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유리왕시 황룡국은 독일 서북쪽 Cherusci에 있었다

2021. 2. 25. 15:20한민족 역사/고구려

고구려 유리왕 시기 해명태자와 관련한 황룡국도 백두산 근처 10개국의 하나라고 했다.

 

이제 황룡국의 위치를 추정해 보자 

 

황룡국에 대한 국내 자료는 다음과 같다. 

 

즉 고구려의 유리왕 시절 해명태자와 관련한 이야기와 금관가야 김수로왕의 부인 황옥이 황룡국의 여자라는 이야기이다. 여기서는 고구려의 해명태자와 관련한 황룡국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서기 8년(유리왕 27) 정월에 고구려 왕태자 해명(解明)이 옛 수도인 졸본(卒本)에 거처하고 있었다. 마침 이웃 나라인 황룡국의 왕이 해명의 힘이 세고 무용(武勇)을 좋아한다는 말을 듣고 강한 활을 선물하였다.

 

해명은 황룡국왕이 고구려를 업신여길까 염려하여 그 사자(使者) 앞에서 활을 당겨 부러뜨린 다음 “내 힘이 센 것이 아니라 활 자체가 굳세지 못하다.”라고 말하였다. 유리왕이 이를 듣고 노하여 황룡국왕에게 말하기를 해명이 자식으로서 불효하니 청컨대 나를 위하여 목을 베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같은 해 3월에 황룡국왕이 사람을 보내어 해명을 청하였다. 해명이 오자 처음에는 죽이려고 꾀하다가 그를 보고서는 감히 해를 가하지 못하고 도리어 예로써 보내 주었다. 이 같은 황룡국왕과 해명태자와의 관계 속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 규모 내지는 능력 뿐만 아니라 대외관계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룡국 [黃龍國]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화랑세기』 15세 유신공 조에 “금관가야는 수로청예왕(首露靑裔王)에서 비롯하였는데 황룡국(黃龍國)의 여자인 황옥(黃玉)을 아내로 맞아 거등(居登)을 낳았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허황옥의 출신국이 황룡국이라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황룡국 [黃龍國]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황룡국의 위치에 관하여는 다음의 자료가 참조가 된다. 

 

"부여성은 고구려의 북부여성이며 발해의 부여부(扶餘府)인데, 요(遼)나라가 발해를 멸한 뒤 부여부 지역에 황룡부(黃龍府)를 설치했고, 그것이 금대(金代)에 융안부(隆安府)가 되며...

 

부여국은 서로는 오환(烏桓)·선비(鮮卑)와 접하고, 동으로는 읍루(挹婁)와 잇닿으며, 남으로는 고구려와 이웃하고,..."

(자료: 부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필자는 최근 '이설의 한민족사 II' 글에 이어 압록수인 요수가 Rhone River이다 라는 주장에 이어 거란, 연나라가 이들 지역 근처에 있었으며, 북부여는 북유럽, 덴마크 지역이라는 것을 실위의 위치 주정을 통해 밝혀냈다. 이어서 해두국, 졸본천, 비류국, 행안국, 북옥저 등의 위치를 백두산 주위 10개국의 위치를 밝히면서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 황룡국에 이른 것이다. 

 

위의 부여 자료를 보면, 요나라가 발해를 멸한 뒤 황룡부를 설치했고, 이것이 금나라의 융안부가 되었다 했다. 그동안 필자가 추정한 거란의 위치와 베교할 때, 황룡국도 이 주위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자료에서 부여는 서쪽으로는 오환, 선비와 접한다고 했다. 오환은 실위 지역 추정에서 가까운 것으로 역사자료에 나오니, 북유럽에 가깝다. 부여의 동으로 읍루를 언급하니, 읍루는 물길과 같으며, 물길은 독일 지역의 게르만인 Marcomanni 인것으로 판단된다. 즉 황룡국이 이 근처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황룡국에 관하여 고구려 유리왕 시기의 해명태자의 이야기가 있다. 즉 해명태자가 황룡국 사신에 잘못 응대하여 유리왕의 명으로 자살했다는 것이다. 태자의 목숨을 끊을 정도로 유리왕에게는 황룡국과의 관계가 중요했다는 것이다. 반면 그래도 그 연유가 석연치 않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서 한부울님이 밝힌 고구려 유리왕의 해명태자가 로마의 Varus 장군과 자살방식이 똑같다 하며, 당시 로마를 고구려로 추정한 글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한부울님 다음블로그, 삼한세계역사, 글, '고구려 해명왕자는 로마장군 바루스 (Publius Quinctilius Varus)이다' 참조) 해명태자의 자살방식이 창을 땅에 꽂아 놓고 말을 달려와 창위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는 것이 삼국사기에 설화로 전해진다 한다. Varus 장군이 게르만과의 전쟁에 대패하여 자살했다는 자료는 위키피디아 자료 (본 블로그, 카테고리, 로마제국 글 참조)에 나와 있지만, Varus 장군의 자살방식에 대한 자료는 아직 구하지 못했다. 단지 한부울님의 글을 참조하고자 한다. 

