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이(伯夷) 숙제(叔齊)의 고죽국은 볼가강가에 있었다
백이 숙제의 고죽국은 “상나라와 주나라 때 난하 유역을 중심으로 요서 지역에 있던 제후국”(나무 위키 자료)이라 했다.
본블로그에 펌하여 올린 다음 글에서 보자.
-----------------------------------------------------------------------------------------
‘고구려 발생지 고죽국은 서역에 있었다’
요서지역은 서역에, 고죽국이 있었던 수양산도 서역에 있었다.
요사(遼史) 卷三十九?
志第九 地理志三
興中府 古孤竹國。漢柳城縣地。
(흥중부는 옛날의 고죽국이다. 한나라때 유성현 이다.)
연경재전집 외집 권48
지리류 서북강역변 하
土默特。本古孤竹國。漢之柳城縣。
屬遼西郡。爲西部都尉治。
...........
隋復置柳城縣。爲遼西郡治。唐爲營州都督府治。
後爲奚所據。遼太祖平奚置興中府。置興中縣。
(토묵특은 본래 옛날의 고죽국이다.
한나라때의 유성현이며 요서군에 속했으며 서부도위가 다스렸다
........
수나라때 다시 유성현을 두었으며 요서군이 다스리게 되었다.
당나라때는 영주도독부가 다스리게 되었다.
후에 해가 살게 되었다.
요태조때 해를 평정하여 흥중부,
흥중현을 두었다.)
--------------------------------------------------------------------------------
『삼국유사』 권1 기이1 고조선조에는 “당의 배구전에 말하기를, 고려는 본래 고죽국이고 주나라는 기자를 봉해줌으로 조선이라고 불렀다(唐裵矩傳云 高麗本孤竹國 周以封箕子爲朝鮮)”고 하였다
---------------------------------------------------------------------------------
즉 백이 숙제의 고죽국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난하, 요서가 키워드이다.
그리고 상나라, 주나라 위치와도 관련이 있고 기자조선 위치와도 관련이 있다.
또한 후에 고구려의 발생지라 했으니 고구려의 활동지역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난하가 어디인가? 아래 볼가강에 대한 위키자료를 보자.
---------------------------------------------------------------------------------------
“The Slavic name is a loan translation of earlier Scythian Ra(??) "Volga", literally "wetness", cognate with Avestan Raŋha "mythical stream" (also compare the derivation Sogdian r’k "vein, blood vessel" (*raha-ka),Persian ?? rag "vein") and Vedic Sanskrit ras?? (???) "dew, liquid, juice; mythical river". The Scythian name survives in modern Mordvin Rav (Рав) "Volga".” (source : Wikipedia)
----------------------------------------------------------------------------------------------------
Avestan언어로 ‘난하’라 했다 한다. Avestan은 스키타이의 일종이다.
즉 난하라는 이름을 가진 볼가강이 그 지역일 수 있다는 것이다.
왜 갑자기 볼가강을 찾느냐? 그것은 볼가강이 Bulgars족과 관련이 깊어서이다.
------------------------------------------------------------------------------------------------------
“Early Bulgars inhabited the European steppe west of the Volga River from about 370 CE.”
(source : Britannica.com)
“The Bulgars(also Bulghars, Bulgari, Bolgars, Bolghars, Bolgari, Proto-Bulgarians) were Turkic semi-nomadic warrior tribes that flourished in the Pontic-Caspian steppe and the Volga region during the 7th century. Emerging as nomadic equestrians in the Volga-Ural region, according to some researchers their roots can be traced to Central Asia. During their westward migration across the Eurasian steppe the Bulgars absorbed other ethnic groups and cultural influences, including Hunnic and Indo-European peoples…...(source : Wikipedia)
-------------------------------------------------------------------------------------------------------
Bulgars족의 이동 경로 (source : Wikipedia)
그런데 볼가강가에 사는 Bulgars는 누구인가? Bulgars에 관한 서양자료를 보자.
-------------------------------------------------------------------------------------------------------
“The Bulgars spoke a Turkic language, i.e. Bulgar language of Oghuric branch. They preserved the military titles, organization and customs of Eurasian steppes, as well as pagan shamanism and belief in the sky deity Tangra…..
