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르친스크조약이 언급하는 아무르강은 어디일까? (2)

2023. 6. 9. 22:39한민족 역사/기타

지난 번 글에서 네르친스크 조약문의 내용을 살펴 보며, 그 위치를 가늠해 보았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강이름과 지명 등으로 그 정확한 위치가 애매함을 알았다. 또한 우디강이 도네츠크강의 지류이고 그밖에 지형 조건등을 고려함으로써, 아무르강은 극동의 아무르강이 아니고 중앙아시아의 아무다리야강일 수 있다는 힌트를 얻었다. 본 글에서는 당시 루스차르국의 상황을 알아 보며, 루스차르국이 과연 극동까지 진출한 것인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1. 1682-1689 루스차르국 상황

 

네르친스크조약은 1689년 체결되었다 한다. 그래서 그 전에 루스차르국이 어떤 상황인 알아볼 필요가 있다. 특히 네르친스크조약은 regent(섭정인)으로 있던 Sophia Alekseyevna가 있던 시기 1682-1689 기간 말인 1689년에 체결되었다. 이 시기는 Peter the Great, Ivan V와 더불어 Sophia까지 3명이 통치하던 시기이다. 이렇게 상황이 복잡하게 된 것은 1682년에 일어난 Streltsy rebels 때문이다. 이에 관한 아래 자료를 참조해 보자.

 

1682년 5월 모스크바 Streltsy그룹이 반란을 일으켰다. Streltsy그룹은 루스차르국의  정규군이 아니라 특수부대이다. 이는 선왕인 Feodor III가 죽은 후 그의 두 부인 세력간의 권력다툼의 양상으로 판단된다. (아래 자료 참조)

 

초기에는 둘째부인의 세력이 Peter 를 Tsar로 선언하는데 성공하나, Streltsy rebels로 인해, 첫째부인의 아들인 Ivan V가 first Tsar로 선언되고, Peter는 second Tsar가 되며, Ivan V의 누이인 Sophia 공주가 두 Tsar의 regent(섭정인)이 된다. (아래 자료 참조).

 

이어서 Streltsy그룹의 리더가 직접 regent 가 되고자 Sophia공주에 대항하여 Sophia공주는 잠시 피신했으나, Sophia공주는 결국 이들을 진압하는데 성공한다. (아래 자료 참조)

 

이런 와중에 모스크바 크렘린은 피바다가 되고 많은 둘째부인의 세력들이 살해되었으며, Streltsy 그룹의 봉기에 가난한 백성들도 합류하였다고 기술되며, 당시 혼탁한 사회상을 말하고 있다. (아래 자료 참조)

 

<Moscow uprising of 1682>

"Moscow uprising of 1682, also known as the Streltsy uprising of 1682 (Russian: Стрелецкий бунт), was an uprising of the Moscow Streltsy regiments that resulted in supreme power devolving on Sophia Alekseyevna, the daughter of the late Tsar Aleksey Mikhailovich and of his first wife Maria Miloslavskaya. Behind the uprising lurked the rivalry between the Miloslavsky and Naryshkin relatives of the two wives of the late Tsar Aleksey, who died in 1676, for dominant influence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Tsardom of Russia.

 

Course of events

 

The death of Tsar Feodor III of Russia on 27 April (7 May N.S.) 1682 triggered the uprising. The Naryshkin brothers of Tsarina Natalia Naryshkina availed themselves of the interregnum and persuaded the Patriarch to proclaim her ten-year-old son Peter as the new Tsar of Russia. The Miloslavsky party, which comprised the relatives of the late Tsarina Maria Miloslavskaya, spread rumours that the Naryshkins had strangled Maria's son, Peter's elder half-brother Ivan, in the Moscow Kremlin.

The Miloslavsky conspirators stirred up riots in the streets of the capital. They exploited the discontent of the Moscow regiments against their commanding officers. On 11 May 1682 the mob of the Streltsy took over the Kremlin and lynched the leading boyars and military commanders, whom they suspected of corruption—Artamon Matveev, Mikhail Dolgorukov, and Grigory Romodanovsky.

 

A few days later, on 17 May, the rebels again stormed the royal residence and killed a number of Naryshkin supporters, including two of the Naryshkin brothers, Kirill and Ivan, in the presence of the young tsar Peter, their nephew. Mobs of poor people joined with the Streltsy, and the streets of Moscow saw several days of looting. The May uprising led to the proclamation of Peter's older half-brother Ivan V as the "first" tsar and the relegation of the young Peter I to second position, with Sophia, Ivan's full sister and Peter's half sister, acting as a regent for them both.