 

문제는 이런 자살 방식이 문제가 아니라, 고구려의 유리왕 시기의 해명태자의 자살시기와 로마의 Varus 장군의 자살 시기가 AD 9년으로 똑같다는 것이다. 그리고 필자가 추정한 론강이 요수임을 고려하고, 몽블랑산을 백두산으로 추정할 때, Varus 장군의 전쟁 대상인 게르만인 연합체와의 전쟁지역을 황룡국으로 추정하면, 황룡국이 다른 해두국 등과 마찬가지로 백두산 가까이 있는 10개국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Julius Caesar의 3개 정벌지역을 고려하여, 고주몽이 정벌한 비류국, 행안국, 북옥저의 위치를 추정한 것을 고려하면, Augustus 시기의 상기 Varus장군의 전쟁지역을 고려하여, 고구려 유리왕 시기의 해명태자와 관련한 황룡국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Varus 장군의 전쟁기록을 아래에서 살펴 보자.

 

 

"Publius Quinctilius Varus (46 BC CremonaRoman Republic – September 15, 9 AD near Kalkriese, Germany) was a Roman general and politician under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Varus is generally remembered for having lost three Roman legions when ambushed by Germanic tribes led by Arminius in the Battle of the Teutoburg Forest, whereupon he took his own life....

 

 

Following the massacre in Judaea, Varus returned to Antioch.[18][19] Between 10 BC and 6 AD Tiberius, his brother DrususLucius Domitius Ahenobarbus, and Germanicus conducted long campaigns in Germania, the area north of the 

Upper Danube and east of the Rhine, in an attempt at achieving a further major expansion of the Roman Empire together with a shortening of its frontier line. They subdued several Germanic tribes, such as the Cherusci. In 6 AD, Tiberius declared Germany pacified, and Varus was appointed to govern Germania. Tiberius, who would later rule as Emperor, left the region to suppress the Great Illyrian Revolt.

Augustus made Publius Quinctilius Varus the first "officially appointed" governor of the newly created Roman province of Germania in 7 AD.

 

 

Battle of the Teutoburg Forest and death

 

Main article: Battle of the Teutoburg Forest

 

In September 9 AD Varus was preparing to leave his summer headquarters in Vetera (today Xanten) and march three legions – the Seventeenth, the Eighteenth and the Nineteenth – with him to Moguntiacum (modern-day Mainz), when news arrived from the Germanic prince Arminius (a Roman citizen and leader of an auxiliary cavalry unit) of a growing revolt in the Rhine area to the West. Ignoring a warning from Segestes not to trust Arminius, Varus marched his forces behind the latter's lead.

Lithography showing Varus committing suicide during Teutoburg battle

Not only was Varus' trust in Arminius a terrible misjudgement, but Varus compounded it by placing his legions in a position where their fighting strengths would be minimized and those of the Germanic tribesmen maximized – because he expected no ambush and very little trouble in intimidating the rebels. Arminius and the Cherusci tribe along with other allies, had skillfully laid an ambush, and in the Battle of the Teutoburg Forest in September at Kalkriese (East of modern Osnabrück), the Romans marched right into it.

 

The heavily forested, swampy terrain made the infantry manoeuvres of the legions impossible to execute and allowed the Germans to defeat the legions in detail. On the third day of fighting, the Germans overwhelmed the Romans at Kalkriese Hill, north of Osnabrück. Accounts of the defeat are scarce, due to the totality of the defeat, but Velleius Paterculus testifies that some Roman cavalrymen abandoned the infantry and fled towards the Rhine, but they were intercepted by the German tribesmen and killed.[20] Varus himself, upon seeing all hope was lost, committed suicide.[21] Arminius cut off his head and sent it to Bohemia as a present to King Marbod of the Marcomanni, the other most important Germanic leader, whom Arminius wanted to coax into an alliance, but Marbod declined the offer and sent the head on to Rome for burial.

