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Sakas)에 대한 고찰

2024. 2. 19. 08:07한민족 역사/기타

I. 머리말

 

필자는 최근에 고대 사카인과 스키타이인, 그리고 튀르크인에 대해 한창 자료를 보고 있다. 이들이 뭔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본다. 그전부터 Old Turk말로 무엇을 말할 때, 우리말과 비슷한 경우를 느꼈는데, 최근에 ‘까치의 강 작수가 흑해위에 있었다’ 라는 글을 쓰면서 이러한 심증은 더욱 커져 갔다.

 

스키타이의 고향은 흑해위 지역이라고 서양사는 말한다. 스키타이는 서유럽에 진출한 스키타이이고, 중앙아시아의 인도 스키타이를 사카라 한다. 키메리언도 스키타이의 일종이라 했다. 즉 스키타이인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키메리언에 대해 글을 여러 개 쓴 바 있다.

 

그런데 최근 사카에 대한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니, 사카는 시베리아 전역에 결쳐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러시아 서부지역까지 진출한 것으로 설명한다.

 

필자는 최근에 환단고기를 연구하면서 고대의 조선의 출발이 서부러시아 지역일 수 있다고 추정 했다. 그러나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그 발원지를 주장하는 한국의 학계의 주장에 대해 그 궁금증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들은 무슨 근거로 바이칼 호수 주변을 출발지로 하는지 궁금했던 것이다. 그리고 또 동북아시아의 홍산문화는 어떻게 연관되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러한 지난한 연구과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는 또한 고조선의 영역이 어떻게 되는지 가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사카인, 스키타이인,  등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단군이 약수에 봉한 색정이 흉노의 조상이 되었다 한다. 환단고기에 나오는 색불루가 기원전 천년경 단군이 되기도 했다. 색정이나 색불루나 모두 색족출신 즉 스키타이, 사카가 아닌가 한다. 따라서 스키타이, 사카에 대한 연구는 역사에 대한 많은 의문을 풀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카, 스키타이에 대한 기존의 자료는 기원전 1000년 이후만 말하고 있다. 그래서 다소 제한적인 의미가 있지만, 그 이전의 연구는 후일을 기약하고, 우선 이들에 대해 살펴 보자.  사카와 스키타이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나, 지역적으로 흑해위 초원과 그 서부지역은 스키타이로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카와 스키타이를 별도로 구분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그 자료의 분량도 많고, 나중에 둘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므로, 여기서는 사카에 대해서 우선 살펴 보고자 한다. 

 

 

II. 사카의 정의

 

 

사카는 고대 페르시아어, 산스크리스트어 등에서 Saka로 불렸으며, 고대 그리스어로는 Sakai, 라틴어로는 Sacae 등으로 뷸리었다. 한자어로는 색족의 색(塞, 막을 색)으로 쓰였는데, 사카의 발음과 유사하게 들린다. 불교의 석가모니의 석가는 사카의 음차라 한다. 

 

"The Saka (Old Persian:𐎿𐎣𐎠 Sakā; Kharoṣṭhī: 𐨯𐨐 Saka; Ancient Egyptian: 𓋴𓎝𓎡𓈉 sk, 𓐠𓎼𓈉 sꜣg; Chinese: , old *Sək, mod. , Sāi), Shaka  (Sanskrit (Brāhmī): 𑀰𑀓, ., Śaka; Sanskrit (Devanāgarī): शक Śaka, शाक Śāka), or Sacae (Ancient Greek: Σάκαι Sákai; Latin: Sacae) were a group of nomadic Eastern Iranian peoples who historically inhabited the northern and eastern Eurasian Steppe and the Tarim Basin.[7][8]

​(번역)  사카(Saka)는 고대 페르시아어로 'Saka', 한자로는 색(塞)족, 산스크리스트어(브라미)로는  'Shaka', 산스크리스트어(드바나가리)로는 'Saka', 고대 그리스어로는  Sakai, 라틴어로는 'Sacae'라 하는데, 역사적으로 유라시아 초원의 북쪽과 동쪽, 그리고 타림분지에 사는 동 아리안 유목민 그룹을 말한다. 

 

사카는 스키타인과 함께 스키타이 문화권에 속하는데, 중앙아시아의 Andronovo(2000-1150 BC), Sintashta(2200-1900 BC), Srubnaya cultures (1900-1200 BC) 등이 선행 문화라 한다. (지역 위치는 아래 지도 참조). 철기시대에 들어서는 BMAC(박트리아지역의 문화)문화가 사카에 2차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다. 사카언어는 동아시아인의 유전적 유입의 영향을  받았다  한다. 사카언어가 동부 아리안어의 일부라는  아래 위키피디아 자료는 더 검토가 필요하다. 튀르크어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 후 이에 대해 후일 언급할 예정이다. 

 

 

"The Saka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cythians, and both groups formed part of the wider Scythian cultures,[9] through which they ultimately derived from the earlier Andronovo, Sintashta and Srubnaya cultures, with secondary influence from the BMAC, and since the Iron Age, also East Asian genetic influx,[10][11] with the Saka language forming part of the Scythian phylum, one of the Eastern Iranian languages."

 

​(번역)  사카는  스키타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두 그룹 모두 보다 넓은 의미의 스키타이 문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스키타이  문화는 보다 이전의  Andronovo culture, Sintashta culture, Srubnaya culture에서 비롯된 것이며, 철기시대이후로는  BMAC의 2차적인 영향을 받았고,  동 아리안언어의 하나인 스키타이계열의  일부를 이루는 사카언어와 함께 동아시아인의 유전적 영향을 받은 문화이다. 

 

 

Andronovo culture (source : Wikipedia)

 

Sintashta culture (source : Wikipedia)

 

 Srubnaya culture (source : Wikipedia)

 

사카는 일반적으로 아시아 초원지역의 유목민들을 일컫고, 흑해위의 초원지역 유목민들은 스키타인이라 말한다. 그러나,  고대 페르시아인, 고대 그리스인,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모든 초원의 유목민들을 Saka, Sakai, Sacae 등으로 불렀다고 우리는 위의 어원에서 살펴 보았다. 키메리언은 사카(스키타인)의 일종인데, 중앙아시아에서 아나톨리아를 거쳐 서진하여 대서양까지 이른 것을 필자는 키메리언에 관련한 여러 글에서 살펴 보았다. 

 

"However, the Sakas of the Asian steppes ar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cythians of the Pontic Steppe;[8][12] and although the ancient Persians, ancient Greeks, and ancient Babylonians respectively used the names "Saka," "Scythian," and "Cimmerian" for all the steppe nomads, the name "Saka" is used specifically for the ancient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while "Scythian" is used for the related group of nomads living in the western steppe.[8][13][14] While the Cimmerians were often described by contemporaries as culturally Scythian, they may have differed ethnically from the Scythians proper, to whom the Cimmerians were related, and who also displaced and replaced the Cimmerians.[15]

​(번역) 그러나, 아시아 초원의 사카인은 흑해  초원의 스키타인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비록 고대 페르시아인, 고대 그리스인,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각각 모든 초원의 유목민들을 'Saka', 'Scythian', Cimmerician'란 이름을 사용했지만,  'Saka'란 이름은 특히 동방 초원의 고대유목민들을 위해 쓰여졌고, 반면 스키타인은 서쪽 초원에 사는 유목민 관련 그룹을 위해 쓰여졌다. 키메리언은 문화적으로 스키타인으로 현대에서 자주 묘사되나, 그들은 종족적으로 스키타인 본류와 약간 다를 수 있다. 스키타인 본류는 키테리언과  관련 있으며, 또한 키메리언을 이동시키고 대체하기도 했다.  

 

아래 지도는 일반적인 서양사가 말하는 사카와 스키타이 지역을 모두 포함한 지역이다. 

 Map of Scythian and Saka (source : Wikipedia)

 

사카의 대표적인 유적지는 Arzhan, Pazyryk, Issyk, Tasmola, Tillya Tepe 지역등이다. 글 아래 내려가면 .유적지의 유물 연구에서 자세히 거론된다. 

 

Prominent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Sakas include Arzhan,[16] Tunnug,[17] the Pazyryk burials,[18] the Issyk kurgan, Saka Kurgan tombs,[19] the Barrows of Tasmola[20] and possibly Tillya Tepe.

​(번역) 사카의 유명 유적지로는 Arzhan, Tunnug, Pazyryk 매장지, Issyk Kurgan, Saka Kurgan 무덤들, Tasmola마차들, 그리고 Tillya Tepe지역이다. 

 

[출처] <펌>Saka - wikipedia(Feb 2024)|작성자 CG Park

 

 

스키타이의 이름이 인도유럽어 (s)kewd에서 나와서 (영어의 shoot가 되고) 이것이 skud가 되고, 스키타인이 자신들을 일컫는 Skuoa (archer, 궁수라는 뜻)라 했다는 주장이 있다. (아래 자료 참조) 활을 쏘는 모습을 특히 언급한 것이 주목된다.  키메리언, 스키타인, 사카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공통점이다. (아래 그림 찬조)

 

"From the Indo-European root (s)kewd-, meaning "propel, shoot" (and from which was also derived the English word shoot), of which *skud- is the zero-grade form, was descended the Scythians' self-name reconstructed by Szemerényi as *Skuδa (roughly "archer")."

[출처] <펌>Saka - wikipedia(Feb 2024)|작성자 CG Park

 

 

꼬깔모자를 쓰고 배사법으로 활을 쏘는 키메리언의 모습 (자료 : History Files)

 

아케메네스인들은 사카인을 3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다:

 

1) Saka beyond the sea (흑해 서쪽의 그리스와 트라키언)

2) Saka with pointed caps (꼬깔모자를 쓴 사카) (Massagetae)

3) Saka with Hauma drinkers (더 동쪽의 Saka, Hauma(Haoma)는 조로아스타교의 divine plant). (아래 자료 참조)

 

즉 그리스인들도 사카인(스키타인)이라는 것이고, 항가리 초원의 다뉴브강 북쪽의 사람들도 사카인이라는 것이다. 중앙아시아의 꼬깔모자를 쓴 이들도 사카인이라는 것이고, 마사게태 (Getae의 일종, 고트족과 관련 있음)도 사카인이라는 것이다. 

 

다리우스 1세의 원정길을 묘사한 비문에 의하면 에티오피아까지 사카인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카스피해 북쪽의 Daha people도 사카인으로 묘사하고 있다. (아래 자료 참조)

 

"For the Achaemenids, there were three types of Sakas: the Sakā tayai paradraya ("beyond the sea", presumably between the Greeks and the Thracians on the Western side of the Black Sea), the Sakā Tigraxaudā (the Massagetae, "with pointed caps"), the Sakā haumavargā ("Hauma drinkers", furthest East). Soldiers of the Achaemenid army, Xerxes I tomb detail, circa 480 BC.[40]

The Achaemenid inscriptions initially listed a single group of Sakā. However, following Darius I's campaign of 520 to 518 BC against the Asian nomads, they were differentiated into two groups, both living in Central Asia to the east of the Caspian Sea:[39][41]

  • the Sakā tigraxaudā (𐎿𐎣𐎠 𐏐 𐎫𐎡𐎥𐎼𐎧𐎢𐎭𐎠) – "Sakā who wear pointed caps," who were also known as the Massagetae.[42][43]
  • the Sakā haumavargā (𐎿𐎣𐎠 𐏐 𐏃𐎢𐎶𐎺𐎼𐎥𐎠) – interpreted as "Sakā who lay hauma (around the fire)",[44] which can be interpreted as "Saka who revere hauma."[45]

 

A third name was added after the Darius's campaign north of the Danube:[39]

  • the Sakā tayaiy paradraya (𐎿𐎣𐎠 𐏐 𐎫𐎹𐎡𐎹 𐏐 𐎱𐎼𐎭𐎼𐎹) – "the Sakā who live beyond the (Black) Sea," who were the Pontic Scythians of the East European steppes

 

An additional term is found in two inscriptions elsewhere:[46][39]

  • the Sakaibiš tayaiy para Sugdam (𐎿𐎣𐎡𐎲𐎡𐏁 𐏐 𐎫𐎹𐎡𐎹 𐏐 𐎱𐎼 𐏐 𐎿𐎢𐎥𐎭𐎶) – "Saka who are beyond Sogdia", a term was used by Darius for the people who formed the north-eastern limits of his empire at the opposite end to the satrapy of Kush (the Ethiopians).[47][48] These Sakaibiš tayaiy para Sugdam have been suggested to have been the same people as the Sakā haumavargā[49]

 

Moreover, Darius the Great's Suez Inscriptions mention two groups of Saka:[50][51]

  • the Sꜣg pḥ (𓐠𓎼𓄖𓈉) – "Sakā of the Marshes"
  • the Sk tꜣ (𓋴𓎝𓎡𓇿𓈉) – "Sakā of the Land"

The scholar David Bivar had tentatively identified the Sk tꜣ with the Sakā haumavargā,[52] and John Manuel Cook had tentatively identified the Sꜣg pḥ with the Sakā tigraxaudā.[49] More recently, the scholar Rüdiger Schmitt has suggested that the Sꜣg pḥ and the Sk tꜣ might have collectively designated the Sakā tigraxaudā/Massagetae.[53]

 

The Achaemenid king Xerxes I listed the Saka coupled with the Dahā (𐎭𐏃𐎠) people of Central Asia,[47][49][46] who might possibly have been identical with the Sakā tigraxaudā.[54][55][56] "

 

[출처] <펌>Saka - wikipedia(Feb 2024)|작성자 CG Park

 

 

중앙아시아  Confederatjia Dahae (Daha) 위치

 

 Mounted archer of Dahae people(in British Musem) (source : Dahae, Livius,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Dahae/Hyrcania)

 

 

III. 사카의 역사

 

사카의 역사는 일부만 전하고 있다. 그리스문명의 일부인 박트리아문명이 중앙아시아에 있어 그리스에 관련 기록이 있고, 아케메네스제국과 미디어제국 등과 충돌하면서 관련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원전 10세기이후에나 기록이 있는 것이다. 그 전의 역사는 유물로 나온 것에 의존하여 판단할 수 밖에 없다. 사카의 지역이 남시베리아, 몽고지방, 바이칼지역 등에서 있었는 바, 그 역사가 없어 아쉽다.  사카의 선조 문화격인 기원전 2000년경 이후의 Androvono culture, Sintashta culture, Sbrunaya culture에 대해서는 별도로 글을 통해 살펴 보고자 한다. 

 

1. Early history

Sakā Tigraxaudā tribute bearers to the Achaemenid Empire, Apadana, Staircase 12.[78]

 

아래 위키피디아 자료에서는 사카는 유물로 볼 때, 기원전 8세기부터 활동한 것으로 말한다. 그리고 동쪽의 사카가 스키타인을 서쪽으로 몰아  내고, 스키타인은 다시 키메리언을 더 서쪽으로 몰아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도 사카와 스키타인, 키메리언이 서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말한다. 이 같은 설명은 훈족이 게르만족을 이동시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있었다는 설명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필자는 훈족이 대서양까지 진출할 때, 반달족, 알란족 등과  동행하는 역사를 주장했다. 그리고 고트족과 훈족은 동일한 것으로 판단했다.  마찬가지로, 사카와 스키타이, 그리고 키메리언이 동일 집단으로서 서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본다. 사카, 스키타이의 문화는 동일한 것으로 묘사하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한 느낌이 든다. 서양사가들은 동쪽 아시아에서 유라시아를 건너 대서양까지 진출하는 역사를 받아들이기 싫은 것인지도 모른다.   

사카는 그러나 아케메네스제국과의 충돌을 보면, 그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사카가 포로로 잡힌 부조물이 있는 것을 보면 더욱 증명이 된다. (아래 그림 참조) 아케메네스제국의 역사에도 기록되어 있다. 

 

 

Captured Saka king Skunkha, from Mount Behistun, Iran, Achaemenid stone relief from the reign of Darius I (r. 522–486 BC)

 

적어도 이러한 역사적 기록이 있어야 충돌로 인해 스키타이가 사카에 밀려 서진하고, 키메리언이 스키타이에 밀려 서진했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카와 스키타이 사이의 이러한 기록과 장면이 있는지 의문이 든다. 

 

The Saka are attested in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cords dating to around the 8th century BC.[79]  The Saka tribe of the Massagetae/Tigraxaudā rose to power in the 8th to 7th centuries BC, when they migrated from the east into Central Asia,[53] from where they expelled the Scythians, another nomadic Iranian tribe to whom they were closely related, after which they came to occupy large areas of the regio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BC.[42] The Massagetae forcing the Early Scythians to the west across the Araxes river and into the Caucasian and Pontic steppes started a significant movement of the nomadic peoples of the Eurasian Steppe,[80] following which the Scythians displaced the Cimmerians and the Agathyrsi, who were also nomadic Iranian peoples closely related to the Massagetae and the Scythians, conquered their territories,[80][81][42][82][83][84] and invaded Western Asia, where their presence ha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the ancient civilisations of Mesopotamia, Anatolia, Egypt, and Iran.[82]

 

(번역) 사카는 역사적으로 고고학적 유물적인 기록에서 약 기원전 8세기로 올라 간다. 

마사게태 사카족(Tigraxauda)은 동쪽에서  중앙아시아로 이동해 온 기원전 8-7세기에 강력해진다. 그들은 그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 있는 아리안계 유목민 스키타인을 중앙아시아에서 쫓아내고, 그이후 기원전 6세기부터 광범위한 중앙아시아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다. 마사게태는 초기 스키타인들을 서쪽으로 Araxes강을 지나 코카서스, 흑해위 초원지역으로 가게 했는데, 이는 유라시아 초원의 유목민들의 의미있는 이동을 시작한 것이다. 이는 스키타인이 마사게태와 스키타인과 밀접하게 연관된 키메리언과 Agathyrsi를 이동시켰고, 그들의 영역을 정복하고 서아시아를 침범했다. 서아시아에서의 이들의 출현은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이집트, 그리고 이란의 고대 문명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Diodorus는 Parthians이 Medes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후에 Parthians은 사카의 보호하에 들어갔다 한다. 이후 사카와 Medes제국 사이  긴 전쟁이 있었으며, 사카는 여왕 Zarinaea가 통치하고 있었다 한다. 긴 전쟁후 다시 평화체제가 된 후에  파르티언은 다시 메데스제국의 지배를 받아 들였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여기서 2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1) 사카의  여왕 지배. 이후에도 여왕의 이야기는 계속 나온다. 그리고 모계사회라는 언급도 있다. 여전사도 많이 언급된다. 즉 사카에는 여자가 전쟁이나 통치 등에 있어 활발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2) 파르티언이 메데스보다는 사카와 더 가까운 사이인 것 같다는 느낌이다. 필자는 배사법으로 말위에서 활을 쏘는 것을 "Parthian shot"이라 하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았다. (아래 그림 참조) Parthian Empire에 대해서 아직 확신은 없는데, 사카의 한 종족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Dahae도 사카라 했으며, Dahae는 그 종족 중  하나인 Parni가 Parthian Empire인 Parthia가 된다. (아래 인용 자료 참조)

 

 Relief from the "Hephthalite bowl "(British Museum) depicting a Parthian shot (source : Wikipedia)

 

"The Dahae dissolved, apparently, some tim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st millennium. One of the three tribes of the Dahae confederation, the Parni, emigrated to Parthia (present-day north-eastern Iran), where they founded the Arsacid dynasty."

 

 

During the 7th century BC itself, Saka presence started appearing in the Tarim Basin region.[79]

According to the ancient Greek historian Diodorus Siculus, the Parthians rebelled against the Medes during the reign of Cyaxares, after which the Parthians put their country and capital city under the protection of the Sakas. This was followed by a long war opposing the Medes to the Saka, the latter of whom were led by the queen Zarinaea. At the end of this war, the Parthians accepted Median rule, and the Saka and the Medes made peace.[85][86][87]

 

(번역) 기원전 7세기에는 사카는 타림분지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Diodorus Siculus에 의하면, Parthians은 Cyaxares통치시기에 Medes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후에 파르티언은 사카의 보호하에 들어 갔다. 이것은 Medes와 사카가 긴 전쟁을  하게 했으며, 사카는 여왕 Zarinaea가 통치하고 있었다. 이 전후, 파르티언은 Medes의 지배를 받았으며, 사카와 Medes는 평화체제를 가졌다. 

