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아달라 이사금 (재위 : AD 154-184) - 나무위키

2020. 8. 9. 06:03신라 상(BC69-356)

분류

신라 제8대 국왕
阿達羅 尼師今
아달라 이사금

출생
(음력)

70년(?)

사망
(음력)

184년 3월

능묘

배동 삼릉

재위
(음력)

154년 ~ 184년 3월 (30년)

성씨

박(朴)

아달라(阿達羅)

부모

일성 이사금, 모후 왕후 박씨

왕후

내례부인(內禮夫人) 박씨

1. 개요2. 재위3. 그 외4. 아달라 이사금 대의 인물5. 삼국사기 기록

1. 개요

신라의 제8대 왕. 칭호는 이사금. 일성 이사금의 아들이며, 왕비는 지마 이사금의 딸 내례부인(內禮夫人) 박씨다. 8촌 사이의 족내 근친혼인데, 이 시기 슬슬 석탈해의 후손 석씨 일족의 힘이 강해지자 박씨 왕족의 힘을 규합하기 위해[1] 세력 연합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전기 신라의 마지막 박씨 왕이라는 안습한 역사가 있다. 그의 사망 이후 왕위는 먼저 석씨, 그리고 나중엔 김씨에게 이어져 훗날 아달라 이사금의 머나먼 자손이자 김씨 헌강왕의 사위인 박경휘가 제 53대 신덕왕으로서 다시 왕위에 오를 때까지 박씨는 728년 동안 왕위에 오르지 못하게 된다. 말이 728년이지 이 기간은 이성계조선 건국 ~ 2020년 현재 사이의 간극보다도 더 길다. 그래도 박씨는 그 동안 석씨처럼 완전 폭망하지는 않고 신라의 주요 귀족 가문 지위는 수백 년 동안 계속 유지한다. 왕비도 많이 배출하는 편이고... 당장 신덕왕헌강왕의 사위이다.

비록 박씨 가문이 아달라 이후에 왕위를 잠시 잃어버리긴 했지만, 아달라 이사금 치세에 신라는 이런 저런 전투를 겪으면서 영역을 지금의 경상도 북쪽 끝 죽령[2]문경새재가 있는 소백산맥까지 확장하는 등 준수한 업적을 남겼다. 소백산맥은 고구려백제의 공격을 방어하기 쉬운 천혜의 지형이었기 때문에, 일찍이 이 지역을 선점하고 굳혀서 진흥왕 이전까지 가야와 대결하며 내실을 굳히는 것이 가능했다.

2. 재위

신라와 백제의 관계는 전 전왕 지마 이사금 때는 상당히 좋았고 전왕 일성 이사금 때는 별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았지만 아달라 시기에는 백제와 다시 사이가 나빠졌는데, 발단은 165년 10월에 아찬 길선(吉宣)이란 자가 반란을 일으키려고 계획하다가 그 전에 들켜버리자 백제로 도망가버린 사건이다. 신라의 범죄자니까 돌려보내라고 백제한테 송환 요구를 했다. 그런데, 백제가 정치범이라는 이유로 길선 송환 요구를 거부했다. 아달라 이사금은 화가 나 즉시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갔는데 백제는 우주방어로 일관했고 일단 군량이 떨어져 돌아갔다. 167년 7월에는 백제가 신라 서쪽 2개 성을 공격하자 8월에 반격으로 무려 2만 8천명(!)의 대병을 이끈 것으로[3] 당시 백제로서도 상당히 위협적인 군세였기에 결국 잡아간 신라 백성들을 돌려주면서 화친했다 그러나 몇 년 뒤 170년 백제는 다시 신라를 침략했는데, 소소한(?) 노략질 수준이었고 마침 백제가 쳐들어오기 직전에 서라벌지진 + 서리 + 우박 3단 콤보가 와서 어수선했기 때문에 그런지 이번엔 변변한 반격도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156년 계립령[4]을 열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신라의 영역은 낙동강 서쪽 일부를 제외하면 지금의 경상북도 대부분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173년에는 일본 야마타이국의 여왕 히미코가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다.[5]

또한 천재지변 기록도 선대 왕들 때처럼 여전하다. 아니, 더 심해졌다(...). 일식, 기근, 흙비 등등.