The origin of the early Bulgars is still unclear. Their homeland is believed to be situated in Kazakhstan and the North Caucasian steppes. Interaction with the Hunnic tribes, causing the migration, may have occurred there, but the Pontic-Caspian steppe seems a more likely location…..
The ypsilon sign between two bars () which can be frequently found in early medieval Bulgaria is associated with deity Tangra. However, its exact meaning and use remains unknown. The most sacred creatures to Tangra were horses and eagles, particularly white horses. Broze amulets with representations of the Sun, horses and other animals were found at Bulgar archeological sites…
An Ottoman manuscript recorded that the name of God, in Bulgarian, was "Tangri”.
Because of the cult of the Sun, the Bulgars had a preference for the south. Their main buildings and shrines faced south, as well their yurts, which were usually entered from the south, although less often from the east. Excavations showed that Bulgars buried their dead on a north-south axis, with their heads to the north so that the deceased "faced" south.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square shape, with the North-South and East-West axis of the Bulgar sacral monuments is very similar to those of Turkic khagans in Mongolia.However, that the Bulgar residence in Pliska and Palace of Omurtag were inspired by the Byzantine architecture is considered indisputabl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t least the Bulgar elite spoke a language that was a member of the Oghur branch of the Turkic language family, alongside the now extinct Khazar and the solitary survivor of these languages, Chuvash.
According to P. Golden this association is apparent from the fragments of texts and isolated words and phrases preserved in inscriptions. In addition to language, their culture and state structure retain many Central Asian features. Military and hierarchical terms such as khan/qan, kanasubigi, qapa?an, tarkan, bagatur and boila appear to be of Turkic origin.
The Bulgar calendar within the Nominalia of the Bulgarian khans had a twelve-year animal cycle, similar to the one adopted by Turkic and Mongolian peoples from the Chinese, with animal names and numbers deciphered as Turkic.Tengri (in Bulgar Tangra/Tengre) was their supreme god.
…………….
Prior to the 13th - 7th century BC, all samples belong to European lineages, while later, an arrival of East Asian sequences that coexisted with the previous genetic substratum was detected. Hundreds of excavated mummies in the Tarim Basin (West China) have Caucasoid features, revealing the presence of an ancient Caucasoid substratum in East Asia. These findings are associated with the ancient Tocharians and Tocharian languages.
…………..
Some aspects of genetic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atars and Chuvashes, as well Bulgarians, which could support the view that the Tatars may be descendents of ancient Bulgars.
…………
The pre-Christian burial customs in Bulgaria indicate diverse social, i.e. nomadic and sedentary, and cultural influences.In some necropolises specific to the Danube Bulgars, artificial deformation was found in 80% of the skulls.The Bulgars had a special type of shamanic "medicine-men" who performed trepanations of the skull, usually near the sagittal suture. This practice had a medical application, as well as a symbolic purpose; in two cases the patient had brain problems.According to Maenchen-Helfen and Rashev, the artificial deformation of skulls, and other types of burial artifacts in Bulgars grav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armatians, and Sarmatized Turks or Turkicized Sarmatians of the post-Hunnic graves in the Ukrainian steppe.
Another theory linking the Bulgars to a Turkic people of Inner Asia has been put forward by Boris Simeonov, who identified them with the Pugu (僕骨; buk/buok kw?t; Buqut), a Tiele and/or Toquz Oguz tribe.The Pugu were mentioned in Chinese sources from 103 BC up to the 8th century AD,and later were situated among the eastern Tiele tribes, as one of the highest-ranking tribes after the Uyghurs. According to the Chronicle by Michael the Syrian, which comprises several historical events of different age into one story, three mythical Scythian brothers set out on a journey from the mountain Imaon (Tian Shan) in Asia and reached the river Tanais (Don), the country of the Alans called Barsalia, which would be later inhabited by the Bulgars and the Pugurs (Puguraje).