 

 

그리스 역사학자  Ctesias에 의하면, 아케메네스제국의 창시자 사이러스는 그의 할아버지  메디언 왕 Astyages을 전복시켰다. 이에 따라 박트리언은 그를  Astyages의 후계자로 받아 들이고 복종했다. 이후 사이러스는 시르다리야강가에 Cyropolis 도시를 세우고 사카로부터 제국의 북쪽 국경을 지키기 위해 7개 성을 쌓았다. 즉 사카와 아케메네스제국은 명백한 적대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사이러스는 이후 사카 haumavarga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그   왕 Amorges를 생포한다. 이후 사카의 여왕 Sparethra는 많은 남녀 전사들을 동원하여 사이러스왕을 패배시킨다. 더구나 사이러스의 부인의 오빠인 Parmises와 그의 세아들을 생포한다. 그리고 Amorges와 포로교환을 한다. 이후 사이러스와 Amorges는 동맹이 되어, 리디아를 정복하는데 함께 했다고 한다.  사카의 일부와 아케메네스제국이 전쟁후 동맹이 된 사례를 말하고 있다. 

 

 

The Sakas as subjects of the Achaemenid Empire on the statue of Darius I, circa 500 BC.

According to the Greek historian Ctesias, once the Persian Achaemenid Empire's founder, Cyrus, had overthrown his grandfather the Median king Astyages, the Bactrians accepted him as the heir of Astyages and submitted to him, after which he founded the city of Cyropolis on the Iaxartes river as well as seven fortresses to protect the northern frontier of his empire against the Saka.

 

Cyrus then attacked the Sakā haumavargā, initially defeated them and captured their king, Amorges. After this, Amorges's queen, Sparethra, defeated Cyrus with a large army of both men and women warriors and captured Parmises, the brother-in-law of Cyrus and the brother of his wife Amytis, as well as Parmises's three sons, whom Sparethra exchanged in return for her husband, after which Cyrus and Amorges became allies, and Amorges helped Cyrus conquer Lydia.[88][89][90][91][92][93]

 

(번역) BC 500년 다리우스 1세때의 아케메네스제국의 피지배자로서 사카

그리스 역사학자 Ctesias에 따르면, 페르시아 아케메네스제국의 창시자 사이러스는 그의 할아버지인 미디어왕 Astyages를 전복하자, 박트리언은 그를 Astyages의 후계자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복종했다. 이후 사이러스는 Cyropolis도시를 Iaxartes강(=시르다리야강)에 건설하고 사카에 대항하여 제국의 북쪽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일곱개의 성들을 구축했다. 사이러스는 그후 Saka haumavarga를 공격해서 패배시키고 왕 Amorges를 생포했다.  이후 Amorges의 왕비(여왕) Sparethra는 많은 수의 남전사, 여전사를 동원하여 사이러스 왕을 패배시키고, 사이러스 부인, Amytis의 오빠인 Parmises와 그의 세아들을 생포했다. 그후 Sparthra는 그의 남편 과 이들을 교환했다. 이후 사이러스와 Amorges는 동맹이 되었고, Amorges는 사이러스가 리디아를 정복하는데 도왔다. 

 

 

사이러스는  사카 haumavarga Amorges와 함께 Saka tigraxauda (마사게태)를 기원전 530년 공격했다. 헤로도투스에 의하면, 사이러스는 계략에 의해 마사게태 일부진영을 점령했으나, 이후 마사게태 여왕 Tomyris는 주력부대를 이끌고 페르시아군과 전쟁하여 사이러스를 패배시키고 사이러스의 잘려진 목을 자루에 담았다 한다. 다른 버전도 있다 하는데, 마사게태의 일원인 Derbices에 의해 치명상을 입은 후, 사카 haumavarga군대와 Amorges의 도움으로 이들을 물리친 후, 사이러스는 유언으로 Amorges와 어머니를 존경하라고 했다 한다.  

 

Queen Tomyris and head of Cyrus painted by Mattia Presti, 1680s (source : Wikipedia)

 

Cyrus, accompanied by the Sakā haumavargā of his ally Amorges, later carried out a campaign against the Massagetae/Sakā tigraxaudā in 530 BC.[53] According to Herodotus, Cyrus captured a Massagetaean camp by ruse, after which the Massagetae queen Tomyris led the tribe's main force against the Persians, defeated them, and placed the severed head of Cyrus in a sack full of blood. Some versions of the records of the death of Cyrus named the Derbices, rather than the Massagetae, as the tribe against whom Cyrus died in battle, because the Derbices were a member tribe of the Massagetae confederation or identical with the whole of the Massagetae.[94][53] After Cyrus had been mortally wounded by the Derbices/Massagetae, Amorges and his Sakā haumavargā army helped the Persian soldiers defeat them. Cyrus told his sons to respect their own mother as well as Amorges above everyone else before dying.[93]

 

(번역) 동맹군 Amorges의 Saka haumavarga를 대동한 Cyrus는 기원전 530년 Massagetae/Saka tigraxauda를 공격했다. 헤로도투스에 의하면, Cyrus는 계략으로 마사게태 진영을 확보했으나, 마사게태의 여왕 Tomyris는 주력부대를 이끌고   페르시아를 공격해 Cyrus를 패퇴시키고 Cyrus의 잘려진 목을 자루에 넣었다. Cyrus의 죽음에 대한 다른 버전은 Cyrus가 죽은 전쟁의 상대가 마사게태가 아닌 Derbices라 하는데, Derbices가 마사게태 연합의 구성 종족 또는 마사게태 전체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Cyrus가 Derbices/Massagetae에 의해 치명적으로 부상을 당한 후, Amorges와 그의 Saka/haumavarga군대는 페르시아 군대가 그들을 패배시키는데 도왔으며, Cyrus는 그의 아들들에게 죽기전에 누구보다도 Amorges와 그들의 어머니를 존경하라고 말했다 한다. 

 

 

 

Location of Massagetae in Saka Realm (source : Wikipedia)

 

 

약 30개의 Kurgans 사카무덤이 천산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기원전 550-250년사이의 것이라 한다.  즉 이 지역까지 사카지역이었다는 증거이다. 

 

Possibly shortly before the 520s BC, the Saka expanded into the valleys of the Ili and Chu in eastern Central Asia.[63] Around 30 Saka tombs in the form of kurgans (burial mounds) have also been found in the Tian Shan area dated to between 550 and 250 BC.[79]

 

(번역) 아마도 기원전 520년대 직전에, Saka는 동쪽의 중앙아시아에 있는 Ili와 Chu계곡까지 팽창했다. Kurgans(무덤언덕) 형태의 약 30개 사카 무덤이 천산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550년 -250년 BC사이의 기간의 것으로 추정된다. 

 

 

Polyaenus에 의하면, 다리우스는 3명의 왕 (Sacesphares, Amorges 또는 Homarges, Thamyris)에 의해 이끄는 3개의 군대에 대항해 싸웠다. 이는 정확한 페르시아 역사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다리우스의 행정적 개혁이후, Saka tigraxauda는 Medes와 같은 세금구역으로 포함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마사게태는 다리우스에 세금을 내는 것으로 합의한 것 같다. 

위의 기록에서 Amorges는 사이러스와 동맹이 되어 마사게태와 싸웠다는 것을 보았는데, Darius 시기에는 상반된 내용을 담고 있다. 즉 마사게태 여왕으로 보이는 Tomyris와 이름이 유사한 Thamyris는 Saka haumavarga의 Amorges왕과 합세하여  다리우스 1세와 전쟁했다는 Polyaenus기록이다. 

 

 

Darius I waged wars against the eastern Sakas during a campaign of 520 to 518 BC where, according to his inscription at Behistun, he conquered the Massagetae/Sakā tigraxaudā, captured their king Skunxa, and replaced him with a ruler who was loyal to Achaemenid rule.[53][93][95] The territories of the Saka were absorbed into the Achaemenid Empire as part of Chorasmia that included much of the territory between the Oxus and the Iaxartes rivers,[96] and the Saka then supplied the Achaemenid army with a large number of mounted bowmen.[97] 

 

According to Polyaenus, Darius fought against three armies led by three kings, respectively named Sacesphares, Amorges or Homarges, and Thamyris, with Polyaenus's account being based on accurate Persian historical records.[93][98][99] After Darius's administrative reforms of the Achaemenid Empire, the Sakā tigraxaudā were included within the same tax district as the Medes.[100]

 

(번역) Darius I세는 BC 520-518 BC 기간중에 동부 사카에 대한 전쟁을 하였다 Behistun 비문에 의하면, 그는 Massagetae/Saka tigtaxauda를 정복하고 그들의 왕 Skunxa를 생포하고, 아케메네스 지배에 충성하는 지배자로 대체했다. 사카의 영토는 Chorasmia일부로서 아케메네스제국에 흡수되었는데,  이 지역은 Oxus강과 Iaxartes강 사이의 영토의 많은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카는 많은 수의 기병 궁수를 아케메네스 군대에게 제공한다.

 

Polyaenus에 의하면, 다리우스는 3명의 왕 (Sacesphares, Amorges 또는 Homarges, Thamyris)에 의해 이끄는 3개의 군대에 대항해 싸웠다. 이는 정확한 페르시아 역사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다리우스의 행정적 개혁이후, Saka tigraxauda는 Medes와 같은 세금구역으로 포함되었다.  

............

그리스-로마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박트리언을 멸망 시킨 4개 부족을 언급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카부족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 (아래 자료 참조)

 

The ancient Greco-Roman geographer Strabo noted that the four tribes that took down the Bactrians in the Greek and Roman account – the Asioi, Pasianoi, Tokharoi and Sakaraulai – came from land north of the Syr Darya where the Ili and Chu valleys are located.[131][63] Identification of these four tribes varies, but Sakaraulai may indicate an ancient Saka tribe, (the Tokharoi is possibly the Yuezhi, and while the Asioi had been proposed to be groups such as the Wusun or Alans.)[131][132]

 

(번역) 고대  그리스-로마 지리학자 Strabo는 박트리안을 멸망시킨 4개 부족을 언급했다. Asioi, Pasianoi, Tokharoi 그리고  Sakaraulai인데, 이들은 Ili계곡과 Chu계곡이 있는 시르다리야강 북쪽의 땅에서 왔다. 이들 4개 부족은 그 정체성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Sakaraulai는 아마도 사카부족을 가리키는 것일 것이다. 

 
 
 
 

Map of Sakastan ("Land of the Sakas"), where the Sakas resettled c. 100 BC

 

사카는 소그디니아, 박트리아 지역 등을 정복하고, 나아가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지역까지 진출했다고 한다. 파르티언 제국을 공격하여 두 왕을 죽이기도 하였다. 이들 지역은 사카스탄으로 불리었고, 북인도의 Kharosthi비문으로 증명된다. (아래 자료 참조)

 

 

René Grousset wrote of the migration of the Saka: "the Saka, under pressure from the Yueh-chih [Yuezhi], overran Sogdiana and then Bactria, there taking the place of the Greeks." Then, "Thrust back in the south by the Yueh-chih," the Saka occupied "the Saka country, Sakastana, whence the modern Persian Seistan."[131] Some of the Saka fleeing the Yuezhi attacked the Parthian Empire, where they defeated and killed the kings Phraates II and Artabanus.[120] These Sakas were eventually settled by Mithridates II in what become known as Sakastan.[120] 

According to Harold Walter Bailey, the territory of Drangiana (now in Afghanistan and Pakistan) became known as "Land of the Sakas", and was called Sakastāna in the Persian language of contemporary Iran, in Armenian as Sakastan, with similar equivalents in Pahlavi, Greek, Sogdian, Syriac, Arabic, and the Middle Persian tongue used in Turfan, Xinjiang, China.[104] This is attested in a contemporary Kharosthi inscription found on the Mathura lion capital belonging to the Saka kingdom of the Indo-Scythians (200 BC – 400 AD) in North India,[104] ....

 

(번역) 르네 그루세는 사카의 이동에 대해 썼다.  사카는 소그디니아와 박트리아를 유린하고 그리스인 땅을 취했다. 사카는 현재의 페르시아 Seistan인 Sakastana, 사카지방을 점령했다.  어떤 사카는 파르티언 제국을 공격하여 왕 Phraates II와 Artabanus를 패배시키고 죽였다. 이들 사카는 Sakastan으로 알려진 지역에 Mithridates II에 의해 궁극적으로 정착했다. 

 

Harold Walter Bailey에 의하면, Drangiana 영토(지금의 아프카니스탄과 파키스탄)는 "사카의 땅"이 되었고, 페르시아어로 Sakastana, 아르메니아어로 Sakastan을 불렸고, 팔라비, 그리스어, 소그디니아어, 시리아어, 아랍어, Turfan에서 사용되는 중부 페르시아어, 신장어, 중국어 등에서도 유사하게 불렸다. 이것은 북인디아의 인도-스키타인 (200 BC - 400 AD) 사카왕국에 속하는 Mathura lion capital에서 발견된 Kharosthi 비문에서 증명된다. 

 

Iaroslav Lebedynsky and Victor H. Mair일부 사카는 남중국의 운남성지역까지 진출했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운남의 Dian 왕국의 선사시대 예술은 중앙아시아인 복장에 코카서스 말탄사람들의 사냥장면을 보여 주었다. 소들을 공격하는 고양이과 동물들의 모습은 그 주제나 구성에 있어서 스키타이 예술에 자주 나타나는 장면이다. (아래 자료 참조)

운남성 지역은 미얀마, 라오스의 북쪽이다. 필자는 티베트-버마어가 SOV순으로 되어 있는 전형적인 지나-티베트어라 지난 글 (신석기시대 동북아시아 홍산문화와 황하의 앙소문화 고찰)에서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런 지나-티베트어는 황하의 앙소문화지역에서 퍼졌다는 설(아래  그림 1)과 북동쪽 인도에서 중국남쪽으로 퍼졌다는 설(아래 그림 2)이 있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사카의 운남성 진출은 이전부터의 이런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만약 그림 1설을 가정한다면 사카가 황하에서 더 남서쪽으로 진출했다는 가정이 되고, 그림 2설을 따른다면, 사카가 인도 북동쪽에도 진출했다는 가정이 된다. 

 

 

https://lostcorea.tistory.com/1893

 

 

 

 

그림 1. 지나-티베트어의 황하 앙소문화 오리진과 전파  가설 (자료 : 위키피디아)

 

 

그림 2. 지나-티베트어의 북동쪽 인도 오리진과 중국 전파의 가설 (자료 : 위키피디아)

 

Iaroslav Lebedynsky and Victor H. Mair speculate that some Sakas may also have migrated to the area of Yunnan in southern China... Excavations of the prehistoric art of the Dian Kingdom of Yunnan have revealed hunting scenes of Caucasoid horsemen in Central Asian clothing.[134] The scenes depicted on these drums sometimes represent these horsemen practising hunting. Animal scenes of felines attacking oxen are also at times reminiscent of Scythian art both in theme and in composition.[135] Migrations of the 2nd and 1st century BC have left traces in Sogdia and Bactria, but they cannot firmly be attributed to the Saka, similarly with the sites of Sirkap and Taxila in ancient India. The rich graves at Tillya Tepe in Afghanistan are seen as part of a population affected by the Saka.[136]

 

(번역) Iaroslav Lebedynsky and Victor H. Mair는 일부 사카는 남중국의 운남성지역까지 이동했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운남의 Dian 왕국의 선사시대 예술은 중앙아시아인 복장에 코카서스 말탄사람들의 사냥장면을 보여 주었다. 이 북들에 그려진 장면들은 이들 말탄사람들이 사냥을 하는 장면을 나타낸다. 소들을 공격하는 고양이과 동물들의 모습은 그 주제나 구성에 있어서 스키타이 예술에 자주 연상되는 장면이다. BC 2세기-1세기의 이동은 소그디아, 박트리아에서 흔적이 남아 있으나, 확실하게 사카의 것이라 말할 수는 없으며, 고대 인도의 Sirkap이나 Taxila도 마찬가지이다. 아프카니스탄의 Tillya Tepe의 많은 무덤들은 사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일부로 보인다.   

 

 

2. Historiography

 
 
 
 
 

Distribution of Iranic peoples in Central Asia during the Iron Age. Saka included.

 
 

페르시언은 모든 북쪽의 유목민들을 사카(Sacae)라 불렀다. 헤로도투스는 이들을 스키타인이라 불렀다. 즉 사카가 스키타인이라는 것이다. 사카가 서쪽으로 밀어낸 스키타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헤로도투스가  묘사한 사카는 바지를 입고, 꼬깔모자를 쓰고, 그들 특유의 활과 단검을 차고, 전투용 도끼도 지녔다. (아래 자료 참조)

 

Persians referred to all northern nomads as Sakas. Herodotus (IV.64) describes them as Scythians, although they figure under a different name:

The Sacae, or Scyths, were clad in trousers, and had on their heads tall stiff caps rising to a point. They bore the bow of their country and the dagger; besides which they carried the battle-axe, or sagaris. They were in truth Amyrgian (Western) Scythians, but the Persians called them Sacae, since that is the name which they gave to all Scythians.

 

 

(번역) 페르시언은 모든 북쪽의 유목민들을 사카라 부른다. 헤로도투스는, 비록 다른 이름으로 나타나지만,  이들을 스키타인이라 묘사한다.: Sacae, 또는 Scyths는 바지를 입고, 끝이 뾰족한 모자를 머리위에 쓴다. 그들은 그들 나라의 활을 차고 단검을 가졌다. 그외에도 전투용 도끼 또는 sagaris를 지닌다. 그들은 정말로 Amyrgian(Western) Scythians이나, 페르시언들은 그들을 Sacae라 부른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들이 모든 스키타인에게 준 이름이기 때문이다.  

 

기원전 1세기의 스트라보도 박트리아와 소그디니아 동쪽의 중앙아시아  초원의 사람들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했다. 스트라보는 스키타인이라고 믿는 다양한 부족들을  열거했다. 사카도 포함되었다. 필자는 스트라보의 기록이 더 사카, 스키타인의 묘사에 충실할 것이라 판단한다. 관련 없는 부족을 포함했다는 위키피디아 저자의 말보다 말이다. 

 

 

Strabo

 

In the 1st century BC, the Greek-Roman geographer Strabo gave an extensive description of the peoples of the eastern steppe, whom he located in Central Asia beyond Bactria and Sogdiana.[147]

 

Strabo went on to list the names of the various tribes he believed to be "Scythian",[147] and in so doing almost certainly conflated them with unrelated tribes of eastern Central Asia. These tribes included the Saka.

(번역) 기원전 1세기의 그리스-로마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박트리아와 소그디니아 넘어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동부 초원의 사람들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했다. 스트라보는 그가 스키타인이라 믿은 다양한 부족들의 이름을 열거했는데, 이러면서 동부 중앙아시아의 관련 없는 부족들마저 통합시켰다. 이들 부족들은 사카를 포함했다. 

 

스트라보가 열거한 스키타인(사카, Sacae)은 카스피해의 Daae(Dahae), 그 동쪽의  Massagetae, 박트리아를 정복하고 그 땅을 차지한 시르다리야강 건너 편에서 온 Asii, Pesiani, Tochari, Sacarauli, 그리고 Daae(Dahae)의 일부인 Aparni, Xanthii, Pissuri, 등이  언급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Now the greater part of the Scythians, beginning at the Caspian Sea, are called Däae, but those who are situated more to the east than these are named Massagetae and Sacae, whereas all the rest are given the general name of Scythians, though each people is given a separate name of its own. They are all for the most part nomads. But the best known of the nomads are those who took away Bactriana from the Greeks, I mean the Asii, Pasiani, Tochari, and Sacarauli, who originally came from the country on the other side of the Iaxartes River that adjoins that of the Sacae and the Sogdiani and was occupied by the Sacae. And as for the Däae, some of them are called Aparni, some Xanthii, and some Pissuri. Now of these the Aparni are situated closest to Hyrcania and the part of the sea that borders on it, but the remainder extend even as far as the country that stretches parallel to Aria. Between them and Hyrcania and Parthia and extending as far as the Arians is a great waterless desert, which they traversed by long marches and then overran Hyrcania, Nesaea, and the plains of the Parthians. And these people agreed to pay tribute, and the tribute was to allow the invaders at certain appointed times to overrun the country and carry off booty. But when the invaders overran their country more than the agreement allowed, war ensued, and in turn their quarrels were composed and new wars were begun. Such is the life of the other nomads also, who are always attacking their neighbors and then in turn settling their differences.

