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나라 221-206BC

<펌> 진 (秦)(BC 900-BC 221)-위키

Chung Park 2019. 2. 3. 14:19

진 (영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주(周) 제후국
진(秦)
국성 영성 조씨(嬴姓趙氏)
작위 백작(伯爵) 
기원전 325년 칭왕(稱王) 
기원전 221년 칭제(稱帝)
수도 진읍(秦邑) 
견읍(汧邑) 
평양(平陽) 
옹(雍) 
역양(櫟陽) 
함양(咸陽)
분봉자 효왕(孝王)
평왕(平王)
시조 비자(非子)
존속기간 기원전 770년 ~ 기원전 207년
멸망원인 진왕 자영(秦王子嬰)이 유방(劉邦)에게 항복
출전 사기(史記)》 권5 진본기, 권6 진시황본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기원전 300년의 진나라

 
기원전 210년 시황제 통일 후의 진의 영토.

진(秦, 기원전 900년경 ~ 기원전 221년)은 중국의 왕조이다. 동주(춘추/전국)시대 제후국이었다.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최초로 통일하여 제국 진나라를 이루었지만, 기원전 206년에 망했다. 왕실의 성은 영(嬴), 통일 시의 수도는 함양이었다.

목차

역사

주나라 시대

기원전 900년즈음에 의 효왕(孝王)을 시중들고 있던 비자(非子)가 말의 생산을 실시해, 공적을 올렸으므로의 영(嬴)이라는 성을 받아, 대부가 되어, 진 땅에 영지를 받았다고 한다.

 

진이 최초로 흥한 장소는 현재의 간쑤 성 리 현 부근이며, 현재 이 땅에서 진의 선조의 능묘라고 추정되는 것이 발견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원전 770년에 주나라가 견융에 쫓겨 도성을 동쪽으로 천도하는 과정에서 양공은 주의 평왕을 호위 한 공으로 주의 구지인 기(岐)에 봉해지게 되었고, 이후 진은 제후의 반열에 오른다.

 

춘추, 전국시대

 

진은 춘추시대에 들어가는 동시에 제후가 되었지만, 풍속적으로는 중원 제국(諸國)과 크게 달라 야만스러운 나라라고 업신여겨지고 있었다. 대대의 진후는 주로 서융과 항쟁하면서 영토를 확장했고, 법률의 정비 등을 실시하여 나라의 기틀을 만들어 갔다. 기원전 677년에는 수도를 옹성(雍城, 현재의 산시 성 바오지 시 펑샹 현)에 두었다.

 

9대 목공(穆公)은 백리해 등 타국 출신자를 적극적으로 등용, 서융을 크게 토벌해 서융의 패자가 되었고, 주변의 소국을 합병하고 영토를 넓혀 이웃 (晋)에 필적할 정도가 되었다. 때마침 진(晋)이 여희의 난을 겪으면서 혜공을 옹립하지만, 혜공은 배신을 일삼았다. 목공은 혜공의 군대를 한원에서 격파했다. 또한 혜공 사후에는 혜공의 형 중이를 진공(晋公)으로 즉위시켰다. 중이가 진의 명군 문공(文公)이 되었고, 그의 치세에는 진(晋)은 다시 강국의 풍모를 되찾는다. 그러나 문공 사후, 진(秦)은 다시 진(晋)을 격파하고, 영토를 강탈했다. 이러한 실적에 근거, 목공은 춘추 오패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러나 목공이 죽었을 때, 177명의 가신들은 순장의 풍습을 따라 함께 죽었고, 명군과 인재를 한 번에 잃은 진나라는 기세를 잃어 영토는 축소되었다. 나라를 유지할만한 힘은 아직 유지하고 있었지만, 춘추시대 중기 이후 주역은 북쪽의 진(晋)과 남쪽의 (楚)였고, 진은 이에 비하여 한 발 밀려나 있던 상황이었다.