그는 키가 일곱 자이고 콧마루가 두툼하고 커서 범상치 않은 형상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도 아달라 이사금 때의 일이다.

삼국사기에는 174년부터 그가 사망하는 184년까지의 기록이 텅 비어있는데, 이후 탈해 이사금의 손자, 즉 박씨가 아닌 석씨인 벌휴가 벌휴 이사금이 되는 것, 이후 박씨가 왕권을 승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생각하면 당시 신라 내부에서 상당한 권력 투쟁 및 국내 혼란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벌휴 이사금의 차남 이매의 아들 내해 이사금의 어머니가 '내례부인'으로 적혀 있는데, 이 내례부인이 아달라 이사금의 왕비 내례부인과 동일인물이라면 막장이 된다(...). 나해의 어머니로 나오는 내례부인에 대해 별도의 설명이 단 하나도 없고, 벌휴 이사금의 맏손자인 조분 이사금이 아닌 차남의 아들 내해 이사금이 먼저 즉위하는 정황을 봐서는 동일인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내례부인은 지마 이사금의 딸로 아달라 이사금의 조카가 된다. 이전과 이후의 사례를 비추어보면 지마 이사금의 사위라는 것이 아달라 이사금이 왕위에 오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래도 내례부인과 아달라 이사금 사이에 금이 갔고 이후 내례부인이 석씨 일문과 손 잡은 것이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벌휴 사후 조분 이사금이 나이가 어려 내해 이사금이 즉위했는데, 대략 15~20세였을 거라 추정이 가능하고 그렇다면 내해 이사금이 태어난 것은 아달라 이사금 말기가 된다. 내례부인이 간통을 해 태어난 게 내해라면 석이매는 큰 벌을 받았을 것이고, 그후 왕비와 벌휴 이사금은 힘을 합쳐 아달라왕을 제거, 그후 즉위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또한 벌휴보다 이매가 먼저 사망한 것도 이를 방증할 수 있다. 물론 삼국사기아달라 이사금 사망 기사 자체가 오기일 가능성도 있다.

삼국사기 아달라조에는 그에게 아들이 없었다는데, 수백 년 뒤에 다시 등장한 박씨 왕 신덕왕은 아달라 이사금의 자손이라고 써 있다. 삼국사기라는 같은 책 안에서도 초반과 후반의 말이 다르다. 이렇게 된 이유를 살펴보자면 먼저 적자가 없고 서자만 있었던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가 있다. 과거에 서자는 일반적인 '아들'로 안 쳐주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신라는 적녀는 물론 사위보다도 서자가 계승권이 더 낮은 경우가 꽤 보이기 때문에 더 그렇다. 혹은 당시에 무언가 문제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들이 있었다면 당연히 아들이, 딸이라도 있었으면 사위가 왕위를 계승했을 텐데, 이매가 내례부인을 취했다면 자식이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는 것은 신덕왕은 신라 하대 어느 귀족이었을 뿐인데 정통성을 위해 자신이 아달라이사금의 후손이라 주장한 셈이다. 사실 신덕왕은 효공왕의 매제로서 왕위를 승계했기에, 자신이 왕위 계승 1순위면서도 정통성이 없기도 하다. 이노우에 히데오(井上秀雄)에 의하면 신덕왕이 원래 김씨인데 이후 즉위하는 고려 왕실이 정통성을 깎아내리기 위해 박씨로 바꿨다고 한다.

죽은 뒤 경주 시가지 남쪽의 배동 삼릉에 묻혔는데, 원래 아달라 이사금 한 사람만 묻혀있던 무덤이었지만 칠백 년 뒤 부활한 박씨 왕 후손들이 죽은 뒤 아달라의 바로 옆에 묻혔다. 그래서 삼릉(三陵)이 됐고, 나머지 한 명 경애왕릉도 바로 근처에 있다.

3. 그 외

아달라 이사금 때 등장한 구도(仇道)란 인물은 신라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구도는 김알지의 5대손이며 미추 이사금의 아버지다. 구도는 파진찬이 되어서, 김씨로는 처음으로 미추 이사금이 왕위에 오르는데 발판을 다진 인물이다.

