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눌지 마립간 (417-458)-나무위키

2020. 7. 14. 10:10신라 중 (356-654)

분류

 

신라 국왕
[ 펼치기 · 접기 ]

시호 눌지 마립간(訥祇 麻立干)
별호 내지왕(內只王) / 내지왕(乃智王)
성씨 김(金)
눌지(訥祇) / 내지(內只) / 내(乃)
왕후 아로부인(阿老夫人) 김씨
왕자 김자비(金慈悲)
왕녀 조생부인(鳥生夫人), 성국공주(成國公主)(?)[1]
부왕 내물 마립간
생몰년도 음력 396년(?) ~ 458년 8월
재위기간 음력 417년 ~ 458년 8월 (41년)

1. 개요

2. 생애

2.1. 즉위 이전

2.2. 재위

2.2.1. 내정

2.2.2. 외정

2.2.2.1. 백제와 손을 잡고 고구려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다

2.2.2.2. 왜국과의 관계

3. 죽음과 왕릉

4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19대 왕. 칭호는 마립간, 이름은 김눌지다. 포항 냉수리 신라비에서는 내지왕(乃智王)이라는 표기로도 나온다.

전왕 시대에 왜군에 큰 피해를 입고 고구려군의 개입 후 반 속국 신세로 전락한 신라를 41년이라는 오랜 재위 기간 동안 다시 자주적으로 되돌리고 6세기 신라 전성기의 기틀을 닦기 시작한 임금이다.

 

2. 생애

2.1. 즉위 이전

 

기록에 의하면 전전대 17대 왕 내물 마립간의 장남이고 전왕 실성 마립간의 종질(從姪)이다.[2] 내물 마립간이 서기 400년에 광개토왕릉비의 기록대로 백제가야의 삼국 연합군의 침공과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지원군 파견, 신라의 속국화에 충격을 받아 병져 누운 끝에 승하하자, 정상적으로라면 장남 눌지가 왕위에 올랐어야겠지만 아직 눌지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화백회의에서 실성을 임금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실성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오랫동안 고구려에 인질로 가 있었다는 점으로 미루어보면 내물 직계가 아닌 실성이 왕위에 오른 것은 아마도 광개토왕의 남정 이후 신라에 정치적 간섭을 시작한 고구려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김씨에 의해 왕위에서 물려난 석씨 왕실의 영향력도 배제할 수 없다. 실성은 석씨 가문의 피가 흐르는 인물이기 때문이다.[3]

실성 마립간은 왕위에 올랐지만 잠재적 정적인 눌지를 직접 공격하기보다는 먼저 눌지의 동생들부터 하나하나 제거하는 방식을 택했다. 눌지의 동생들을 볼모로 외국으로 보내는데, 눌지의 첫째 동생 복호는 고구려에 인질로, 둘째 동생 미사흔은 로 볼모로 보냈다.[4] 종국에는 눌지 본인마저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질 뻔 했다. 사실 인질은 죽으면 곤란한 중요 인물을 보내는 게 정상인데, 실성 입장에서 자신의 정치적 위상에 방해가 되는 눌지 3형제는 외국에서 남의 손에 죽어버리는 게 오히려 이득이었던 것.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이 조금씩 다른데, 겹치는 부분은 실성은 자기가 알던 고구려인을 사주해서 눌지를 암살하려 했으나 고구려인이 눌지를 실제로 보고 군자의 기상이 있음을 알고서 감동하여 그를 죽이지 않고 되려 고구려 군대가 실성을 암살해버렸다는 것(...).

아마도 실성이 고구려를 빽으로 삼아 왕으로 등극하는 과정을 지켜본 눌지는 고구려를 자신의 편으로 돌려야 왕위 등극이 순탄할 것임을 알고, 고구려와 모종의 외교 협상이나 혹은 고구려 유력자들을 끌어들여서 실성을 시해하고 왕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여기서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는데, 그의 왕비 아로부인이 실성 마립간의 딸이라는 것.  아로부인과의 사이에서 자비 마립간과 지증왕의 어머니 조생부인(鳥生夫人)을 뒀다.