(Strabo, Geography, 11.8.1; transl. 1903 by H. C. Hamilton & W. Falconer.)[147]

(번역) 카스피해에서 시작하여 스키타인의 대부분은 Daae라 불리운다. 그러나 이들보다 더 동쪽에 있는 사람들은 Massagetae, Sacae라 불린다. 그리고 나머지 모두 일반적으로 스키타인이라 불린다. 그러나 그들 스스로는 다른 이름들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유목민들이다. 가장 잘 알려진 유목민들은 박트리아를 그리스로부터 빼앗아간 이들인데, Asii, Pasiani, Tochari, Sacarauli 등인데, 이들은 본래 Iaxartes강 다른 쪽에 있는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다. Sacae와 소그디아니는 이 강에 접해있으며, Sacae가 점령하고 있었다. Daae에 관련하여서는, 몇몇 그들은 Aparni, Xanthii, Pissuri라 불렸다. 이들 중 Aparni는 Hyrcania와 그에 접한 바다의 일부에 가장 가까이 접했고,  나머지들은 Aria에 평행한 지역까지 멀리 뻗어 있었다. 그들과 Hyrcania, Parthia, 그리고 아리언까지 뻗은 지역사이에는 물이 없는 사막이 있는데, 이들은 이 사막을 넘어 Hyrcania, Nesaea, Parthian평야까지 유린했다. 이들은 공물을 바치기로 동의했고, 공물은 이들 침입자들이 어떤 시점까지는 약탈하는 것을 허락했다. 그러나 조약상의 허락된 이상 유린할 때는 전쟁이 났으며, 다시 전투는 새로운 전쟁을 시작하게 했다. 이러한 것이 다른 유목민들의 삶의 방식이었으며, 항상 이웃들을 공격하고, 다시 그들의 방식을 정착시켰다. 

 

 

IV. 유전자학으로 본 사카인

 

카자흐스탄 남녀 유골분석은 유럽계와 아시아계가  혼재함을 말해 준다. (아래 자료 참조) 이는 유럽에서  아시아에 걸친 즉 유라시아에 걸친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Genetics

The earliest studies could only analyze segments of mtDNA, thus providing only broad correlations of affinity to modern West Eurasian or East Eurasian populations. For example, in a 2002 study the mitochondrial DNA of Saka period male and female skeletal remains from a double inhumation kurgan at the Beral site in Kazakhstan was analysed. The two individuals were found to be not closely related. The HV1 mitochondrial sequence of the male was similar to the Anderson sequence which is most frequent in European populations. The HV1 sequence of the female suggested a greater likelihood of Asian origins.[164]

 

(번역) 가장 먼저된 연구는 단지 미토콘드리아 DNA의 부분적 분석만 이루어졌다. 그래서 현대의 서부 유라시언 또는 동부 유라시언사람들과 개괄적인 유사성만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2002년 연구에서 사카시기의 남녀 유골(카자흐스탄의 Beral site 두개의 봉분에서 채취)의 미토콘드리아 DNA분석이 이루어졌다. 두 사람들은 서로 연관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남자의 HV1 미토콘드리아 계열은 유럽인에게서 가장 흔한 Anderson계열과 유사했다. 여성의 HV1계열은 아시아 오리진에 매우 가까왔다. 

 

 

최근의 알타이지역의 DNA 연구도 이들이 유로-몽골로이드  오리진이 혼합된 것을 보여 주어 역시 같은 결론을 추론할 수 있다. 

 

More recent studies have been able to type for specific mtDNA lineages. For example, a 2004 study examined the HV1 sequence obtained from a male "Scytho-Siberian" at the Kizil site in the Altai Republic. It belonged to the N1a maternal lineage, a geographically West Eurasian lineage.[165] Another study by the same team, again of mtDNA from two Scytho-Siberian skeletons found in the Altai Republic, showed that they had been typical males "of mixed Euro-Mongoloid origin". One of the individuals was found to carry the F2a maternal lineage, and the other the D lineage, both of which are characteristic of East Eurasian populations.[166]

 

(번역) 가장 최근의 연구는 특수한 mtDNA계열을 정형화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2004년 연구는 알타이공화국의 Kizil site에서의 남자 "Scytho-Siberian"으로부터 얻은 HV1 계열을 검사했다. 그것은 N1 모계계열에 속했는데, 지리적으로 서부 유라시언 계열이다.  같은 팀에 의한 또 다른 연구는 역시, 알타이공화국에서 찾은 두 Scytho-Siberians 유골로부터 얻은 mtDNA는 그들이 전형적인 유로-몽골로이드 오리진이 혼합된 남자임을 보여 준다. 한 사람은 F2모계계열을 가졌고, 다른 하나는 D계열을 가졌으며, 둘다 모두 동부 유라시언 사람들의 특징이다. 

 

 

 

A Saka man from the Pazyryk culture (reconstruction from burials, Anokhin Museum).[167]

 

청동기시기에는 서부유라시언 계열이 동부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고, 반대로 철기시기에는 동부유라시언 계열이 서부 초원에 더 자주 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발칸지역, 다뉴브강지역, 이란지역에서 북쪽 초원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난다. (아래 자료 참조)

 

이는 청동기 시기에는 서부 유라시아가 더 문명이 발전하여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철기시기에는 반대로 동유라시아 지역에 더 강력한 세력이 있어 서부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These early studies have been elaborat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by Russian and western scholars. Conclusions are (i) an early, Bronze Age mixing of both west and east Eurasian lineages, with western lineages being found far to the east, but not vice versa; (ii) an apparent reversal by Iron Age times, with an increasing presence of East Eurasian mtDNA lineages in the Western steppe; (iii) the possible role of migrations from the south, the Balkano-Danubian and Iranian regions, toward the steppe.[168][169]

 

(번역) 이러한 초기 연구들은 러시아와 서구학자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연구가 되면서 발전되었다. 결론은 : (i) 초기 청동기시기에는 서부유라시언계열과 동부 유라시언계열이 혼합되지만, 서부계열은 멀리 동부까지 발견되지만, 그 역으로는 아니다. (ii) 철기시기에는  명확히 반대의 현상으로, 동부 유라시언 mtDNA계열이 서부초원에서 더 빈번하게 출현한다. (iii) 아마도 남쪽(Balkano-Danubian and Iranian regions)에서 초원쪽으로 이동한 결과일 수 있다. 

 

 

기원전 2천년대 중반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사이 (스키타인과 사르마티언 시대) 시기의 시베리아 Krasnoyarsk지역에서 얻은 26개 고대 인간 표본의 연구 결과,   청동기와 철기시기 사이에, 스키타인, 안드로노비언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진  사람들의 무리는 blue-(or green) eyed, fair-skinned, light-haired people이었으며, 동유럽인에 더 유전적으로 근접하였다. (아래 자료 참조)  즉 청동기 시기에는 시베리아 Krasnoyarsk지역 표본에서 동유럽으로유럽인의 유전자가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것은 동유럽인의 동쪽이동을 말하는데, 인류이동 역사를 보건데, 구석기시기(15000-9000 BP)에는 동시베리아의 고대북유라시언 (ANE)이 유럽으로 이동했지만, 이후 청동기시기에는 동유럽인이 중앙아시아 스키타인(안드로노비언)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 

 

Haplogroups

 

Ancient Y-DNA data was finally provided by Keyser et al in 2009. They studied the haplotypes and haplogroups of 26 ancient human specimens from the Krasnoyarsk area in Siberia dated from between the middle of the 2nd millennium BC and the 4th century AD (Scythian and Sarmatian timeframe). Nearly all subjects belonged to haplogroup R-M17. The authors suggest that their data shows that between the Bronze and the Iron Ages the constellation of populations known variously as Scythians, Andronovians, etc. were blue- (or green-) eyed, fair-skinned and light-haired people who might have played a role i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Tarim Basin civilisation.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they were genetically more closely related to modern populations in eastern Europe than those of central and southern Asia.[170] The ubiquity and dominance of the R1a Y-DNA lineage contrasted markedly with the diversity seen in the mtDNA profiles.

 

(번역) 고대 Y-DNA 자료가 2009년 Keyser와 그외인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들은 기원전 2천년대 중반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사이 (스키타인과 사르마티언 시대) 시기의 시베리아 Krasnoyarsk지역에서 얻은 26개 고대 인간 표본의 haplotypes과 haplogroups을 연구했다. 거의 모든 주제는 haplogroup R-M17에 귀결되었다. 저자는 제시하기를, 그들의 자료는,  청동기와 철기시기 사이에, 스키타인, 안드로노비언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진   사람들의 무리는 blu-(or green) eyed, fair-skinned, light-haired people이었으며, 이들이 아마도 타림지역 문명의 초기 발달을 주도한 사람들일 수 있다고 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그들이 현대의 중앙아시아나 남아시아인 보다 동유럽인에 더 유전적으로 근접하였다고 밝혀냈다. R1a Y-DNA계열의 주도적인 존재성은 mtDNA프로파일에서 보여지는 다양성과는 명확히 반대되는 현상이다. 

 

천산 사카에서 추출된 Y-DNA의 6개 샘플은 서부 유라시언 유전자에 속했다. 5개 중앙초원 남자 사카인은 4개 샘플이 서부유라시언에 속하고, 1개 샘플은 동부유라시언에 속했다. 즉 천산사카는 서부 유라시아에서 동진하여 이동해 온 것으로 판단된다. 타림분지의 미이라가 금발의 미이라라는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결과이다. 

 

A genetic study published in Nature in May 2018 examined the remains of twenty-eight Inner Asian Sakas buried between ca. 900 BC to AD 1, compromising eight Sakas of southern Siberia (Tagar culture), eight Sakas of the central steppe (Tasmola culture), and twelve Sakas of the Tian Shan. The six samples of Y-DNA extracted from the Tian Shan Saka belonged to the West Eurasian haplogroups R (four samples), R1 and R1a1. For the five central steppe Saka males, four belonged to haplogroup R1a while one individual (DA19) belonged to haplogroup E1b1b-FT167798*.[171]

 

(번역) 2018년 5월 Nature지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는 BC 900년에서 기원후 1세기까지 사이 기간에 매장된 28개 내륙 아시아 사카들의 유해를 분석했다.  이중 8 사카인은 남부 시베리아(Tagar culture) 사카이며, 8 샘플은 중앙 초원(Tasmola culture) 사카이며, 나머지 12 샘플은 천산 사카인이다. 천산 사카에서 추출된 Y-DNA의 6개 샘플은 서부 유라시언 haplogroups R(4개 샘플), R1, R1a1에 속했다. 5개 중앙초원 남자 사카인은 4개 샘플이 haplogroup R1a에 속하고,  반면  다른 하나(DA19)는  haplogroup E1b1b-FT167798에 속했다. 

 

 

The samples of mtDNA extracted from the Tian Shan Saka belonged to C4, H4d, T2a1, U5a1d2b, H2a, U5a1a1, HV6 (two samples), D4j8 (two samples), W1c and G2a1.[171]

 

 

Autosomal DNA (보통 염색체 DNA)

 

Genetic makeup of Bronze and Iron Age Steppe populations

 

상기 청동기 철기 시대 초원인구의 유전자 표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의  Yamnaya culture, Afansievo, Andronovo, Srubnaya, Sintashta culture 등은 동유럽 수렵인그룹(EHG), 코카서스수렵인그룹(CHG) 유전자가 주를 이루고, 동쪽의 Scytho-Siberians은 동북아시아인, 동유럽수렵인그룹(EHG), 코카서스수렵인그룹(CHG), 그리고 약간의 동아시아인 등의 유전인자가 혼재하고 있다. 

 

 

Map of Scythian cultures, including different Saka populations with genetic profiles, combining Steppe_MLBA, BMAC, and Khövsgöl LBA ancestries.

 

상기지도의 중기/후기 청동기 시기의 스키타인 유전인자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으로 갈수록 서부초원유목민(WSH) 인자가 더 많이 포함되고, 중앙아시아 동쪽으로 갈수록 몽골의 Khovsgol 유전인자를 더 많이 내포하고 있다. 

 

Genetic makeup of Iron Age Central Asian Scythians. The three main ancestry components are shown in green, red and violet representing the ancestries maximized in Anatolian farmers, Iranian farmers, and Hunter Gatherers from West Siberia, respectively.

 

상기 철기 시대의 중앙아시아 스키타인의 유전자 표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의 문명에서는 신석기 아나톨리언 농부, 동유럽수렵인그룹(EHG), 서유럽수렵인그룹(WHG)이 주를 이루고, 약간의 아리안농부그룹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반면 중앙 사카나 천산사카, 천산훈족, Tagar, Turkmenistan_IA 등은 신석기 아나톨리언 농부,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동유럽수렵인그룹(EHG) 등의 유전인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Forensic reconstruction of the Saka King and Queen of Arzhan-2, in their burial costumes (650-600 BC).[172]

 

스키타인(또는 항가리언 사카)은 완전히 서부초원유목민그룹 (WSH)과 연관된 혈통만을 보여주는 반면, 내륙의 아시안 사카는 다양한 정도로 추가적인 신석기 아리안(BMAC)과 남시베리아 수렵인그룹 (현대의 알타이인에 의해 대표되는) 구성요소를 보여 준다. (아래 자료 참조)

 

The 2018 in study detected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s between analyzed Inner Asian Saka-associated samples and Scythian samples of the Pannonian Basin, as well as between different Saka subgroups of southern Siberia, the central steppe and the Tian Shan. While Scythians (or "Hungarian Saka") harbored exclusively ancestry associated with Western Steppe Herders, Inner Asian Saka displayed additional Neolithic Iranian (BMAC) and Southern Siberian hunter-gatherer (represented through a proxy of modern Altaians) components in varying degrees.

(번역) 2018년 연구는 내륙의 아시안 사카 관련된 샘플들과 Pannonian Basin의 샘플들과는 상당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남 시베리아의 서로 다른 사카 하부그룹, 중앙초원의 사카들, 천산의 사카들 사이에도 나타났다.

 

스키타인(또는 항가리언 사카)은 완전히 서부초원유목민그룹 (WSH)과 연관된 혈통만을 보여주는 반면, 내륙의 아시안 사카는 다양한 정도로 추가적인 신석기 아리안(BMAC)과 남시베리아 수렵인그룹 (현대의 알타이인에 의해 대표되는) 구성요소를 보여 준다. 

 

 

사카의 유전자 분석에 의한 연구는, 내륙의 아시아 사카는 흉노중에서 서부유라시언 혈통의 원천이었으며, 훈족은 흉노의 서부이동을 통해  소수의 남자로부터 비롯되는 사카로의 유전적 흐름에서 출현한 것이 아닌가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즉 사카와 흉노, 훈족의 연관관계를 추정하고 있으며, 내륙 아시아 사카의 서부이동으로 훈족의 활동을 추정하는 것이다. 

 

 

Tian Shan Sakas were found to be of about 70% Western Steppe Herder (WSH) ancestry, 25% Southern Siberian Hunter-Gatherer ancestry and 5% Iranian Neolithic ancestry. The Iranian Neolithic ancestry was probably from the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Sakas of the Tasmola culture were found to be of about 56% WSH ancestry and 44% Southern Siberian Hunter-Gather ancestry. The peoples of the Tagar culture had about 83.5% WSH ancestry, 9% Ancient North Eurasian (ANE) ancestry and 7.5% Southern Siberian Hunter-Gatherer ancestr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Inner Asian Saka were the source of West Eurasian ancestry among the Xiongnu, and that the Huns probably emerged through minor male-driven geneflow into the Saka through westward migrations by the Xiongnu.[173] 

 

(번역) 천산사카는 약 70%의 서부초원유목민(WSH) 혈통과 25%의 남시베리언 수렵인 혈통, 그리고 5%의 신석기 아리언혈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밝혀졌다. 신석기 아리안혈통은  BMAC (박트리아-마기아나 고고학적 컴플렉스)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Tasmola culture의 사카는 약 56%의 WSH혈통과 44%의 남시베리언수렵인 혈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밝혀졌다. Tagar culture의 사람들은 약 83%의 WSH 혈통과 9%의 고대북유라시언(ANE) 혈통, 그리고 7.5%의 남시베리아수렵인혈통을 가졌다. 이러한 연구는 내륙의 아시아 사카는 흉노중에서 서부유라시언 혈통의 원천이었으며, 훈족은 흉노의 서부이동을 통해  소수의 남자로부터 비롯되는 사카로의 유전적 흐름에서 출현한 것이 아닌가 한다. 

 

 

2020년 유전학 연구는 사카그룹의 혈통을 모델화 했는데, Sintashta culture 혈통(WSH)과 바이칼 EBA혈통 위주의 혼합으로 모델화했다. (아래 자료 참조)

 

A genetic study published in 2020 in Cell,[174] modeled the ancestry of several Saka groups as a combination of Sintashta (Western Steppe Herders) and Baikal EBA ancestry (Western Baikal early Bronze Age hunter-gatherers, a profile consisting of about 80% Ancient Northeast Asian and 20%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ies),[175] with varying degrees of an additional Neolithic Iranian (BMAC) component.[174] 

 

(번역) 2020년 Cell에 공표된 유전학 연구는 Sintashta culture혈통(WSH)과 바이칼 EBA 혈통(서부 바이칼 초기 청동기 수렵인혈통, 80%의 고대동북아시아인(ANA) 혈통과 20%의 고대북유라시언(ANE) 혈통으로 구성됨)의 혼합으로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추가적인 신석기 아리언 요소 (BMAC)와 함께,  몇몇 사카그룹 혈통을 모델화했다. 

 

 

Specifically, Central Sakas of the Tasmola culture were found to be of about 43% Sintashta ancestry, 50% Baikal_EBA ancestry and 7% BMAC ancestry. Tagar Sakas (Tagar culture) were found to have an elevated Sintashta proportion (69% Sintashta, 24% Baikal_EBA, and 7% BMAC), while Tian Shan Sakas had an elevated BMAC proportion at 24% (50% Sintashta, 26% Baikal_EBA, and 24% BMAC). The eastern Uyuk Sakas (Arzhan culture) had 50% Sintashta, 44% Baikal_EBA, and 6% BMAC ancestry. The Pazyryk Sakas had elevated Baikal_EBA ancestry, with a nearly non-existent BMAC component (32% Sintashta, 68% Baikal_EBA, and ~0% BMAC).[176] 

 

(번역) 특히, Tasmola culture의 중앙 사카는 약 43%의 Sintashta 혈통, 50%의 바이칼 EBA 혈통, 그리고 7%의 BMAC 혈통으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Tagar 사카(Tagar culture)는 더높은 Sintashta비율(69% Sintashta, 24% Baikal_EBA, 24% BMAC)을 가졌다. 천산 사카는 50% Sintashta혈통, 26% Baikal_EBA 혈통, 24% BMAC혈통으로 보다 높은 비율의 BMAC혈통을 보이고 있다. 동부의 Uyuk 사카(Arzhan culture)는 50% Sintashta혈통, 44% Baikal_EBA 령통, 6% BMAC혈통을 가졌다. Pazyryk 사카는 32$ Sintashta혈통, 68% Baikal-EBA 혈통, 0% BMAC혈통을 보여,  높은 Baikal_EBA혈통과 거의 존재하지 않는 BMAC혈통을 보여 준다. 

 

.

Map of Saka cultures (800-200 BC)

 

 

 

Map of Mongolia (Early iron age) (1000-200 BC)

 

최근 2021년, 2022년 발표된 두 유전학 연구는 사카가 WSH와 같은(Srubnaya, Sintashta, Andronovo culture) 배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BMAC와 동유라시언 같은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카중에 동쪽 혈통은 또한 바이칼 호수 그룹(Shamanka_EBA like)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아래 자료 참조)

 

 

Two other genetic studies published in 2021 and 2022 found that the Saka originated from a shared WSH-like (Srubnaya, Sintashta, and Andronovo culture) background with additional BMAC and East Eurasian-like ancestry. The Eastern ancestry among the Saka can also be represented by Lake Baikal (Shamanka_EBA-like) groups. The spread of Saka-like ancestry can be linked with the dispersal of Eastern Iranian languages (such as Khotanese).[177][178]

 

(번역) 2021년, 2022년 발표된 다른 두 유전학 연구는 사카가 WSH와 같은(Srubnaya, Sintashta, Andronovo culture) 배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BMAC와 동유라시언 같은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카중에 동쪽 혈통은 또한 바이칼 호수 그룹(Shamanka_EBA like)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사카와 같은 혈통의 확장은 동아리안 언어 (교탄어 같은)의 확대와 연결되어 있다. 

 

 

이후 다른 동쪽으로부터의 유입은Tasmola culture(Tasmola Birlik), Pazyryk culture(Pazyryk Berel) 샘플에서 확연히 나타나는데, 이들 샘플은 70-83%가 고대동북아시아 (ANA)혈통 (신석기의 Devil's Gate Cave 표본에 의해 대표됨)을 보여준다.즉  보다  동쪽에서 최근에  이주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아래 자료 참조)

 

A later different Eastern influx is evident in three outlier samples of the Tasmola culture (Tasmola Birlik) and one of the Pazyryk culture (Pazyryk Berel), which displayed c. 70-83% additional Ancient Northeast Asian ancestry represented by the Neolithic Devil’s Gate Cave specimen, suggesting them to be recent migrants from further East.