 

In the fall of 1682 Prince Ivan Andreyevich Khovansky (Tararui)—Sophia's close associate and one of the leaders of the rebellious Streltsy—turned against her. Supported by the Old Believers, Khovansky—who supposedly wanted to install himself as the new regent—demanded the reversal of Nikon's reforms. Sophia and her court had to flee the Moscow Kremlin and sought refuge in the Troitse-Sergiyeva Lavra. Eventually, Sophia managed to suppress the so-called Khovanshchina (Khovansky affair) with the help of Fyodor Shaklovity, who succeeded Khovansky in charge of the Muscovite army."

(source : Moscow uprising of 1682,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러시아)

 

1682년 선왕인 Feodor III가 죽은 후, Peter는 10살이었고, Ivan은 16살이었다. Ivan이 senior Tsar가 되고, Peter는 co-Tsar였으며, 실제 권력은 Ivan의 친누나이며 Peter의 이복누나인 Sophia Alekseyevna가 이후 7년동안 행사하고 있었다. (아래 자료 참조) 

 

"On 25 June 1682, less than two months after the death of Feodor III, Ivan and Peter were crowned in the Cathedral of the Dormition as co-Tsars. A special throne with two seats was commissioned for the occasion (now on display in the Kremlin Armoury).[4] While Ivan was 16 years old at this time, his co-ruler Peter I was only 10. Ivan was considered the "senior tsar", but actual power was wielded by Sophia Alekseyevna, Ivan's full sister and Peter's half-sister, for the next seven years."

(source : Ivan V of Russia,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 (lainfos), 카테고리, 러시아)

 

2. Sophia Alekseyevna의 등장

 

두 Tsars의 섭정인(regent)인 Sophia공주는 이후 7년간 (1682-1689) Vasily Golitsyn왕자와 함께 루스차르국을 이끌어 나갔다. 그녀와 특별한 관계에 있던 Vasily Golitsyn은 외교정책을 주도하였으며, 특히 폴란드와 전쟁, 오스만제국 소속의 크리미아와의 전쟁이 두가지 중요한 외교정책으로 손꼽힌다. (아래 자료 참조)

 

반면 네르친스크조약은 언급되기는 하나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 과연 극동지방까지 그 상황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는지 회의가 간다. 반면 폴란드전쟁에서 이겨 키예프를 확보하고, 오스만제국과의 크리미아전쟁에서는 패배하였다. 즉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폴란드, 오스만제국과의 전쟁에 여념이 없었다는 상황이다. 따라서 네르친스크조약도 이 근처 지역에 대한 조약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게 한다. 아무다리야강은 바로 여기서 동쪽 가까이 있다. 

 

"Sophia Alekseyevna (Russian: Со́фья Алексе́евна, IPA: [ˈsofʲjə ɐlʲɪˈksʲejɪvnə]; 27 September [O.S. 17 September] 1657 – 14 July [O.S. 3 July] 1704[1]) was a Russian princess who ruled as regent of Russia from 1682 to 1689. She allied herself with a singularly capable courtier and politician, Prince Vasily Golitsyn, to install herself during the minority of her brother Ivan V and half-brother Peter I. She carried out her regency with a firm hand. The activity of this "bogatyr-tsarevna", as Sergey Solovyov called her, was all the more extraordinary, as upper-class Muscovite women, confined to the upper-floor terem and veiled and guarded in public, invariably were kept aloof from any open involvement in politics.[2]

............

A few days later, on 17 May, the rebels again stormed the royal residence and killed a number of Naryshkin supporters, including two of the Naryshkin brothers, Kirill and Ivan, in the presence of the young tsar Peter, their nephew. Mobs of poor people joined with the Streltsy, and the streets of Moscow saw several days of looting. The May uprising led to the proclamation of Peter's older half-brother Ivan V as the "first" tsar and the relegation of the young Peter I to second position, with Sophia, Ivan's full sister and Peter's half sister, acting as a regent for them both........

 

When the Old Believers joined the rebels in the fall of 1682 and demanded the reversal of Nikon's reforms, Sophia lost control of the unsteady Streltsy to her once ally, Prince Ivan Khovansky. After aiding Sophia in May, Khovansky used his influence with the troops to force her court to flee the Moscow Kremlin and seek refuge in the Troitse-Sergiyeva Lavra. The streltsy rebels, who instigated the rebellion, hoped to depose Sophia and to make Prince Ivan Khovansky a new regent, to satisfy their increasing desire for concessions. Calling together the gentry militia, Sophia suppressed the so-called Khovanshchina with the help of Fyodor Shaklovityi, who succeeded Khovansky in charge of the Muscovite army. Silencing the dissatisfied parties until Peter reached his age of majority, Sophia executed Khovansky and the other figureheads of the attempted rebellion.[5]

During the seven years of her regency, Sophia made a few concessions to posads and loosened detention policies towards runaway peasants, which caused dissatisfaction among the nobles. She also made an effort to further the organization of the military. Intrigued by baroque style architecture, Sophia held responsibility for the promotion of the foreign district, and the creation of the Slavonic-Greek-Latin Academy,[citation needed] the first Russian higher learning institution.