2.2. 재위

 

2.2.1. 내정

 

내정으로 노인을 공경하는 예를 세웠다고 하는데 아마도 조선의 세종 때처럼 양로연 같은 것을 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저수지를 만들어 농업 용수를 확보하고 백성들에게 가 끄는 수레를 대대적으로 보급했는데 이는 농업 생산력의 향상과 물자 수송의 용이함을 위해서였던 걸로 보인다. 신라는 눌지 재위 초반에 꾸준히 내정을 다져서 나중에 전성기 고구려와의 일전을 준비하게 된다.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와서 자기 딸을 치료해주자 을 지어주기도 하였다. 《삼국사기》에는 이렇게 되어 있는데 삼국유사에는 미추 이사금 때의 아도라는 인물이 그랬다고 기록되어 있다.[5]. 아직 이차돈의 순교까지 백여 년이나 남았으니 신라에서 공식적으로 불교를 인정한 건 아니었겠지만, 적어도 왕실은 불교에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6]

2.2.2. 외정[편집]2.2.2.1. 백제와 손을 잡고 고구려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다[편집]

비록 고구려군의 도움을 받아 왕이 됐지만, 눌지가 고구려의 정치적 간섭 없이 신라를 마음놓고 다스리려면 고구려에 붙잡혀 있는 김복호를 먼저 신라로 귀환시켜야 했다. 지원자를 받은 끝에 충신 박제상을 굴려서 고구려에 인질로 가 있었던 동생 복호를 간신히 빼내왔다.[7] 박제상을 다시 왜에 보내서 거기에 인질로 가있던 미사흔도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8]

외교에서는 비록 본인이 고구려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지만, 고구려 역시 눌지가 예뻐서 도와준 건 아니었고[9], 400년 광개토대왕의 남정으로 큰 타격을 입은 신라를 부흥시키기 위해 되도록 주체적인 입장에서 고구려의 영향에서 벗어나려고 애쓴 흔적이 엿보인다. 즉위 2년(418년) 고구려에 인질로 가 있던 복호를 탈출시킨 것을 볼 때 고구려에게 뒤를 잡히지 않으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이며, 즉위 8년(424년)에 사신을 보내 비록 복호를 빼내왔어도 고구려와 척지고 싶지는 않다는 의사를 표현해 정상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런데 전성기를 맞은 고구려의 장수왕이 남진 정책을 계속 추진하자 그 압박을 견디지 못한 백제 비유왕이 그간의 원한을 잊고 신라에 동맹하자고 433년 7월에 먼저 제안, 눌지는 이를 얼씨구나! 받아들여 최초로 나제동맹이 성립했다. 434년 백제에서 신라로 좋은 말과 흰 매를 선물로 보내고, 답례로 신라는 야광주와 황금을 보내는 등 친교를 쌓는다. 당시 장수왕은 남방보다는 서쪽 중원의 급박한 정세에 집중하고 있어서 그랬는지 나제동맹의 체결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는 않았다.[10]

다만, 신라가 나제동맹을 맺었어도 아직 고구려를 본격적으로 적대한 것은 아니었는데, 그 예로 중원 고구려비에 의하면 449년 고구려와 신라가 '형과 동생'의 관계로 하늘에 제사(守天)하는 일이 있었다. 눌지는 아직 고구려의 아랫 나라인 척을 계속하면서 힘을 모으고 있던 것이다.

그러다가 450년에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악화되기 시작한 것에 가까운 사건이 발생하는데, 신라의 하슬라(강릉시성주 삼직(三直)이 실직(삼척시)에서 사냥하다가 고구려 변경 성주를 살해한 것이다. 고구려군이 서쪽으로 쳐들어오자 눌지는 사신을 파견해 사과하여 외교적으로 이를 무마시킨다. 이 사건은 우발적 사건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후에 일어날 상황을 보면 오랜 정치 간섭으로 신라국 내부에 이미 반고구려 성향이 차있었다고도 볼 수 있으며, 눌지 역시 이를 계기로고구려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로 마음먹는다.

일본의 역사서 일본서기에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가 틀어지는 결정적 사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일본서기에는 464년에 일어난 일로 써 있지만 464년은 이미 신라와 고구려가 본격적으로 싸우기 시작한 시기라, 학자들은 이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450년 ~ 454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 광개토대왕의 남정 이후 신라 땅에는 고구려군이 주둔하고 있었는데[11] 고구려군 중 1명이 교대하고 고구려로 돌아가면서 신라 사람을 말몰이로 삼았는데 '너희 나라가 우리의 땅이 될 날이 머지 않았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말을 듣고 신라인 말몰이는 배가 아프다고 거짓말을 해서 빠져나와 이를 신라에 보고했고 신라 왕 눌지는 고구려가 군대를 보내 신라를 지켜주는 것이 거짓임을 알고 사람들을 풀어 백성들에게 알렸다.