 

전국시대에 진은 전국칠웅의 하나로 불린다. 이웃나라 (晋)은 내부에서의 권력 싸움의 끝에 (韓)·(魏)·(趙)의 삼국으로 갈라졌다. 이렇게 갈라진 삼국을 삼진(三晋)이라 부른다. 삼진 중 위나라가 전국 초기, 명군 문후에 의해 강하게 성장하였고, 진은 위에게 압박을 받고 영토를 빼앗긴다.

 

이 상황에 분개한 25대 군주 효공(孝公)은 넓게 인재를 구해 대세를 만회할 수 있는 방책을 찾았다. 이에 응한 자가 그 유명한 상앙(商鞅)이다. 상앙은 행정 제도의 개혁·십오제(什伍制)의 채용 등을 실시해, 진을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로 다시 태어나게 했다. 이러한 상앙의 변법 운동에 의해 진은 철저한 법치주의 국가로 변모하였고, 국내의 생산력, 군사력을 높여 서서히 다른 육국을 압도하며 갔다. 효공은 기원전 350년, 도성을 함양으로 옮기고 본격적인 천하 경영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그 후 효공의 아들이 강해진 국력을 기반으로 기원전 324년에 왕을 칭하니, 이가 혜문왕(惠文王)이다. 기원전 316년에 혜문왕은 촉을 점령해, 이 땅의 개발을 실시하여 한층 더 생산력을 올려 장강의 상류를 차지하게 되었고, 장강의 흐름을 따라 진격할 수 있게 되어 초를 압박할 수 있었고, 초와의 싸움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섰다. 혜문왕은 모략가인 장의(張儀)를 등용하고, 초를 질질 끌어 돌려 전쟁으로 격파해, 초의 회왕을 사로잡는데 성공한다. 혜문왕은 위와 한의 왕들을 각각 마부와 배승으로 삼을 정도로 굴복시켰다. 하지만, 혜문왕의 아들 무왕의 시기에 그가 장의를 내쳐버리자 장의는 위에 망명, 이로 인한 한과의 격전 끝에 많은 군사를 잃었고, 혜문왕 자신은 갑자기 사고사하여, 후계자 싸움이 일어나 전력이 후퇴해 버린다.

 

이 시기 동쪽에서는 제나라가 신장하고 있어, 은나라의 후예인 송을 병합하는 등 주변 제국을 압박하고 있었다. 기원전 288년당시에는 제를 동제, 진을 서제라고 칭했다. 제나라가 곧바로 제호를 취소했으므로, 진도 취소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이 시기는 서쪽의 진나라, 동쪽의 제나라의 2강국 시대를 만들고 있었다.그러나 제나라는 연나라의 악의가 지휘하는 5개국 연합군에 의해 수도 임치(臨淄)가 함락. 망국 직전까지 몰리는 위기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 진나라는 강국의 위치를 굳건히 할 수 있었다.

 

혜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이복동생인 소양왕(昭襄王)의 시대에 재상 위염(魏冄)과 백기 장군의 활약으로 진은 몇 번이나 승리를 거둔다. 그러나 소양왕을 즉위시킨 재상 위염의 권력이 너무 커진 것을 우려한 소양왕은 재상 위염을 숙청하고, 대신 범저(范雎)를 등용한다. 범저가 진언한 것은 유명한 원교근공책이다. "가까이에 있는 한·위를 거느리고, 먼 제나라와의 싸움을 거듭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는 승리해도 얻을 수 있는 것은 먼 토지가 되어, 지키는 것이 어려워져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먼 제나라나 연나라와 동맹해 가까이의 한·위·조를 공격하면 가까이의 토지가 손에 들어 오게 되었고, 이는 곧바로 진의 영토로 집어 넣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것이 원교근공책이다. 이 진언에 감동한 소양왕은 이 진언을 채택하고, 범저를 재상으로 삼았다. 기원전 260년에는 백기가 조나라로 진격, 장평 전투를 통하여 조군을 격파, 조의 포로 40만 명을 생매장하여 조나라의 예기를 꺾어버린다. 기원전 255년에 주나라를 멸해 그 영지를 접수하여 진의 위세는 한층 더 높아졌다.

