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블로그 '세계삼한역사연구'의 한부울님은 사산왕조 페르시아의 두 여왕의 경우를 거론하며,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혹시 신라가 아닌가 하고 하였다.
하여 나도 자료를 보니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신라인 것으로 보인다.
Sassanian Empire in 621 AD (source : Wikipedia)
나는 한부울님이 언급한 두 여왕의 이야기, 그리고 비담이라는 이름의 반란자, 진흥왕 시절의 신라, 그리고 당시의 관습과 제도 등을 비교하며 검토해 보고자 한다.
1. 사산왕조의 두 여왕과 신라의 선덕여왕, 진덕여왕 비교
사산왕조에서는 628-632: Civil war 라고 연대기에 나오는데 이 시기에 두 여왕이 있었다. 연대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선덕여왕 진덕여왕과 아주 같은 이야기이다. 아래에 그 내용을 옮겨 놓는다. 사산왕조가 신라라는 결정적인 이야기이다.
Queen Boran (630 AD - 631 AD)
In 628 AD, Khusrau II and eighteen of his sons were assassinated by one of his own sons Kavadh II, who became the successor. After only a few months, he was also killed and a period of civil war broke out. Kavad's son Ardashir, then took the throne at a very young age. Ardashir was murdered by General Sarwaraz. Sarwaraz was the first king to take the throne that was not from the royal family. He was then murdered. This vacancy on the throne was then filled by Husrav's first daughter, Boran (Borandukht).
No other woman, in her own rights, had ascended the Sasanian throne before. Boran and her sister were considered to be the only two legitimate heirs left of the royal family. When Boran came to power the power of the central authority was very weak due to civil wars. It was Borans' goal to once again bring stability to the empire as her father once had. To accomplish this, Boran offered a peace treaty with the Byzantine Empire. This would revitalize the empir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justice, recon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lowering of taxes, and the minting of coins.
The amazing thing is that most sources emphasize the positive qualities of this female king. There is nothing negative about her that is related to her sex. Boran's reign is said to have been marked by benevolence. She behaved kindly and justly to all of her subjects. She was also said to be very creative and energetic. Boran ordered the rebuilding of bridges made of boats in order to improve the catastrophic economic situation in the empire. Just after a year of being queen, Boran died in 631 AD. It is not known how Boran actually died. Many sources say she passed from natural causes, and Christian sources says that she was murdered by a general seeking to be king
Queen Azarmedukht
After Boran's death, her sister Azarmedukht (Azarmigduxt) succeeded the throne for a short time. The only reason that she was able to become King of the Sasanian society was because she was of royal bloodline. Thus, Azarmedukht "possessed the main prerequisite for the sacral kingship and xwarrah to be" hers.
사산왕조 페르시아에서는 Royal Family의 Bloodline이 이 두여왕을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에 왕에 올랐다 하였다. 그리고 선덕여왕으로 보이는 Boran Queen은 여러 가지 업적으로 평판이 좋았다고 설명된다. 때문에 Boran Queen의 1년이란 통치기간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 그리고 Boran Queen이 쿠데타로 죽었을 수 있다고 했다.
신라에는 성골이 더 없었기 때문에 선덕, 진덕여왕이 올랐다는 이야기와 동일하다. 선덕여왕의 통치기간이 더 길었던 것과 일맥 상통한다. 선덕여왕은 비담의 난 중에 죽었다고 한다. 비슷한 죽음을 이야기 하고 있다.
2. 비담이라는 반란자의 사건 비교
사산왕조 : 595-602: Rebellion of Vistahm (source : Wikipedia)
연대는 조금 다르지만 신라의 비담의 난 (647년)을 말하는 것 같다.
이름이 우선 유사하다. 비스탐 (Vistahm)과 비담이다. 왕에 대한 반란이란 성격에서 같다.
신라에서는 비담의 난 진압이 바로 되었다 하지만, 사산왕조 페르시아에서는 5-6년동안 비스탐의 활동이 있었다고 하여 조금 차이를 보인다. 신라의 비담이 상대등이었다고 하고, 사산왕조의 페르시아에서는 비스탐도 Shapur왕의 아들이었다고 나온다. 즉 모두 귀족들이다. 그래서 둘 모두 왕권다툼의 일환으로 보이는 것도 똑같다.
