수인데 남부에는 중앙난방을 해줄 열원시설이 거의 없고, 난방경계가 확정 된 뒤에 깔린 건물들의 배열구조를 싹 고치기에는 돈도 시간도 많이 들기 때문에 난방을 공급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중앙난방을 대부분 미세먼지 뿜어대는 석탄으로 하기 때문에, 2017년에는 회수 이북 중국에서 진행되는 동절기 중앙난방이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켜 회수를 넘어가는 순간 기대수명이 3년 줄어든다는 믿기 힘든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6]

현대 중국에서 오염이 심한 하천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혼동하기 쉬운 용어[편집]

회하(淮河/HuáiHé/화이허) 이북을 뜻하는 회북(淮北/화이베이), 이남을 뜻하는 회남(淮南/화이난)과 화북(华北/華北/Huáběi/화베이), 화남의 발음이 비슷해서 같은 것인 줄 알고 혼동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은데,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화북과 화남은 중화민국 시절 지역 구분을 위해 처음 사용된 용어고, 그 기준이 일정하지 않고 중구난방하다. 화(華/华) 방식의 구분법에는 화중, 화동 등도 있었다.

참고로 친링산맥(진령산맥)과 회하를 기준으로 회북, 회남 등으로 나누는 건 기후/지리학적인 구분을 위해 20세기 초 중국의 지리학자 장샹원(1867~1933)이 1908년에 정립한 것이다.#

[1] 중국에선 통상적으로 유량이 풍부하고 물줄기의 흐름이 비교적 일정하며 끊이지 않는 곳을 강으로 분류한다. 보통 연간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중국 북부의 하천들은 유량이 적고 물줄기가 불규칙한 경우가 많기에 대부분 하(河)에 해당하지만, 만주에 흐르는 헤이룽장(黑龍江)이나 송화강(松花江), 눈강(嫩江)등의 몇몇 예외도 존재한다.[2] 이는 진령(秦嶺/친링)산맥-회수 선이 연간강수량 1000mm 선과 일치하면서 지리적인 경계임과 동시에 기후의 경계도 겸하기 때문이다. 기후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주식은 물론 남선북마(南船北馬)로 대비되는 교통수단이나 문화 등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3] 사실 초나라는 중원 문화권과 별개의 장강 문화권의 이민족들이 세운 나라였으나 나중에 중원 문화권으로 편입된 국가이다.[4] 다만 합비나 유수구는 회수 유역보다는 조금 남쪽이다.[5] 친링산맥과 회하를 기준으로 회북, 회남 등으로 나누는 건 기후/지리학적인 구분을 위해 20세기 초 중국의 지리학자 장샹원(1867~1933)이 1908년에 정립한 것이다.#[6] Ebenstein, Avraham, et al. "New evidence on the impact of sustained exposure to air pollution on life expectancy from China’s Huai River Polic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39 (2017): 10384-10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