 

고구려 왕이 정예병사 1백 인을 보내어 신라를 지키게 하였다. 얼마 되지 않아 고구려 군사 한 사람이 잠시 나라로 돌아갔는데, 이때 신라인을 전마(典馬)로 삼았다【典馬는 우마카히(于麻柯比)라고 읽는다.】[12] 그가 돌아보며 “너희 나라는 우리나라에 의해 망할 날이 멀지 않았다.【다른 책에서는, “너희 나라가 마침내 우리의 땅이 될 날이 멀지 않았다.”라고 하였다.】”라고 말하였다. 전마는 이를 듣고 거짓으로 배가 아프다고 하고 물러나서 뒤에 있었다. 그리고 자기 나라로 달아나 들은 바를 말하였다. 이에 신라왕이 고구려가 거짓으로 지켜주는 줄 알고, 사신을 보내 급히 나라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명했다.
"사람들이여, 집안에서 기르는 수탉을 죽여라!(人殺家內所養鷄之雄者!)"


일본서기》 웅략 8년 2월 원문


암호 같은 이 지시를 신라 사람들이 그 뜻을 알아듣고[13] 나라 안에 있는 고구려 사람들을 모두 몰살시켜 버렸다. 간신히 살아남은 고구려 사람 1명이 틈을 타서 빠져나갔고, 고구려 장수왕은 격노해 군사를 일으켰지만 신라는 임나(가야) 왕에게 원군을 청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고 한다. 이 일본서기 기록과 별개로 454년 7월 장수왕이 신라의 북쪽 변방을 공격한 기록이 삼국사기에 있는데, 일본서기 기록과 같은 사건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별개로 보는 견해도 있다.

사실 고구려가 신라를 완전히 병합할 거라는 건 고구려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일개 병사 한 명의 발언일 뿐이다. 장수왕의 진짜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일단 신라인들은 이미 고구려의 정치 간섭을 비롯해, 고구려 병사들의 행패[14] 등으로 인해 반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팩트[15], 눌지는 이 사건을 빌미로 고구려에게서 완전히 벗어날 때가 되었다고 판단한 듯 하다.

이렇게 즉위 20여년간 꾸준히 내정을 다져 국력을 쌓은 끝에, 즉위 39년(455년) 10월, 백제에서는 정변이 일어나 비유왕이 시해당해 나라가 혼란스러운 틈을 타서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눌지는 백제에 군사들을 파병해 고구려군을 물리쳐 고구려와 적대할 것을 명확히 했고[16], 이후 100여년간 고구려가 내려오면 서로 돕고 돕는 방식으로 버티게 된다. 눌지는 458년 승하하지만, 아들 자비 마립간과 손자 소지 마립간은 눌지의 뜻을 이어받아 백제와 힘을 합치고 성을 엄청나게 쌓아서 고구려의 남진을 방어하는 수십년간의 전쟁이 계속 벌어진다.

불과 수십년 전엔 고구려, 신라 연합군과 백제, 가야, 왜의 연합군이 전투를 벌였다는 것을 상기해 본다면, 외교에 영원한 적도, 영원한 동맹도 없다는게 실감이 날 것이다.

 

2.2.2.2. 왜국과의 관계

 

와의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는데, 미사흔을 계략을 써서 탈출시키고 대신 충신 박제상이 죽임을 당하자 양국의 관계가 끝내 파탄난 것으로 보인다. 왜는 431년에 서라벌 인근 명활산성을 침공했고, 440년에는 신라의 남쪽, 동쪽 국경에 쳐들어왔으며 444년에는 서라벌까지 쳐들어와 10일간 포위했다가 식량이 떨어지자 퇴각했는데, 신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눌지 마립간은 군사를 이끌고 왜군의 뒤를 무리하게 쫓았다가 대패한다. 절반의 군사를 잃고 산으로 도망갔으나 왜군들에게 포위당하는데, 다행히도 짙은 안개가 끼어 포위망을 탈출하고 왜군들은 물러간다.[17] 위의 기록들만 봐도 양측의 험악했던 관계를 알 수 있다.