 

진나라 통일 이후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 제31대 왕인 영정이 모든 나라를 멸망하고 통일하여 황제(皇帝)의 위에 오르면서 중국 최초로 제국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이 나라는 오래 가지 못했다.

 

영진(嬴秦)의 역대 군주

대수 시호 이름 재위 기간 세계 관계
1 비자(非子)   기원전 900년경 ~ 기원전 858년 오래(惡來)의 5세손.
2 진후(秦侯)   기원전 857년 ~ 기원전 848년 비자의 아들.
3 공백(公伯)   기원전 847년 ~ 기원전 845년 진후의 아들.
4 진중(秦仲)   기원전 844년 ~ 기원전 822년 공백의 아들.
5 장공(莊公) 기(其) 기원전 821년 ~ 기원전 778년 진중의 장남.
6 양공(襄公)   기원전 777년 ~ 기원전 766년 장공의 차남.
7 문공(文公)   기원전 765년 ~ 기원전 716년 양공의 아들.
8 정공(竫公)     문공의 아들.
9 헌공(憲公)   기원전 716년 ~ 기원전 704년  
10 출자(出子) 만(曼) 기원전 703년 ~ 기원전 698년  
11 무공(武公)   기원전 697년 ~ 기원전 678년  
12 덕공(德公)   기원전 677년 ~ 기원전 676년  
13 선공(宣公)   기원전 675년 ~ 기원전 664년  
14 성공(成公)   기원전 663년 ~ 기원전 660년  
15 목공(穆公) 임호(任好) 기원전 659년 ~ 기원전 621년  
16 강공(康公) 앵(罃) 기원전 620년 ~ 기원전 609년  
17 공공(共公) 화(和)
가(貑)
도(稻)
기원전 608년 ~ 기원전 604년  
18 환공(桓公) 영(榮) 기원전 603년 ~ 기원전 577년  
19 경공(景公) 후백거(后伯車)
석(石)
기원전 576년 ~ 기원전 537년  
20 애공(哀公)   기원전 536년 ~ 기원전 501년  
추존 이공(夷公)   -  
21 혜공(惠公)   기원전 500년 ~ 기원전 491년  
22 도공(悼公)   기원전 490년 ~ 기원전 477년  
23 여공공(厲共公)   기원전 477년 ~ 기원전 443년  
24 조공(躁公)   기원전 443년 ~ 기원전 429년  
25 회공(懷公)   기원전 428년 ~ 기원전 425년  
26 영공(靈公)   기원전 424년 ~ 기원전 415년  
27 간공(簡公) 도자(悼子) 기원전 414년 ~ 기원전 400년  
28 혜공(惠公)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87년  
29 출공(出公)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5년  
30 헌공(獻公) 사습(師隰)
연(連)
기원전 385년 ~ 기원전 362년  
31 효공(孝公) 거량(渠梁) 기원전 361년 ~ 기원전 338년  
32 혜문왕(惠文王) 사(駟) 기원전 337년 ~ 기원전 311년 기원전 324년, 다시 개원 후 칭왕
33 도무왕(悼武王) 탕(蕩) 기원전 311년 ~ 기원전 307년  
34 소양왕(昭襄王) 직(稷) 기원전 306년 ~ 기원전 251년  
35 효문왕(孝文王) 주(柱) 기원전 250년 ~ 기원전 250년  
36 장양왕(莊襄王) 자초(子楚) 기원전 249년 ~ 기원전 247년  
37 시황제(始皇帝) (政) 기원전 246년 ~ 기원전 221년 기원전 221년, 전국 통일 후 칭제

 

'진나라 221-206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진(秦)(BC 9c - BC 206)(통일왕조)(BC221-BC206)-나무위키  (0) 2020.09.18
<펌> 진(秦)(영성) -위키  (0) 2020.09.18
<펌> 진시황-나무위키  (0) 2019.02.03
<펌> 이사 (진나라)  (0) 2019.02.03
<펌> 여불위  (0) 2019.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