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림왕
고구려 소수림왕 高句麗 小獸林王 |
|
---|---|
지위 | |
고구려의 제17대 태왕 | |
재위 | 371년~384년 |
대관식 | 소수림왕(小獸林王) |
전임자 | 고국원왕(故國原王) |
후임자 | 고국양왕(故國壤王) |
부왕 | 고국원왕(故國原王 |
이름 | |
휘 | 고구부(高丘夫) |
묘호 | 소수림왕(小獸林王) |
시호 |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 소수림(小獸林) 소수림왕(小獸林王) |
신상정보 | |
출생일 | ? |
사망일 | 384년 |
왕조 | 고구려(高句麗) |
가문 | 횡성(橫城) |
부친 | 고국원왕(故國原王 |
모친 | ? |
배우자 | ? |
종교 | 불교(佛敎) |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 재위 : 371년~384년)은 고구려 제17대 군주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맏아들로[1]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소수림왕은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도입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2]
생애
소수림왕은 371년 고국원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백제 근초고왕과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이 전사한 상황에서 수도를 동황성 에서 다시 국내성으로 옮긴뒤 왕위에 오른 소수림왕에게 국가의 체제 정비와 더불어, 넓은 영토와 백성들을 체계적으로 통치할 제도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372년)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이 사신(使臣)과 함께 승려 순도(順道)를 보내와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3] 고구려에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2년 후 374년에는 아도(阿道)가 들어와[4] 불도를 전함과 아울러 한국 사찰(寺刹)의 시초인 성문사(省門寺: 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세웠다. 소수림왕은 375년 초문사(肖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는 등[5]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펼쳤고, 또한 불교를 호국사상으로 삼았다.
귀족자제들의 유학 교육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설립하여[6] 유교적 정치이념에 충실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제도에 적합한 관리를 양성하였으며,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7] 국가통치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을 갖추었다. 소수림왕의 이와같은 체제 정비 사업을 기반으로 고구려는 광개토왕 시대에 들어 전성기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대외 관계에 있어서는, 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을 잃은 소수림왕은 계속 백제와 충돌하였다.
375년에는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빼앗았으며,[8]
376년 음력 11월에는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백제의 북변(北邊)을 역습하였다.[9]
377년에는 백제 근구수왕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으로 재차 침공해 왔지만 소수림왕이 이를 막아내었고,
11월에 이를 보복하기 위해 남으로 백제를 정벌하였다.[10] (→여·제 전쟁)
378년 극심한 가뭄이 든 상태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11]
소수림왕은 384년에 후사가 없이 서거하여 소수림(小獸林)에 장사지내졌으며,[12] 왕의 아우 이련(伊連)이 제위에 올랐다.[13] 그가 고구려 18대 고국양왕이다.
가계
기년, 연호
소수림왕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서력 | 371년 | 372년 | 373년 | 374년 | 375년 | 376년 | 377년 | 378년 | 379년 | 380년 | 381년 | 382년 | 383년 | 384년 |
단기 | 2704년 | 2705년 | 2706년 | 2707년 | 2708년 | 2709년 | 2710년 | 2711년 | 2712년 | 2713년 | 2714년 | 2715년 | 2716년 | 2717년 |
간지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소수림왕이 등장한 작품
참고
각주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諱丘夫 故國原王之子也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小獸林王 一云小解朱留王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二年 夏六月 秦王苻堅遣使及浮屠順道 送佛像經文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四年 僧阿道來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五年 春二月...始創肖門寺 以置順道 又創伊弗蘭寺 以置阿道 此海東佛法之始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二年...立大學敎育子弟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三年 始頒律令 (3년에 율령(律令)을 처음으로 반포하였다. )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五年...秋七月 攻百濟水谷城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六年 冬十一月 侵百濟北鄙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七年 冬十月...百濟將兵三萬 來侵平壤城 十一月 南伐百濟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八年 旱 民饑相食 秋九月 契丹犯北邊 陷八部落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十四年 冬十一月 王薨 葬於小獸林
- ↑ 김부식 (1145). 〈본기 권18 고국양왕〉. 《삼국사기》.
小獸林王在位十四年薨 無嗣 弟伊連卽位
외부 링크
'고구려 상(BC37-AD 391) > 미천왕 - 고국양왕 (300-39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고국양왕 (384-391)-나무위키 (0) | 2020.09.05 |
---|---|
<펌> 소수림왕 (371-384) - 나무위키 (0) | 2020.09.05 |
<펌>고국양왕 (384-391 재위) - 위키백과 (0) | 2019.06.25 |
<펌>고국원왕 (331-371 재위) - 위키백과 (0) | 2019.06.25 |
<펌> 미천왕 (300-331 재위) - 위키백과 (0) | 2019.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