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상(BC37-AD 391)/동명성왕 - 태조왕 (BC27-146)

<펌>민중왕 (44-48 재위) - 위키백과

Chung Park 2019. 6. 25. 04:34

민중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Picto infobox prétendant à un trône.png
고구려 민중왕
高句麗 閔中王
지위
고구려의 제4대 국왕
재위44년 음력 10월 ~ 48년
대관식민중왕(閔中王)
전임자대무신왕(大武神王)
후임자모본왕(慕本王)
부왕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
이름
고해색주(高解色朱) 고해읍주(高解邑朱)
별호해색주(解色朱) 해읍주(解邑朱)
묘호민중왕(閔中王)
시호?
신상정보
출생일?
출생지?
사망일48년
사망지?
왕조고구려(高句麗)
가문횡성(橫城)
부친유리명왕(瑠璃明王)
대무신왕(大武神王)
모친왕후 송씨(王后 松氏)
 ?
배우자?
자녀?
종교불교(佛敎)

민중왕(閔中王, ? ~ 48년 재위: 44년 음력 10월 ~ 48년)은 고구려의 제4대 군주로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는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나, 여기서 '해'가 성씨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고구려의 국왕들 중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 기록이 서로 다르게 기록된 군주이다.

생애

삼국사기》에는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우로 나와 있고,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이 죽은 뒤 태자 해우(解憂)가 어리므로 대신 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런데 《삼국유사》에는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한다.

44년 음력 10월 보위 등극하였고 그해(44년) 음력 11월에 대사면령을 내렸으며, 45년 음력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었다. 음력 5월에는 나라 동쪽에서 홍수가 나서 백성들이 굶주리자 창고를 열어 진휼했다. 


47년에 사냥을 나간 민중왕은 민중원(閔中原)에 이르러 석굴을 발견하고 그곳에 자신을 장사지낼 것을 명하였다. 


음력 10월에는 잠지락부(蠶支落部)의 대가(大家)인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漢)의 낙랑으로 투항하였다. 


48년에 왕이 죽자 유언에 따라 석굴에 장사지내고 묻힌 민중원의 지명을 따서 왕명을 민중왕(閔中王)이라 하였다.

민중왕의 가족에 대한 기록은 없다.


가계

  • 부왕 또는 조부 : 유리명왕(瑠璃明王)
    • 모후 또는 조모 :왕후 송씨(王后 松氏) -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이다.
    • 모후 또는 조모 : 왕후 송씨(王后 松氏) - 왕후 송씨가 기원전 17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아래의 아들들은 또다른 송씨 부인으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형 또는 백부 : 해명(解明, 기원전 12년 ~ 서기 9년) - 두 번째 태자.
      • 형 또는 아버지 : 무휼(無恤. 서기 4년 ~ 서기 44년) - 서기 18년 음력 10월, 대무신왕(大武神王)으로 즉위하였다.
      • 형수 또는 어머니 : 해씨부인(解氏夫人)
      • 형수 또는 어머니 : 왕후 송씨
        • 조카 또는 형 : 모본왕일연은 모본왕이 민중왕의 형이라 기록하였다.
      • 형 또는 숙부 : 여진(如津, ? ~ 서기 18년) - 서기 18년 여름 음력 4월, 물에 빠져 죽었다. 여진의 죽음에 유리명왕은 크게 슬퍼하여 시체를 찾았으며, 시체를 찾은 사람에게 금 10근과 밭 10경을 상으로 내렸다.
      • 아우 또는 숙부 :재사(再思, ? ~ ?[1]) - 제6대 태조왕의 아버지이다.

참고

각주

  1.  재사의 막내아들로 알려진 신대왕의 출생년도가 89년이다. 그러나 재사에 대해서는 주몽과 함께 온 개국공신 재사와 동일인이라는 설 혹은 후손이라는 설,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대무신왕의 후손이라는 설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