이렇게 남북으로 불안한 외부 상황 속에서도 장자 왕위 계승을 확실히 못박아둬서 쓸데없는 분쟁을 사전에 막았다. 석씨 왕실 때부터 해서 얼마나 많은 막장 혼란이 있어왔는지 생각해보면 이것만 해도 상당한 업적. 덕분에 아들 자비와 손자 소지는 별 혼란 없이 장남으로서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3. 죽음과 왕릉

458년 8월에 사망하였다.

왕릉은 문헌상 비정되는 곳은 없으나, 현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대릉원의 황남대총 남분이 바로 눌지의 왕릉이라는 설이 주목받고 있다. 고고학적 비정에 관한 내용은 신라왕릉 문서 참조.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눌지 마립간 본기
一年夏五月 눌지 마립간이 왕위에 오르다 (AD 417)
二年春一月 시조묘에 배알하다 (418)
二年 미사흔이 왜국에서 도망해 돌아오다 (AD 418)
三年夏四月 우곡에서 물이 솟구쳐오르다 (AD 419)
四年 봄과 여름에 가물다 (420)
四年秋七月 흉년이 들자 죄수들을 사면하다 (420)
七年夏四月 남당에서 노인들을 대접하다 (423)
八年春二月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예방하다 (AD 424)

425-428 : 4년 공백
十三年 시제를 새로 쌓다 (AD 429)
十五年夏四月 왜병이 침입하다 (AD 431)
十五年秋七月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죽이다 (431)
十六年 곡식이 귀하여 소나무 껍질을 먹다 (432)
十七年夏五月 미사흔이 죽어 서불한으로 추증하다 (433)
十七年秋七月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하다 (AD 433)
十八年春二月 백제 왕이 좋은 을 보내다 (AD 434)
十八年秋九月 백제 왕이 또 흰 를 보내다 (AD 434)
十八年冬十月 황금과 야광 구슬을 백제에 보내 보답하다 (AD 434)


十九年春一月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히다 (AD 435)
十九年春二月 역대의 왕릉을 수리하다 (AD 435)
十九年夏四月 시조묘에 제사지내다 (AD 435)
二十年夏四月 우박이 내리다 (AD 436)
二十二年夏四月 홍수와 큰 바람이 불고 우박이 내리다 (AD 438)
二十四年 왜인이 남쪽 변경을 침입하다 (AD 440)
二十四年夏六月 왜인이 동쪽 변경에 침입하다 (AD 440)
二十五年春二月 꼬리가 긴 흰 꿩을 바치자 왕이 곡식을 내려주다 (AD 441)
二十八年夏四月 왜병을 쫓다가 위기에 빠지다 (AD 444)

 

445-449 : 5년 공백


三十四年秋七月 삼직이 고구려의 변방 장수를 죽이다 (AD 450)
三十六年秋七月 상서로운 벼 이삭을 바치다 (AD 452)
三十七年 봄과 여름에 가물다 (453)
三十七年秋七月 이리떼가 시림에 들어가다 (AD 453)
三十八年秋七月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치다 (454)
三十八年秋八月 고구려가 북쪽 변경을 침입하다 (AD 454)
三十九年冬十月 고구려가 백제를 침략하니 왕이 군사를 보내 구해주다 (AD 455)
四十一年春二月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히다 (AD 457)
四十一年夏四月 서리가 내려 보리가 상하다
四十二年春二月 지진이 일어나다 (AD 458)
四十二年秋八月 왕이 죽다 (AD 458)

[1] 조생부인과 동일인물일 가능성 있음.

[2] 실성의 아버지 대서지의 형 말구의 아들 내물의 아들이 눌지.