 

(번역) 이후 다른 동쪽으로부터의 유입은 Tasmola culture(Tasmola Birlik)의 3개 외부 샘플과 한개의 Pazyryk culture(Pazyryk Berel) 샘플에서 확연히 나타난다. 이들 샘플은 70-83%의 추가적인 고대동북아시아 (ANA)혈통 (신석기의 Devil's Gate Cave 표본에 의해 대표됨)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들이 보다 동쪽에서 최근에 이주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동일한 동쪽의 혈통이  이후의 훈족 그룹(Hun Berel 300 AD, Hun elite 350 AD)과 Karakaba 유물(830 AD)에서 밝혀졌다.

동시에, 서부 Sarmatian 혈통과 BMAC 혈통이 동쪽으로 퍼졌다.  이는 남동부 카자흐스탄(Konyr Tobe 300 AD)의 사카관련 샘플이 약 85%의 Sarmatian혈통과 15%의 BMAC혈통을 보여준 것이 입증한다. Sarmatian은 원래 흑해-카스피해 초원의 서부초원유목민(WSH)혈통에서 비롯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AD 300년이후의 자료는 훈족의 활동영역이 동아시아에서  흑해 카스피해 영역까지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The same additional Eastern ancestry is found among the later groups of Huns (Hun Berel 300CE, Hun elite 350CE), and the Karakaba remains (830CE). At the same time, western Sarmatian-like and minor additional BMAC-like ancestry spread eastwards, with a Saka-associated sample from southeastern Kazakhstan (Konyr Tobe 300CE) displaying around 85% Sarmatian and 15% BMAC ancestry. Sarmatians are modeled to derive primarily from the preceding Western Steppe Herders of the Pontic–Caspian steppe.[179]

 

(번역) 동일한 추가적인 동쪽의 혈통이 이후의 훈족 그룹(Hun Berel 300 AD, Hun elite 350 AD)과 Karakaba 유물(830 AD)에서 밝혀졌다. 동시에, 서부 Sarmatian같은 그리고 소수의 추가적인 BMAC 같은 혈통이 동쪽으로 퍼졌다.  이는 남동부 카자흐스탄(Konyr Tobe 300 AD)의 사카관련 샘플이 약 85%의 사르마티언 혈통과 15%의 BMAC혈통을 보여준 것이 입증한다. 사르마티언은 원래 이전의 흑해-카스피해 초원의 서부초원유목민(WSH)혈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형화된다. 

 

 
 
 
 

The Sakas represent a unique period of West-East admixture along the Altai line during the Iron Age, which has been a defining characteristic of Central Asian populations until modern times.[180]

 

현대 인구중에 사카(그리고 다른 스키타인그룹)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은 타지크인들인데, 이들은 남부 중앙아시아에 속하는 아리안사람들이며, 이들은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중앙아시안과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 준다.  또한 동부 스키타인(Pazyryk culture같은)이 이후의 튀르크언어 사용자들과 유전적 연속성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아래 자료 참조)

타지크인과 같은  남부 중앙아시아인과 청동기 철기시대 사카와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것과 튀르크어 사용자들과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  주는 것은 이 지역에 광범위하게 어떤 공동체 집단이 있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댕기머리를 하고 있는 타지키스탄 소녀의 머리 모습 (자료 : 수길따라, 유튜브 캡쳐)

 

 

The most closely related modern population to the Saka (and other Scythian groups) are the Tajiks, an Iranian peoples indigenous to Southern Central Asia, which display genetic continuity to Bronze and Iron age Central Asians. These genetic links are paralleled by previous proposed "linguistic and physical anthropological links between the Tajiks and Scythians".[181] 

There is also increasing evidence for genetic continuity from the Eastern Scythians (such as the Pazyryk culture) to later Turkic-speaking peoples,[182] which formed via admixture events during the Iron Age between local Saka groups and geneflow from the Eastern Steppe.[183] The admixture with West Eurasian sources was foun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linguistically documented language borrowing in Turkic languages".[184]

 

(번역) 현대인구중에 사카(그리고 다른 스키타인그룹)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은 타지크인들인데, 이들은 남부 중앙아시아에 속하는 아리안사람들이며, 이들은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중앙아시안과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 준다. 이러한 유전적 연결성은 이미 제시된 " 타지크인들과 스키타인들 사이 언어적 신체적 고고학적 연결"이라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또한 동부 스키타인(Pazyryk culture같은)이 이후의 튀르크언어 사용자들과 유전적 연속성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철기시대에,  지역의 사카그룹과 동부 초원으로부터 유전적 흐름 사이에 혼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서부유라시언 원천들과의 혼합은 언어적으로 튀르크어를 차용하는 문서화된 언어와 궤를 같이 한다고 본다. 

 

 

East-West migrations and cultural transmission

(동-서 이동과 문화적 전파)

 

유라시아에 걸친 유전자 자료는 스키타이 문화적 현상이 알타이지역에서 시작하는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되는 것이다. 특히 서부유라시언초원의 고전적  스키타인은 청동기시기 지역의 직계 후손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이러한 동-서 이동의 결과였다.  이는 또한 스키타이 문화 특징이 단순한 물질문화의 전파의 결과가 아니라, 동으로부터의 사카사람들의 이동에 따른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아래자료 참조)

 

Genetic data across Eurasia suggest that the Scythian cultural phenomenon was accompanied by some degree of migration from east to west, starting in the area of the Altai region.[185] In particular, the Classical Scythians of the western Eurasian steppe were not direct descendants of the local Bronze Age populations, but partly resulted from this east-west spread.[185] This also suggests that Scythoïd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not simply the result of the transfer of material culture, but were also accompanied by human migrations of Saka populations from the east.[185]

 

(번역) 유라시아에 걸친 유전자 자료는 스키타이 문화적 현상이 알타이지역에서 시작하는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특히 서부유라시언초원의 고전적  스키타인은 청동기시기 지역의 직계 후손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이러한 동-서 이동의 결과였다.  이는 또한 스키타이 문화 특징이 단순한 물질문화의 전파의 결과가 아니라, 동으로부터의 사카사람들의 이동에 따른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카스피해와 남부 우랄 사이 지역은 원래 Srubyana (1900 BC - 1200 BC)혈통과 Andronovo (BC 2000 - BC 1150) 혈통의 사람들 지역이었으나, 철기시대 (기원전 1000년)이후, 유럽인과 아시안 사이 종족적  문화적 교류가 매우 활발한 지역이었다. (아래자료 참조)

 

The region between the Caspian Sea and of the Southern Urals originally had populations of Srubnaya (1900 BC–1200 BCE) ancestry and Andronovo (c. 2000–1150 BCE)  ancestry, but, starting with the Iron Age (c.1000 BCE) became a region of intense ethnic and cultural interraction between European and Asian components.[186] 

 

(번역)   카스피해와 남부 우랄 사이 지역은 원래 Srubyana (1900 BC - 1200 BC)혈통과 Andronovo (BC 2000 - BC 1150) 혈통의 사람들 지역이었으나, 철기시대 (기원전 1000년)이후, 유럽인과 아시안 사이 종족적  문화적 교류가 매우 활발한 지역이었다. 

 

 

기원전 7세기부터, 초기 사카 유목민들은 남부 우랄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중앙아시아, 알타이-사이언 지역, 카자흐스탄 중부 및 북부지역에서 왔다. Itkul culture (기원전 7-5세기)는 이러한 초기 사카문화의 하나였으며, 우랄의 동쪽 언덕에 자리잡았으며, 이들은 Sauromatian culture와 초기 Sarmatian culture와 유사하다.  BC 600년경에는 Tasmola culture의 사카그룹이 남부 우랄에 정착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고대 호라즘 지역의 다른  그룹이 남부 우랄의 서쪽에 정착했는데, 이들은 초기 Sarmatians들과 유사하다. 그 결과, 중앙아시아의 큰 규모의 통합적인 유목민연합이  이 지역에 기원전  5-4세기에 형성되었는데, 상당히 단일화한 문화적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From the 7th century BCE, Early Saka nomads started to settle in the Southern Urals, coming from Central Asia, the Altai-Sayan region, and Central and Northern Kazakhstan.[186] The Itkul culture (7th-5th century BCE) is one of these Early Saka cultures, based in the eastern foothills of the Urals, which was assimilited into the Sauromatian and Early Sarmatian cultures.[186] Circa 600 BCE, groups from the Saka Tasmola culture settled in the southern Urals.[186] Circa 500 BCE, other groups from the area of Ancient Khorezm settl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ern Urals, who also assimilated into the Early Sarmatians.[186] As a result, a large-scale integrated union of nomads from Central Asia formed in the area in the 5th–4th century BCE, with fairly uniformized cultural practices.[186] This cultural complex, with notable ‘‘foreign elements’’, corresponds to the ‘‘royal’’ burials of Filippovka kurgan, and define the "Prokhorovka period" of the Early Sarmatians.[186] 

 

(번역) 기원전 7세기부터, 초기 사카 유목민들은 남부 우랄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중앙아시아, 알타이-사이언 지역, 카자흐스탄 중부 및 북부지역에서 왔다. Itkul culture (기원전 7-5세기)는 이러한 초기 사카문화의 하나였으며, 우랄의 동쪽 언덕에 자리잡았으며, 이들은 Sauromatian culture와 초기 Sarmatian culture와 유사하다.  BC 600년경에는 Tasmola culture의 사카그룹이 남부 우랄에 정착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고대 호라즘 지역의 다른  그룹이 남부 우랄의 서쪽에 정착했는데, 이들은 초기 Sarmatians들과 유사하다. 그 결과, 중앙아시아의 큰 규모의 통합적인 유목민연합이  이 지역에 기원전  5-4세기에 형성되었는데, 상당히 단일화한 문화적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주목되는 외국적 요인을  가진 이  문화적 복합체는 Filippovka  kurgans 의  왕족 무덤에 해당하며,  초기 Sarmatians의 Prokhorovka 시기를 정의한다. 

 

 

  • Warriors with daggers and bows. Dagger blade decoration from Kurgan 4, Burial 2, Filippovka kurgans, Late Sauromatian-Early Sarmatian, 5th-4th century BCE.[187]
"Golden Lady " from the Taksai kurgans, c. 500 BCE.[188][189]

 

 

V. 사카의 유적지와 유믈

 

 

Arzhan, Tuva의 무덤은 BC  800년 이후의 것이며, 동부 카자흐스탄의 Shilikty무덤은 BC 700년경이며, 알타이산맥의 Pazyryk 매장품은 기원전 5세기경이다. Pazyryk 무덤은 도굴되지 않아 많은 부장품이 도출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The spectacular grave-goods from Arzhan, and others in Tuva, have been dated from about 800 BC onward, and the kurgans of Shilikty in eastern Kazakhstan circa 700 BC, and are associated with the Early Sakas.[192] Burials at Pazyryk in the Altay Mountains have included some spectacularly preserved Sakas of the "Pazyryk culture" – including the Ice Maiden of the 5th century BC."

(번역) Arzhan의 대단한 무덤  유물들 그리고 Tuva의 다른 유물들은 약 기원전 800년경 이후 것이며,  카자흐스탄 동부의  Shilikty kurgans은 기원전 약 700년경 것이며, 이들은 모두 초기 사카와 관련된  것들이다. 알타이산맥의 Pazyryk 매장품들은  특별히 보존된 Pazyryk culture의 사카 - 기원전 5세기의 Ice Maiden을 포함하여 - 들을 포함하고 있다. 

 

1. Arzhan 1 kurgan (c. 800 BC)

 

1970년대 발굴된 Arzhan-1은 BC 10-8세기의 스키타이문화의 원천으로 확립되었다. 이곳의 사슴,  보아뱀, 검은 표범 등의 동물 스타일의 스키타이 예술은 서방으로 전해져 유럽 스키타이의  예술이 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즉 사카의 문화가 서방으로 전해져  유럽 스키타이로 전해진 것은 사카의 서방 진출, 유럽 진출을 의미한다. 

 

Arzhan-1 was excavated by M. P. Gryaznov in the 1970s, establishing the origins of Scythian culture in the region in the 10th to 8th centuries BC:[193] Arzhan-1 was carbon-dated to circa 800 BC.[194] Many of the styles of the artifacts found in Arzhan 1 (such as the animal style images of deer, boar, and panther) soon propagated to the west, probably following a migration mouvement from the east to the west in the 9th-7th centuries BC, and ultimately reaching European Scythia and influencing artistic styles there.[195]

 

(번역) Arzhan-1은 1970년대 M.P. Gryaznov에 의해 발굴되었는데, 기원전 10-8세기 스키타이  문화의 오리진 지역으로 확립되었다.  Arzhan-1은 탄소측정 연대로 기원전 800년경이 된다. Arzhan-1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의 스타일 (사슴, 보아(뱀), 검은 표범 등의 동물 이미지 스타일) 은 곧 서방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9-7세기에 동방에서 서방으로 이동한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유럽 스키타이에 이르게  했고 그곳의 예술스타일에 영향을 주었다.  

 

 

 

  • Curled-up feline animal from Arzhan-1, circa 800 BC.[196]

 

2. Shilikty/ Baigetobe kurgan (c. 700 BC)

 

Main article: Shilikty

 

Shilikty는 동부 카자흐스탄의 유적지로서, 많은 기원전 8-6세기 초기 사카 무덤지이다.  이  분묘들은 많은 양의 귀중한 금으로  된 보석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Golden man" 유해 (Issyk kurgan의 golden man과 유사)는 2003년 발견되었는데, 4262개의 금붙이가 나왔다.  (아래 자료 참조)

 

Shilikty is an archaeological site in eastern Kazakhstan with numerous 8th-6th century BC Early Saka kurgans.[197][198] Carbon-14 dating suggests date of 730-690 BC for the kurgans, and a broad contemporaneity with the Arzhan-2 kurgan in Tuva.[197]

 

The Kurgans contained vast quantities of precious golden jewelry.[199] Remains of a "golden man" (similar to the Issyk kurgan golden man) were found in 2003, with 4262 gold finds.[200]

 

(번역) Shilikty는 동부 카자흐스탄의 유적지로서, 많은 기원전 8-6세기 초기 사카 무덤지이다. 탄소 측정 연대로는 730-690 BC에 달하며, Tuva의 Arzhan-2 무덤군과  거의 같은 시기의 것이다. 

 

이  분묘들은 많은 양의 귀중한 금으로  된 보석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Golden man" 유해 (Issyk kurgan의 golden man과 유사)는 2003년 발견되었는데, 4262개의 금붙이가 나왔다.  

 

 

Flying_deer_Chilikti_(VII._-_VI._B._C.)_Kazakhstan (source:  Wikipedia)

(By Derzsi Elekes Andor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3026544 )

 

 

Eagle_(Griffin)_Chilikti_(VII._-_VI._B.C.)_Kazakhstan (source   : Wikipedia)

(By Derzsi Elekes Andor - Own work,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3026545)

 

 

아래 지도는 금세공품이  발견된  곳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카자흐스탄 동쪽과  몽골지역과 남 시베리아지역 등은  사카지역으로 잘 알려진 지역이다.   흑해 위 지역은  스키타이 지역이므로  앞으로  더  자세히  연구될 지역이지만  수긍이   간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곳은   지나의  황하강 유역이다.   우리는 지난 글에서 앙소문화지역을  살펴  보았는데,   그 지역과 유사한  것같다. (아래  지도 참조)  그런데 지난 앙소문화 자료 연구에서는 금세공품에 대한 사진이 거의 없었다.  도자기 사진만 있었다. 연대가 차이 나서 그런지 지나 사가들이  감춘 것인지,  앞으로 주목해서 알아  보아야 할 지역이다.  

Geographical_distribution_of_early_gold_and_silver_artefacts_found_in_Northwest_China_and_Central_Asia_(8th-3rd_century_BCE)  (source : Wikipedia)

 

앙소문화 지역 (자료  : 위키피디아)

 

3. Arzhan 2 (c. 650 BC)

 

See also: Aldy-Bel culture

Arzhan 2 kurgan (7th-6th centuries BC, associated with the Aldy-Bel culture).[201]

 

기원전 650년경의 Arzhan-2는 도굴되지 않은 무덤이다. 고고학자들은 왕족 부부, 16명의 순장된 사람, 9300개 부장품을 발견했다. 이 유물 중 5700개는 금으로 되었으며, 20킬로그램에 달하는 시베리아의 기록적인 것이었다. 남자는 왕과 같은 존재로 고고학자는 판단하는데, 금으로된 목걸이,  2500개 금표범으로 장식된 자켓, 벨트위의 금으로 새겨진 단검, 금구슬로 꿰멘 바지, 금으로 접어 올린 부츠를 하고 있었다.  여인은 2500개 금표범 모양 장식으로 둘러 싸인 붉은 색 망또를 입고 있었으며, 금자루의 철제 단검, 금으로 된 빗, 금 손잡이로 된 나무 국자 등이 있었다. (아래  자료 및 사진   참조)

 

 

Arzhan-2 was an undisturbed burial.[202] Archaeologists found a royal couple, sixteen murdered attendants, and 9,300 objects.[202] 5,700 of these artifacts were made of gold, weighing a Siberian record-breaking twenty kilograms.[202] The male, who researchers guess was some sort of king, wore a golden torc, a jacket decorated with 2,500 golden panther figurines, a gold-encrusted dagger on a belt, trousers sewn with golden beads, and gold-cuffed boots.[202] The woman wore a red cloak that was also covered in 2,500 golden panther figurines, as well as a golden-hilted iron dagger, a gold comb, and a wooden ladle with a golden handle.[202]

(번역) Arzhan-2는 도굴되지 않은 무덤이다. 고고학자들은 왕족 부부, 16명의 순장된 사람, 9300개 부장품을 발견했다. 이 유물 중 5700개는 금으로 되었으며, 20킬로그램에 달하는 시베리아의 기록적인 것이었다. 남자는 연구자가 짐작하기에 왕과 같은 존재로 보이는데, 금으로된 목걸이,  2500개 금표범으로 장식된 자켓, 벨트위의 금으로 새겨진 단검, 금구슬로 꿰멘 바지, 금으로 접어 올린 부츠를 하고 있었다.  여인은 2500개 금표범 모양 장식으로 둘러 싸인 붉은 색 망또를 입고 있었으며, 금자루의 철제 단검, 금으로 된 빗, 금 손잡이로 된 나무 국자 등이 있었다. 

 

  • "Animal style" deer, (7-6th century BC) Tuva.

 

 

  • Pectoral plate, from burial mound Arzhan (7-6th century BC) Tuva.

 

  • Akinak (dagger) burial mound Arzhan (7-6th century BC) Tuva.

 

4. Eleke Sazy Burial Complex (c. 800-400 BC)

 

2020년에 고고학자들은 동부 카자흐스탄의  Eleke Sazy 협곡의 여러 무덤 봉분을 발굴했다. 여기서 많은 금 세공품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세공품은 금 마구용 부속품, 목걸이에 걸게 되어 있는 보석(pendants), 목걸이, 어플리케(천조각을 덧데거나 꿰멘 장식) 등이며, 대부분이 기원전 5-4세기경의 스키타인-사카의 동물스타일이었다. (아래  자료 및 그림 참조)

 

Recumbent stag plaque (누워있는 숫사슴 판), Eleke Sazy, Kazakhstan; 8th to 6th century BC

 

In 2020, archaeologists excavated multiple burial mounds in the Eleke Sazy Valley in East Kazakhstan. Here, a large number of gold artifacts were found. These artifacts included gold harness fittings, pendants, chains, appliqués, and more – most of which are in the Animal Style of the Scythian-Saka era dating back to the 5th–4th centuries BC.[203]

(번역) 2020년에 고고학자들은 동부 카자흐스탄의  Eleke Sazy 협곡의 여러 무덤 봉분을 발굴했다. 여기서 많은 금 세공품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세공품은 금 마구용 부속품, 목걸이에 걸게 되어 있는 보석(pendants), 목걸이, 어플리케(천조각을 덧데거나 꿰멘 장식) 등이며, 대부분이 기원전 5-4세기경의 스키타인-사카의 동물스타일이었다. 

