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귀
말과에 속하는 가축. 야생의 당나귀를 가축화한 동물로 수송 수단으로 이용되며, 속담, 해학담의 소재로 등장하고 성의 상징적 존재의 설화도 전한다.
동식물 |
동물, 말 |
Equus asinus |
말과 |
유형성격학명생물학적 분류
목차
정의
말과에 속하는 가축.
내용
나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여(驢)라고 하며, 장이(長耳)·한려(漢驪)·위(衛) 등의 별명이 있다. 학명은 Equus asinus이다. 당나귀는 야생의 당나귀를 가축화한 동물로서, 대형과 중형의 두 종류가 있다. 대형인 경우 키가 140∼150㎝, 몸무게는 350∼450㎏에 이른다. 털빛은 회백색이 많으나 붉은색·갈색도 있다. 등에는 어깨에서 꼬리의 끝까지 짙은 줄이 나 있으며, 어깨에는 뚜렷한 무늬가 있다.
당나귀는 말과 달리 이마에 털이 없고, 꼬리에도 하반부에만 긴 털이 있고 상반부는 짧은 털로 덮여 있어서 소의 꼬리와 비슷하다. 또, 당나귀의 귀는 말보다 길고 크다. 그리고 말은 다리에 부선(附蟬)이 있지만 당나귀는 앞다리에만 있다. 또, 눈주위·입·하복부 및 다리의 안쪽은 모두 흰색이다.
임신기간은 364일이며 소나 말보다 일찍 성장하여 포아도당나귀의 경우 3년이 지나면 성장이 정지된다. 체격이 좋고 체력이 강하며 외부의 변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열악한 조건에서도 자기 능력을 잘 발휘하는 특성이 있어서 수송수단으로 중요시되었다. 소나 말과 같이 많은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도 장점이다.
당나귀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 권2의 48 경문대왕조(景文大王條)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 의하면 왕의 귀가 갑자기 자라서 당나귀의 귀와 같아졌는데, 이 사실을 오직 복두장(幞頭匠) 한 사람만이 알고 있다가 죽기에 이르러 도림사(道林寺) 대나무숲에 들어가 우리 임금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소리쳤다는 것이다. 그 뒤 바람이 불면 이 소리가 대밭에서 들렸다고 한다. 이 기록은 삼국시대에 이미 당나귀가 사육되고 있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당나귀는 말보다 덜 빠르고 덜 위험한 동물로 인식되어 교통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도 유생들은 당나귀를 타기 좋아하며, 조관들도 이용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당나귀는 행세하는 사람의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었기 때문에 ‘도련님은 당나귀가 제격이다.’라는 속담이나 ‘나귀를 구하매 샌님이 없고 샌님을 구하매 나귀가 없다.’는 속담이 생겨났다.
또한, 자기에게 만만히 보이는 사람에게 함부로 할 때는 말을 잘 듣지 않는 당나귀의 근성에 빗대어 ‘나귀는 샌님만 업신여긴다.’라든가, ‘당나귀 못된 것은 생원님만 업신여긴다.’는 속담을 쓴다. 당나귀는 해학담의 소재로도 등장한다.
스님이 당나귀와 성행위를 하는 것을 목격한 상좌가 당나귀의 궁둥이를 빗자루로 찔러 당나귀에게 채이게 하고, 당나귀를 팔아오라고 하자 판 돈은 제가 가지고 스님에게는 장판에서 당나귀가 중새끼를 낳아 맞아죽을 뻔하다 도망쳤다고 핑계를 대었다는 「중과 당나귀」 이야기가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채록되었다. 비슷한 이야기로 원님을 골탕먹이는 이방의 이야기도 있는데, 여기에서도 당나귀는 원님의 성적 대상으로 등장한다. 이처럼 당나귀는 성의 상징적 존재로 설화에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 『삼국유사(三國遺事)』
-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 『세계의 포유동물생태도감』(동아출판사, 1981)
- 『한국동식물도감』7 포유동물편(원병휘, 문교부, 1967)
- 『속담사전』(이기문, 민중서관, 1966)
[네이버 지식백과] 당나귀 [ass, 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수, 당나라 > 당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Carrot (0) | 2020.11.30 |
---|---|
<펌> 당나귀, 그리고 당근과 채찍이야기 (0) | 2020.11.29 |
<펌> 당나귀 - 두산백과 (0) | 2020.11.29 |
<펌>안동도호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0) | 2020.10.27 |
<펌> 당태종 (r 626-649)- 위키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