....

4. 아달라 이사금 대의 인물

  • 연오랑
  • 길선
  • 흥선
  • 김구도
  • 계원
  • 구수해

5.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아달라 이사금 본기


一年春二月 아달라 이사금이 즉위하다 (AD 154)
一年春三月 계원을 이찬으로 삼다
二年春一月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크게 사면하다 (155)
三年夏四月 서리가 내리고 계립령의 길을 열다 (156)
四年春二月 감물과 마산의 두 현을 설치하다 (157)
四年春三月 장령진에 순행하다 (157)
五年春三月 죽령을 열고, 왜인이 예방하다 (158)
七年夏四月 알천의 물이 넘치다 (160)
八年秋八月 누리가 곡식을 해치다 (161)
九年 사도성에 순행하다 (162)
十一年春二月 용이 서울에 나타나다 (AD 164)
十二年冬十月 아찬 길선이 반란을 도모하다 백제로 망명하다 (AD 165)
十三年春一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AD 166)
十四年秋七月 백제가 두 성을 함락시키다 (AD 167)
十四年秋八月 군대를 보내니 백제가 화친을 청하다 (AD 167)
十五年夏四月 흥선을 이찬으로 삼다 (AD 168)
十七年春二月 시조묘를 중수하다 (AD 170)
十七年秋七月 지진이 일어나고 서리와 우박이 내리다 (170)
十七年冬十月 백제가 변경을 노략질하다 (AD 170)
十八年 봄에 백성들이 굶주리다 (AD 171)
十九年春一月 구도를 파진찬으로 삼고 구수혜를 일길찬으로 삼다 (AD 172)
十九年春二月 시조묘에 병고가 생기고 전염병이 돌다 (AD 172)
二十年夏五月 왜의 여왕 비미호가 사신을 보내다 (AD 173)
二十一年春一月 흙비가 내리다 (AD 174)
二十一年春二月 우물이 마르다 (AD 174)

 

AD 175-183 : 9년 공백


三十一年春三月 왕이 죽다 (AD 184)

대체적으로 백제와의 전쟁과 각종 자연재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역을 순행하는 모습이 종종 나오고 있다. 그리고 재위 22년부터 죽을 때까지의 10년 동안의 기사가 없다. 신라 상대의 국왕들의 재위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길다는 점을 감안하면 마지막 3이 2에서 오기된 것으로 보고 21년차에 사망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달라 이사금부터 삼국사기 제2권이 시작된다.

[1] 다른 가문과 혼인하면 부인 가문으로 힘이 분산되므로. 삼국시대 ~ 고려 초기는 이렇게 권력 분산을 막기 위한 근친혼이 자주 있었다.[2] 이때 죽령을 설명하면서 이곳에 길을 낸 사람 이름을 죽죽이라고 소개하는데, 대야성 전투에서 전사한 죽죽과는 동명이인이다.[3]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앞서 파견한 흥선의 2만 군세와 아달라 자신이 직접 이끈 기병 8천이었다고 하는데 출토되는 유물로 판단하는 고고학으로 파악하는 초기 신라의 국력에 비해 지나치게 대군이라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신빙성을 깎아먹는 부분 중 하나이다.[4] 문경새재 동쪽 길, 지금의 하늘재로 추정된다.[5] 삼국사기의 이 기록과 70여년의 간극이 있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위나라 조예에게 조공한 히미코의 기록이 둘 다 연대가 정확하다면, 신라에 사신을 보냈을 때 히미코는 이제 막 즉위한 어린 여왕이었고 중국 삼국지 시대에는 늙은 할머니 여왕이었을 듯 하다. 참고로 삼국사기의 초기 기록은 사건 자체는 사실이더라도 일어난 연대는 부정확한 것이 많다고 보는 편인데, 비교적 연대가 정확한 당시 중국 기록과 교차검증이 되는 부분이라 기년을 파악하는데 나름대로 중요한 기준이다.[6] 물론 이 분도 성이 박씨. 풀네임은 박지마. 공교롭게도 이 둘은 족보상으로 사촌지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