3. 진흥왕 시절의 신라와 사산왕조의 페르시아 시절 비교
진흥왕으로 보이는 호스로 1세는 비잔틴과의 영구평화조약 파기, 그리고 비잔틴과의 전쟁이 진흥왕과 매우 유사하다. 비잔틴의 Justinian I는 백제 성왕으로 여겨진다. 코카서스산맥아래 좌측 흑해연안 Lazica 지역을 놓고, 신라의 진흥왕이라 생각되는 사산왕조 페르시아 호스로 1세와 백제의 성왕으로 판단되는 비잔틴의 Justinian I가 치열하게 싸운다. 전략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아래 글 참조) 이지역 옆에 Kura River가 흐른다. 관중지역인 중원의 북쪽을 동으로 흐르는 긴강이다. 이강이 한나라 한자의 한수가 아닐까 생각된다. 즉 아리수 한강이 아니라 한수라는 것이다. 이곳이 백제와 신라가 다툰 지역 한수지역 아닌가 한다.
Lazica Area under Caucasus Mountains (source : Wikipedia)
After the reign of Kavadh I, his son Khosrau I, also known as Anushirvan ("with the immortal soul"; ruled 531-579), ascended to the throne. He is the most celebrated of the Sassanid rulers. Khosrau I is most famous for his reforms in the aging governing body of Sassanids. He introduced a rational system of taxation based upon a survey of landed possessions, which his father had begun, and he tried in every way to increase the welfare and the revenues of his empire. Previous great feudal lords fielded their own military equipment, followers, and retainers. Khosrau I developed a new force of dehqans, or "knights", paid and equip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bureaucracy, tying the army and bureaucracy more closely to the central government than to local lords.
Emperor Justinian I (527-565) paid Khosrau I 440,000 pieces of gold as a part of the "eternal peace" treaty of 532. In 540, Khosrau broke the treaty and invaded Syria, sacking Antioch and extorting large sums of money from a number of other cities. Further successes followed: in 541 Lazica defected to the Persian side, and in 542 a major Byzantine offensive in Armenia was defeated at Anglon. Also in 541, Khosrau I entered Lazica at the invitation of its king, captured the main Byzantine stronghold at Petra, and established another protectorate over the country, commencing the Lazic War. A five-year truce agreed to in 545 was interrupted in 547 when Lazica again switched sides and eventually expelled its Persian garrison with Byzantine help; the war resumed but remained confined to Lazica, which was retained by the Byzantines when peace was concluded in 562. (source : Wikipedia)
Khosrau I developed a new force of dehqans, or "knights", paid and equip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즉 진흥왕의 화랑제도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4. 골품제도
사산조 페르시아에도 골품제 (Class division)가 있었다. 그래서 두 여왕이 있었다.
Sassanid society was immensely complex, with separate systems of social organization governing numerous different groups within the empire. Historians believe society comprised four social classes:
- Asronan (priests)
- Arteshtaran (warriors)
- Wastaryoshan (commoners)
- Hutukhshan (artisans)
At the center of the Sasanian caste system the shahanshah ruled over all the nobles. The royal princes, petty rulers, great landlords and priests, together constituted a privileged stratum, and were identified as wuzurgan, or grandees. This social system appears to have been fairly rigid. (source : Wikipedia)
The Sasanian caste system outlived the empire, continuing in the early Islamic period. (source : Wikipedia)
이 골품제가 초기 이슬람시기 (우마이야왕조)까지 지속된다고 언급한다. 즉 우마이야왕조가 통일신라일 수 있다고 암시한다.
5. 만세와 왕의 행차 모습
왕에게 "만세"라고 하는 인사법도 익숙한 모습이다.