 

 

5. Berel burial mound (c. 350-300 BC)

 

동부 카자흐스탄의 Katonkaragay District의 Berel 가까이에서 고대 무덤 봉분이 발굴되었는데, 기원전 3-4세기 유목민 문화의 재평가를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다양한 세공품이 나왔다. 찬란한 금세공품이 주목된다.  (아래  자료   및   사진 참조)

 

 

Near the selo of Berel in the Katonkaragay District of eastern Kazakhstan (49°22′24″N 86°26′17″E[204]) excavations of ancient burial mounds have revealed artefacts the sophistication of which are encouraging a revaluation of the nomadic cultures of the 3rd and 4th centuries BC.[205]

 

(번역) 동부 카자흐스탄의 Katonkaragay District의 Berel 가까이에서 고대 무덤 봉분이 발굴되었는데, 기원전 3-4세기 유목민 문화의 재평가를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다양한 세공품이 나왔다. (아래  사진 참조)

 

  • Catlike predator with protomas of two elk, burial mound Berel (4th-3rd centuries BC) Kazakhstan, Pazyryk culture.

 

  • Deer in Griffin's beak, burial mound Berel (4th-3rd centuries BC) Kazakhstan.

 

  • Tigergriffin arthor work based on Scytian- saka animal style, burial mound Berel (5th-3rd centuries BC) Kazakhstan.

 

  • Griffins, burial mound Berel (5th-3rd centuries BC) Kazakhstan.

 

  • Frontal decoration (harness), burial mound Berel (4th-3rd centuries BC) Kazakhstan, Pazyryk culture.

 

6. Pazyryk culture (c. 300 BC)

 

Main article: Pazyryk culture

 
 
 
 

Pazyryk Culture   area (source :  Wikipedia)

 

 

A Pazyryk horseman in a felt painting from a burial around 300 BC. The Pazyryk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cythians.[206]

 

알타이산맥 남쪽,  남시베리아(몽골 인접), 알타이  공화국의 Pazyryk kutgans은  사카무덤으로서  현대  고고학자들에 의해 문서화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Saka burials documented by modern archaeologists include the kurgans at Pazyryk in the Ulagan (Red) district of the Altai Republic, south of Novosibirsk in the Altai Mountains of southern Siberia (near Mongolia).

 

(번역)  현대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문서화된 사카 무덤은 알타이 공화국의 Ulagen(Red) District의 Pazyryk kurgans을 포함한다. 이 위치는 남시베리아(몽골인접)의 알타이 산맥의 Novosibirsk 남쪽에 있다. 

 

큰  돌무덤으로  덮혀진 고분 봉분들이  1925년과 1949년 사이에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Archaeologists have extrapolated the Pazyryk culture from these finds: five large burial mounds and several smaller ones between 1925 and 1949, one opened in 1947 by Russian archaeologist Sergei Rudenko. The burial mounds concealed chambers of larch-logs covered over with large cairns of boulders and stones.[207]

 

(번역) 고고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발견에서 Pazyryk culture를 추론했다 : 1925년과 1949년 사이에 발견된 5개의 대형 고분 봉분과 몇개의 작은 것들, 하나는 1947년 러시아 고고학자 Sergel Rudenko에 의해 발굴되었다.  고분 봉분은 낙엽송 통나무로 된 많은 방을 숨기고 있었는데, 이들은 돌들로 이루어진  큰 돌무덤으로 덮혀 있었다. 

 

 

 Pazyryk Kurgans (source  : Wikipedia)

 

The Pazyryk culture flourished between the 7th and 3rd century BC in the area associated with the Sacae. (Pazyryk culture는 기원전 7-3세기 사이에 Sacae와 관련된 지역에서 번창했다)

 

양모로  짠 유명한 동양적인 Pazyryk  carpet이 잘 보존되어서 발견되었다. (아래 그림 참조). 또 하나 충격적인 발견은 3미터 높이의  사륜 장례 마차인데, 기원전 5-4세기의 것인데 잘 보존되어 발견되었다. (아래 그림 참조)

 

Ordinary Pazyryk graves contain only common utensils, but in one, among other treasures, archaeologists found the famous Pazyryk Carpet, the oldest surviving wool-pile oriental rug. Another striking find, a 3-metre-high four-wheel funerary chariot, survived well-preserved from the 5th to 4th century BC.[208]

 

(번역) 보통의 Pazyryk 무덤은 단지 일반적인 가정도구만 있을   뿐인데, 그 중에 하나에서 다른 보물들중에, 고고학자들은 유명한 Pazyryk 카펫, 가장 오래된 양모로 짠 동양적인 rug(작은 카펫의 깔개)가 살아 남았다. 다른 충격적인 발견은, 3미터 높이의  사륜 장례 마차인데, 기원전 5-4세기의 것인데 잘 보존되어 남았다. 

 

 

Pazyryk Carpet (source : Wikipedia)

 

아래 사륜마차는 장례용이기 보다는 평상시 타고  다니는   사륜마차가   아닌가   한다.  사륜마차 이용은 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  유럽까지 이용하였다. (아래 지도 참조)

 

 Pazyryk   cart  (source : Wikipedia)

 

 

Chariot Spread (source :  Wikipedia)

 

7. Southern Siberian kurgans excavated in the 18th century

(18세기에  발굴된 남시베리아 kurgans)

 

Main article: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

 

 

Approximate location of the finds of the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209][210]

 

18세기에 러시아가 시베리아로 팽창하는 시기에, 많은 사카 봉분이 약탈되었는데, 어떤 경우에는 독립적인 도굴군에 의해, 어떤 경우는 Peter 대제의 공식적인 착수로 행해졌는데, 그러나 보통 아무 고고학적 기록이 남겨지지 않았다. 단지 그들이 발굴된 일반적인 위치만 알려졌는데, 햔재의 카자흐스탄과 알타이산맥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During the 18th century and the Rusian expansion into Siberia, many Saka kurgans were plundered, sometimes by independent grave-robbers or sometimes officially at the instigation of Peter the Great, but usually without any archaeological records being taken.[211] Only the general location where they were excavated is known, between modern Kazakhstan and the Altai mountains.[209]

 

(번역) 18세기에 러시아가 시베리아로 팽창하는 시기에, 많은 사카 봉분이 약탈되었는데, 어떤 경우에는 독립적인 도굴군에 의해 어떤 경우는 Peter 대제의 공식적인 착수로 행해졌는데, 그러나 보통 아무 고고학적 기록이 남겨지지 않았다. 단지 그들이 발굴된 일반적인 위치만 알려졌는데, 햔재의 카자흐스탄과 알타이산맥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이러한 유물들은 시베리아 Governnor Matvey Gagarin이 1716년 피터대제에게 보낸 고고학적 선물의 일부이다. 그들은 지금 Saint-Petersburg의 Hermitage 박물관에 있으며, 피터대제의 시베리언 컬랙션을 형성하고 있다. 그들의 추정 시기는 유물에 따라  다르지만, 기원전 7세기로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이다. (아래  그림 참조)

 

Many of these artifacts were part of the archaeological presents sent by Matvey Gagarin [ru], Governor of Siberia based in Tobolsk, to Peter the Great in Saint-Petersburg in 1716.[212] They are now located in the Hermitage Museum in Saint-Petersburg, and form the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 Their estimated datation ranges from the 7th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BC, depending on the artifacts.[209]

(번역) 많은 이러한 유물들은 Tobolsk에 근거를 둔 시베리아 Governnor Matvey Gagarin이 1716년 Saint-Petersburg의 피터대제에게 보낸 고고학적 선물의 일부이다. 그들은 지금 Saint-Petersburg의 Hermitage 박물관에 있으며, 피터대제의 시베리언 컬랙션을 형성하고 있다. 그들의 추정 시기는 유물에 따라  다르지만, 기원전 7세기로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이다. 

 

아래   금세공품은   독수리 형상으로 판단된다. 사자의 몸을 하고 있는  상상속의  Griffinn은 아니지만, 독수리  형상이 의외로 많다. 대한제국의  문양도 독수리이다. 

 

  • Aigrette, 4th-3rd century BC.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213]

 

 

  • Boar hunter (Hermitage Museum), 2nd-1st century BC.[214]

 

신성한 나무(신수)아래  죽은 이를 안고 있고, 옆에 말이 서있다. 나무에는 화살통이 매달린 것으로 보인다. 죽은 이를 안고 있는 이는 꼬깔 모자를 쓰고 있다. 옆에 앉아 있는 이는 샤먼으로 보인다.

필자는 이와 유사한 묘사를 스웨덴(바이킹)의 고대 종교에서 본 기억이 난다. (cf: Sacred  Tree at Uppsala,필자의 티스토리  블로그 (lainfos), 카테고리, Norse).  바이킹들은 말을 제물(sacrifices)로 바쳤다 한다. 

 

  

  • Belt plaque from the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 probably Ingala Valley

 

아래 그림은 용을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금세공품 중에 용이  조각된 것은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 동양적 사고에서는 용을  숭상하는  사상이 있다.   즉  카자흐스탄 동부와  알타이산맥에서 발견된 이들  사카 금세공품은 동양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 Siberian gold, Siberian Collection of Peter the Great (Dragon?)

 

8. Tillia Tepe treasure (2nd-1st century BC)

 

Main article: Tillia Tepe

 
 
 

Artifacts found the tombs 2 and 4 of Tillya Tepe and reconstitution of their use on the man and woman found in these tombs

 

북부 아프카니스탄(과거의 박트리아)에 있는 Tillia Tepe(말 그대로 금의 언덕)에서 1968년 발견된 site는 다섯명의 여성과 한명의 남성의 무덤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은 매우 부유한 보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기적으로 약 기원전 1세기에 해당하며, 약간 북쪽에 사는 사카부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무덤들은 수천의 세공한 보석들을 산출했는데, 보통 금,  터키석(옥), 라피스  라줄리(남색으로, 황금색 반점의 황철석과 백색반점의  방해석이 보석 전체에 혼입)의 혼합으로 만들어졌다. 

 

A site found in 1968 in Tillia Tepe (literally "the golden hill") in northern Afghanistan (former Bactria) near Shebergan consisted of the graves of five women and one man with extremely rich jewelry, dated to around the 1st century BC, and probably related to that of Saka tribes normally living slightly to the north.[215] Altogether the graves yielded several thousands of pieces of fine jewelry, usually made from combinations of gold, turquoise and lapis-lazuli.

 

(번역) 현재의 Shebergen 가까이 북부 아프카니스탄(과거의 박트리아)에 있는 Tillia Tepe(말 그대로 금의 언덕)에서 1968년 발견된 site는 다섯명의 여성과 한명의 남성의 무덤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은 매우 부유한 보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기적으로 약 기원전 1세기에 해당하며, 보통 약간 북쪽에 사는 사카부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무덤들은 수천의 세공한 보석들을 산출했는데, 보통 금,  터키석(옥), 라피스  라줄리(남색으로, 황금색 반점의 황철석과 백색반점의  방해석이 보석 전체에 혼입)의 혼합으로 만들어졌다. 

 

 

헬레니즘 문화와 예술적  영향이 많은 형태에서 그리고 인간의 묘사(큐피트로부터 아테나 형상과 그리스어로 그녀 이름이 새겨진 반지들)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약 BC 140년까지 존재했던 같은 지역의 셀레우시드 제국과 그리스-로마  왕국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인도 북서쪽 sub 대륙의 인도-그리스 왕국이 계속해서 존재한 탓이기도 하다. 이것은 이 시기에 박트리아 지역에 높은  문화적 융합이 풍부했음을 증명한다. (아래  자료 참조) 이 내용을 보면서 그리스가 스키타이라는 지적을  한 위키피디아 자료가 생각난다. 

 

A high degree of cultural syncretism pervades the findings, however. Hellenistic cultural and artistic influences appear in many of the forms and human depictions (from amorini to rings with the depiction of Athena and her name inscribed in Greek), attributable to the existence of the Seleucid empire and Greco-Bactrian kingdom in the same area until around 140 BC, and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Indo-Greek kingdom in the northwestern Indian sub-continent until the beginning of our era. This testifies to the richness of cultural influences in the area of Bactria at that time.

 

(번역)높은 수준의 문화적 융합이 발견물에 만연하였는데, 헬레니즘 문화와 예술적  영향이 많은 형태에서 그리고 인간의 묘사(큐피트로부터 아테나 형상과 그리스어로 그녀 이름이 새겨진 반지들)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약 BC 140년까지 존재했던 같은 지역의 셀레우시드 제국과 그리스-로마  왕국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인도 북서쪽 sub 대륙의 인도-그리스 왕국이 계속해서 존재한 탓이기도 하다. 이것은 이 시기에 박트리아 지역에 문화적 영향력이 풍부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VI. 사카의 문화

 

1) Gender roles

 

최근에 중앙 Tuva의 Saryg-Bulun에서 발견된 낙엽송 트렁크로 만든 관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어린이 유해에 대한 유전자 분석에 의해 확인된 증거는, 이 개인이, 전에는 스키타이 사회가 남성지배의 사회라는 믿음과 관련된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서 남성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여성이었다. 가죽 스커트와 함께, 이 무덤에는,  빨간색 염료로 칠한 가죽 머리옷, 날쥐가죽으로 만든 코트, 청동 장식과 버클을 가진 가죽밸트, 화살과 화살대에 채색한 장식이 있는 화살 가죽통, 잘 보존된 battle pick, 그리고 활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스키타인의 모계문화와 사냥과  전투, 그리고 옷을 위한 동물가죽의 사용 등과 같은 생활양식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가치있는 것들이었다. (아래  자료  참조)

 

사카 사회가 모계사회라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사카의 전투에서 여왕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리고 여전사도 등장하는 것을 이해하겠다. 흑해위의 스키타이 문화도 이를 반영하는 것인지,아마조네스 사회(여인국)가 있었다는 기록을 본 기억이 난다.  

 

Recently, evidence confirmed by the full-genomic analysis of a Scythian child's remains found in a coffin made of a larch trunk, which was discovered in Saryg-Bulun in Central Tuva, revealed that the individual, previously thought to be male because it had item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belief that Scythian society was male-dominated, was actually female. Along with the leather skirt, the burial also contained a leather headdress painted with red pigment, a coat sewn from jerboa fur, a leather belt with bronze ornaments and buckles, a leather quiver with arrows with painted ornaments on the shafts, a fully-preserved battle pick, and a bow. These item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material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Scythians, including their hunting and warfare practices, and their use of animal hides for clothing.[216]

 

(번역) 최근에 중앙 Tuva의 Saryg-Bulun에서 발견된 낙엽송 트렁크로 만든 관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어린이 유해에 대한 유전자 분석에 의해 확인된 증거는, 이 개인이, 전에는 스키타이 사회가 남성지배의 사회라는 믿음과 관련된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서 남성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여성이었다. 가죽 스커트와 함께, 이 무덤에는,  빨간 색 염료로 칠한 가죽 머리옷, 날쥐가죽으로 만든 코트, 청동 장식과 버클을 가진 가죽밸트, 화살과 화살대에 채색한 장식이 있는 화살 가죽통, 잘 보존된 battle pick, 그리고 활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스키타인의 모계문화와 사냥과  전투, 그리고 옷을 위한 동물가죽의 사용 등과 같은 생활양식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가치있는 것들이었다. 

 

 

2)  Art (예술)

 

사카의 예술은 초원의 다른 아리안 종족들과 유사한 스타일인데, 이는 전체적으로 스키타인 예술이라고 말해진다. 2001년에, Arzhan에서 왕족의 스키타인 봉분이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스키타인 동물 스타일의 금세공품을 보여 주었다. (상기 사카유적지 항목의 유물 사진 참조). 44파운드의 금이 왕족 부부의 봉분에서 발견되었는데, Tuva  시베리아 공화국의 수도 Kyzyl 근처(아래 지도 참조)에서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이는 사카문화가 금을 세공하는기술이 발달한 것을 보여 주며,  금을  풍부하게 조달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넓은 영토에 금 산지가 많아서  그런지, 타 지역의 정복에서 받은 금 때문인지는 아직 모르겠다.   

 

 

The art of the Saka was of a similar styles as other Iranian peoples of the steppes, which is referred to collectively as Scythian art. In 2001, the discovery of an undisturbed royal Scythian burial-barrow at Arzhan illustrated Scythian animal-style gold that lacks the direct influence of Greek styles. Forty-four pounds of gold weighed down the royal couple in this burial, discovered near Kyzyl, capital of the Siberian republic of Tuva.

 

(번역) 사카의 예술은 초원의 다른 아리안 종족들과 유사한 스타일인데, 이는 전체적으로 스키타인 예술이라고 말해진다. 2001년에, Arzhan에서 왕족의 스키타인 봉분이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그리스 스타일의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은 스키타인 동물 스타일의 금을 보여 주었다. 44파운드의 금이 왕족 부부의 봉분에서 발견되었는데, Tuva  시베리아 공화국의 수도 Kyzyl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Tuva Republic Map (source : Wikipedia)

........

 

사카의 영향은 멀리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신라왕국의 왕관 같은 다양한 한국의 유물이 스키타인 디자인이라고 말해진다. 유사한 왕관이, 대륙과 접촉을 통해, 일본 Kofun 시대에서 발견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이러한 언급은 한국과 일본이 사카문화권이라는 의미를 내비친다. 

 

 

Saka influences have been identified as far as Korea and Japan. Various Korean artifacts, such as the royal crowns of the kingdom of Silla, are said to be of "Scythian" design.[219] Similar crowns, brought through contacts with the continent, can also be found in Kofun era Japan.[220]

 

(번역) 사카의 영향은 멀리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신라왕국의 왕관 같은 다양한 한국의 유물이 스키타인 디자인이라고 말해진다. 유사한 왕관이, 대륙과 접촉을 통해, 일본 Kofun 시대에서 발견되었다.  

 

 

3)   Clothing (복식)

 

Saka-style Majiayuan culture tomb figurines (3rd-2nd century BC).[221]

 

Persepolis의 Apadana의 부조에 나타난 다른 동부 아리안 종족과 유사하게, 사카는 긴 바지를 입고, 이 바지가 부츠 상위 부분을 덮었다. 어깨 위로는 긴 꺼플 타입을 밑에 끌도록 입었는데,  등 뒤에서 대각선으로 교차했다. Saka tigaxauda는 끝이 뽀족한 모자를 썼다.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 군대의 묘사에서 사카를 바지를 입고 긴 꼬깔모자를 썼다고 했다.  (아래 자료 참조)

 

Similar to other eastern Iranian peoples represented on the reliefs of the Apadana at Persepolis, Sakas are depicted as wearing long trousers, which cover the uppers of their boots. Over their shoulders they trail a type of long mantle, with one diagonal edge in back. One particular tribe of Sakas (the Saka tigraxaudā) wore pointed caps. Herodotus in his description of the Persian army mentions the Sakas as wearing trousers and tall pointed caps.[222]

 

(번역) Persepolis의 Apadana의 부조에서 나타난 다른 동부 아리안 종족과 유사하게, 사카는 긴 바지를 입고, 이 바지가 부츠 상위 부분을 덮었다. 어깨 위로는 긴 꺼플 타입을 밑에 끌도록 입었는데,  등 뒤에서 대각선으로 교차했다. 사카의 하나의 특수 부족(Saka tigaxauda)는 끝이 뽀족한 모자를 썼다.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 군대의 묘사에서 사카를 바지를 입고 긴 꼬깔모자를 썼다고 했다. 

 

 

Statuette from the Saka culture in Xinjiang, from a 3rd-century BC burial site north of the Tian Shan, Xinjiang Region Museum, Ürümqi.[223][224] Could alternatively be a Greek hoplite.[225]

 

남녀 모두 긴 바지를 입었는데, 금속판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천 아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수를 놓았다. 바지들은 지역에 따라 넓거나 타이트하게 맞게 입었다. 사용된 물질들은 부에 따라, 날씨, 또는 필요에 따라 달랐다. (아래 자료 참조)

 

 

Men and women wore long trousers, often adorned with metal plaques and often embroidered or adorned with felt appliqués; trousers could have been wider or tight fitting depending on the area. Materials used depended on the wealth, climate and necessity.[226]

 

(번역) 남녀 모두 긴 바지를 입었는데, 금속판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천 아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수를 놓았다. 바지들은 지역에 따라 넓거나 타이트하게 맞게 입었다. 사용된 물질들은 부에 따라, 날씨, 또는 필요에 따라 달랐다. 