The most important highlights of her foreign policy, as engineered by Golitsyn, were the Eternal Peace Treaty of 1686 with Poland, the 1689 Treaty of Nerchinsk with China, and the Crimean campaigns against Turkey.

Although spearheaded by Prince Golitsyn, Sophia's reign oversaw two of the earliest diplomatic treaties and underwent inner growth and progress. Despite her other achievements, Sophia's influence and effect on a young Peter remains as the most historically significant portion of her reign, as the rebellion of 1682 bred a distrust in nobility that came to define his leadership.

​(source : Sophia Alekseyevna,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러시아)

 

3. Prince Vasily Vasilyevich Golitsyn의 외교정책

 

이 당시 실질적인 외교는 Vasily Golitsyn왕자가 실행하고 있었으므로 Golitsyn왕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 보자. 그는 Aleksey Mikhailovich 차르 시기 (1645-1676)에 궁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귀족의 계급인 Boyar에 올랐다. 1676년에 그는 크리미언 타타르족을 억제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파견되었고, 1676-1681년기간의 러시아-오스만제국 전쟁의 Chigirin 원정에 참여했다. 

1682년 5월의 혁명으로 그는 외무장관이 되었다. Sophia공주의 regency 기간 (1682-1689)에는 국무장관이 되었고 차르의 옥쇄를 관리했다. 

 

그의 외교는 폴란드와의 전쟁 (1686)후 영구평화조약으로 키예프를 확보한 것, 그리고 오스만제국과의 크리미아전쟁 (1687-1689)에서 패배한 것으로 요약된다. 크리미아전쟁에서 패한 후 그는 Sophia공주와 함께 몰락하는 계기가 된다.

 

앞에서 Sophia공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689년 네르친스크조약은 극동지역의 아무르강과 관련 가능성이 매우 희박해 보인다. 네르친스크조약에서 우디강이 언급되었는데, 우디강은 도네츠크강의 지류라 하였다. 즉 네르친스크조약은 우크라이나지역과 크리미아지역과 관련된 조약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따라서 아무르강은 바로 동쪽에 있는 아무다리야강일 확율이 매우 높은 것이다.   

 

"Golitsyn spent his early days at the court of Tsar Aleksey Mikhailovich (reigned 1645-1676), where he gradually rose to the rank of boyar. In 1676 he was sent to Ukraine to restrain the Crimean Tatars and took part in the Chigirin campaign of the Russo-Turkish War of 1676-1681. Personal experience of the inconveniences and dangers of the prevailing system of preferment - the so-called mestnichestvo, or rank priority, which had paralyzed the Russian armies for centuries - induced him to propose its abolition, which Tsar Feodor III carried out in 1678.[1]

 

The May revolution of 1682 placed Vasily Golitsyn at the head of the Posolsky Prikaz, o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uring the regency (1682-1689) of Sophia, the half-sister of Peter the Great, whose intimate friend he became, he served as the principal minister of state (1682–1689) and as keeper of the great seal, a title bestowed upon only two Russians before him, Afanasy Ordin-Nashchokin (1605-1680) and Artamon Matveyev (1625-1682).[1]

 

In home affairs his influence was insignificant, but his foreign policy was distinguished by the Treaty of Nerchinsk (1689), which set the Russo-Chinese border north of the Amur River, and by the Eternal Peace Treaty of 1686 with Poland, whereby Russia at last definitively recovered Kiev. By the terms of the same treaty, Russia acceded to the grand league against the Porte. Golitsyn's two expeditions against Crimea, the Crimean campaigns of 1687 and 1689 proved unsuccessful, and made him extremely unpopular.[1]

 

Only with the utmost difficulty could Sophia get the young tsar Peter to decorate the defeated commander-in-chief as if he had returned a victor. In the political contest between Sophia and Peter of August–September 1689, Golitsyn half-heartedly supported his mistress and shared her ruin. Peter spared his life - owing to the supplications of his cousin Boris - but deprived him of his boyardom, confiscated his estates and banished him successively to Kargopol, to Mezen and to Kholmogory, where he died on 21 April 1714.[1]

 

Golitsyn was unusually well educated. He was a great friend of foreigners, who generally alluded to him as "the great Golitsyn".[1] He expounded to them some drastic reform measures, such as the abolition of serfdom, the promotion of religious tol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enterprises. As Golitsyn was eager to avoid all forms of violence and repression, his program was more cautious and "realistic" than that of Peter the Great. Political upheavals prevented him from executing any of these plans.