The head of the Sasanian Empire was the shahanshah (king of kings), also simply known as the shah (king). His health and welfare was of high importance--accordingly, the phrase “May you be immortal" was used to reply to him. (source : Wikipedia)
왕의 행차 모습도 우리에게 낯익은 모습이다. 길을 비켜라.. 물렀거라.. 외쳤을 것이다.
When the king went out in public, he was hidden behind a curtain,] and had some of his men in front of him, whose duty was to keep the masses away from him and to clear the way. (source : Wikipedia)..
6. 비단이 주요 수출품
The main exports of the Sasanians were silk; (source : Wikipedia)
7. 사산왕조 초기의 이름
사산왕조의 초기를 paygan-salar 라 했다 한다.(자료 위키피디아) '사라' 명칭과 비슷하다.
"신라 이전에 불렸던 이름들은 걸의식국(乞衣食國), 비집기국(飛集基國), 시라(尸羅), 사라(斯羅),
시림(始林), 유계(有鷄), 계괴(鷄怪), 계림(鷄林)[27], 서야벌(徐耶伐), 서라벌(徐羅伐), 유잠국(有蠶國)
등으로 불렸는데, 이들 모두 가운데 일부가 누에치기와 관련된 이름들이라는 특이점이 있다."
(자료 : 나무 위키)
8. 빈민 구제로 인한 왕의 교체
소지 마립간(炤知 麻立干, ? ~ 500년, 재위; 479년 ~ 500년) 10년(488년) 정월, 마립간은 월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2월 일선군에 행차해 빈민을 구제하고 3월에 돌아오면서 지나는 주군의 죄수들을
2대 사형죄를 제하고는 용서했다. 11년(489년) 정월에는 하는 일 없는 백성들을 몰아다 농사를
짓게 하였는데, 신라본기에 기록된 최초의 실업자 대책이었다. (자료 : 나무 위키)
Kavadh I (488-531) was an energetic and reformist ruler. He gave his support to the sect founded by Mazdak, son of Bamdad, who demanded that the rich should divide their
wives and their wealth with the poor.
By adopting the doctrine of the Mazdakites, his intention evidently was to break the
influence of the magnates and the growing aristocracy. These reforms led to his being deposed and
imprisoned in the "Castle of Oblivion" in Susa, and his younger brother
Jamasp (Zamaspes) became king in 496. Kavadh, however, escaped in 498 and was
given refuge by the White Hun king. (source : Wikipedia)
지증왕(437 생, 재위 : 500-514)은 부계만 봤을 때 삼국사기에선 소지 마립간의 6촌, 삼국유사에선
소지 마립간의 5촌이며 처남이 된다. 빈민구제하다가 쫓겨난 후 동생이 왕에 오른 것이 사산왕조
기록과 유사하다. 고구려로 망명했다가 다시 돌아온 기록 등 나쁜 기록은 없는 것을 보면 김부식이
많이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
|
Hepthalite and Sassanid Empire in AD 500 (source : Wikipedia)
중원땅으로 여겨지는 이지역을 남북조시대에 신라가 차지한 것으로 추측된다. 사산왕조는 두 여왕의 존재, 비담의 난, 진흥왕 시절과 같은 시기에 비잔틴과의 혈전, 골품제, 젊은이를 훈련시키는 (화랑)제도, 비단의 수출, 왕의 행차 모습, 초기 나라의 명칭 사라, 빈민 구제로 인한 왕의 교체, 흥망성쇠의 기간 등 여러가지 점으로 신라라 추정된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신라가 이상하게 페르시아와 관련이 깊다고 했는데, 이때 사산왕조때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의 역사 > 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하(新羅河)와 조선하(朝鮮河) (updated) (0) | 2021.09.06 |
---|---|
상대 (BC 57-AD225)의 신라는 파르티마제국이다 (III) (0) | 2020.08.26 |
상대의 신라(BC 57-AD225)는 파르티마 제국이다 (II) (0) | 2020.08.22 |
상대 (BC57-AD225)의 신라는 파르티마 제국이다 (I) (0) | 2020.08.13 |
한나라(전한)를 멸망시킨 왕망의 신나라는 박혁거세의 신라이다 (0) | 2020.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