 

헤로도투스가 말하기를 사카는 끝이 뽀족하게 반듯한 높은 모자를 썼다고 했다. 아시안 사카 모자는 Persepolis Apadana 계단의 부조물이 보여주는 것처럼, 귀와 목 뒤쪽을 덮는 높은 꼬깔모자를 썼다. (아래 사진 참조).  지나에서부터 다뉴브 델타까지 남자들은 다양한 부드러운 모자를 쓴 것 같다. 헤로도투스가 말한 것처럼 꼬깔모자 또는 보다 둥그러운, 프리기언 모자같은 것을 썼다. (아래 자료 참조)

프리기언은 지금의 튀르키예의 아나톨리아에 있었다.  이솝이 프리기언 출신이다. 스키타이의 일종인 키메리언이 이 지역을 지나 유럽에 진출했다.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은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프리기아로 피신했는데, 로마가 추적해  암살했다 한다.

 

가야사람들이 꼬깔모자를 썼다는 아래 기록은 필자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필자는카르타고를 금관가야가 아닌가 추정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 본인의 저서 강역고에서 '가나(駕那)'가 기원이고 이는 가야 사람들이 끝이 뾰족한 고깔을 쓰고 다닌 데서 유래한 말이고 이를 중국인들이 삼국지를 쓸 때 변한(弁韓) 또는 변진(弁辰)으로 쓴 것은 그 모습을 형용한 것이라고 했다. 이후 한치윤 등 많은 실학자들이 이 견해를 따랐고 일본의 아유가이도 가야가 갈(冠弁)에 기원을 둔다고 같은 견해를 보였다.

 

[출처] <>가야 - 나무위키|작성자 죽엽

 

Herodotus says Sakas had "high caps tapering to a point and stiffly upright." Asian Saka headgear is clearly visible on the Persepolis Apadana staircase bas-relief – high pointed hat with flaps over ears and the nape of the neck.[227] From China to the Danube delta, men seemed to have worn a variety of soft headgear – either conical like the one described by Herodotus, or rounder, more like a Phrygian cap.

 

(번역) 헤로도투스가 말하기를 사카는 끝이 뽀족하게 반듯한 높은 모자를 썼다고 했다. 아시안 사카 모자는 Persepolis Apadana 계단의 부조물이 보여주는 것처럼, 귀와 목 뒤쪽을 덮는 높은 꼬깔모자를 썼다. 중국에서부터 다뉴브 델타까지 남자들은 다양한 부드러운 모자를 쓴 것 같다. 헤로도투스가 말한 것처럼 꼬깔모자 또는 보다 둥그러운, 프리기언 모자같은 것을 썼다.

 

 

Golden man (Issyk kurgan) (source : Wikipedia)

 

사카여인들은 남자와 거의 같은 패션으로 입었다. 1990년대 발견된 Pazyryk무덤은 남녀 각각 한명씩의 유골이 있었는데,  각기 무기, 화살촉, 도끼들을 지니고 있었다. 헤로도투스는 사카가 꼬깔모자, 바지를 입었다 언급했다. 옷들은 평직의 양모, 삼베, 비단, 펠트, 가죽, 짐승가죽 등으로 짰다. 

 

Saka women dressed in much the same fashion as men. A Pazyryk burial, discovered in the 1990s, contained the skeletons of a man and a woman, each with weapons, arrowheads, and an axe. Herodotus mentioned that Sakas had "high caps and … wore trousers." Clothing was sewn from plain-weave wool, hemp cloth, silk fabrics, felt, leather and hides.

 

(번역) 사카여인들은 남자와 거의 같은 패션으로 입었다. 1990년대 발견된 Pazyryk무덤은 남녀 각각 한명씩의 유골이 있었는데,  각기 무기, 화살촉, 도끼들을 지니고 있었다. 헤로도투스는 사카가 꼬깔모자, 바지를 입었다 언급했다. 옷들은 평직의 양모, 삼베, 비단, 펠트, 가죽, 짐승가죽 등으로 짰다. 

 

 

으로 만들었다

The Taerpo horserider, a Chinese Warrior-State Qin terracotta figurine from a tomb in the Taerpo cemetery near Xianyang in Shaanxi Province, 4th-3rd century BC. This is the earliest known representation of a cavalryman in China.[228] The outfit is of Central Asian style, probably Scythian,[229] and the rider with his high-pointed nose appears to be a foreigner.[228] King Zheng of Qin (246–221 BC) is known to have employed steppe cavalry men in his army, as seen in his terracotta army.[230]

 

Pazyryk 유물이 스키타이.사카 종족이 입었던 옷들을 가장 잘 보존되어 보여 주었다. 고대 페르시아 부조물, Apadana와 Behistun의 비문들, 그리고 고고학적 발견물들이 이러한 옷들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 준다. (아래 자료 참조)

 

Pazyryk findings give the most almost fully preserved garments and clothing worn by the Scythian/Saka peoples. Ancient Persian bas-reliefs, inscriptions from Apadana and Behistun and archaeological findings giv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se garments.

 

(번역)Pazyryk 유물이 스키타이.사카 종족이 입었던 옷들을 가장 잘 보존되어 보여 주었다. 고대 페르시아 부조물, Apadana와 Behistun의 비문들, 그리고 고고학적 발견물들이 이러한 옷들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 준다. 

 

Pazyryk 에서 발견된 것을 기초로 하여,  (남시베리아 우랄과 카자흐스탄의 암석화에서도 볼 수 있는) 어떤 cap은 동물형태를 본 뜬 나무로 된 조각을 모자의 일부같이 cap에 꽉 붙여 위에 얹었는데, 이는 북중국의 유목민 헬멧과 유사하다. 남녀 모두 튜닉( 무릎까지 내려오는 상의)을 입었는데, 금속(금)판 또는 펠트 어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치장하였다. (아래 자료 참조)

 

 

Based on the Pazyryk findings (can be seen also in the south Siberian, Uralic and Kazakhstan rock drawings) some caps were topped with zoomorphic wooden sculptures firmly attached to a cap and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headgear, similar to the surviving nomad helmets from northern China. Men and warrior women wore tunics, often embroidered, adorned with felt applique work, or metal (golden) plaques.

 

(번역) Pazyryk 에서 발견된 것을 기초로 하여 (남시베리아 우랄과 카자흐스탄의 암석화에서도 볼 수 있는) 어떤 cap은 동물형태를 본 뜬 나무로 된 조각을 모자의 일부같이 cap에 꽉 붙여 위에 얹었는데, 이는 북중국의 유목민 헬멧과 유사하다. 남녀 모두 튜닉( 무릎까지 내려오는 상의)을 입었는데, 금속(금)판 또는 펠트 어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치장하였다. 

 

Persepolis Apadana는 다시 한번 사카의 튜닉을 관찰하는 좋은 시작포인트가 된다. 그들은 실로 짜진 것으로 보이는데, 무릎까지 내려오는 소매가 긴 옷이며, 벨트로 묶었는데, 무기(칼, 단검, 화살통(gorytos 고리통?), 전투용 도끼, 숫돌 등)를 벨트에 묶었다. 여러 고고학적 유물에 의하면, 남자와 여전사는 긴 소매의 튜닉을 입었는데, 항상 벨트가 있었고, 자주 많이 장식된 벨트를 했다. 카자흐스탄 사카 (예를 들어 Issyk Golden Man/Maiden)는 흑해 초원의 스키타인보다  더 짧은 몸에 딱 맞는 튜닉을 입었다. 어떤 Pazyryk culuture 사카는 짧은 벨트의 튜닉을 입었는데, 오른쪽에 옷깃이 달린, 위로된 칼라가 있고, 손목을 좁게 하는 소매들, 그리고 튜닉의 색갈과 다른 좁은 소맷동을 가졌다. (아래 자료 참조)

 

 

Persepolis Apadana again serves a good starting point to observe the tunics of the Sakas. They appear to be a sewn, long-sleeved garment that extended to the knees and was girded with a belt, while the owner's weapons were fastened to the belt (sword or dagger, gorytos, battle-axe, whetstone etc.). Based on numerous archeological findings, men and warrior women wore long-sleeved tunics that were always belted, often with richly ornamented belts. The Kazakhstan Saka (e.g. Issyk Golden Man/Maiden) wore shorter and closer-fitting tunics than the Pontic steppe Scythians. Some Pazyryk culture Saka wore short belted tunic with a lapel on the right side, with upright collar, 'puffed' sleeves narrowing at the wrist and bound in narrow cuffs of a color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tunic.

 

(번역) Persepolis Apadana는 다시 한번 사카의 튜닉을 관찰하는 좋은 시작포인트가 된다. 그들은 실로 짜진 것으로 보이는데, 무릎까지 내려오는 소매가 긴 옷이며, 벨트로 묶었는데, 무기(칼, 단검, 화살통(gorytos 고리통?), 전투용 도끼, 숫돌 등)를 벨트에 묶었다. 여러 고고학적 유물에 의하면, 남자와 여전사는 긴 소매의 튜닉을 입었는데, 항상 벨트가 있었고, 자주 많이 장식된 벨트를 했다. 카자흐스탄 사카 (예를 들어 Issyk Golden Man/Maiden)는 흑해 초원의 스키타인보다  더 짧은 몸에 딱 맞는 튜닉을 입었다. 어떤 Pazyryk culuture 사카는 짧은 벨트의 튜닉을 입었는데, 오른쪽에 옷깃이 달린, 위로된 칼라가 있고, 손목을 좁게 하는 소매들, 그리고 튜닉의 색갈과 다른 좁은 소맷동을 가졌다. 

 

남녀 모두 코트를 입었다 : 예를 들어 Pazyryk 사카는 동물의 모피부터 펠트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나중에 Median 옷 또는 Kantus라 알려진 말탈때의 코트를 입었다. 소매가 길고 열려 있었으며, 이것은 Persepolis Apadana 사카사절단이 입었던 그러한 코트로 보인다. Pazyryk 펠트 카페트는 부풀어 오르는 망토를 입은 말탄 사람을 보여 준다. (아래 자료 참조)

 

 

Men and women wore coats: e.g. Pazyryk Saka had many varieties, from fur to felt. They could have worn a riding coat that later was known as a Median robe or Kantus. Long sleeved, and open, it seems that on the Persepolis Apadana Skudrian delegation is perhaps shown wearing such coat. The Pazyryk felt tapestry shows a rider wearing a billowing cloak.

 

(번역) 남녀 모두 코트를 입었다 : 예를 들어 Pazyryk 사카는 동물의 모피부터 펠트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나중에 Median 옷 또는 Kantus라 알려진 말탈때의 코트를 입었다. 소매가 길고 열려 있었으며, 이것은 Persepolis Apadana 사카사절단이 입었던 그러한 코트로 보인다. Pazyryk 펠트 카페트는 부풀어 오르는 망토를 입은 말탄 사람을 보여 준다. 

 

 

4) Tattoos (문신)

 

남녀 모두 광범위하게 문신을 했다. Pazyryk무덤의 남성은 시베리언 동물 스타일의 많은 문신을 했다.  Pazyryk 2 봉분의 무덤의 지도자는 몸에 동물 스타일 문신을 많이 했는데, 얼굴에는 하지 않았다. 유해의 일부는 상태가 나빠졌지만, 많은 문신은 아직 확실히 볼 수 있다. (그림 참조). 적외선 촬영을 반영한 사진은 Pazyryk kurgans에서 나온 다섯 사람  모두 문신을 했다.  문신을 하는 특별한 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Pazyryk 사람들은 매우 가는 바늘로 소형의 자수를 놓았으며, 이들이 문신을 위해  이용되었을 것이다.  지도자(군장)는 다양한 환상적인 짐승들의 충격적인 시리즈 디자인을 정교하게 장식했다.  (아래 자료 참조)

 

Men and women are known to have been extensively tattooed. The men in the Pazyryk burials had extensive tattoes in the Siberian animal style.[231] A Pazyryk chief in burial mound 2, had his body covered in animal style tattoos, but not his face.[232] Parts of the body had deteriorated, but much of the tattooing was still clearly visible (see image). Subsequent investigation using reflected infrared photography revealed that all five bodies discovered in the Pazyryk kurgans were tattooed.[233] No instrum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attooing were found, but the Pazyryks had extremely fine needles with which they did miniature embroidery, and these were probably used for tattooing. The chief was elaborately decorated with an interlocking series of striking designs representing a variety of fantastic beasts.

 

(번역) 남녀 모두 광범위하게 문신을 했다. Pazyryk무덤의 남성은 시베리언 동물 스타일의 많은 문신을 했다.  Pazyryk 2 봉분의 무덤의 지도자는 몸에 동물 스타일 문신을 많이 했는데, 얼굴에는 하지 않았다. 유해의 일부는 상태가 나빠졌지만, 많은 문신은 아직 확실히 볼 수 있다. (그림 참조). 적외선 촬영을 반영한 사진은 Pazyryk kurgans에서 나온 다섯 사람  모두 문신을 했다.  문신을 하는 특별한 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Pazyryk 사람들은 매우 가는 바늘로 소형의 자수를 놓았으며, 이들이 문신을 위해  이용되었을 것이다.  지도자(군장)는 다양한 환상적인 짐승들의 충격적인 시리즈 디자인을 정교하게 장식했다. 

 

 

가장 잘 보존된 문신은 당나귀, 산양, 긴뿔을 가진 두마리의  매우 잘 그려진 사슴, 그리고 오른팔에 그려진 상상속의 육식동물 등의 문신모습이다. 그리핀(사자 몸통에  독수리  머리와 날개를 가진 신화적 존재)을 닮은 두 괴물을 가슴에 장식하고, 왼쪽 팔에는 일부 지워진 세개의 이미지가 있는데, 두마리의 사슴과 한마리의 산의 염소를 표현한 것 같다. 오른쪽 다리 앞에는 물고기가 발에서 무릎까지 뻗어 있다. 하나의 괴수가 오른쪽 발위를 기어 가고, 정강이 안에서는 네마리의 달리는 숫양이 서로를 접하며 하나의 디자인을 만들고 있다. 왼쪽 다리에도 문신이 있으나, 이러한 다자인은 명확하게 구분이 될 수 없었다. 더구나, 군장의 등에는 척추라인에 따라 작은 원들이 문신되었다. 시베리언 Ice Maiden도 많은 문신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아래 자료 참조)

 

 

The best preserved tattoos were images of a donkey, a mountain ram, two highly stylized deer with long antlers and an imaginary carnivore on the right arm. Two monsters resembling griffins decorate the chest, and on the left arm are three partially obliterated images which seem to represent two deer and a mountain goat. On the front of the right leg a fish extends from the foot to the knee. A monster crawls over the right foot, and on the inside of the shin is a series of four running rams which touc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design. The left leg also bears tattoos, but these designs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In addition, the chief's back was tattooed with a series of small circles in line with the vertebral column.[234] The Siberian Ice Maiden is also known for her extensive tattoes.[235]

 

(번역) 가장 잘 보존된 문신은 당나귀, 산양, 긴뿔을 가진 두마리의  매우 잘 그려진 사슴, 그리고 오른팔에 그려진 상상속의 육식동물 등의 문신모습이다. 그리핀(사자 몸통에  독수리  머리와 날개를 가진 신화적 존재)를 닮은 두 괴물을 가슴에 장식하고, 왼쪽 팔에는 일부 지워진 세개의 이미지가 있는데, 두마리의 사슴과 한마리의 산의 염소를 표현한 것 같다. 오른쪽 다리 앞에는 물고기가 발에서 무릎까지 뻗어 있다. 하나의 괴수가 오른쪽 발위를 기어 가고, 정강이 안에서는 네마리의 달리는 숫양이 서로를 접하며 하나의 디자인을 만들고 있다. 왼쪽 다리에도 문신이 있으나, 이러한 다자인은 명확하게 구분이 될 수 없었다. 더구나, 군장의 등에는 척추라인에 따라 작은 원들이 문신되었다. 시베리언 Ice Maiden도 많은 문신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 Tattoos of the Pazyryk-2 chief.[236]

 

  • Tattoos of the chief's right arm, with zoomorphic symbols.[235]

 

 

  • Tattoo motif on the arm of the Siberian Ice Maiden.[235]

 

중국 사서에서는 바닷가 섬에 사는 왜인들이 문신을 하였다고 하며, 왜에 가까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도 문신을 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카, 즉 색족의 문신에 대해서는 필자가 과문해서인지 아직 들은 바 없다.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주목할 부분이다. 

 

 

5) Warfare (전투)

 

A skull from an Iron Age cemetery in South Siberia shows evidence of scalping. It lends physical evidence to the practice of scalp taking by the Scythians living there.[237]

 

(번역) 남시베리아의 철기시대 묘의 유골은 스칼핑(가죽 벗기기)의 증거를 보여 준다. 이 지역에 사는 스키타인에 의해 스칼핑이 행해졌다는 실제 증거이다. 

 

Later depictions of "Sakas" in China (1st-3rd century AD)

(중국에서의 이후 사카의 묘사) (기원후 1-3세기)

 

외국인으로서의 사카의 여러 묘사들이 기원후 1-3세기에 지나에서, 때로는 동쪽 끝 산동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서쪽의 Scythoid Xirong 또는 북쪽의 동호 사람들, 또는 신장지역의 쿠샨에 대응한 충돌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지나인에  의해 "호"라고 불리웠다.  (아래 자료 참조)

 

Numerous depictions of foreigners of Saka appearance appear in China around the Eastern Han period (25–220 AD), sometimes as far as east as Shandong. They may have appeared in relation with the conflicts against the Scythoïd Xirong in the west or the Donghu people in the North, or the Kushans in the area of Xinjiang. They were generally called "Hu" by the Chinese.[238][239][240]

 

(번역) 외국인으로서의 사카의 여러 묘사들이 동한의 시기 (25-220AD) 중국에서, 때로는 동쪽 끝 산동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서쪽의 Scythoid Xirong 또는 북쪽의 동호 사람들, 또는 신장지역의 쿠샨에 대응한 충돌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인에 의해 "호"라고 불리웠다. 

 

  • Mingqi (Chinese funerary statuette) of a young Central Asian man, with Saka-type caftan and conical hat reminiscent of early 3rd century AD Kushans. Later Han, 3rd century AD. Guimet Museum (MA 4660).[238]

 

위 그림은 기원후 3세기 중앙아시아 쿠샨제국의 후예들이 꼬깔모자를 쓴 모습이다. 박트리아지역은 그리스문화가 영향력을 준 곳이며, 그리스 또한 스키타이라 하니, 쿠샨제국 또한  스키타이, 사카의 문화 모습이다. 

 

  • Eastern Han tombs sometimes have depiction of battles between Hu barbarians, with bows and arrows and wearing pointed hats (left), against Han troops. Eastern Han Dynasty (151–153 AD). Tsangshan Han tomb in Linyi city. Also visible in Yinan tombs.[240]

 

 

 

  • Yinan tombs relief, depicting an attack by Hu barbarians with pointed hats, bow and arrows. 2nd century AD, Eastern Han.[241]

 

상기 두 그림은 Linyi city tombs (산동지방)과 Yinan countyTombs(산동성 남쪽지역)에서 발견된 그림이다. 꼬깔모자를 쓰고 활과 화살을 쏘는 "Ho"들과의 전투 장면이다.  사카를 상대하는 세력은 활을 쓰지 않고, 마차를 이용하며, 기병이 창이나 칼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 Man hunting, circa 500 BC, Gansu Museum.[243]

 

상기 그림은 감숙성 박물관에 있는 사냥하는 사람의 그림이다. 지나의 북서쪽에 있는 지역은 신장지역에  가깝다. 이 지역은 천산  사카와 가까운 지역이다. 

 

 

6) 사카인의 언어

Unterlander와  그외 사람들은  2017년  연구에서 동부 스키타인의 현대 후예는현대의 시베리아 튀르크 언어 사용자들에 거의 배타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적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미래  연구가  동부 스키타인이  Turkic 언어 사용자들의 형성에 어느  정도까지 관여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Tikhonov와 그외 사람들에 의하면 (2019), 동부  스키타인들은  범 튀르크 요소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는 이러한 연구가 스키타인이 오직 아리안어만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컨센서스에   의문을 제기한다.  (아래 자료 참조)

 

Unterländer, et al. (2017) found genetic evidence that the modern-day descendants of Eastern Scythians are found "almost exclusively" among modern-day Siberian Turkic speakers, suggesting that future studies could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Eastern Scythians were involved in the early formation of Turkic-speaking populations.[161] According to Tikhonov, et al. (2019), the Eastern Scythians "possibly bore proto-Turkic elements".[162] Another study suggests that this research casts doubt on the historical consensus that the Scythians only spoke an Iranian language.[163]

(번역)  Unterlander와  그외 사람들은  2017년  연구에서 동부 스키타인의 현대 후예는현대의 시베리아 튀르크 언어 사용자들에 거의 배타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적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미래  연구가  동부 스키타인이  Turkic 언어 사용자들의 형성에 어느  정도까지 관여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Tikhonov와 그외 사람들에 의하면 (2019), 동부  스키타인들은  범 튀르크 요소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는 이러한 연구가 스키타인이 오직 아리안어만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컨센서스에   의문을 제기한다. 