 

(source : Vasily Golitsyn,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러시아)

 

4. Crimean campaigns의 실패와 크리미아 지형

 

오스만제국과의 전쟁(1687-1689)에서 패한 루스차르국은 1689년 네르친스크조약이 오스만제국과의 조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우디강의 남부와 스타노보이산맥의 북쪽 지역이 중립지대라는 네르친스크조약의 내용인데, 우디강이 우크라이나의 도네츠크강의 지류라 한다면, 스타노보이산맥이 크리미아반도에 있을 수 있다고 본다. 크리미아를 두고 러시아와 오스만제국이 전쟁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리미아반도의 지형을 살펴 보았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남부에 산맥이 있다. (아래 자료 참조). 이곳이 스타노보이산맥이 아닌가 추측한다. 

 

Topography of Crimea

 

 

"The third region is made up of the alpine fold mountains of the south, which form three chains parallel to the southern coast. These chains of flat-topped limestone blocks, known as the Crimean Mountains, rise successively higher from the north to the south (with steep-faced southern slopes and gentler northern slopes), topping out at 5,069 feet (1,545 metres) at Mount Roman-Kosh. This range drops steeply to the sea, where there is a narrow coastal plain broken by cliffs and headlands. Precipitation in the mountainous belt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elsewhere in Crimea, its average annual rainfall totals exceeding 23 inches (600 mm). The mountains have a luxuriant and varied forest vegetation of oak, beech, hornbeam, maple, and other species, which give way to juniper and meadow grasses at higher elevations. The southern coast, sheltered by the mountains from cold northern air, has a mild Mediterranean climate. Many exotic plants have been introduced, such as cypress, oleander, almond, and myrtle, together with palms and other subtropical flora."

(source : Crimea, Britannica)

 

5. 결론

 

이상으로 네르친스크조약이 맺어진 1689년 러시아의 상황에 대한 분석을 마치고자 한다. 비록 Peter 대제 재위기간이나, Ivan V와 Sophia공주에 밀려 있던 시기이다.

1689년 크리미아에서 오스만제국에 패한 이후 러시아는 Peter대제의 친정기간이 된다. 따라서 Sophia공주의 섭정시기에 대한 분석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Sophia공주시기의 조약이라 하여 Peter대제는 네르친스크조약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기록도 있다.  즉 네르친스크조약은 우크라이나 지역에 대한 분쟁의 조정 조약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우디강이 도네츠크강의 지류라는 기록은 더욱 이러한 가능성을 높게 한다. 또한 크리미아 반도의 남쪽 산맥이 스타노보이산맥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 것 또한 매우 의미있다고 본다. 현재 극동의 스타노보이산맥에 대한 러시아의 연구는 19세기에 있었음이 필자의 의구심을 더욱 합리화 한다. 라틴어로 작성되어 싸인했다는 기록도 이 지역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아직 네르친스크조약의 당사자라 적힌 청국과 러시아의 실체에 대해서는 추후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나선정벌도 한 조선이기 때문에, 조선과 청, 러시아가 서로 접한 것으로 사료되는데, 그 지역이 우크라이나 지역이라면, 청과 조선에 대한 추가 연구로 이를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후일로 미룬다. 

 

아래 지도에서 Poland, Moscovy, Ottoman Empire가 1600년경 서로 접했다고 주장한다는 지도이다. 그리고 그 아래 지도에서는 1672-1676년 기간에는 Poland-Lithuanian Commonwealth 지역이 오스만제국의 영지였다고 나타난다. 

 

청나라는 후금이라 했다가 청으로 나라이름을 변경하였다. 필자는 여진족이 고려시대에 체코 독일의 엘베강지역에 있었다는 글을 썼었다.(https://blog.naver.com/lainfos/222862626862  참조)

 

금나라가 여진족이다. 후금과 청나라도 이들의 후손이다. 따라서 청나라는 이 지역에서 더 동진하였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스만제국은 나선정벌을 한 조선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또 하나의 깊은 연구를 요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가능성만을 언급하고자 한다. 즉 아무다리야강이 그리고 크림반도지역이 네르친스크조약의 조정지역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 

 

 

The Crimean Khanate in about 1600. Note that the areas marked Poland and Muscovy were claimed rather than administered. (source : Wikipdia)

 

Polish–Lithuanian Commonwealth as a fief of the Ottoman Empire 1672-1676

(source : Wikipedia)

 

 

본 글에서는 네르친스크조약의 내용이 극동의 지역이 아닌 우크라이나 지역과 관련된 조약일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에 만족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