Some captured Romans were caged and burned alive; others were enslaved or ransomed. Tacitus and Florus report that the victorious Germanic tribes tortured and sacrificed captive officers to their gods on altars that could still be seen years later.[22] The Romans did later recover the lost legions' eagles, one each in 15 AD, 16 AD and 42 AD.[23]

 

Aftermath

 

Due to the shame and the ill luck thought created by the Roman defeat, the XVII, XVIII and XIX legions never again appeared in the Roman Army's order of battle. The loss at the Teutoburg Forest was keenly felt by Augustus in his remaining years. According to the biographer Suetonius, upon hearing the news, Augustus tore his clothes, refused to cut his hair for months and, for years afterwards, was heard, upon occasion, to moan, "Quinctilius Varus, give me back my Legions!" (Quintili Vare, legiones redde!).[24] Roman historians referred to the battle as the clades Variana ("Varian disaster").[25]

 

Gibbon describes Augustus' reaction to the defeat as one of the few times the normally stoic ruler lost his composure. Varus' political legacy in Rome was destroyed, and the government blamed him for the defeat.[26] His son's (the younger Varus) chances for a political career were ruined. Tiberius himself fell under severe criticism for recommending Varus as the governor of Germania. Tiberius, according to Gaius Stern, was forced to sacrifice his friend and former brother-in-law to save his career.[27] Furthermore, Varus himself had been one of the figures on the Ara Pacis, but the figure is lost today.

 

Stern has proposed that common citizens vandalized the Ara Pacis by damaging Varus in anger over their lost loved ones, leaving the regime, which had blamed Varus, uncertain as to whether or not to fix the damage.[27] Approximately 40 years after Varus' death, a general under ClaudiusPomponius Secundus, raided Germany and by chance rescued a few POWs from Varus’ army. Claudius welcomed them home after so many years, and their sad stories aroused much pity.[28]"

 

 (source : Publius Quintilius Varus, Wikipedia)

 

 

 The Roman empire under Hadrian (ruled 117–138), showing the location of the Cherusci in northwestern Germany (source : Wikipedia)

 

상기 지도에서 황룡국의 위치로 보이는 Cherusci는 북유럽 Saxons 위치 왼쪽에 바로 접하고 있다. 즉 라인강을 건너 Suebi를 치기 위해 확장전쟁을 하는 와중에 황룡국으로 추정되는 Cherusci와 전쟁을 하였다는 것이다. 고구려 유리왕 시기에 선비족을 정벌했다고 하는데, 여기서 언급되는 Suebi가 아닌가 한다. 우리 역사에서 선비족은 요수 서쪽에 있다고 했는데, 여기서 Suebis는 라인강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선비족이 요수 좌측에 있다는 기록이 현재 동북아 요하를 기준으로 하여 추정한 글인지 아니면 고사 원문에 그렇게 기록 되었는지 궁금하다. 

 

그래서 황룡국의 위치가 매우 중요한 것이며, 유리왕이 해명태자에 매우 화를 내고 자살하라고 한 것이나, Varus 장군의 패배에 Augutus가 비통해 하며 평소와 다르게 비정상적인 행태를 보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기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면 로마군의 패배는 매우 커서, 로마의 역사중 가장 기록적인 패배의 하나로 기록 되었다고 한다. 40년후 일부 소수의 전쟁포로를 찾아 왔다는 기록을 보아서, 유리왕의 이야기는 이러한 전쟁의 패배를 감추고 미화한 서술로 판단된다. 

 

이 전쟁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블로그 카테고리, 로마제국, 인용된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즉 우연히도 해명태자의 자살방식을 고려하여, 로마의 아우구스투스 시기의 Varus 장군의 패배 내용을 자료 삼아, 황룡국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필자는 그러나 로마제국 전체가 고구려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서로마제국 일부 내용은 고구려의 내용으로 보이며, 동로마제국 즉 비잔틴제국의 내용은 백제의 내용으로 보인다. 부여의 역사도 섞인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을 하지 못하겠다. 따라서 로마공화국 시기 등은 또 다른 역사를 취합한 것으로 보인다. 즉 그동안 짐작한 바와 같이 여러 나라의 역사를 짜집기하여 로마제국이란 역사를 만든 것 같은 생각이다. 그러나 짜집기를 하여도 구체적 내용은 보편적으로 사실에 입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Julius Caesar의 Gallic Wars기록은 과장된 것으로 서구 역사가들도 인정한다. 풀타크 영웅전 같이 미화한 역사의 한 모습일 것이다. 이를 구분하여 해석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여하튼 황룡국 추정을 통해 다시 한번 요수가 Rhone River라는 것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