 

 

 

VII. 마무리말

 

 

글이 너무 방대해졌다. 사카에  관한 자료를 최대한 반영하려고 하니 그렇게  되었다. 3-4개의 글로 나누는 것도 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긴 자료를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1)사카의 정의

 

사카는 고대 페르시아어, 산스크리스트어 등에서 Saka로 불렸으며, 고대 그리스어로는 Sakai, 라틴어로는 Sacae 등으로 뷸리었다. 한자어로는 색족의 색(塞, 막을 색)으로 쓰였는데, 사카의 발음과 유사하게 들린다

 

사카는 스키타인과 함께 스키타이 문화권에 속하는데, 중앙아시아의 Andronovo(2000-1150 BC), Sintashta(2200-1900 BC), Srubnaya cultures (1900-1200 BC) 등이 선행 문화라 한다. 철기시대에 들어서는 BMAC(박트리아지역의 문화)문화가 사카에 2차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카는 일반적으로 아시아 초원지역의 유목민들을 일컫고, 흑해위의 초원지역 유목민들은 스키타인이라 말한다. 그러나,  고대 페르시아인, 고대 그리스인,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모든 초원의 유목민들을 Saka, Sakai, Sacae 등으로 불렀다고 우리는 위의 어원에서 살펴 보았다. 키메리언은 사카(스키타인)의 일종인데, 중앙아시아에서 아나톨리아를 거쳐 서진하여 대서양까지 이른 것을 필자는 키메리언에 관련한 여러 글에서 살펴 보았다. 

 

스키타이의 이름이 인도유럽어 (s)kewd에서 나와서 (영어의 shoot가 되고) 이것이 skud가 되고, 스키타인이 자신들을 일컫는 Skuoa (archer, 궁수라는 뜻)라 했다는 주장이 있다. 활을 쏘는 모습을 특히 언급한 것이 주목된다.  키메리언, 스키타인, 사카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공통점이다. 

 

아케메네스인들은 사카인을 3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다:

 

1) Saka beyond the sea (흑해 서쪽의 그리스와 트라키언)

2) Saka with pointed caps (꼬깔모자를 쓴 사카) (Massagetae)

3) Saka with Hauma drinkers (더 동쪽의 Saka, Hauma(Haoma)는 조로아스타교의 divine plant). (아래 자료 참조)

 

그리스인들도 사카인(스키타인)이라는 것이고, 항가리 초원의 다뉴브강 북쪽의 사람들도 사카인이라는 것이다. 중앙아시아의 꼬깔모자를 쓴 이들도 사카인이라는 것이고, 마사게태 (Getae의 일종, 고트족과 관련 있음)도 사카인이라는 것이다. 

 

다리우스 1세의 원정길을 묘사한 비문에 의하면 에티오피아까지 사카인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카스피해 북쪽의 Daha people도 사카인으로 묘사하고 있다. 

 

 

2) 사카의 역사

 

사카의 역사는 일부만 전하고 있다. 그리스문명의 일부인 박트리아문명이 중앙아시아에 있어 그리스에 관련 기록이 있고, 아케메네스제국과 미디어제국 등과 충돌하면서 관련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원전 10세기이후에나 기록이 있는 것이다. 

 

(1) 초기 역사

 

 

아래 위키피디아 자료에서는 사카는 유물로 볼 때, 기원전 8세기부터 활동한 것으로 말한다. 그리고 동쪽의 사카가 스키타인을 서쪽으로 몰아  내고, 스키타인은 다시 키메리언을 더 서쪽으로 몰아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도 사카와 스키타인, 키메리언이 서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말한다. 이 같은 설명은 훈족이 게르만족을 이동시켜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있었다는 설명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필자는 훈족이 대서양까지 진출할 때, 반달족, 알란족 등과  동행하는 역사를 주장했다. 그리고 고트족과 훈족은 동일한 것으로 판단했다.  마찬가지로, 사카와 스키타이, 그리고 키메리언이 동일 집단으로서 서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본다. 사카, 스키타이의 문화는 동일한 것으로 묘사하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한 느낌이 든다. 서양사가들은 동쪽 아시아에서 유라시아를 건너 대서양까지 진출하는 역사를 받아들이기 싫은 것인지도 모른다.   

사카는 그러나 아케메네스제국과의 충돌을 보면, 그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사카가 포로로 잡힌 부조물이 있는 것을 보면 더욱 증명이 된다. 아케메네스제국의 역사에도 기록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Diodorus는 Parthians이 Medes제국에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후에 Parthians은 사카의 보호하에 들어갔다 한다. 이후 사카와 Medes제국 사이  긴 전쟁이 있었으며, 사카는 여왕 Zarinaea가 통치하고 있었다 한다. 긴 전쟁후 다시 평화체제가 된 후에  파르티언은 다시 메데스제국의 지배를 받아 들였다 한다.

여기서 2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1) 사카의  여왕 지배. 이후에도 여왕의 이야기는 계속 나온다. 그리고 모계사회라는 언급도 있다. 여전사도 많이 언급된다. 즉 사카에는 여자가 전쟁이나 통치 등에 있어 활발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2) 파르티언이 메데스보다는 사카와 더 가까운 사이인 것 같다는 느낌이다. 필자는 배사법으로 말위에서 활을 쏘는 것을 "Parthian shot"이라 하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았다.  Parthian Empire에 대해서 아직 확신은 없는데, 사카의 한 종족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Dahae도 사카라 했으며, Dahae는 그 종족 중  하나인 Parni가 Parthian Empire인 Parthia가 된다.

 

그리스 역사학자  Ctesias에 의하면, 아케메네스제국의 창시자 사이러스는 그의 할아버지  메디언 왕 Astyages을 전복시켰다. 이에 따라 박트리언은 그를  Astyages의 후계자로 받아 들이고 복종했다. 이후 사이러스는 시르다리야강가에 Cyropolis 도시를 세우고 사카로부터 제국의 북쪽 국경을 지키기 위해 7개 성을 쌓았다. 즉 사카와 아케메네스제국은 명백한 적대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사이러스는 이후 사카 haumavarga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그   왕 Amorges를 생포한다. 이후 사카의 여왕 Sparethra는 많은 남녀 전사들을 동원하여 사이러스왕을 패배시킨다. 더구나 사이러스의 부인의 오빠인 Parmises와 그의 세아들을 생포한다. 그리고 Amorges와 포로교환을 한다. 이후 사이러스와 Amorges는 동맹이 되어, 리디아를 정복하는데 함께 했다고 한다.  사카의 일부와 아케메네스제국이 전쟁후 동맹이 된 사례를 말하고 있다. 

 

사이러스는  사카 haumavarga Amorges와 함께 Saka tigraxauda (마사게태)를 기원전 530년 공격했다. 헤로도투스에 의하면, 사이러스는 계략에 의해 마사게태 일부진영을 점령했으나, 이후 마사게태 여왕 Tomyris는 주력부대를 이끌고 페르시아군과 전쟁하여 사이러스를 패배시키고 사이러스의 잘려진 목을 자루에 담았다 한다. 다른 버전도 있다 하는데, 마사게태의 일원인 Derbices에 의해 치명상을 입은 후, 사카 haumavarga군대와 Amorges의 도움으로 이들을 물리친 후, 사이러스는 유언으로 Amorges와 어머니를 존경하라고 했다 한다. 

 

Polyaenus에 의하면, 다리우스는 3명의 왕 (Sacesphares, Amorges 또는 Homarges, Thamyris)에 의해 이끄는 3개의 군대에 대항해 싸웠다. 이는 정확한 페르시아 역사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다리우스의 행정적 개혁이후, Saka tigraxauda는 Medes와 같은 세금구역으로 포함되었다.   마사게태는 다리우스에 세금을 내는 것으로 합의한 것 같다. 

위의 기록에서 Amorges는 사이러스와 동맹이 되어 마사게태와 싸웠다는 것을 보았는데, Darius 시기에는 상반된 내용을 담고 있다. 즉 마사게태 여왕으로 보이는 Tomyris와 이름이 유사한 Thamyris는 Saka haumavarga의 Amorges왕과 합세하여  다리우스 1세와 전쟁했다는 Polyaenus기록이다. 

 

그리스-로마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박트리언을 멸망 시킨 4개 부족을 언급했는데, 그 중 하나가 사카부족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

 

사카는 소그디니아, 박트리아 지역 등을 정복하고, 나아가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지역까지 진출했다고 한다. 파르티언 제국을 공격하여 두 왕을 죽이기도 하였다. 이들 지역은 사카스탄으로 불리었고, 북인도의 Kharosthi비문으로 증명된다.

 

Iaroslav Lebedynsky and Victor H. Mair 일부 사카는 남중국의 운남성지역까지 진출했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운남의 Dian 왕국의 선사시대 예술은 중앙아시아인 복장에 코카서스 말탄사람들의 사냥장면을 보여 주었다. 소들을 공격하는 고양이과 동물들의 모습은 그 주제나 구성에 있어서 스키타이 예술에 자주 나타나는 장면이다.

 

운남성 지역은 미얀마, 라오스의 북쪽이다. 필자는 티베트-버마어가 SOV순으로 되어 있는 전형적인 지나-티베트어라 지난 글 (신석기시대 동북아시아 홍산문화와 황하의 앙소문화 고찰)에서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런 지나-티베트어는 황하의 앙소문화지역에서 퍼졌다는 설과 북동쪽 인도에서 중국남쪽으로 퍼졌다는 설이 있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사카의 운남성 진출은 이전부터의 이런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만약  첫째설을 가정한다면 사카가 황하에서 더 남서쪽으로 진출했다는 가정이 되고, 두번째설을 따른다면, 사카가 인도 북동쪽에도 진출했다는 가정이 된다. 

 

(2) Histography 

 

페르시언은 모든 북쪽의 유목민들을 사카(Sacae)라 불렀다. 헤로도투스는 이들을 스키타인이라 불렀다. 즉 사카가 스키타인이라는 것이다. 사카가 서쪽으로 밀어낸 스키타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헤로도투스가  묘사한 사카는 바지를 입고, 꼬깔모자를 쓰고, 그들 특유의 활과 단검을 차고, 전투용 도끼도 지녔다.

 

기원전 1세기의 스트라보도 박트리아와 소그디니아 동쪽의 중앙아시아  초원의 사람들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했다. 스트라보는 스키타인이라고 믿는 다양한 부족들을  열거했다. 사카도 포함되었다. 필자는 스트라보의 기록이 더 사카, 스키타인의 묘사에 충실할 것이라 판단한다. 관련 없는 부족을 포함했다는 위키피디아 저자의 말보다 말이다. 

 

스트라보가 열거한 스키타인(사카, Sacae)은 카스피해의 Daae(Dahae), 그 동쪽의  Massagetae, 박트리아를 정복하고 그 땅을 차지한 시르다리야강 건너 편에서 온 Asii, Pesiani, Tochari, Sacarauli, 그리고 Daae(Dahae)의 일부인 Aparni, Xanthii, Pissuri, 등이  언급되었다. 

 

3) 유전자학으로 본 사카인 

 

카자흐스탄 남녀 유골분석은 유럽계와 아시아계가  혼재함을 말해 준다.  이는 유럽에서  아시아에 걸친 즉 유라시아에 걸친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최근의 알타이지역의 DNA 연구도 이들이 유로-몽골로이드  오리진이 혼합된 것을 보여 주어 역시 같은 결론을 추론할 수 있다. 

 

 

청동기시기에는 서부유라시언 계열이 동부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고, 반대로 철기시기에는 동부유라시언 계열이 서부 초원에 더 자주 출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발칸지역, 다뉴브강지역, 이란지역에서 북쪽 초원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청동기 시기에는 서부 유라시아가 더 문명이 발전하여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철기시기에는 반대로 동유라시아 지역에 더 강력한 세력이 있어 서부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기원전 2천년대 중반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사이 (스키타인과 사르마티언 시대) 시기의 시베리아 Krasnoyarsk지역에서 얻은 26개 고대 인간 표본의 연구 결과,   청동기와 철기시기 사이에, 스키타인, 안드로노비언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진  사람들의 무리는 blue-(or green) eyed, fair-skinned, light-haired people이었으며, 동유럽인에 더 유전적으로 근접하였다.  즉 청동기 시기에는 시베리아 Krasnoyarsk지역 표본에서 동유럽으로유럽인의 유전자가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것은 동유럽인의 동쪽이동을 말하는데, 인류이동 역사를 보건데, 구석기시기(15000-9000 BP)에는 동시베리아의 고대북유라시언 (ANE)이 유럽으로 이동했지만, 이후 청동기시기에는 동유럽인이 중앙아시아 스키타인(안드로노비언)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 

 

천산 사카에서 추출된 Y-DNA의 6개 샘플은 서부 유라시언 유전자에 속했다. 5개 중앙초원 남자 사카인은 4개 샘플이 서부유라시언에 속하고, 1개 샘플은 동부유라시언에 속했다. 즉 천산사카는 서부 유라시아에서 동진하여 이동해 온 것으로 판단된다. 타림분지의 미이라가 금발의 미이라라는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결과이다. 

 

상기 청동기 철기 시대 초원인구의 유전자 표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의  Yamnaya culture, Afansievo, Andronovo, Srubnaya, Sintashta culture 등은 동유럽 수렵인그룹(EHG), 코카서스수렵인그룹(CHG) 유전자가 주를 이루고, 동쪽의 Scytho-Siberians은 동북아시아인, 동유럽수렵인그룹(EHG), 코카서스수렵인그룹(CHG), 그리고 약간의 동아시아인 등의 유전인자가 혼재하고 있다. 

 

상기지도의 중기/후기 청동기 시기의 스키타인 유전인자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으로 갈수록 서부초원유목민(WSH) 인자가 더 많이 포함되고, 중앙아시아 동쪽으로 갈수록 몽골의 Khovsgol 유전인자를 더 많이 내포하고 있다. 

 

상기 철기 시대의 중앙아시아 스키타인의 유전자 표를 보면, 중앙아시아 서쪽의 문명에서는 신석기 아나톨리언 농부, 동유럽수렵인그룹(EHG), 서유럽수렵인그룹(WHG)이 주를 이루고, 약간의 아리안농부그룹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반면 중앙 사카나 천산사카, 천산훈족, Tagar, Turkmenistan_IA 등은 신석기 아나톨리언 농부,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동유럽수렵인그룹(EHG) 등의 유전인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스키타인(또는 항가리언 사카)은 완전히 서부초원유목민그룹 (WSH)과 연관된 혈통만을 보여주는 반면, 내륙의 아시안 사카는 다양한 정도로 추가적인 신석기 아리안(BMAC)과 남시베리아 수렵인그룹 (현대의 알타이인에 의해 대표되는) 구성요소를 보여 준다. 

 

사카의 유전자 분석에 의한 연구는, 내륙의 아시아 사카는 흉노중에서 서부유라시언 혈통의 원천이었으며, 훈족은 흉노의 서부이동을 통해  소수의 남자로부터 비롯되는 사카로의 유전적 흐름에서 출현한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사카와 흉노, 훈족의 연관관계를 추정하고 있으며, 내륙 아시아 사카의 서부이동으로 훈족의 활동을 추정하는 것이다. 

 

2020년 유전학 연구는 사카그룹의 혈통을 모델화 했는데, Sintashta culture 혈통(WSH)과 바이칼 EBA혈통 위주의 혼합으로 모델화했다.

최근 2021년, 2022년 발표된 두 유전학 연구는 사카가 WSH와 같은(Srubnaya, Sintashta, Andronovo culture) 배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BMAC와 동유라시언 같은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카중에 동쪽 혈통은 또한 바이칼 호수 그룹(Shamanka_EBA like)에 의해 대표될 수 있다. 

 

이후 다른 동쪽으로부터의 유입은Tasmola culture(Tasmola Birlik), Pazyryk culture(Pazyryk Berel) 샘플에서 확연히 나타나는데, 이들 샘플은 70-83%가 고대동북아시아 (ANA)혈통 (신석기의 Devil's Gate Cave 표본에 의해 대표됨)을 보여준다.즉  보다  동쪽에서 최근에  이주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동일한 동쪽의 혈통이  이후의 훈족 그룹(Hun Berel 300 AD, Hun elite 350 AD)과 Karakaba 유물(830 AD)에서 밝혀졌다.

 

동시에, 서부 Sarmatian 혈통과 BMAC 혈통이 동쪽으로 퍼졌다.  이는 남동부 카자흐스탄(Konyr Tobe 300 AD)의 사카관련 샘플이 약 85%의 Sarmatian혈통과 15%의 BMAC혈통을 보여준 것이 입증한다. Sarmatian은 원래 흑해-카스피해 초원의 서부초원유목민(WSH)혈통에서 비롯되었다. 

 

AD 300년이후의 자료는 훈족의 활동영역이 동아시아에서  흑해 카스피해 영역까지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현대 인구중에 사카(그리고 다른 스키타인그룹)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은 타지크인들인데, 이들은 남부 중앙아시아에 속하는 아리안사람들이며, 이들은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중앙아시안과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 준다.  또한 동부 스키타인(Pazyryk culture같은)이 이후의 튀르크언어 사용자들과 유전적 연속성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타지크인과 같은  남부 중앙아시아인과 청동기 철기시대 사카와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것과 튀르크어 사용자들과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  주는 것은 이 지역에 광범위하게 어떤 공동체 집단이 있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라시아에 걸친 유전자 자료는 스키타이 문화적 현상이 알타이지역에서 시작하는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되는 것이다. 특히 서부유라시언초원의 고전적  스키타인은 청동기시기 지역의 직계 후손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이러한 동-서 이동의 결과였다.  이는 또한 스키타이 문화 특징이 단순한 물질문화의 전파의 결과가 아니라, 동으로부터의 사카사람들의 이동에 따른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카스피해와 남부 우랄 사이 지역은 원래 Srubyana (1900 BC - 1200 BC)혈통과 Andronovo (BC 2000 - BC 1150) 혈통의 사람들 지역이었으나, 철기시대 (기원전 1000년)이후, 유럽인과 아시안 사이 종족적  문화적 교류가 매우 활발한 지역이었다. 

 

기원전 7세기부터, 초기 사카 유목민들은 남부 우랄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중앙아시아, 알타이-사이언 지역, 카자흐스탄 중부 및 북부지역에서 왔다. Itkul culture (기원전 7-5세기)는 이러한 초기 사카문화의 하나였으며, 우랄의 동쪽 언덕에 자리잡았으며, 이들은 Sauromatian culture와 초기 Sarmatian culture와 유사하다.  BC 600년경에는 Tasmola culture의 사카그룹이 남부 우랄에 정착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고대 호라즘 지역의 다른  그룹이 남부 우랄의 서쪽에 정착했는데, 이들은 초기 Sarmatians들과 유사하다. 그 결과, 중앙아시아의 큰 규모의 통합적인 유목민연합이  이 지역에 기원전  5-4세기에 형성되었는데, 상당히 단일화한 문화적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4) 사카 유적지와 유물 

Arzhan, Tuva의 무덤은 BC  800년 이후의 것이며, 동부 카자흐스탄의 Shilikty무덤은 BC 700년경이며, 알타이산맥의 Pazyryk 매장품은 기원전 5세기경이다. Pazyryk 무덤은 도굴되지 않아 많은 부장품이 도출되었다.

 

(1) Arzhan 1 kurgan (c. 800 BC)

1970년대 발굴된 Arzhan-1은 BC 10-8세기의 스키타이문화의 원천으로 확립되었다. 이곳의 사슴,  보아뱀, 검은 표범 등의 동물 스타일의 스키타이 예술은 서방으로 전해져 유럽 스키타이의  예술이 되었다. 

 

즉 사카의 문화가 서방으로 전해져  유럽 스키타이로 전해진 것은 사카의 서방 진출, 유럽 진출을 의미한다. 

 

(2) Shilikty/ Baigetobe kurgan (c. 700 BC)

Shilikty는 동부 카자흐스탄의 유적지로서, 많은 기원전 8-6세기 초기 사카 무덤지이다.  이  분묘들은 많은 양의 귀중한 금으로  된 보석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Golden man" 유해 (Issyk kurgan의 golden man과 유사)는 2003년 발견되었는데, 4262개의 금붙이가 나왔다.  

