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맥

<펌>예맥-위키백과

Chung Park 2019. 5. 23. 08:28

예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역사
韓國史
Gyeongbokgung Palace.png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
시대
단군조선
(?~기원전 194년)
위만조선
(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辰)
(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고구려
(기원전 37년~
668년)
백제
(기원전 18년~660년)
신라
(기원전 57년~ )
가야
(42~
562년)
 
남북국
시대
발해
(698~926년)
통일신라
(676년~ )
후삼국
시대
태봉
(901~918년)
후백제
(892~936년)
신라
( ~935년)
통일
왕조
시대
고려 고려
(918~1392년)
조선 조선
(1392~1897년)
대한제국 대한제국
(1897~1910년)
식민지
시대
일제 강점기 조선
(1910~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1919~1945년)
현대 군정기 한국 (1945~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8년~현재)
대한민국 대한민국
(1948년~현재)
 
v  d  e  h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예(濊)와 맥(貊)을 갈라 보는 견해에서는 예족은 요동과 요서에 걸쳐 있었고 맥족은 그 동쪽에 분포하고 있다가 고조선 말기에 서로 합쳐진 것이라고 보며, 예맥(濊貊)을 단일종족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예맥은 고조선의 한 구성부분을 이루던 종족으로서 고조선의 중심세력이었다고 본다.[1]

역사

예맥은 맥(貊·貉) 또는 예(濊·穢·薉)로도 불렸는데, 서쪽으로는 동호(東胡), 동쪽으로는 숙신(肅愼)과 접해 있었다.

예맥은 기원전 2~3세기 경부터 송화강압록강 유역과 동해안 일대(한반도의 평안도·함경도·강원도, 만주의 랴오닝 성과 지린 성)에 걸쳐 정착하며 활동한 대민족으로 추측된다. 부여(扶餘)·고구려·옥저·동예 등으로 부르는 여러 족속들은 모두 예맥에 포괄되며, 여기에 부여의 한 갈래로 한강 유역에 자리잡고 커진 백제 역시 예맥족의 나라이다.

삼국지》〈위서〉「동이전」에 따르면 예족은 호랑이에 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곽박의 《이아(爾雅)》, 《일본서기》 등을 근거로 '맥(貊)'이 곰을 의미했고 예족과 맥족의 관계가 단군신화에 반영되었다는 주장이 있다.[2] 이로부터 단군신화(檀君神話)에는 하늘과 태양을 숭배하는 천신족(天神族)이 곰을 토템(totem)으로 하는 맥족(貊族)과 호랑이를 토템으로 하는 예족(濊族)을 평정하고 복속시키는 사실을 설화로서 전해주는 신화(神話)로 남아있다고 여겨지고 있다.[1]

평가

대한민국 학계에서는 예맥이 예와 맥으로 구분되지만 서로 다른 계통이 아닌 하나의 계통(系統)이며, 다만 세부적으로 갈라진 갈래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예와 맥은 사회적·정치적으로 서로 구분이 되지만 종족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예맥 내부의 여러 집단들의 경쟁 속에서 우세한 집단이 주변 세력을 병합하면서 점차 세를 키워나갔는데, 단군신화에 전해지는 설화처럼 하늘과 태양을 숭배하는 천신족(天神族)이 곰을 토템(totem)으로 하는 맥족(貊族)과 호랑이를 토템으로 하는 예족(濊族)을 평정하고 복속시켜 고조선을 구성하는 종족집단을 이루었고, 이후 대표적인 예맥족인 부여로 그 세력이 계승되어 한반도 중남부에 거주했던 토착민과 더불어 한민족 형성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는 견해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3]

근대 역사학의 단초를 열었다고 평가되는 신채호는 부여사를 주목하였다. 신채호는 《독사신론》에서 기존의 기자-마한-신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부정하고, 부여주족론(扶餘主族論)을 제기하였다. 신채호는 민족사 가운데 가장 주동력이 되는 종족을 ‘주족(主族)’으로 간주했는데, 부여족을 주족으로, 주변의 지나족(支那族) · 말갈족 · 여진족 ·선비족 · 일본족 등은 객족(客族)으로 보았다. 이는 "4천년 민족사는 부여족 성쇠소장(盛衰消長)의 역사"라는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부여의 터전은 지금의 만주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했는데, 거기에서 동부여가 나오고, 그 동부여에서 고구려의 지배층이 된 주몽 집단(계루부 왕실)이 나왔다. 주몽 집단은 압록강 일대에 진출하여 졸본부여, 곧 고구려를 세우게 된다. 그러자 압록강 유역에서 먼저 살던 주민들 중 일부(비류·온조 집단)가 다시 남쪽으로 내려가 한강 유역에서 백제를 세웠다. 따라서, 고구려와 백제 모두 부여에서부터 분리된 집단이다.