(source : Wikipedia)
---------------------------------------------------------------------------------------------------------
Bulgars는 12간지의 달력을 쓰고, 남향집을 좋아하고, Tengri 신을 믿는다.
무덤에서 시신이 남북축인데 머리를 북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tartar인들의 조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와 매우 친숙한 그들의 생활 습관이다.
그러면 그들이 믿는 Tengri 신앙, 즉 하늘님을 믿는 신앙에 대해 알아 보자.
-----------------------------------------------------------------------------------------------------------------------
“The worship of Tengri was brought into Eastern Europe by the Huns and early Bulgars.”
…….
Tengri was the main god of the Turkic pantheon, controlling the celestial sphere. Tengri is considered to be strikingly similar to the Indo-European sky god, *Dyeus, and the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Proto-Indo-European religion is closer to that of the early Turks than to the religion of any people of Near Eastern or Mediterranean antiquity.
Tengri is a probable precursor of the Chinese deity Tian, (천) which became prominent during the Zhou Dynasty (1122 - 256 B.C.E.). Ancient Turks and Mongols maintained a continuous belief in Tengri throughout their history, and belief in Tengri has been partially preserved until the present by Altaic peoples. Tengri is associated with Central Asian shamanism.
During the Middle Ages, Tengri received the Persian name “Khodai.” Even when Buddhism, Lamaism or Islam became the predominant religions among the Turkic peoples and Mongols, the concept of Tengri, the "Sky God," persisted. In modern Turkish, the derived word "Tanrı" is used as the generic word for "god," also for the Judeo-Christo-Islamic God, and is often used today by practicing Muslim Turks to refer to God in Turkish as an alternative to the word "Allah," the originally Arabic Islamic word for "God." "Tengri" is the oldest known Turkic word, believed to have originated in the sixth century B.C.E.
(source : Wikipedia)
----------------------------------------------------------------------------------------------------------------------------
훈족과 불가족에 의해 유럽에 전해진 Tengri 신앙이다. 동유럽에 있던 모든 칸제국들은 모두 Tengri사상을 가졌으며, 천신인 Tengri가 자신들의 권력의 존재 이유였다. 그래서 징키스칸을 포함한 모든 카칸들이 전쟁 전에 항상 Tengri 신에 제사를 지냈다. 후에 이슬람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불가족은 부여로 판단된다. 아래 자료를 보자.
-----------------------------------------------------------------------------------------------------------
“불가리아와 유럽 역사학자들은 현재 원(原)불가족(Proto Bulgar)이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다고 단념하고,…
그러나 불가리아 제1제국은 동방에서 온 부여족이 세운 국가이다. 부여족은 불가리아 주민에게 독립과 역사로 남아 있고, 발칸 산, 발칸 산맥, 발칸 반도, 소비 등 다수의 지명으로 남아 있으며 불가리아 말 문법 구조로 남아 있고, 문화와 생활양식의 전통(정월 달집놀이, 굿거리 등)으로 남아 있으며, 또 갓난아기 엉덩이의 반점(몽고반점)으로도 남아 있다. 현재 백인 세계에서 갓난아기의 반점이 나오는 민족은 오직 불가리아인뿐이다. 그 원인은 불가리아인의 원조상이 부여족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출처:신용하, ‘부여족과 불가리아’(본블로그에 펌한 글))
“신채호는 부여족의 특징은 정착지에 반드시 ‘불’자를 붙여 국호를 짓는데,
일찍이 만리장성 부근으로 이동해 들어온 한 ‘부여족 군단’을 추적했지만 그 행방을 잃어버렸다고 기록했다.”
“국호인 부여는 평야를 의미하는 벌(伐·弗·火·夫里)에서 연유했다는 설과,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의 ‘puhu’라는 말에서 비롯했다는 설이 있다.” (한국민족대사전 출처)
《부여(夫餘)는 한국 민족 직계 조상 중 하나다.
신채호는 한때 한국 민족을 ‘부여족’이라고 부르기조차 하였다.
부여는 고조선의 후국으로서 늦게 잡아도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약 1000여 년간 ……크게 활동했다.