[3] 그러므로, 석씨 계통인 실성이 몰락하고 눌지 즉위 이후 역사에서 석씨 가문의 이름은 거의 사라져버리고, 현대에도 석탈해계 석씨를 자처하는 후손은 대한민국에 소수만이 남아있다. 더 일찍 왕위를 잃은 박씨가 이후에도 계속 신라의 주요 귀족 가문으로 유지됨은 물론 신라 이후에도 주요 성씨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4] 그러나 실성이 진짜로 제거하려고 하였다면 눌지를 먼저 보내야지 복호와 미사흔을 먼저 보낼 이유가 없다. 거기기다가 눌지는 실성의 사위이고, 아들이 없는 실성에게는 왕위계승 1순위에 있는 사람이다. 오히려 고구려와 왜 양쪽으로 인질을 보낼 상황에서 前王의 아들이자 눌지의 바로 아랫동생인 복호를 고구려로 보내서 눌지 바로 다음되는 인질이라는 것으로 등급을 맞추고, 눌지의 동생 미사흔을 왜로 보내서 눌지를 고구려로 보내지 않고, 복호와 같이 눌지의 동생이라는 것으로서 달래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 이는 눌지의 부인인 아로부인이 실성 사후에 왕비가 되고, 그의 소생이 왕위를 계승하였다는 것에서 추측해 볼 수 있다.

[5] 다만 일연은 묵호자 이야기도 함께 실으며 "일단 고구려가 신라보다 먼저 불교를 받아들였을 리는 없고, 묵호자와 아도와 외모나 행적이 비슷한걸로 봐서 아도는 묵호자의 다른 이름인거 같다라는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

[6] 이 시기 이미 고구려와 백제는 중국에서 넘어온 불교를 받아들인 지 오래였지만, 신라는 중국에서 멀고 교류가 적어 영향력도 적었고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토속 신앙이 너무 강하다보니 불교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이차돈의 순교라는 충격 요법(?)을 통해 공인에 성공한 것. 실제로 호우총에서 발굴된 호우명 그릇에는 연꽃 문양도 새겨져 있는데 이는 눌지 마립간 시절에 최소한 신라에도 불교라는 개념을 알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7] 삼국사기에서는 박제상이 장수왕을 말로 설득해서, 삼국유사에서는 몰래 탈출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8] 이 과정에서 박제상은 자신의 목숨까지 희생하는 절개를 보여준다. 자세한 사항은 박제상 항목 참조.

[9] 415년 대대적인 신라군 사열이 고구려의 심기를 건드렸고, 복호의 인질로써의 가치는 친형제인 눌지가 왕이어야 크다.

[10] 화북의 패권을 두고 북위와 북연이 경쟁했는데 장수왕은 북연을 군사적으로 도왔고, 남조 유송이나 북쪽 초원엔 유연과의 외교전도 있어 상당히 복잡하게 돌아가는 중이었다.

[11] 호우총의 호우명 그릇을 통해, 경주 한복판에서 고구려 그릇이 나옴으로서 고고학적으로도 증명이 되었다. 중원 고구려비에도 신라토내당주(新羅土內幢主)라 지칭되는 신라 경내에 주둔하던 고구려 군대의 지휘관의 존재가 언급된다.

[12] 고구려 병사가 휴가를 갈때 신라인을 말을 끄는 사람으로 썼다는 소리다.

[13] 고구려인들이 머리에 쓰고 다니는 조우관을 수탉의 닭 벼슬에 비유해 이렇게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머리에 새 깃털 꽂는 형식의 관모는 삼국 공통이기는 했지만.

 

[14] 위에 나오듯이 고구려 군인의 휴가때 신라인을 말잡이로 써먹었다.

[15] 타국 군대가 자국 경내에 주둔하고 있는 현상은 필요 여부를 떠나서 주둔지 주민들에게 상당히 복잡하게 다가올 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및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미군주일미군을 대하는 시선과 비슷하다.

[16] 사실 사서에는 비유왕이 승하했다고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비유왕 사후 즉위한 개로왕의 초반 행적이 기록되있지 않은 점과 남조로부터 하사받은 관직에 유력 귀족들이던 진씨•해씨 세력들이 하나도 없다는 점, 마지막으로 고구려의 첩자인 승려 도림의 비유왕의 시신이 들판에 방치되어 있었다는 언급으로 사실상 비유왕 말엽에 큰 정치적 혼란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시해당한 것으로 유력시되고 있다. 일설에는 앞의 흑룡이 나타났다는 기록과 결부지어 고구려에서 자객을 보내 시해했을 것이라고도 한다.

[17] 이때 정말 잘못되었으면 전사하는 참변을 겪을 수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