 

아래 지도는 금세공품이  발견된  곳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카자흐스탄 동쪽과  몽골지역과 남 시베리아지역 등은  사카지역으로 잘 알려진 지역이다.   흑해 위 지역은  스키타이 지역이므로  앞으로  더  자세히  연구될 지역이지만  수긍이   간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곳은   지나의  황하강 유역이다.   우리는 지난 글에서 앙소문화지역을  살펴  보았는데,   그 지역과 유사한  것같다.   그런데 지난 앙소문화 자료 연구에서는 금세공품에 대한 사진이 거의 없었다.  도자기 사진만 있었다. 연대가 차이 나서 그런지 지나 사가들이  감춘 것인지,  앞으로 주목해서 알아  보아야 할 지역이다.  

 

 

(3) Arzhan 2 (c. 650 BC)

 

기원전 650년경의 Arzhan-2는 도굴되지 않은 무덤이다. 고고학자들은 왕족 부부, 16명의 순장된 사람, 9300개 부장품을 발견했다. 이 유물 중 5700개는 금으로 되었으며, 20킬로그램에 달하는 시베리아의 기록적인 것이었다. 남자는 왕과 같은 존재로 고고학자는 판단하는데, 금으로된 목걸이,  2500개 금표범으로 장식된 자켓, 벨트위의 금으로 새겨진 단검, 금구슬로 꿰멘 바지, 금으로 접어 올린 부츠를 하고 있었다.  여인은 2500개 금표범 모양 장식으로 둘러 싸인 붉은 색 망또를 입고 있었으며, 금자루의 철제 단검, 금으로 된 빗, 금 손잡이로 된 나무 국자 등이 있었다.

(4) Eleke Sazy Burial Complex (c. 800-400 BC)

2020년에 고고학자들은 동부 카자흐스탄의  Eleke Sazy 협곡의 여러 무덤 봉분을 발굴했다. 여기서 많은 금 세공품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세공품은 금 마구용 부속품, 목걸이에 걸게 되어 있는 보석(pendants), 목걸이, 어플리케(천조각을 덧데거나 꿰멘 장식) 등이며, 대부분이 기원전 5-4세기경의 스키타인-사카의 동물스타일이었다. 

(5) Berel burial mound (c. 350-300 BC)

동부 카자흐스탄의 Katonkaragay District의 Berel 가까이에서 고대 무덤 봉분이 발굴되었는데, 기원전 3-4세기 유목민 문화의 재평가를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다양한 세공품이 나왔다. 찬란한 금세공품이 주목된다.  

 

(6) Pazyryk culture (c. 300 BC)

 

알타이산맥 남쪽,  남시베리아(몽골 인접), 알타이  공화국의 Pazyryk kutgans은  사카무덤으로서  현대  고고학자들에 의해 문서화되었다.

 

큰  돌무덤으로  덮혀진 고분 봉분들이  1925년과 1949년 사이에 발견되었다. 

 

양모로  짠 유명한 동양적인 Pazyryk  carpet이 잘 보존되어서 발견되었다. 또 하나 충격적인 발견은 3미터 높이의  사륜 장례 마차인데, 기원전 5-4세기의 것인데 잘 보존되어 발견되었다. 

 

아래 사륜마차는 장례용이기 보다는 평상시 타고  다니는   사륜마차가   아닌가   한다.  사륜마차 이용은 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  유럽까지 이용하였다. 

 

(7) Southern Siberian kurgans excavated in the 18th century

(18세기에  발굴된 남시베리아 kurgans)

 

18세기에 러시아가 시베리아로 팽창하는 시기에, 많은 사카 봉분이 약탈되었는데, 어떤 경우에는 독립적인 도굴군에 의해, 어떤 경우는 Peter 대제의 공식적인 착수로 행해졌는데, 그러나 보통 아무 고고학적 기록이 남겨지지 않았다. 단지 그들이 발굴된 일반적인 위치만 알려졌는데, 햔재의 카자흐스탄과 알타이산맥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이러한 유물들은 시베리아 Governnor Matvey Gagarin이 1716년 피터대제에게 보낸 고고학적 선물의 일부이다. 그들은 지금 Saint-Petersburg의 Hermitage 박물관에 있으며, 피터대제의 시베리언 컬랙션을 형성하고 있다. 그들의 추정 시기는 유물에 따라  다르지만, 기원전 7세기로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이다. 

 

하나의  금세공품은   독수리 형상으로 판단된다. 사자의 몸과 독수리 머리를 하고 있는  상상속의  Griffinn은 아니지만, 독수리  형상이 의외로 많다. 대한제국의  문양도 독수리이다. 

신성한 나무(신수)아래  죽은 이를 안고 있고, 옆에 말이 서있다. 나무에는 화살통이 매달린 것으로 보인다. 죽은 이를 안고 있는 이는 꼬깔 모자를 쓰고 있다. 옆에 앉아 있는 이는 샤먼으로 보인다.

 

필자는 이와 유사한 묘사를 스웨덴(바이킹)의 고대 종교에서 본 기억이 난다. (cf: Sacred  Tree at Uppsala,필자의 티스토리  블로그 (lainfos), 카테고리, Norse).  바이킹들은 말을 제물(sacrifices)로 바쳤다 한다. 

또 하나의 세공품은 용을  조각한  것으로  보인다.   금세공품 중에 용이  조각된 것은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 동양적 사고에서는 용을  숭상하는  사상이 있다.   즉  카자흐스탄 동부와  알타이산맥에서 발견된 이들  사카 금세공품은 동양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8) Tillia Tepe treasure (2nd-1st century BC)

 

북부 아프카니스탄(과거의 박트리아)에 있는 Tillia Tepe(말 그대로 금의 언덕)에서 1968년 발견된 site는 다섯명의 여성과 한명의 남성의 무덤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은 매우 부유한 보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기적으로 약 기원전 1세기에 해당하며, 약간 북쪽에 사는 사카부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무덤들은 수천의 세공한 보석들을 산출했는데, 보통 금,  터키석(옥), 라피스  라줄리(남색으로, 황금색 반점의 황철석과 백색반점의  방해석이 보석 전체에 혼입)의 혼합으로 만들어졌다. 

 

헬레니즘 문화와 예술적  영향이 많은 형태에서 그리고 인간의 묘사(큐피트로부터 아테나 형상과 그리스어로 그녀 이름이 새겨진 반지들)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약 BC 140년까지 존재했던 같은 지역의 셀레우시드 제국과 그리스-로마  왕국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인도 북서쪽 sub 대륙의 인도-그리스 왕국이 계속해서 존재한 탓이기도 하다. 이것은 이 시기에 박트리아 지역에 높은  문화적 융합이 풍부했음을 증명한다.  이 내용을 보면서 그리스가 스키타이라는 지적을  한 위키피디아 자료가 생각난다. 

 

 

5) 사카의 문화

 

(1) Gender roles 

 

최근에 중앙 Tuva의 Saryg-Bulun에서 발견된 낙엽송 트렁크로 만든 관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어린이 유해에 대한 유전자 분석에 의해 확인된 증거는, 이 개인이, 전에는 스키타이 사회가 남성지배의 사회라는 믿음과 관련된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서 남성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여성이었다. 가죽 스커트와 함께, 이 무덤에는,  빨간색 염료로 칠한 가죽 머리옷, 날쥐가죽으로 만든 코트, 청동 장식과 버클을 가진 가죽밸트, 화살과 화살대에 채색한 장식이 있는 화살 가죽통, 잘 보존된 battle pick, 그리고 활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이템들은 스키타인의 모계문화와 사냥과  전투, 그리고 옷을 위한 동물가죽의 사용 등과 같은 생활양식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가치있는 것들이었다.

 

사카 사회가 모계사회라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사카의 전투에서 여왕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리고 여전사도 등장하는 것을 이해하겠다. 흑해위의 스키타이 문화도 이를 반영하는 것인지,아마조네스 사회(여인국)가 있었다는 기록을 본 기억이 난다.  

 

(2) Art 

 

사카의 예술은 초원의 다른 아리안 종족들과 유사한 스타일인데, 이는 전체적으로 스키타인 예술이라고 말해진다. 2001년에, Arzhan에서 왕족의 스키타인 봉분이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스키타인 동물 스타일의 금세공품을 보여 주었다.  44파운드의 금이 왕족 부부의 봉분에서 발견되었는데, Tuva  시베리아 공화국의 수도 Kyzyl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사카문화가 금을 세공하는기술이 발달한 것을 보여 주며,  금을  풍부하게 조달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넓은 영토에 금 산지가 많아서  그런지, 타 지역의 정복에서 받은 금 때문인지는 아직 모르겠다.   

사카의 영향은 멀리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확인되었다. 신라왕국의 왕관 같은 다양한 한국의 유물이 스키타인 디자인이라고 말해진다. 유사한 왕관이, 대륙과 접촉을 통해, 일본 Kofun 시대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언급은 한국과 일본이 사카문화권이라는 의미를 내비친다. 

 

(3) 복식

 

Persepolis의 Apadana의 부조에 나타난 다른 동부 아리안 종족과 유사하게, 사카는 긴 바지를 입고, 이 바지가 부츠 상위 부분을 덮었다. 어깨 위로는 긴 꺼플 타입을 밑에 끌도록 입었는데,  등 뒤에서 대각선으로 교차했다. Saka tigaxauda는 끝이 뽀족한 모자를 썼다.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 군대의 묘사에서 사카를 바지를 입고 긴 꼬깔모자를 썼다고 했다.  

 

남녀 모두 긴 바지를 입었는데, 금속판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천 아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수를 놓았다. 바지들은 지역에 따라 넓거나 타이트하게 맞게 입었다. 사용된 물질들은 부에 따라, 날씨, 또는 필요에 따라 달랐다. 

헤로도투스가 말하기를 사카는 끝이 뽀족하게 반듯한 높은 모자를 썼다고 했다. 아시안 사카 모자는 Persepolis Apadana 계단의 부조물이 보여주는 것처럼, 귀와 목 뒤쪽을 덮는 높은 꼬깔모자를 썼다. 지나에서부터 다뉴브 델타까지 남자들은 다양한 부드러운 모자를 쓴 것 같다. 헤로도투스가 말한 것처럼 꼬깔모자 또는 보다 둥그러운, 프리기언 모자같은 것을 썼다. 

 

프리기언은 지금의 튀르키예의 아나톨리아에 있었다.  이솝이 프리기언 출신이다. 스키타이의 일종인 키메리언이 이 지역을 지나 유럽에 진출했다.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은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프리기아로 피신했는데, 로마가 추적해  암살했다 한다.

 

가야사람들이 꼬깔모자를 썼다는 아래 기록은 필자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필자는카르타고를 금관가야가 아닌가 추정했다. 

 

사카여인들은 남자와 거의 같은 패션으로 입었다. 1990년대 발견된 Pazyryk무덤은 남녀 각각 한명씩의 유골이 있었는데,  각기 무기, 화살촉, 도끼들을 지니고 있었다. 헤로도투스는 사카가 꼬깔모자, 바지를 입었다 언급했다. 옷들은 평직의 양모, 삼베, 비단, 펠트, 가죽, 짐승가죽 등으로 짰다. 

 

Pazyryk 유물이 스키타이.사카 종족이 입었던 옷들을 가장 잘 보존되어 보여 주었다. 고대 페르시아 부조물, Apadana와 Behistun의 비문들, 그리고 고고학적 발견물들이 이러한 옷들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 준다.

Pazyryk 에서 발견된 것을 기초로 하여,  (남시베리아 우랄과 카자흐스탄의 암석화에서도 볼 수 있는) 어떤 cap은 동물형태를 본 뜬 나무로 된 조각을 모자의 일부같이 cap에 꽉 붙여 위에 얹었는데, 이는 북중국의 유목민 헬멧과 유사하다. 남녀 모두 튜닉( 무릎까지 내려오는 상의)을 입었는데, 금속(금)판 또는 펠트 어플리케로 장식하거나 치장하였다. 

 

Persepolis Apadana는 다시 한번 사카의 튜닉을 관찰하는 좋은 시작포인트가 된다. 그들은 실로 짜진 것으로 보이는데, 무릎까지 내려오는 소매가 긴 옷이며, 벨트로 묶었는데, 무기(칼, 단검, 화살통(gorytos 고리통?), 전투용 도끼, 숫돌 등)를 벨트에 묶었다. 여러 고고학적 유물에 의하면, 남자와 여전사는 긴 소매의 튜닉을 입었는데, 항상 벨트가 있었고, 자주 많이 장식된 벨트를 했다. 카자흐스탄 사카 (예를 들어 Issyk Golden Man/Maiden)는 흑해 초원의 스키타인보다  더 짧은 몸에 딱 맞는 튜닉을 입었다. 어떤 Pazyryk culuture 사카는 짧은 벨트의 튜닉을 입었는데, 오른쪽에 옷깃이 달린, 위로된 칼라가 있고, 손목을 좁게 하는 소매들, 그리고 튜닉의 색갈과 다른 좁은 소맷동을 가졌다. 

남녀 모두 코트를 입었다 : 예를 들어 Pazyryk 사카는 동물의 모피부터 펠트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나중에 Median 옷 또는 Kantus라 알려진 말탈때의 코트를 입었다. 소매가 길고 열려 있었으며, 이것은 Persepolis Apadana 사카사절단이 입었던 그러한 코트로 보인다. Pazyryk 펠트 카페트는 부풀어 오르는 망토를 입은 말탄 사람을 보여 준다.

 

 

(4) 문신 

남녀 모두 광범위하게 문신을 했다. Pazyryk무덤의 남성은 시베리언 동물 스타일의 많은 문신을 했다.  Pazyryk 2 봉분의 무덤의 지도자는 몸에 동물 스타일 문신을 많이 했는데, 얼굴에는 하지 않았다. 유해의 일부는 상태가 나빠졌지만, 많은 문신은 아직 확실히 볼 수 있다.  적외선 촬영을 반영한 사진은 Pazyryk kurgans에서 나온 다섯 사람  모두 문신을 했다.  문신을 하는 특별한 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Pazyryk 사람들은 매우 가는 바늘로 소형의 자수를 놓았으며, 이들이 문신을 위해  이용되었을 것이다.  지도자(군장)는 다양한 환상적인 짐승들의 충격적인 시리즈 디자인을 정교하게 장식했다. 

 

가장 잘 보존된 문신은 당나귀, 산양, 긴뿔을 가진 두마리의  매우 잘 그려진 사슴, 그리고 오른팔에 그려진 상상속의 육식동물 등의 문신모습이다. 그리핀(사자 몸통에  독수리  머리와 날개를 가진 신화적 존재)을 닮은 두 괴물을 가슴에 장식하고, 왼쪽 팔에는 일부 지워진 세개의 이미지가 있는데, 두마리의 사슴과 한마리의 산의 염소를 표현한 것 같다. 오른쪽 다리 앞에는 물고기가 발에서 무릎까지 뻗어 있다. 하나의 괴수가 오른쪽 발위를 기어 가고, 정강이 안에서는 네마리의 달리는 숫양이 서로를 접하며 하나의 디자인을 만들고 있다. 왼쪽 다리에도 문신이 있으나, 이러한 다자인은 명확하게 구분이 될 수 없었다. 더구나, 군장의 등에는 척추라인에 따라 작은 원들이 문신되었다. 시베리언 Ice Maiden도 많은 문신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사서에서는 바닷가 섬에 사는 왜인들이 문신을 하였다고 하며, 왜에 가까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도 문신을 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카, 즉 색족의 문신에 대해서는 필자가 과문해서인지 아직 들은 바 없다.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주목할 부분이다. 

 

 

(5) 전투  

 

외국인으로서의 사카의 여러 묘사들이 기원후 1-3세기에 지나에서, 때로는 동쪽 끝 산동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서쪽의 Scythoid Xirong 또는 북쪽의 동호 사람들, 또는 신장지역의 쿠샨에 대응한 충돌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지나인에  의해 "호"라고 불리웠다. 

 

기원후 3세기 중앙아시아 쿠샨제국의 후예들이 꼬깔모자를 쓴 토우의 모습이 발굴되었다. 박트리아지역은 그리스문화가 영향력을 준 곳이며, 그리스 또한 스키타이라 하니, 쿠샨제국 또한  스키타이, 사카의 문화 모습이다

Linyi city tombs (산동지방)과 Yinan countyTombs(산동성 남쪽지역)에서 사카와 전투하는 그림이 발견되었다. 꼬깔모자를 쓰고 활과 화살을 쏘는 "Ho"들과의 전투 장면이다.  사카를 상대하는 세력은 활을 쓰지 않고, 마차를 이용하며, 기병이 창이나 칼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화살쏘는  그림은 감숙성 박물관에 있는 사냥하는 사람의 그림이다. 지나의 북서쪽에 있는 지역은 신장지역에  가깝다. 이 지역은 천산  사카와 가까운 지역이다. 

 

(6) 언어

 

Unterlander와  그외 사람들은  2017년  연구에서 동부 스키타인의 현대 후예는 현대의 시베리아 튀르크 언어 사용자들에 거의 배타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적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미래  연구가  동부 스키타인이  Turkic 언어 사용자들의 형성에 어느  정도까지 관여되었는지 알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Tikhonov와 그외 사람들에 의하면 (2019), 동부  스키타인들은  범 튀르크 요소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는 이러한 연구가 스키타인이 오직 아리안어만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컨센서스에   의문을 제기한다.  

 

-----------------------

사카문화의   특징은  여성의  활동이 활발한 사회라는 것이다.  보통  유목민의 사회는 여성이 집안 일을 하는 사회인데, 사카  사회에서는 여성이 전투에 참여하고, 따라서 남자와 같은 바지를 입고, 남자와  같이 문신도  하고, 여왕의 자리에도 올라  간다.  그야말로  남녀  평등의  사회처럼 말이다.   

두번째는 꼬깔 모자를 쓴다는 것이다.   일부 다른 사카는 꼬깔 모자를 쓰지 않는 부족도 있으나, 대표적으로  꼬깔모자를 쓰는 특징이 사카의 특징으로 말해진다.

 

셋째는 활을  잘  이용하고,  그것도 말위에서  활을 쏘는  것을  사카의 특징으로 한다.

 

넷째는 금세공품의  발달과 풍족한 금품 치장의 사회라는 것이다. 물론  일부 귀족이나 지배층에 해당할 수 있지만, 금제품을 치장하기 좋아하는 것은 확실하다.

 

다섯째, 문신을 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얼굴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신에 문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상동물의 그리핀이나 사슴, 등 동물의 문신을 한다는 것이다. 일부 귀족의 관습일 수도 있으나, 여하튼 문신을 하기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여섯째, 사카의 언어가 범튀르크 언어 형성에 이바지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주류 생각이었던 아리언어 사용이 부정되고, 사카어가 범튀르크어 문화권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카공동체가 나름대로 단일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사카가 하나의 단일 공동체의  가능성도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사카,   스키타이의 연관성을    넘어, 스키타이의 일종인 키메리언과의 공동체의 가능성을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일곱째,  유전자학적 연구를 통해 보면,  사카는 동아시아에서 중앙아시아, 남시베리아를 거쳐, 흑해위 초원지대, 나아가, 그리스, 다뉴브강의 항가리 등의 지역까지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리고 흉노, 훈족과 연관성도 언급된다.  심지어 에티오피아까지 이르렀다는 기록도 있다 한다. 한국과 일본도 사카문화의 일부라고 언급된다. 즉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넓은 지역에 퍼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카는 동에서  서로 이동한 것이라는 것이다. 어디서 출발한 지는 정확히  언급되지 않으나, 적어도, 천산산맥,  몽골지역, 바이칼지역  또는 산동지역이나 Devil's Gate Cave가 있는 시베리아 동쪽 끝단에서, 서쪽으로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이 마지막  동서 이동설은 필자가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 들인다. 그러나 이  사카에  대한 연구는 기원전   10세기이후의 철기시대의 일이라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청동기 시기에는  서유라시아 사카가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유전자연구에서는  말하고  있다. 필자는 지난  구석기시대의 인류이동역사 연구에서, 고대 북유라시언(ANE)이  시베리아에서  서진하여  15000-9000  BP 시기에 유럽으로 이동한 역사를 살펴 보았다. 즉 청동기 시기 이전에 이미 유럽으로 이동한  역사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청동기 시기 이전에는 어떤 상황인지  알 수가 없다. 즉 유럽에서  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12환국의 시기는   BC 7000년경 시작했으므로, 12환국이  유럽에 있었는지,  아니면 유라시아에 걸쳐  있었는지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가지고, 다음으로는 서유라시아에 있던 스키타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고자 한다. 위키 자료는 사카와 달리 스키타이에 대해 상당히 다른 내용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후 튀르크언어권 사람들에  대해 알아 보고, 그 이후는 사카의 선대문화인 중앙아시아의 안드로노보문화 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