가야가 있던 경상남도의 지역에서도 청동 솥을 비롯해 북방 유목민족이나 부여 계통의 유물들이 나오는데, 부여 사람들의 움직임이 한반도 남동부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가 된다. 게다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시조 대조영도 발해는 “부여, 옥저, 변한, 조선의 땅과 바다 북쪽 여러 나라의 땅을 완전히 장악했다”고 하여 부여를 자신들의 오래 된 조상의 나라로 보았다. 중국 송나라 때의 역사책 ‘무경총요’에서도 발해가 “부여에서 떨어져 나온 집단으로 본래 예맥의 땅이었다”고 하여 발해가 고구려와 백제처럼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보았다.[4]

논란

예·맥·예맥은 특히 고구려의 종족기원과 관련하여 많이 주목되었다. 이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어 현재로서는 정설이 없다. 고구려의 종족 기원에 대해서는 예족설, 맥족설, 예맥족설, 예맥족에서의 분화설, 원래는 예족인데 명칭상 맥족이라는 설, 고구려는 여러 종족이 결합된 나라이므로 지역에 따라 대수맥(大水貊)·소수맥(小水貊) 등 조금씩 다른 부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 등 상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모두 학설로 제시되고 있다.[1][5]

  • 조선의 정약용은 맥은 종족 명칭, 예는 지역 또는 강의 이름이라고 보아 예맥은 맥족의 아홉 갈래(九貊) 중의 하나를 지칭한 것이라고 하였다.
  • 중국의 능순성(凌純聲)도 예는 예수(濊水)지역에 거주했던 맥족이라고 하여 정약용과 동일하게 이해하였다.
  • 일본의 미시나장영(三品彰英)는 선진(先秦)문헌에 보이는 맥은 북방족의 범칭이며, 예는 진대(秦代)의 문헌에서 처음 보이는데 한대(漢代)에 범칭되는 예는 고구려·부여·동예를 포괄하는 민족명이라고 보았다. 예맥이라는 호칭은 현실적인 민족명과 고전적인 북방족에 대한 범칭인 맥을 결합시켜 편의적으로 쓰여진 것이라고 하면서, 고구려를 지칭한 맥은 민족명인 예족 내의 특정한 부족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곧 한대 이후의 맥은 예와 동일한 계통의 실체라는 것이다.
  • 윤무병(尹武炳)은 예맥이라는 명칭은 사마천의『사기(史記)』에서부터 쓰였는데, 예족과 맥족을 합쳐 부르는 말이 아니라 예맥은 맥족인 고구려를 지칭하는 것이었고, 한대 이후의 예와 맥(예맥)은 동일계통 내에서 각각 구분되었던 실체였다고 보았다.
  • 예일부(芮逸夫)는 한민족을 예맥과 한(韓)의 양 계통으로 구성되었다면서, 예맥족 중 예족은 한반도 중북부와 송화강·길림·눈강(嫩江)지역 등에 살았고, 맥족은 산동·요동·발해만 연안 등에 거주했으며, 거주지역에 따라 예와 맥이 구분되었다고 보았다.
  • 김정배(金貞培)도 예·맥·한은 동일계 족속으로서 그 분포지역의 차이에 따라 각각 구분되었다고 보았다.
  • 이옥(李玉)은 맥족과 예족은 원래 중국의 산서성(山西省)·하북성(河北省) 방면에 각각 거주하다가 점차 동으로 이동해왔는데, 기원전 3세기 무렵 장춘·농안 방면에 먼저 정착해 있던 예족은 이어 이동해온 맥족에게 밀려 남으로 왔다가 고조선에 쫓겨 요동군(遼東郡)에 예속하게 된 것이 예군(濊君) 남려(南閭)의 집단이었고, 이 예의 일부가 맥족에 흡수되어 서기전 2세기경 새로운 종족인 예맥이 성립한 것이 고구려족(高句麗族)이라고 주장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1. ↑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편집) 참조
  2.  《한국사》 1권, p.145 ~ 146
  3.  ““고조선 건국당시 한반도 북쪽에 韓族 살고 있었다””. 동아일보(네이버). 2005년 10월 10일.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4.  “동북평원 700년 지배한 ‘한민족의 뿌리’”. 경향신문(네이버). 2004년 1월 14일. 2013년 7월 1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5.  한국고중세사사전(2007년 가람기획 출판)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