중국 기록에 등장하는 ‘부여’는 ‘산해경(山海經)’의 불여(不與), ‘일주서(逸周書)’의 부루(符婁), ‘사기(史記)’의 부여(夫餘), ‘논어주소(論語注疏)’의 부유(鳧臾) 등으로 표기된다.
당시 고대 한자 발음으로 볼 때 이들의 공통발음은 짧은 소리로는 ‘불’, 긴 소리로는 ‘부르’다. ‘부르’는 더 긴 발음으로 ‘부유’로도 발음된다. (출처:신용하, ‘부여족과 불가리아’(본블로그에 펌한 글))
---------------------------------------------------------------------------------------------------------
부여는 누군가? 역법과 우제점법, 순장, 흰옷 등의 상나라의 전통을 이어 받은 나라이다.
상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상(은)나라는 흰옷을 즐겨 입으며, 백마를 선호하는 나라라 했다.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 하나라, 상(은)나라, 주나라는 어디에 있었는가?” 와 “ 상나라의 수도 “박”은 이라크의 바그다드인가?” 에서 상나라가 흰색을 선호하는 백이 (즉 아홉나라 구리의 하나인 백이)이며 단군조선의 제후국의 하나라고 추정했다. 그리고 하나라 (현이), 상나라 (백이), 주나라(적이)가 그 위치가 메소포타미아지역, 이집트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위의 자료에서 백이 숙제의 고죽국은 상나라, 주나라의 제후국이라 했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난 백이라는 이름이 한 개인의 이름이라기보다 구리 중 하나인 백이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한자 백이(伯夷)도 그것을 말해준다. 즉 상나라의 후손인 백이족이 고죽국이란 것이다. 실제로 백이는 상나라를 공격하는 주나라를 비난하다가 주나라로부터 살해 위협을 받았는데 제환공의 옹호로 죽음을 면했다고 했다. 그리고 수양산으로 가서 고사리만 먹으며 살았다 했다.
즉 상나라, 고죽국, 백이, 부여, 고구려, 이 모두가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볼가강가에 살았던 Bulgars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죽국은 볼가강가에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고죽국은 요서에 있다고 했다.
그러면 요서는 어디인가? 요서는 요수 즉 압록수의 서쪽이다.
난 본 블로그에 올린 글 “요수(압록수), 살수, 패수를 통해 본 갈석산의 위치 검토”라는 글에서
압록수의 지형을 논하며 우랄강으로 추정한 바 있다.
따라서 요수인 우랄강의 서쪽은 볼가강가이다.
즉 요서에 있고 난하에 있는 고죽국은 볼가강가에 있었다.
또 백이 숙제의 고죽국은 또한 북해가에 있다고 했다.
관중의 땅인 중원지역을 나는 이란 이라크가 있는 지역으로 본다.
여기에 진시황의 진나라가 있었고 한무제의 한나라가 있었다.
(본 블로그 글, “진시황의 진나라는 알렉산더제국인가?” “한무제의 한나라는 Parthian Empire이다” 참조)
따라서 북해는 관중의 땅 중원에서 본 북쪽의 바다 카스피해이다. 마테오리치이후 만들어진 직방외기에서는 카스피해를 북고해라 했다. 고씨의 북해라고 들린다.
직방외기의 지도(17세기)
카스피해의 북쪽에 볼가강 우랄강이 있다.
따라서 백이 숙제의 고죽국은 볼가강가에 있다는 것이다.
즉 고죽국은 볼가강가에 있었고, 이를 계승한 고구려의 발상지도 이곳이라는 것이다.
'과거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관가야가 아르메니아에 있었다는 보다 직접적인 증거들 (0) | 2019.08.02 |
---|---|
김수로의 금관가야는 코카서스 산맥 아래 아르메니아지역에 있었다 (0) | 2019.07.24 |
백제의 관미성은 크리미아의 아라바트성이다. (0) | 2019.02.16 |
한무제의 한나라는 페르시아 지역의 Parthian Empire이다 (0) | 2019.02.14 |
광개토대왕이 정복한 백제의 관미성은 흑해의 크리미아반도에 있었다 (0) | 201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